KR20060044128A - Sim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디바이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Sim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디바이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128A
KR20060044128A KR1020040091943A KR20040091943A KR20060044128A KR 20060044128 A KR20060044128 A KR 20060044128A KR 1020040091943 A KR1020040091943 A KR 1020040091943A KR 20040091943 A KR20040091943 A KR 20040091943A KR 20060044128 A KR20060044128 A KR 2006004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indicating
sim
sub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202B1 (ko
Inventor
주상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7169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0441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202B1/ko
Priority to US11/231,267 priority patent/US20060099992A1/en
Priority to EP05023035.8A priority patent/EP1657941B1/en
Priority to CNB2005101152445A priority patent/CN100370862C/zh
Publication of KR2006004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user and terminal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AT(Sim Application Toolkit)를 지원하는 ME(Mobile Equipment)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간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SAT를 이용하여 ME에 부착된 서브 디바이스를 직접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커맨드의 조합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수의 복합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서브 디바이스들이 장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SAT를 이용함으로써 SIM이 직접 ME의 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다양한 SAT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proactive command, SIM, ME, 서브 디바이스, 제어

Description

SIM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방법{METHOD CONTROLLING SUB DEVICE OF USER EQUIPMENT USING SIM APPLICATION TOOLK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SIM에서 ME로 전송되는 Proactive command 중 하나의 커맨드 전송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Proactive command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b는 도 2a의 Proactive command의 구조 중 커맨드 상세(Command details)의 구조를 상세히 보인 예시도,
도 2c는 도 2a의 Proactive command의 구조 중 디바이스 식별(Device identity)의 구조를 상세히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nvelope command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Proactive command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4b는 도 4a의 Proactive command의 구조 중 커맨드 상세(Command details)의 구조를 상세히 보인 예시도,
도 4c는 도 4a의 Proactive command의 구조 중 디바이스 식별(Device identity)의 구조를 상세히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 수신기의 전원을 온 오프하는 커맨드의 코딩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 채널을 증가/감소하는 커맨드의 코딩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Player의 레코딩/정지를 수행하는 커맨드의 코딩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Player의 전원을 오프하는 커맨드의 코딩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IM과 ME간의 TV 방송 녹화를 위한 커맨드의 전송 흐름을 보인 흐름도.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IM과 ME 간의 보다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SAT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AT(Sim Apllication Toolkit)는 망 운영자가 자신의 고유한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 및 프로시쥬어를 의미하며,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ME(Mobile Equipment, SIM을 제외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상호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SAT는 SIM과 ME 모두 SAT를 지원할 때만 서비스가 가능하며, SAT 섹션에서 SIM은 처리 명령을 ME에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와의 통신을 시작한다. 3GPP TS 31.111 USIM Application Toolkit(USAT), 3GPP TS 11.14 Specification of the SIM Application Toolkit for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Mobile Equipment(SIM-ME)interface에서와 같이 SAT를 구동하는 커맨드(command)들은 SIM에서 ME방향의 proactive command와 ME에서 SIM방향의 Envelope command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proactive command로는 Display Text, Get Inkey, Get Input, More Time, Play Tone, Poll Interval, Refresh, Set Up Menu, Select Item, Send SM,Send SS, Sedn USSD, Set Up Call, Polling Off, Provide Local Information, Set Up Event List, Perform Card APDU, Power Off Card, Power On Card, Get Reader Status, Timer Management, Set Up Idle Mode Text, Run At Command, Send DTMF, Language Notification, Launch Broweser, Open Cannel, Close Channel, Send Data, Get Channel Status, Service Search, Get Service Information, Declare Service 등이 있으며, Envelope command로는 Data download to SIM, Menu Selection, Call Control by SIM, Timer Expiration, Event download 등이 있다.
