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370A -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 Google Patents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370A
KR20060042370A KR1020040091015A KR20040091015A KR20060042370A KR 20060042370 A KR20060042370 A KR 20060042370A KR 1020040091015 A KR1020040091015 A KR 1020040091015A KR 20040091015 A KR20040091015 A KR 20040091015A KR 20060042370 A KR20060042370 A KR 2006004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head
reinforcement
fill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용
Original Assignee
송기용
양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용, 양지수 filed Critical 송기용
Priority to KR102004009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2370A/ko
Publication of KR2006004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게 하는 파일 시공시 파일내력에 대한 안정성,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면서 보강근부재와, 후프근부재, 시멘트페이스트 또는 콘크리트(이하, 충진재라함)를 이용하여 보강을 도모하게 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에 관한 것으로,
헤드확장형 파일에 있어서,
헤드확장형 파일의 헤드를 확장한 보강판의 둘레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형태로 부착 설치된 보강근부재와,
상기 보강근부재의 수직 병렬형태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수평형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후프근부재와,
상기 보강근부재와 후프근부재를 심재로 형성하게 충진되어 파일홀 직경의 크기로 형성되는 충진재 양생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제공하여 헤드 확장 파일의 선단지지력 향상을 도모하고 충진재의 효율을 증가시켜 파일의 지지력 및 내력 향상을 도모함에 있어 뛰어난 효과가 있다.
파일, 철근 보강, 철판 보강, 선단지지력, 대구경 파일

Description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Pile with an Extended Head Reinforced Cement Paste or Concrete}
도1은 일반적인 파일의 자체 내력과 시공된 파일의 시공 내력의 관계를 보여주는 파일 내력의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를 이용한 파일지지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의 지지력 변화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파일의 보강구조 12:보강근부재
14:후프근부재 16:충진재 양생부
18:헤드 확장형 파일 20:보강판
22:파일홀 24:제1선단지지력부
26:제2선단지지력부 28:표면부착부
30:유자형 32:변형유자형
T1:파일 자체내력 적용범위 T2:선단지지력 적용범위
T3,4:확대된 선단지지력
본 발명은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게 하는 파일 시공시 파일내력에 대한 안정성,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면서 파일부 선단에 추가한 보강구보를 통하여 기존 파일 주변에 인입되는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선단부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을 세우는 경우, 지반의 조건이나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상부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기초공사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의 하중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얕은 기초나 깊은 기초가 행해지는데, 근입폭비가 1이하의 경우를 얕은 기초라 하고, 근입폭비가 1 이상인 경 우를 깊은 기초로 정의하고 있다.
상기한 얕은 기초의 경우에는 파일 등을 사용하지 않고 구조물을 지반에 직접 지지시키고, 구조물 아래의 지반이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할 수 없을 경우에는 파일 등을 사용하여 지반의 지지력을 보강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반공사에 따른 파일 기초는 설치된 파일이 두부를 구조물에 연결시키는 기초공법으로, 파일을 재질에 따라 분류하면, 강 파일, 콘크리트 파일, 합성 파일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시공법에 따라 분류하면 타입공법, 매입공법, 현장타설공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타입공법은 파일을 세운 다음 위에서 파일을 타격하여 파일을 지반에 강제로 근입시키는 것으로, 항타 에너지에 의하여 강제로 지반에 삽입될 때 파일축이 주변의 흙을 밀어 밀착시키며 근입되므로 파일의 외부 지지력이 좋고 시공이 간편하다.
