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006A -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006A
KR20060044006A KR1020040091781A KR20040091781A KR20060044006A KR 20060044006 A KR20060044006 A KR 20060044006A KR 1020040091781 A KR1020040091781 A KR 1020040091781A KR 20040091781 A KR20040091781 A KR 20040091781A KR 20060044006 A KR20060044006 A KR 20060044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t information
information
average frequency
player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9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4006A/ko
Publication of KR20060044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경우에 발생되는 평균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 평균 주파수에 해당되는 박자 정보와 가장 유사한 음원을 선정하여 자동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작용은 다수의 MP3 파일 각각에 대하여 FFT하여 저주파 대역의 박자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하는 동안의 걸음 횟수를 측정하는 제2과정과, 측정된 걸음의 회수를 이용하여 평균 주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평균 주파수와 저장된 박자 정보간을 비교 판단하는 제3과정과, 판단결과, 유사한 박자 정보가 있으면, 유사한 박자 정보에 해당되는 MP3 파일 번호를 찾아내어 재생하는 제4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자신의 발걸음에 맞는 박자 정보를 청취하므로,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때, 그냥 운동하는 것 보다 즐겁게 할 수 있으며, 신체의 리듬과 박자 정보가 일치하여 피로감을 덜 느껴 장시간 동안 운동을 할 수 있어 다이어트 체중 조절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METHOD FOR PLAYING BY USING A RHYTHM INFORMATION IN MP3 P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을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만보기 기능부 20 : MP3 파일 박자정보 리딩부
30 : 마이컴 40 : MP3 재생부
50 : MP3 파일 저장부 60 : 출력수단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경우에 발생되는 평균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 평균 주파수에 해당되는 박자 정보와 가장 유사한 음원을 선정하여 자동 재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반 CD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 일반 CD의 약 50배로 압축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MP3 플레이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MP3 플레이어는 음악을 MP3 파일로 저장하여 재생하는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 및 경량으로 제작되어 있다.
다시 말하여, MP3 플레이어는 음악과 같은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 카세트 테이프, CD 대신에 메모리 카드(memory card)에 내장된 플레쉬 메모리(flash memory)에 저장하여 이를 재생시켜 음성정보를 들일 수 있는 플레이어이다.
즉, MP3 플레이어는 음악과 같은 음성 정보를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또한 휴대가 간편하도록 소형 및 경량으로 제작되어 있어 휴대성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MP3 플레이어의 휴대성에,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경우에 발생되는 평균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 평균 주파수에 해당되는 박자 정보와 가장 유사한 음원을 선정하여 자동 재생할 수 기능을 복합시켜 제작한다면, 걸음걸이에 맞는 음악을 항시 자동으로 청취할 수 있어 운동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하여 다이어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경우에 발생되는 평균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 평균 주파수에 해당되는 박자 정보와 가장 유사한 음원을 선정하여 자동 재생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은 다수의 MP3 파일 각각에 대하여 FFT하여 저주파 대역의 박자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하는 동안의 걸음 횟수를 측정하는 제2과정과, 측정된 걸음의 회수를 이용하여 평균 주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평균 주파수와 저장된 박자 정보간을 비교 판단하는 제3과정과, 판단결과, 유사한 박자 정보가 있으면, 유사한 박자 정보에 해당되는 MP3 파일 번호를 찾아내어 재생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임의의 기간동안 보행한 걸음의 횟수를 측정하여 마이컴(30)에 제공하는 만보기 기능부(10)와, MP3 파일 저장부(50)에 저장된 다수의 MP3 파일 각각에 대하여 FFT(Fast Fourier Transform, FFT)하여 저주파 대역으로 추출된 박자 정보를 읽어와서 마이컴(30)에 제공하는 MP3 파일 박자정보 리딩부(20)와, 만보기 기능부(10)로부터 제공되는 걸음의 회수를 이용하여 평균 주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평균 주파수와, MP3 파일 박자정보 리딩부(20)로부터 제공되는 박자 정보간을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박자 정보에 해당되는 MP3 파일 번호를 찾아내 어 MP3 재생부(40)에 제공하는 마이컴(30)과, MP3 파일 저장부(50)에 저장된 MP3 파일을 순차적으로 읽어와서 재생시키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수단(60)에 제공하는 중에, 마이컴(30)으로부터 MP3 파일 번호가 제공되면, 현재 재생중인 MP3 파일을 정지하고 제공된 MP3 파일 번호를 읽어와서 재생시키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수단(60)에 제공하는 MP3 재생부(40)와, 다수의 MP3 파일 각각에 대하여 FFT하여 저주파 대역의 박자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MP3 파일 저장부(50)와, MP3 재생부(40)에 의해 재생되어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수단(60)을 포함한다.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MP3 플레이어 내 MP3 파일 저장부(50)에 다수의 MP3 파일 각각에 대하여 FFT하여 저주파 대역의 박자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단계 201).
MP3 플레이어를 착용한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경우, 만보기 기능부(10)는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하는 동안 보행, 혹은 조깅한 걸음의 횟수를 측정하여 마이컴(30)에 제공한다(단계 202).