한편, 사업자들은 이러한 각 커맨드들을 조합하여 특정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조합된 커맨드를 SMS 형태로 송수신하거나, 커맨들 조합을 통해 특정 서비스번호로 전화를 연결하는 등의 자신들만의 고유서비스를 개발하여 SIM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 분야에 있어서, 현재 사용자 단말기는 다양한 이동복합기기의 형태로써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MP3 플레이어, 동영상(예를 들면, MPEG4) 레코드 및 재생기, 디지털 카메라, E-Commerce를 인증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서브 디바이스들이 부착되고 있다.
이에 따라, 3G단말을 비롯하여 향후 출시되는 복합기기 형태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브 디바이스 모듈(Sub Device Module) 예를 들면, Key Pad, LCD, Speaker, Digital Camera, 동영상 Player, MP3 Player, IrDa, BlueTooth, TV수신기, Multi-Media Card, Radio수신기와 같은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3GPP spec의 경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 부착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SIM과 ME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Interface protocol)이 기술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 단말기의 SAT 사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SIM과 ME간의 Display Text, Get Inkey, Get Input, Play Tone 등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는 단조로운 인터페이스만이 존재했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비된 다양한 디바이스를 SAT로 제어하여 SIM과 ME 사이에 보다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SAT(Sim Application Toolkit)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측의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소정 포맷에 따라 코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측으로 프로액티브 커맨드(Proactive Command)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커맨드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커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커맨드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커맨드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SAT(Sim Application Toolkit)를 지원하는 ME(Mobile Equipment)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간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SAT를 이용하여 ME에 부착된 서브 디바이스를 직접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커맨드의 조합을 제공한다.
이하, SIM과 ME 간의 커맨드 전송의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AT를 이용한 SIM과 ME 간의 커맨드 전송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에 부착된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제공함에 있어서, SIM(100)이 ME(110)측으로 도면부호120의 프로액티브 커맨드(Proactive command)를 전송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SIM(100)이 ME(110)측으로 "TV OFF" 디바이스 모듈을 수행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전송하면(130), ME(110)측에서는 전송된 커맨드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 즉, Terminal Response를 SIM(100)측으로 전송한다(140).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SIM(100)이 ME(110)측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전송할 정보가 있으면 SIM(100)은 해당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도록 허가한다. 이에 의해 SIM(100)로부터 전송되는 커맨드가 ME(110)에 도달하면 ME(100)는 해당 커맨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수신된 커맨드가 "TV OFF"를 나타내면 ME(110)는 해당 디바이스 모듈 즉, TV 모듈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ME(110)에서 SIM(100)으로의 응답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SAT의 커맨드 신호는 SIM(100)에서 ME(110)로 전송되는 프로액티브 커맨드와 ME(110)에서 SIM(100)로 전송되는 엔벌로프 커맨드(Envelope command)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커맨드 신호는 커맨드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태그(Tag)와 커맨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Length)와 그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한 실제적인 정보가 포함되는 값(Value)으로 이루어지는 TLV 구조를 갖는다.
먼저, SAT의 커맨드에 대한 TLV 구조 중 SIM에서 ME 방향으로의 커맨드 즉, 프로액티브 커맨드의 구조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액티브 커맨드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는 SIM 처리 명령 태그(Proactive UICC command Tag)(200)를 통해 SIM으로부터의 커맨드임을 판단하며, 그 커맨드의 세부커맨드(Command details, Device identities, Alpha identifier, etc.)(220)와 그 세부커맨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Length)(210)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프로액티브 커맨드의 구조는 커맨드 넘버정보를 갖는 SIM 처리 명령 태그(200) 1비트와, 세부커맨드의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길이(A+B+C+D+E+F)(210)의 소정비트와, 커맨드의 세부사항정보를 가지는 커맨드 상세(Command details)(230) A비트와, 소스와 목적지의 디바이스 번호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식별(Device identites)(240) B비트와, 커맨드의 실행 상태를 문자로 나타내기 위한 알파 식별(Alpha identifier) C비트와, 기타 등등의 D, E, F 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a에서의 커맨드는 선택적인 요소(optional)가 아닌 커맨드의 필수요소 (Mandatary)인 SIM 처리 명령 태그(200), 길이(210), 커맨드 상세(230) 및 디바이스 식별(240)와 선택적인 요소(optional)인 알파 식별, 기타 등등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세부커맨드 중 커맨드 상세(230)를 살펴보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며, 첫번째 바이트는 커맨드 상세에 대한 세부커맨드임을 나타내는 태그(Command details tag)이며 길이는 1바이트이다. 두번째 바이트는 나머지 세번째부터 다섯번째 상세 정보요소들(Command number, Type of command, Command Qualifier) 각각 1바이트씩의 길이의 합인 3을 나타낸다.