그러나, 타입공법은 깊게 파일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수직 근입에 어려움이 있고, 진동과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도심에서의 시공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매입 공법은 미리 지반에 구멍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구멍의 반쯤 주입한 다음 파일을 구멍에 삽입 고정하는 것으로, 타입 공법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도심에서의 파일 기초는 매입 공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다시말해 건축공사에서 기초공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크며, 파일시공의 경우 현장마다 지층 조건 및 여건이 다른 이유라든지, 항타 장비에 대한 정확한 이 해부족 및 시공자의 경험에 의한 공사등으로 여러가지 파일시공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번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일(2)은 구조물(4)의 하중(PF)은 구조물(4)의 하부에 근입된 다수의 파일(2) 시공 내력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근입된 파일(2)의 시공 내력은 파일 선단의 선단지지력(TP)과 파일 측면의 주변마찰력(SF)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대부분 파일 자체의 내력은 높지만 시공성 등으로 파일의 시공 내력이 낮아진다.
또한 RCD 파일 등의 경우 현장 타설콘크리트 파일로 대구경으로 홀을 만들고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파일을 현장에서 만들고 있다.
이러한 경우 말뚝은 지반에서 양생되는 콘크리트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내력에 대해 불확실성이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있다.
그러나 기성확장파일로 시공후 일정내력을 확보한 후 양생 후 더 큰 내력을 발휘하여 공사중의 조건과 공사후 실 재하가 걸렸을 때의 조건을 동시에 맞출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양생조건이 양호하게 되어 공사기간의 단축이 필요하다.
즉, 철근+ PHC 말뚝을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의 보강재로 사용하여 하중 조건 및 시공조건을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매입 공법의 경우, 지반을 파일의 직경보다 크게 천공한 후, 제작된 파일을 천공에 근입설치하고, 파일과 지반 사이에 충진재를 주입하여 주변 마찰력을 높여 주기는 하지만, 시공 후의 테스트는 주면마찰력이 아주 미미하고 대부분의 시공 내력이 선단지지력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이때 충진재의 역할은 파일을 지반에 인입하기 위하여 선굴착한 홀에 파일 시공과 동시에 주입되며 주면마찰력과 파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매입공법에서 일정한 보강을 통하여 기존 충진재를 선단지지 보강용으로 활용하여 충진재의 활용도를 높여 파일 자체 내력과 선단지지력을 높이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게 하는 파일 시공시 파일내력에 대한 안정성, 시공성 및 경제성을 확보하면서 보강을 통하여 주면 마찰력으로 사용되는 충진재를 기성 콘크리트와 결합시켜 파일 압축력의 증대 및 선단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파일을 인입하기 위해 파일의 직경보다 크게 뚫린 홀의 선단면적을 최대한 이용하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의 보강재를 철근대신 공장제작 콘크리트 말뚝을 사용하여 공사중의 하중과 양생후 건축물의 하중을 순차적으로 만족하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확장형 파일에 있어서,
헤드확장형 파일의 헤드를 확장한 보강판의 둘레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형태로 부착 설치된 보강근부재와,
상기 보강근부재의 수직 병렬형태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수평형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후프근부재와,
상기 보강근부재와 후프근부재를 심재로 형성하게 충진되어 파일홀 직경의 크기로 형성되는 충진재 양생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보강근부재, 후프근부재, 충진재 양생부를 헤드확장형 파일의 상단 헤드를 확장한 보강판의 둘레에 걸쳐 형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헤드확장형 파일의 헤드를 확장한 보강판의 둘레에 보강근부재와 후프근부재에 의해 지지력 면적이 1차로 형성되는 제1선단지지력부와, 상기 보강근부재와 후프근부재를 심재로 하여 충진되는 충진재 양생부에 의해 지지력 면적이 2차로 형성되는 제2선단지지력부를 형성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 고, 도6은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의 파일지지력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의 지지력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헤드확장형 파일의 보강구조(10)는 헤드확장형 파일에 있어서, 보강근부재(12), 후프근부재(14), 시멘트페이스트 양생부(16)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보강근부재(12)는 파일부재(18)의 하단 헤드를 확장한 보강판(20)의 둘레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형태로 부착 설치되고 있다.
