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950A -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장치 - Google Patents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950A
KR20060043950A KR1020040091694A KR20040091694A KR20060043950A KR 20060043950 A KR20060043950 A KR 20060043950A KR 1020040091694 A KR1020040091694 A KR 1020040091694A KR 20040091694 A KR20040091694 A KR 20040091694A KR 20060043950 A KR20060043950 A KR 20060043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car audio
trip computing
fre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518B1 (ko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9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45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4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 오디오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며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접속하여 음성 신호 및 단말기 제어 신호를 를 송수신하는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차량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상태 데이터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와, 상기 음성 신호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로부터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카 오디오, 트립 컴퓨팅, 핸즈프리, FPGA, CPLD, CAN

Description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CAR AUDIO DEVICE WITH TRIP COMPUTING AND HANDS-FREE CONTROL CAPABILIT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립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의 구성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ECU 120: TCU
130: 차속센서 140: 유량센서
150: 트립 컴퓨터 160: 입력 인터페이스
170: CPU 180: 출력 인터페이스
190: 스피커 200: 디스플레이 장치
300: 카오디오 장치 310: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
320: 컨트롤러 330: 마이콤
340: 플래시 메모리 350: 디스플레이부
360: 핸즈프리 인터페이스(I/F) 370: 메모리
380: 스피커
본 발명은 카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내부에 포함되는 각종 장치들은 전자제어화 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트립 컴퓨팅(Trip Computing) 기능은 잔류 연료의 주행가능거리, 제한속도, 연비, 주행시간, 주행거리, 평균속도, 외기속도, 타이어 압력 등의 주행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립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립 컴퓨터(150)는 엔진제어장치(ECU)(110)로부터 차량 속도, 변속제어장치(120)로부터의 정보, 차속센서(130)로부터 속도 정보, 유량센서(140)로부터 출력되는 연료량 등의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160)와, 이들 상태 데이터로부터 각종 차량 상태 정보를 연산하는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 함)(17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70)의 연산결과에 따라 부저 또는 스피커(190) 등으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출력 인터페이스 수단(18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7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트립 컴퓨터 외부인 대시보드에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트립 컴퓨터는 차량 상태 정보의 계산을 위하여 상당한 연산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고성능 CPU를 구비한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운전자에게 트립 컴퓨팅에 따른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포함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네비게이션 장치, 텔레매틱스 단말기 등에 내장된 고성능 CPU를 이용하여 전술한 트립 컴퓨팅 기능의 일부를 구현하는 것을 고려할 수는 있으나, 통상의 카 오디오 장치에 구비된 마이컴은 데이터 처리량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전술한 트립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하드웨어의 사용을 회피하고 이를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줄일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편화되면서 특히 자동차 운전 중에 통화를 수행하는 일이 빈번하기 때문에 운전시 간단한 조작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핸즈프리 장치가 보급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러한 핸즈프리 장치는 자동차의 운전 도중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한 통화를 법으로 규제하면서 더욱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핸즈프리 장치에 있어서 카오디오를 이용하여 핸즈프리를 구성하는 경우 핸즈프리 장치에 내장된 스피커를 사용하는 것보다 좋은 음질과 음량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장착되는 핸즈프리 장치는 카오디오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카오디오를 사용한 핸즈프리 장치는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서 1998년 12월 4일 출원된 "카오디오를 이용한 차량용 핸즈프리 킷트"라는 명칭의 특허출원번호 제10-1998-005306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종래의 핸즈프리의 경우 단순히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하여 음성통화 기능만을 제공할 뿐 별도의 부가 기능이 없었으며, 또한 종래의 핸즈프리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거치한다 하더라도 그 이동통신단말기의 키이패드를 운전자가 직접 눌러야만 통화 연결이 가능한 관계로, 운전중에 전화를 걸고자 하는데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랐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핸즈프리 장치가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대우통신 주식회사에 의해서 1997년 12월 31일 출원된 "음성인식 기능을 갖춘 핸즈프리 장치"라는 명칭의 특허출원번호 제10-1997-0082612호와, (주)모보텍에 의해서 2003년 2월 27일 출원되고 2003년 5월 20일자로 등록된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라는 명칭의 실용신안등록 제20-0315201호와, 주식회사 현대오토넷에 의해서 2003년 7월 24일자로 출원되고 2003년 9월 29일자로 등록된 "음성인식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오디오"라는 명칭의 실용신안등록 제20-0329530호는 이러한 음성인식 기능을 가지는 핸즈프리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29530호를 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와 카오디오 모두에 불루투스 모듈을 탑재하여 별도의 유선 연결이 없이도 핸즈프리를 구현하는 기술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고,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15201호는 핸즈프리 장치 에서 음성 인식 기능 FM 변조 기능을 채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신호를 핸즈프리 장치에서 FM 변조하고 카오디오에서 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성인식 핸즈프리 장치는 블루투스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FM 변조 기능을 포함하는 핸즈프리 장치를 별도로 구매해서 사용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음성인식 핸즈프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은 종래의 카오디오에 내장된 하드웨어들과 중복되는 것이 많으므로 이러한 음성인식 핸즈프리를 일체화하여 구비한 카오디오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카 오디오 장치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트립 컴퓨팅 기능을 간편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구현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특히 트립 컴퓨팅 기능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저가에 음성 인식 핸즈프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카 오디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가 제공되며, 카 오디오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며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접속하여 음성 신호 및 단말기 제어 신호를 를 송수신하는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차량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상태 데이터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와, 상기 음성 신호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로부터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와 상기 마이컴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며,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연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를 CPLD 또는 FPGA로 