그리고 나머지 세번째부터 다섯번째 바이트는 SIM 처리 커맨드 즉, 프로액티브 커맨드가 동시에 전송될 때 각 커맨드를 구별할 수 있도록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커맨드 넘버(Command number), 소정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커맨드 타입(Type of command)와 그 동작 순서 등의 자격을 부여하는 커맨드 자격(Command Qualifier)으로 이루어진다.
이어, 전술한 바와 같은 세부커맨드 중 디바이스 식별(240)을 살펴보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며, 첫번째 바이트는 디바이스 식별에 대한 세부커맨드임을 나타내는 태그(Device identities tag)이며 길이는 1바이트이다. 두번째 바이트는 나머지 세번째부터 네번째 신호 요소들(Source device identity, Destination device identity) 각각 1바이트씩의 길이의 합(Length=2)을 나타낸다. 그리고 세번째부터 네번째 바이트는 커맨드가 해당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소스 정보를 나타내는 소스 디바이스 식별(Source device identity)와 구 동하고자 하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번호를 나타내는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Destination device identity)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SIM에서 ME로의 프로액티브 커맨드는 도 2a와 같이 구성되며, 그 세부 구성은 도 2b 내지 도 2c와 같다. 한편, ME에서 SIM으로의 Envelope command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Envelope command는 커맨드 태그(300), 길이(310), 세부 커맨드(Device identitues, etc.)(320)로 구성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커맨드를 SIM에서 ME의 서브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커맨드로 다음과 같이 재구성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액티브 커맨드의 구조를 보인 도면인 도 4a를 참조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액티브 커맨드는 필수요소인 SIM 처리 명령 태그(400), 길이(410), 세부커맨드(420)인 커맨드 상세(430) 및 디바이스 식별(440)로 이루어진다. 이 때, 필수 요소로만 구성되는 커맨드에 대한 길이(410)는 세부커맨드의 길이 A와 B의 합으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세부커맨드 중 커맨드 상세(430)를 살펴보면, 커맨드 상세(4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는데 5번째 바이트 즉, 커맨드 자격(450) 부분의 코드값 설정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이 구분된다. 이 때,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드값이 커맨드 자격(450) 부분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아직 해당 동작이 정해지지 않은 코드값들 즉, 예비 영역을 나타내는 '0E' 내지 'FF' 와 같은 코드값들은 향후에 서브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는 동작에 대응하여 하나씩 할당되어 커맨드 자격(450)부분에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4052336894-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1바이트로 구성되는 5번째 바이트(450) 부분에 코드값으로 '01'이 설정되면 이는 전원 온(POWER ON)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ME내에서 서브 디바이스에서 재생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커맨드 자격(450)에 코드값으로 '02'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커맨드 상세(430)의 구성 요소 중 4번째 바이트 즉, 커맨드 타입(Type of command)(445)에서는 코드값으로 '50'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디바이스 구동(PERFORM DEVICE MODULE)을 나타낸다.