상기 보강근부재(12)는 철근 또는 철판을 이용하여 보강판(20)에 부착하여 기립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상기 보강근부재(12)는 보강판(20)에 부착되어 설치되면서 상부 구조물의 기초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하여 선단지지력과 내력을 확장을 이루게 하고 있다.
상기 후프근부재(14)는 보강근부재(12)의 수직 병렬형태를 유지하게 수평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높이를 달리하면서 층층이 연결 설치되고 있다.
상기 후프근부재(14)는 보강근부재(12) 보다는 낮은 치수의 직경을 갖는 철근을 이용 하고 있으며, 보강근부재(12)가 흔들리거나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게 묶이거나 결합되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충진재 양생부(16)는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를 심재로 형성하게 충진되어 파일홀(22) 직경의 크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충진재 양생부(16)는 헤드 확장형 파일(18)가 삽입되는 파일홀(22)의 직경 크기로 형성되어 선단지지력을 확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보강근부재(12), 후프근부재(14), 시멘트페이스트 양생부(16)를 헤드확장형 파일(18)의 상단 헤드를 확장한 보강판의 둘레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헤드확장형 파일(18)의 헤드를 확장한 보강판(20)의 둘레에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에 의해 지지력 면적이 1차로 형성되는 제1선단지지력부(24)와, 상기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를 심재로 하여 충진되는 충진재 양생부(16)에 의해 지지력 면적이 2차로 제2선단지지력부(26)를 형성하게 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도3은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5는 본 발명으로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헤드확장형 파일(18)의 보강판(20)에 부착되는 보강근부재(12)를 보강판(20) 표면에 위치시켜 용접하여 표면부착부(2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보강판(20)의 표면에 표면부착부(28)를 이용 보강근부재(12)를 부착하므로서 파일홀(22)에 삽입시 용접부위 탈락이나 변형 또는 손상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보강근부재(12)를 유자형(30)으로 밴딩하여 용접을 보강판(20)의 가장자리 측면에 부착하여 형성하거나 유자형태중 파일홀(22) 벽면측을 짧게 형성한 변형유자형(32)으로 밴딩하여 변형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하여 형성함도 가능하다.
또한 RCD 파일 등의 경우 현장 타설콘크리트 파일로 대구경으로 홀을 만들고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파일을 현장에서 만들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말뚝은 지반에서 양생되는 콘크리트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내력에 대해 불확실성이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있다. 그러나 기성확장파일로 시공하여 일정내력을 확보한 후 양생 후 더 큰 내력을 발휘하여 공사중의 조건과 공사 후 건물이 완성되었을 때의 하중 조건을 조건을 동시에 맞출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양생조건이 양호하게 되어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즉, 철근+ PHC 말뚝을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의 보강재로 사용하여 하중 조건 및 시공조건을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6,7에 의하여 설명하면, 헤드 확장형 파일(18)에 예를들어, 보강판(20)이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판(20)의 가장자리측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과 일정 높이를 형성하게 절단된 길이를 한 철근 또는 철판인 보강근부재(12)를 보강판(2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한다.
또, 보강근부재(12)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한 것 중 일예로 유자형(30)이나 변형유자형(32)으로 형성한 것을 이용 보강판(20)에 부착하여 사용하여 선단지지력을 발휘하게 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보강근부재(16)이 일정하게 배치를 유지하도록 후프근부재(14)를 이용 일정 높이 간격을 두고 결합하여 일측으로 치우지거나 흔들리거나 함을 잡아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근부재(16)와 후프근부재(14)에 의해 보강판(20)을 구비한 헤드확장형 파일(18)의 보강판(20)에 부착 형성됨이 완성되면 파일홀(22)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헤드확장형 파일(18)의 보강판(20)에 의한 1차적인 지지력 영역으로 제1선단지지력부(24) 형성하게 된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기성 헤드확장형 파일들에서 발생되는 선단지지력은 여기에 해당된다.