원칩화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수신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카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를 뮤트로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전술한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의 구성 개념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300)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300)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와, 컨트롤러(320)와, 마이컴(330)과, 플래시 메모리(340)와, 디스플레이 장치(350)와, 핸즈프리 인터페이스(I/F)(360)와, 메모리(370)와, 스피커(38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카 오디오 장치의 여타 구성 요소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는 차량내의 각종 전장 장치 및/또는 센서류, 예컨대, 엔진제어장치(ECU)(110), 변속제어장치(TCU)(120), 차속센서(130), 유량센서(140) 등으로부터 전술한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를 위해 CAN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CAN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CAN 컨트롤러는 카 오디오 장치에 구비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핸즈프리 제어와 관련하여,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는 핸즈프리 인터페이스(I/F)(360)에 연결되며, 이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와 단말기 제어 신호를 처리한다. 예컨대,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반향 제거(Echo Cancellation), 노이즈 저감(Noise Suppression) 등의 신호 처리를 위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 되는 외부의 가청 음성 신호를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력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특정의 음성 데이터로 판정되면, 단말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360)로 전송한다. 예컨대, 운전자가 운전 도중에 "통화 수신"이라는 음성 명령을 입력하면 이를 인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수신하고, "홍길동 통화 시작" 또는 "011-111-1111 통화 시작"과 같은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사람에 해당하는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 또는 음성으로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착신을 설정하도록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360)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수신을 검출하는 경우 또는 인식된 음성 신호가 통화 착신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32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카오디오 내부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를 뮤트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360)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컨트롤러(320)에 제공하여 스피커(38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카오디오에서 CD를 재생하고 있거나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 이를 뮤트로 설정하도록 하고 음성 신호를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는 전술한 CAN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처리하여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핸즈프리 제어를 수행하도 록 사전에 트립 컴퓨팅 기능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이 논리 설계된다.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의 설계에 있어서, 카 오디오 장치의 마이컴(330)의 연산 기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프로그래밍함으로써,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에 요구되는 연산량 및 하드웨어 요구 사항을 낮출 수 있다.
이 때, CPLD (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이용하여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를 원칩으로 구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트립 컴퓨팅 기능을 추가/변경할 수 있다.
상기 원칩 구현된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의 장착과 관련하여,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가 실장된 별도의 회로기판을 통상의 카 오디오 장치 내부에 장착하고, 카 오디오 메인보드의 입력 포트와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가 실장된 회로기판의 출력 포트를 상호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는 카 오디오 장치의 여타 컴포넌트를 동일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카 오디오 장치의 메인보드 상에 원칩화된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를 장착할 수 있는 탈착식 소켓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립 컴퓨팅 기능 및/또는 핸즈프리 제어 기능의 필요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컨트롤러(320)는 카 오디오 장치(300) 내부의 각종 컴포넌트 간에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로부터 계산된 차량 상태 정보를 마이컴(330)에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350)로 출력하도록 하거나,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3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로부터 계산된 차량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350)에 직접 전달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50)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정보에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로부터 계산된 차량 상태 정보를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320)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가 플래시 메모리(340)를 액세스하여, 연산 과정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또는 이로부터 산출되는 차량 상태 정보 등을 플래시 메모리(340)에 저장 및/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와 상기 마이컴(33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여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가 상기 마이컴(330)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상태 정보 계산에 요구되는 연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핸즈프리 기능과 관련하여, 컨트롤러(320)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380)로 출력하며, 이 때 카 오디오 장치가 예컨대 라디오 또는 CD 등을 재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재생을 일지 중지하고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마이컴(330)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컴(330)은 통상의 카 오디오 장치에 구비되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50)를 포함한 각종 컴포넌트(예컨대, 튜너 데크, CDP 데크 등)의 제어 및 데이터 연산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컴(330)은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350)의 미리 지정된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5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시 메모리(340)는 마이컴(330)에 의해 액세스되어 이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및/또는 차량 상태 정보를 저장 및/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50)는 통상의 카 오디오 장치에 제공되는 것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마이컴(330) 및/또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10)로부터 트립 컴퓨팅 결과로서의 차량 상태 정보를 입력받아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트립 컴퓨팅 결과로서의 차량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350)의 미리 지정된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카 오디오 장치(300)의 전면 패널에 트립 컴퓨팅을 이용한 차량 상태 정보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여 표시를 ON/OFF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핸즈프리 인터페이스(I/F)(360)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접속하여 음성 신호와 단말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한다. 음성 신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출력포트에서 송신되는 음성신호일 수 있으며, 단말기 제어 신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예컨대 통화대기, 통화 수신중, 통화착신 신호 등의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이는 운전자가 운전도중 음성 명령을 통해서 통화를 착신하거나 수신하는 경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통화 수신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도 있다.