한편, 세부커맨드 중 디바이스 식별(440)을 살펴보면, 디바이스 식별(44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바이트(Byte)로 이루어지는데 4번째 바이트 즉,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Destination device identity) 요소(460) 부분의 코드값 설정에 따라 해당 디바이스가 구분된다. 각각의 디바이스에 할당된 코드값은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Figure 112004052336894-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1바이트로 구성되는 4번째 바이트(440) 부분에 코드값으로 '34'가 설정되면 이는 라디오 수신기를 제어하겠다는 의미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 가 SAT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디바이스를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460)에 해당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설정하면 된다. 그리고 3번째 바이트 즉, 소스 디바이스 식별(455)는 해당 디바이스가 구비된 소스를 말하며 예를 들어, 카메라가 ME에 구비된 경우 3번째 내지 4번째 바이트의 구성은 '8137'로 이루어진다. 이 때, '81'은 ME 내의 카메라로 커맨드가 전송됨을 나타내는 것이고, '37'은 구동하고자 하는 디바이스가 디지털 카메라임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에서 제안된 각 커맨드 이름(PERFORM DEVICE MODULE)은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다른 이름으로도 대체 가능하며 ME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 특성에 따라 보다 상세한 정보가 필요할 경우 별도의 커맨드 부분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이를 위해 먼저, ME에서 TV 수신 기능 뿐만 아니라 수신된 영상을 재생 및 녹화할 수 있는 동영상 Player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SAT 기능을 사용하여 원하는 시간대에 자동으로 TV 방송을 녹화하고자 할 경우 이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커맨드의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원하는 시간대에 자동으로 TV 방송을 녹화하고자 하는 경우 SIM에서는 ME로 TV 수신기를 전원 온 하는 커맨드, 원하는 TV 채널을 맞추는 커맨드, 동영상 Player로 레코딩하는 커맨드, 동영상 Player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하는 커맨드가 제공되어야 한다.
먼저, TV 방송을 녹화하기 위해서는 TV 수신기의 전원을 켜야하므로, SIM에 서는 TV 수신기의 전원 온 하는 커맨드를 ME 측으로 전송한다. 이 때, 전송되는 커맨드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TV 수신기의 전원을 온 오프하는 커맨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TV 수신기의 전원을 온 하는 커맨드의 구조는 크게 TLV 형태 즉, 태그, 길이, 값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TV 수신기의 전원을 온하기 위한 커맨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5(a)를 참조하면, 태그는 도면부호 400에 의해 지시되는 부분이며, 길이는 도면부호 410에 의해 지시되는 부분이며, 값(Value)은 도면부호 430 및 440에 의해 지시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TV 수신기의 전원을 온 하는 커맨드는 SIM으로부터의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SIM 처리 명령 태그(Proactive UICC command Tag)(400)에 'D0'의 코드값이 설정된다. 그리고 길이(410) 부분에는 세부커맨드(430, 440)의 전체 길이의 합이 설정되는데, 5바이트로 구성되는 커맨드 상세(430) 및 4바이트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식별(440)의 합인 9바이트가 설정된다.
그리고 커맨드 상세(430)는 다시 태그, 길이, 값으로 나뉘는데 태그 부분에는 '01'이 설정되며 길이부분에는 태그와 길이 바이트를 제외한 길이 즉, 3바이트인 '03'이 설정된다. 이어 세번째 바이트인 커맨드 타입(Type of command)(445) 부분에는 디바이스 구동을 나타내는 '50'이 설정되며, 4번째 바이트인 커맨드 자격(Command Qualifier)(450)에는 전원 온을 나타내는 '00' 코드값이 설정된다.
또한, 디바이스 식별(440)도 역시 태그, 길이 값으로 나뉘는데, 태그 부분에 디바이스 식별 커맨드의 시작 부분임을 알리는 태그값 '02'가 설정되며, 길이 부분 에는 총 4바이트 중 태그와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바이트 즉, 2바이트를 나타내는 '02'가 설정된다. 이어 디바이스 식별(440)의 세번째 바이트인 소스 디바이스 식별(455) 부분에는 ME 내의 해당 디바이스로 커맨드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코드값으로 '81'이 설정되며, 4번째 바이트인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460)에는 해당 디바이스가 TV 수신기임을 나타내기 위한 코드값 '33'이 설정된다.