그리고 시공 설계상 또는 작업 난이도상 및 현장의 여건에 따라 대형으로 파일홀(22)을 형성하고 있고, 여기에 헤드확장형 파일(18)를 미리 삽입시킨 경우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의 완성 작업을 파일홀(22)내에서 직접할 수 있음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일홀(22)에 헤드확장형 파일(18)가 삽입되어 위치와 형태가 잡히게 되면, 보강판(20)에 부착된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가 심재 역활을 하게 파일홀(22)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진시킨다.
이에 따라 파일홀(22)에 충진된 시멘트 페이스트가 충진시킨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양생되어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를 심재로 한 충진재 양생부(16)를 파일홀(22) 내에서 형성하게 되므로서 2차적인 제2선단지지력부(26)를 형성하여 지지력을 확대하게 된다.
따라서 기 출원되었던 본 출원인의 헤드확장형 파일(18)의 파일 자체내력 적용범위(T1)와 여기에 작용되는 선단지지력 적용범위(T2)는 동일하게 나타나 파일 자체에만 선단지지력이 작용하게 된다.
하지만, 보강판(20)에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를 배근한 후 시맨트 페이스트를 충진시켜 충진재 양생부(16)를 형성한 헤드확장 콘크리트 파일부재(18)의 보강구조(10)를 완성하게 되면 파일홀(22)내 전체에 걸쳐 형성된 충진재 양생부(16)에 의해 확대된 선단지지력(T3,T4)을 확보하게 된다.
즉, 헤드확장형 파일(18)의 보강판(20)에 철근과 철판을 이용하여 형성된 보강근부재(12)와 이와 결합되게 둘레에 후프근부재(14)를 배치함을 기존파일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가 보강판(20)상에 완성되면 여기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충진재 양생부(16)를 형성하게 되므로서 보강구조(10)를 완성하게 되어 선단지지력의 범위를 확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에서 헤드확장형 파일(18)에 전달되는 압축력의 지지기반을 효율적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말해, 매입공법에 있어서 장비를 통하여 선굴착 파일홀(22)을 보강판(20)의 크기보다 크게 뚫고 보강판(20)의 측면이나 상부면에 결합된 철근이나 철판의 보강근부재(12)나 후프근부재(14)로 결합하여 인입시킨 후 충진재인 시멘트페이스트를 주입하여 충진재 양생부(16)를 드러나는 선단지지력은 기존파일보다 배가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한 경우 파일의 보강판 보다 크게 뚫린 홀 면적의 압축부분에 충진재인 시멘트 페이스트가 경화되어 지지력이 증대되게 된다.
그리고 주변마찰력으로만 작용했던 충진재인 시멘트 페이스트가 충진되어 보강근부재(12)와 후프근부재(14))에 의해 양생되어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어 파일홀(22)내에서 압축재로 변환되었고, 시공에 의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압축면적의 요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본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기성 헤드확장형 파일(18)보다도 하중의 적용범위가 확대됨은 도5에 의해서도 알 수 있는데, 기성 헤드확장형 파일(18)로부터 발생하는 힘의 적용범위 보다 충진재를 보강하여 형성되는 시멘트페이스트 양생부(16)에 의한 보강구조(10)를 형성한 헤드확장형 파일(18)의 적용 범위가 넓어 파일의 설계하중을 높일 수 있음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아래표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을 대비한 표이다.