메모리(370)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60)에 연결되며, 트립 컴 퓨팅 연산시에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트립 컴퓨팅 결과로서 생성된 차량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60)의 음성 신호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통화 시작"과 같은 제어 명령과 이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또는 주소록의 기능과 같이 사람 이름과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메모리(370)의 기능은 전술한 플래시 메모리(340)에 의해 대체될 수 있으므로, 카 오디오에 장착된 플래시 메모리(340)의 용량이 불충분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스피커(380)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360)로부터 컨트롤러(320)로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여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 오디오 장치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트립 컴퓨팅 기능을 간편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특히 트립 컴퓨팅 기능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저가에 음성 인식 핸즈프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카 오디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로서,
    카 오디오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며 디스플레이 정보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접속하여 음성 신호 및 단말기 제어 신호를 를 송수신하는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차량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상태 데이터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음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와,
    상기 음성 신호 인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로부터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상기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정보와 결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와 상기 마이컴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중계하며,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연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것인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는 CPLD 또는 FPGA로 원칩화하여 구현되는 것인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수신을 검출하는 경우에, 상기 카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를 뮤트로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핸즈프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것
    인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 장치.
KR1020040091694A 2004-11-11 2004-11-11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장치 KR10068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694A KR100684518B1 (ko) 2004-11-11 2004-11-11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694A KR100684518B1 (ko) 2004-11-11 2004-11-11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950A true KR20060043950A (ko) 2006-05-16
KR100684518B1 KR100684518B1 (ko) 2007-02-20

Family

ID=3714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694A KR100684518B1 (ko) 2004-11-11 2004-11-11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4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6317A (ko) * 2016-01-20 2016-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92091B2 (en) 2014-10-20 2016-07-12 Hyundai Motor Company Hands-free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2091B2 (en) 2014-10-20 2016-07-12 Hyundai Motor Company Hands-free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46317A (ko) * 2016-01-20 2016-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518B1 (ko) 200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5709B2 (en) In-vehicle handsfree apparatus
JPH0646000A (ja) カーステレオ
US6980837B2 (en) Automatic mode changing method for car audio system with hands-free therein
US20080112575A1 (en) Volume control device for vehicle audio system
KR20110076520A (ko) 차량용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684518B1 (ko) 트립 컴퓨팅 및 핸즈프리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 오디오장치
KR20120009189A (ko) 차량 상태 표시 시스템 및 그의 이동 단말기 상태 표시 방법
JP2984714B2 (ja) 自動車用電話
CN206674178U (zh) 一种4g通信功能的车载系统
CN102685302A (zh) 通讯装置及切换方法
KR100684519B1 (ko) 카오디오용 음성 인식 핸즈프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카오디오
JP2001016300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100606430B1 (ko) 차량용 모바일 시스템
KR10065568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이어폰 장치 제어 방법
JP3907526B2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方法
JPH10243074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話システム
KR101121291B1 (ko) 핸즈프리 단자를 이용한 휴대폰 데이터의 재생 장치 및 그방법
KR19990016463A (ko) 차량내 이동전화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00684516B1 (ko) 자동 온도 제어 및 핸즈프리 기능을 구비하는 카오디오
KR200248616Y1 (ko) 자동차용 핸드프리키트
KR20060085381A (ko)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음성인식 장치 및 방법
JPH0733478Y2 (ja) ハンドフリー自動車電話
JP2000022796A (ja) 車載用電話システム
KR20040088671A (ko) 핸즈프리 기능을 갖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통화모드선택방법
KR100636748B1 (ko) 핸즈프리 모듈과 usb 모듈이 연계된 통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