한편, TV 수신기의 전원 오프를 위한 커맨드는 커맨드 타입(Type of command)에 전원 오프를 나타내는 '01'의 코드값이 설정되는 것만 다르며, 나머지 코드값 설정은 도 5(a)에 도시된 커맨드 구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도 5(a)와 같은 커맨드 전송이 이루어지면 TV 수신기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는데, 이어 원하는 방송을 녹화하기 위해 TV 채널 설정 과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SIM에서는 TV 채널 설정을 위한 커맨드로써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맨드를 ME 측으로 전송한다. 도 6(a)에서와 같이 커맨드 자격(Command Qualifier)에는 ME 측에서 증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0C' 코드값이 설정되며,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에는 TV를 뜻하는 '33'이 설정된다. 즉, 도 6(a)에 도시된 커맨드의 구조는 TV 채널의 증가를 수행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뜻한다. 이와 다르게 TV 채널의 감소를 위해서는 커맨드 자격 부분의 코드값만 '0D'로 변경하면 된다.
그리고나서 TV 채널이 설정되면 해당 방송을 녹화하기 위한 녹화 기능이 구동되어야 하므로, SIM에서 ME 측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영상 Player의 녹화 기능을 구동시키는 커맨드의 전송이 이루어져야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맨드 자격부분에는 녹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코드값 '04'가 설정되며,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코드값으로써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 부분에는 동영상 Player를 뜻하는 '32'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동영상 Player의 녹화 기능 수행을 중단시키려면 동작 중지를 뜻하는 코드값 '03'이 커맨드 자격부분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TV 방송 녹화가 완료되면 동영상 Player를 끄는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맨드 자격부분에 '01' 코드값을 설정하여 전원 오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부분에는 '33'코드값을 설정하여 전원 오프 대상 디바이스가 동영상 Player임을 나타내도록 한다.
이와 같이 SAT(Sim Application Toolkit)를 이용하여 SIM에서 ME측에 구비된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SIM과 ME 간의 해당 커맨드 전송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먼저 ME측의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은 코딩 방법에 따라 코딩하여 ME측으로 프로액티브 커맨드(Proactive Command)를 전송한다. 그러면 ME 측에서는 프로액티브 커맨드 전송에 대응하여 수신된 커맨드가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커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 때, ME는 프로액티브 커맨드 수신 시 프로액티브 커맨드임을 알리는 SIM 처리 명령 태그(Proactive UICC command Tag)를 입력되는지 판단하여 그 SIM 처리 명령 태그가 입력되면 수신된 커맨드에서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파악한다. 그리고나서 파악된 정보에 따라 소정의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커맨드이면 다시 프로액티브 커맨드의 세부커맨드를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세부커맨드의 분석은 커맨드 상세 태그(Command details Tag)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커맨드 상세 태그가 입력되면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정보가 포함되어있음을 인지하여 이에 대한 상세정보요소를 파악한다.
이어, 디바이스 식별 태그(Device identities tag)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디바이스 식별 태그가 입력되면 ME는 구동하고자 하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세정보가 있음을 인지하여 디바이스 식별부분에 대한 상세정보요소를 파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수행의 결과 ME측에서는 수신된 프로액티브 커맨드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서브 디바이스를 분석된 제어내용에 따라 구동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TV 방송을 녹화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만약 TV 방송을 녹화하고자 하는 경우 각 단계에 따른 해당 커맨드 신호의 전송을 흐름도로 살펴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TV 방송을 녹화하기 위한 각 커맨드 신호의 전송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방송의 예약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재 시간에 맞추기 위해 타이머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SIM(100)에서는 900단계에서 ME(110)로 타이머 설정을 위한 커맨드인 Timer Management 커맨드를 전송한다. 이 때, 타이머 설정을 위한 커맨드의 구조는 기존의 코딩 방법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타이머가 동작하면 (910)단계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딩된 TV 수신기의 전원을 온 하는 커맨드를 ME(110)측으로 전송한다. 이후, TV 수신기의 전원이 온 되면 SIM(100)은 (920)단계에서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해당 채널을 맞추기 위해 TV 채널 증가 또는 감소 등의 TV 채널을 맞추기 위한 커맨드를 전송한다.