Figure 112004051880673-PAT00001
상기 본 발명인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사용하는 모든 강관, 콘크리트관, 합성수지관, 목관등 적용될 수 있는 체결조립수단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입 공법에 사용되는 파일의 무게나 부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보강을 통한 충진재의 활용을 통하여 파일의 시공 내력을 파일 자체 내력까지 손쉽게 끌어 올려 선단지지력과 파일의 보강을 도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헤드확장형 파일에 보강구조를 설계에 따라 상,하단중 적어도 어느 한단부에 형성하여 파일선단의 효율적 지지 및 보강철근의 지지하게 시공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되는 파일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현장의 작업공간 확보는 물론 파일의 사용성, 운반성, 효율성 및 경제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의 보강재로 공장제작 콘크리트 말뚝을 사용하므로서 공사가 콘크리트 양생에 구애받지 않고 공사중에는 공장제작 콘크리트 말뚝으로 하중의 저항하고 양생후에는 보강구조물에 의한 큰 하중의 지지를 발휘하게 하여 공기의 단축 및 공사의 효율 향상을 이룰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RCD 파일 등의 경우 현장 타설콘크리트 파일로 대구경으로 홀을 만들고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파일을 현장에서 만들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말뚝은 지반에서 양생되는 콘크리트에 의존할 수 밖에 없어 내력에 대해 불확실성이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고 있다. 그러나 기성확장파일로 시공 후 일정내력을 확보한 후 양생 후 더 큰 내력을 발휘하여 공사중의 조건과 공사후 건물이 완성되었을 때의 하중 조건을 동시에 맞출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양생조건이 양호하게 되어 공사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 즉, 철근+ PHC 말뚝을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의 보강재로 사용하여 하중 조건 및 시공조건을 만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진재인 시멘트 페이스트의 낭비요소를 압축요소로 활용하고, 파일홀 형성에 따른 시공오차의 면적분을 선단지지의 압축단면적으로 활용하여 파일 자체 내력과 더불어 파일의 선단지지력을 높이는 효과를 극대화시킴으로서 낭비 요소를 제거하고 높아진 내력을 설계에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일업체에서 시공되는 파일 내력에 비해 지반이나 시공성에 의해 결정되는 파일 내력중 크기가 작은 쪽으로 설계내력이 결정되어 파일 내력중 30~40%의 손실(LOSS)이 발생하나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로 시공할 경우 기존파일의 보강효과를 통하여 자체내력을 100%이상 올릴 수 있으며 충진재의 양생후에는 100~1000% 이상을 충진재의 보강을 통하여 지지력을 실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파일 자체의 보강과 지지력의 증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적용 설계하여 파일내력을 증대시켜서 높혀서 파일의 갯수를 줄여 원가절감 및 공기의 단축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을 적용 설계하면 파일캡이 작아져서 콘크리트 시멘트량 및 철근량을 약 10%~20% 정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밖에도 기존 시공에 비해 전체적인 파일 갯수가 절감된 만큼 공기를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아울러 그에 따른 노동력과 인건비, 경상비, 금융비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토목,건설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헤드확장형 파일에 있어서,
    헤드 확장형 파일과 동일 높이이면서 둘레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형태로 배치되면서 하단 보강판에 부착 설치된 보강근부재와,
    상기 보강근부재의 수직 병렬형태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수평형태로 높이를 달리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후프근부재와,
    상기 보강근부재와 후프근부재를 심재로 형성하게 충진되어 파일홀 직경의 크기로 형성되는 충진재 양생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확장형 파일의 보강판에는 후프근부재로 결합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보강근부재를 일정 길이로 형성하여 헤드확장형 파일의 중간 위치까지 형성되게 부착 설치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확장형 파일의 보강판에 의해 형성되는 1차적인 제1선단지지력부 영역보다 보강근부재와 후프근부재를 심재로 하여 충진되는 충진 재 양생부에 의한 2차로 형성된 제2선단지지력부 영역이 일정 범위로 확대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KR1020040091015A 2004-11-09 2004-11-09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KR20060042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015A KR20060042370A (ko) 2004-11-09 2004-11-09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015A KR20060042370A (ko) 2004-11-09 2004-11-09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370A true KR20060042370A (ko) 2006-05-12

Family