이때, MP3 파일 박자정보 리딩부(20)는 MP3 파일 저장부(50)에 저장된 다수의 MP3 파일 각각에 대하여 FFT하여 저주파 대역으로 추출된 박자 정보를 읽어와서 마이컴(30)에 제공한다(단계 203).
마이컴(30)은 만보기 기능부(10)로부터 제공되는 걸음의 회수를 이용하여 평균 주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평균 주파수와, MP3 파일 박자정보 리딩부(20)로부터 제공되는 박자 정보간을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박자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204).
상기 판단(204)결과, 유사한 박자 정보가 없으면, 유사한 박자 정보가 있을 때까지 판단 과정을 반복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204)결과, 유사한 박자 정보가 있으면, 이에 해당되는 MP3 파일 번호를 찾아내어 MP3 재생부(40)에 제공한다(단계 205).
MP3 재생부(40)는 MP3 파일 저장부(50)에 저장된 MP3 파일을 순차적으로 읽어오면서 재생시키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수단(60)을 통해 출력하는 중에, 마이컴(30)으로부터 MP3 파일 번호가 제공되면, 현재 재생중인 MP3 파일을 정지하고(단계 206) 제공된 MP3 파일 번호를 우선 읽어와서 재생시키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수단(60)을 통해 출력한다(단계 207).
따라서,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경우에 발생되는 평균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 평균 주파수에 해당되는 박자 정보와 가장 유사한 음원을 선정하여 자동 재생함으로써, 자신의 발걸음에 맞는 박자 정보를 청취하므로,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때, 그냥 운동하는 것 보다 즐겁게 할 수 있으며, 신체의 리듬과 박자 정보가 일치하여 피로감을 덜 느껴 장시간 동안 운동을 할 수 있어 다이어트 체중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권리로서 개시하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은 일반적인 원리들을 이용한 임의의 변형, 이용 및/또는 개작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사항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업 계에서 공지 또는 관습적 실시의 범위에 해당하고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제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경우에 발생되는 평균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 평균 주파수에 해당되는 박자 정보와 가장 유사한 음원을 선정하여 자동 재생함으로써, 자신의 발걸음에 맞는 박자 정보를 청취하므로,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할 때, 그냥 운동하는 것 보다 즐겁게 할 수 있으며, 신체의 리듬과 박자 정보가 일치하여 피로감을 덜 느껴 장시간 동안 운동을 할 수 있어 다이어트 체중 조절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의 MP3 파일 각각에 대하여 FFT하여 저주파 대역의 박자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혹은 조깅하는 동안의 걸음 횟수를 측정하는 제2과정과,
    상기 측정된 걸음의 회수를 이용하여 평균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평균 주파수와 상기 저장된 박자 정보간을 비교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유사한 박자 정보가 있으면, 상기 유사한 박자 정보에 해당되는 MP3 파일 번호를 찾아내어 재생하는 제4과정
    을 포함하는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MP3 파일 번호를 찾아낼 경우, 현재 재생중인 MP3 파일을 정지하고 상기 찾아낸 MP3 파일 번호를 우선 읽어와서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유사한 박자 정보가 없으면, 유사한 박자 정보가 있을 때까지 상기 판단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 를 이용한 재생방법.
KR1020040091781A 2004-11-11 2004-11-11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KR20060044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781A KR20060044006A (ko) 2004-11-11 2004-11-11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781A KR20060044006A (ko) 2004-11-11 2004-11-11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006A true KR20060044006A (ko) 2006-05-16

Family

ID=3714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781A KR20060044006A (ko) 2004-11-11 2004-11-11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40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4520B2 (en) Adaptive music playback system
US8812502B2 (en)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JP2007226935A5 (ko)
US20060288846A1 (en) Music-based exercise motivation aid
RU239829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RU2008130524A (ru) Звуковой проигрыватель,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и программ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JP2007086835A (ja) コンテンツ嗜好度判定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07033844A5 (ko)
TW200642727A (en) Sound reproducer, sound reproduction method and sound reproduction processing program
KR20060128925A (ko) 음악 입력 신호에 대한 템포 애매성의 척도를 결정하기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0192012A (ja) 携帯型音楽再生装置
US7795523B2 (en) Generation of exercise instruction information
JP2007328568A (ja) 歩数計、携帯情報端末、歩数計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239397A5 (ko)
JP2006301276A (ja) 携帯用楽曲再生装置
KR20060044006A (ko) Mp3 플레이어의 박자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JP2008299631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
KR100500424B1 (ko) 자동 선곡이 가능한 지능형 음악 재생 장치
JP2007156280A (ja) 音響再生装置、音響再生方法および音響再生プログラム
JP5191025B2 (ja) 後続楽曲抽出システムおよび後続楽曲抽出方法
KR100636549B1 (ko) 주변 밝기를 이용한 음악자동선곡 및 재생 시스템 및 그방법
JPWO2012104913A1 (ja) 楽曲再生方法、楽曲再生装置、再生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H0415957B2 (ko)
JP2009043323A (ja) ポータブルプレーヤ
JP2007156261A (ja) 音響再生装置、音響再生方法および音響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