그리고나서 해당 채널이 설정되면 SIM(100)은 (930)단계에서 실제적으로 동영상 Player를 구동하여 녹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레코딩 커맨드를 전송한다. 그러면 ME(110)측에서는 SIM(100)으로부터 (940)단계에 해당하는 동영상 Player 기능을 중지하는 커맨드를 수신하기 전까지 방송 녹화를 위한 레코딩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SIM(100)에서는 (950)단계에 해당하는 TV 전원을 오프하는 커맨드를 ME(110)로 전송함으로써 TV 방송 녹화가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복합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서브 디바이스들이 장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SAT를 이용함으로써 SIM이 직접 ME의 각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다양한 SAT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SAT를 지원하는 ME와 SIM 사이에 보다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SAT(Sim Application Toolkit)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측의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소정 포맷에 따라 코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측으로 프로액티브 커맨드(Proactive Command)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커맨드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커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커맨드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커맨드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커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프로액티브 커맨드임을 알리는 SIM 처리 명령 태그(Proactive UICC command Tag)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SIM 처리 명령 태그가 입력되면 상기 커맨드의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된 정보에 따라 상기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커맨드이면 상기 프로액티브 커맨드의 세부커맨드를 분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상기 세부커맨드 중 커맨드 상세 태그(Command details Tag)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커맨드 상세 태그가 입력되면 상기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정보에 대한 상세정보요소를 파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은
    상기 세부커맨드 중 디바이스 식별 태그(Device identities tag)가 입력되는 과정과,
    상기 디바이스 식별 태그가 입력되면 구동하고자 하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세정보요소를 파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액티브 커맨드(Proactive Command)는
    상기 ME가 수신되는 커맨드가 상기 SIM으로부터의 커맨드임을 알리는 SIM 처리 명령 태그(Proactive UICC command Tag)와, 상기 커맨드의 세부커맨드와, 상기 세부커맨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Length)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부커맨드는
    커맨드 상세(Command details) 및 디바이스 식별(Device identities)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액티브 커맨드(Proactive Command)는
    상기 커맨드의 필수요소(Mandatary)인 SIM 처리 명령 태그, 길이, 커맨드 상세(Command details) 및 디바이스 식별(Device identities)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상세(Command details)는
    상기 프로액티브 커맨드 중 커맨드 상세에 대한 세부커맨드임을 나타내는 태그(Command details tag)와,
    상기 프로액티브 커맨드가 동시에 전송될 때 각 커맨드를 구별할 수 있도록 식별번호를 부여하는 커맨드 넘버(Command number),
    소정 동작을 지시하는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커맨드 타입(Type of command)와,
    상기 동작의 순서에 대한 자격을 부여하는 커맨드 자격(Command Qualifier)과,
    상기 커맨드 넘버(Command number), 상기 커맨드 타입(Type of command), 상기 커맨드 자격(Command Qualifier) 각각에 대한 길이의 합을 나타내는 길이(Length)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Device identities)은
    디바이스 식별에 대한 세부커맨드임을 나타내는 태그(Device identities tag)와, 상기 프로액티브 커맨드가 해당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하는 소스 정보를 나타내는 소스 디바이스 식별(Source device identity)과,
    상기 구동하고자 하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번호를 나타내는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Destination device identity)과,