ID=3714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015A KR20060042370A (ko) 2004-11-09 2004-11-09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237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15B1 (ko) * 2007-04-03 2008-11-21 임수용 매입말뚝용 강관의 선단부 지지력 확대장치 및 매입말뚝시공방법
KR100942524B1 (ko) * 2007-08-08 2010-02-12 강상욱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지반공사용 기초파일의 확두형 연결구조
KR100974613B1 (ko) * 2008-01-04 2010-08-06 송기용 헤드 확장형 콘크리트파일의 인장보강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357773B1 (ko) * 2012-03-21 2014-02-04 삼호쏘일텍(주) 소구경 기초파일
CN114892649A (zh) * 2022-05-26 2022-08-12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灌注桩隔水栓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516A (ja) * 1985-08-28 1987-03-05 Kajima Corp 複合杭の造成工法
JPH03122317A (ja) * 1989-10-05 1991-05-24 Taisei Corp 中空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とその施工方法
JP2000080648A (ja) * 1998-06-26 2000-03-21 Mitani Sekisan Co Ltd 下端部に鉄筋かごを設けた既製コンクリ―ト杭、鉄筋かご、基礎杭構造、基礎杭の構築方法
JP2002004271A (ja) * 2000-06-27 2002-01-09 Shimizu Corp 複合杭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0516A (ja) * 1985-08-28 1987-03-05 Kajima Corp 複合杭の造成工法
JPH03122317A (ja) * 1989-10-05 1991-05-24 Taisei Corp 中空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とその施工方法
JP2000080648A (ja) * 1998-06-26 2000-03-21 Mitani Sekisan Co Ltd 下端部に鉄筋かごを設けた既製コンクリ―ト杭、鉄筋かご、基礎杭構造、基礎杭の構築方法
JP2002004271A (ja) * 2000-06-27 2002-01-09 Shimizu Corp 複合杭及びその施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15B1 (ko) * 2007-04-03 2008-11-21 임수용 매입말뚝용 강관의 선단부 지지력 확대장치 및 매입말뚝시공방법
KR100942524B1 (ko) * 2007-08-08 2010-02-12 강상욱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지반공사용 기초파일의 확두형 연결구조
KR100974613B1 (ko) * 2008-01-04 2010-08-06 송기용 헤드 확장형 콘크리트파일의 인장보강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357773B1 (ko) * 2012-03-21 2014-02-04 삼호쏘일텍(주) 소구경 기초파일
CN114892649A (zh) * 2022-05-26 2022-08-12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灌注桩隔水栓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020B1 (ko)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및 합성 피에이취씨 말뚝 시공방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0404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교대
KR101414054B1 (ko) Phc 말뚝 제작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의 제조방법과 phc 말뚝의 두부보강방법
KR101358878B1 (ko)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KR100654964B1 (ko) 헤드 확장형 파일의 보강부재
KR101072958B1 (ko) 마이크로파일 및 트러스를 이용한 기초구조, 및 주위구조물과 인접한 곳에서 이의 시공방법
JP5750246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163363B1 (ko) 다수 개의 수직보강재를 갖는 강관말뚝 머리 보강구조
KR101270697B1 (ko) 프리캐스트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중저층 건물의 기둥 리모델링 보강공법
KR20060042370A (ko) 충진재를 보강한 헤드확장형 파일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CN203905036U (zh) 预应力混凝土管桩劲性填芯结构
CN218061703U (zh) 一种采用外加混凝土套加固混凝土条形基础
JP7028728B2 (ja) 基礎杭と基礎スラブの接合構造
KR20140110491A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5029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구조
KR101148815B1 (ko) 내측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된 복합말뚝 및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시공방법
KR100919921B1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25945A (ko) 콘크리트 파일과 건축물 기초의 보강조립체
KR101195551B1 (ko) 인장력 지지를 위한 보강 phc 파일, 이를 이용한 인장 보강 phc 파일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641837B1 (ko) 교량 하부구조물의 단면 증설시 자중 경감을 위한 단면 형성 방법
CN114991557A (zh) 一种采用外加混凝土套加固混凝土条形基础及其施工方法
KR20060048843A (ko)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208

Effective date: 2007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