    상기 소스 디바이스 식별(Source device identity)와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Destination device identity)의 길이의 합을 나타내는 길이(Length)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자격(Command Qualifier)부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구분하는 코드값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자격 부분에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Power on을 나타내는 '00', Power off를 나타내는 '01', Play를 나타내는 '02', Stop을 나타내는 '03', Record를 나타내는 '04', Rewind Forward를 나타내는 '05', Rewind Backward을 나타내는 '06', Auto Scroll을 나타내는 '07', Activation을 나타내는 '08', Deactivation을 나타내는 '09', Shut On을 나타내는 '0A', Shut Off을 나타내는 '0B', Increase를 나타내는 '0C', Decrease를 나타내는 '0D' 중 어느 하나의 코드값이 설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자격 부분에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는 동작에 대한 코드값이 예비 영역을 나타내는 '0E' 내지 'FF' 중 어느 하나의 코드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타입(Type of command)부분에 상기 서브 디바이스의 구동을 나타내는 코드값으로 '50'이 설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디바이스 식별(Destination device identity) 부분에는 MP3 Player를 나타내는 '31', MPEG4 동영상 Player를 나타내는 '32', TV수신기를 나타내는 '33', Radio수신기를 나타내는 '34', IrDa를 나타내는 '35', BlueTooth를 나타내는 '36', Digital Camera를 나타내는 '37', Speaker를 나타내는 '38', Main LCD를 나타내는 '39', Sub LCD를 나타내는 '3A', LED를 나타내는 '3B' 중 어느 하나의 코드값이 설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91943A 2004-11-11 2004-11-11 Sim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063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43A KR100630202B1 (ko) 2004-11-11 2004-11-11 Sim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디바이스 제어 방법
US11/231,267 US20060099992A1 (en) 2004-11-11 2005-09-20 Method for controlling a sub-device of mobile equipment using a SIM application toolkit
EP05023035.8A EP1657941B1 (en) 2004-11-11 2005-10-21 Method for controlling a sub-device of mobile equipment using a SIM application toolkit
CNB2005101152445A CN100370862C (zh) 2004-11-11 2005-11-11 使用用户身份模块应用工具包控制移动设备子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943A KR100630202B1 (ko) 2004-11-11 2004-11-11 Sim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디바이스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128A true KR20060044128A (ko) 2006-05-16
KR100630202B1 KR100630202B1 (ko) 2006-09-29

Family

ID=3571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943A KR100630202B1 (ko) 2004-11-11 2004-11-11 Sim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서브디바이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99992A1 (ko)
EP (1) EP1657941B1 (ko)
KR (1) KR100630202B1 (ko)
CN (1) CN10037086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60B1 (ko) * 2008-10-15 2009-02-23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Sms-pp를 이용한 카드 애플리케이션 툴킷 구현 시스템 및 구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2084A1 (en) * 2005-11-23 2007-06-21 Infineon Technologies A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evice connected to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CN101616415B (zh) * 2006-09-13 2011-09-14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移动通信用户身份识别卡信息直接交互方法及其支持设备
US20080182621A1 (en) * 2007-01-31 2008-07-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im application toolkit application to track phone usage and location
EP2026483A1 (en) * 2007-07-25 2009-02-18 Gemplus SA. Enhanced monitoring of mobile TV service usage
EP2071898A1 (en) * 2007-12-10 2009-06-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alteration of integrity protected data in a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832881B1 (ko) 2008-01-14 2008-05-28 벨록스소프트(주) Usim카드와의 동적 ui연동이 구현된 단말장치와 이를위한 usim카드 및 단말
US8055307B2 (en) 2008-01-18 2011-11-08 Aliphcom, Inc. Wireless handsfree headset method and system with handsfree applications
KR101638920B1 (ko) * 2008-12-22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US8564672B2 (en) * 2009-06-02 2013-10-22 Dell Products L.P.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ng image capturing devices
CN101651948B (zh) * 2009-06-30 2012-01-04 重庆重邮信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usat数据业务的方法
CN102299998A (zh) * 2011-09-01 2011-12-28 东信和平智能卡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应用程序与智能卡通信的方法及系统
CN103037071A (zh) * 2011-09-30 2013-04-10 王海泉 一种手机上通过软件与用户身份识别卡交换数据的方法
US20130212574A1 (en) * 2012-02-14 2013-08-15 Microsoft Corporation Sub-Device Discovery and Management
CN112188475B (zh) * 2020-10-21 2022-07-1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动态管理业务控制的方法、usim、计算机设备和介质
CN113630762B (zh) * 2021-08-17 2023-06-2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信息交互方法、usim、移动设备和用户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3965A1 (de) * 1997-04-04 1998-10-08 Deutsche Telekom Ag Netzsteuerbares GSM-Mobilfunkgerät
FR2785135B1 (fr) * 1998-10-22 2000-12-29 Sfr Sa Procede de lancement d'une application par un terminal, sous commande d'un module d'identification d'abonne, module d'identification d'abonne et terminal correspondants
FR2800228B1 (fr) * 1999-10-26 2002-02-08 Wavecom Sa Systeme et procede de commande d'un equipement tiers par une carte sim, via un module de radiocommunication, module de radiocommunication et equipement tiers correspondants
US7844055B2 (en) * 2001-06-26 2010-11-30 Link Us All, Llc Detecting and transporting dynamic presence information over a wireless and wireline communications network
FI112155B (fi) * 2001-10-12 2003-10-31 Radiolinja Ab Menetelmä ja järjestelmä sekä tilaajaidentiteettimoduuli SAT-palvelusovellusten ja/tai niiden käyttöliittymän ja/tai niiden päivitysten tallentamiseksi
JP3672194B2 (ja) * 2002-02-12 2005-07-13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040010560A1 (en) * 2002-07-10 2004-01-15 Sandage David A.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mit infrared signals generated from a computer application using a remote device
EP1424860A3 (en) * 2002-11-05 2006-01-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between a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telecommunication network, respective smart card and telecommunication device
CN1860730B (zh) * 2003-03-19 2010-06-16 路径系统公司 使用承载无关协议的用于移动交易的系统和方法
KR100534611B1 (ko) * 2003-06-04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US7005979B2 (en) * 2003-06-25 2006-02-28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mote control transmiss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60B1 (ko) * 2008-10-15 2009-02-23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Sms-pp를 이용한 카드 애플리케이션 툴킷 구현 시스템 및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4108A (zh) 2006-05-17
EP1657941B1 (en) 2014-03-05
US20060099992A1 (en) 2006-05-11
CN100370862C (zh) 2008-02-20
KR100630202B1 (ko) 2006-09-29
EP1657941A1 (en)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794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ub-device of mobile equipment using a SIM application toolkit
EP1703751B1 (en) Macro implemen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AT betwe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and mobile equipment
CN100525438C (zh) 一种与电视系统交互的电话
CN1901582B (zh) 双向遥控
CN100525436C (zh) 内容播放系统、内容播放设备和内容播放方法
CN101882366B (zh) 主机设备、附件和遥控信号学习和处理方法
CN1900988B (zh) 遥控设备以及包括遥控设备和目标设备的系统
KR100595695B1 (ko) 휴대단말기의 모듈러 장치 및 방법
US20060158368A1 (en) System, method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of a home entertainment system via a single control device
KR100747452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통보장치 및 방법
US20100099359A1 (en) Method for receiving data service
US20080020799A1 (en) Data communication card,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KR100309526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US2007025088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1595744A (zh) 用于追踪电话使用及位置的sim工具包应用
KR2009007207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심 어플리케이션 툴킷을 제공하는장치 및 방법
CN101022657B (zh) 移动通信设备及对通信路径的选择性使用进行控制的方法
KR100576523B1 (ko)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9066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mobile broadcast-related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JP2003219196A (ja) 無線携帯端末、再生装置、記録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1009582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 카드를 이용한 대기화면 제공시스템과 그 방법 및 대기화면 정보가 수록된 전자카드
KR100879575B1 (ko) 다이나믹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말 및 그시스템
KR100457974B1 (ko) 무선 네트워크 오디오 단말기
JP2007221345A (ja) スケジュール表示装置
KR2003003732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