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099A -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절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절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099A
KR20060041099A KR1020040090580A KR20040090580A KR20060041099A KR 20060041099 A KR20060041099 A KR 20060041099A KR 1020040090580 A KR1020040090580 A KR 1020040090580A KR 20040090580 A KR20040090580 A KR 20040090580A KR 20060041099 A KR20060041099 A KR 20060041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s
slave
master
board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1099A/ko
Publication of KR2006004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1Multimod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하는 이중화(duplication)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절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Duplication System)은 상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고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상기 광모듈을 구비하는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와 하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고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상기 광모듈을 구비하는 M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r Board)와 상기 마스터 보드와 상기 슬레이브 보드간의 이중화 인터페이스를 하는 M × N 다심 광케이블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체 방법은 상기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에서 동시에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액트 모드인 마스터 보드에서 전송된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액트 모드인 마스터 보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스탠바이 모드인 마스터 보드를 액트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보드가 액트 모드로 전환된 상기 마스터 보드로 절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간 인터페이스에서 M × N 다심 광케이블과 다중 광원 광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광모듈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함으로써, 시스템의 실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광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보다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1 이중화 시스템, 액트(Act), 스탠바이(Stand-By), MTP/MPO, M × N 다심 광케이블, 마스터 보드(Master Board),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절체 방법{DUPLICATION SYSTEM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SWTCHING METHOD THEREFOR}
도 1은 종래의 단일 광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을 구현한 회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중 광원과 다심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한 이중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1 이중화 절체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의 이중화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하는 이중화(Duplication) 시스템 및 절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두 개의 보드를 이용하는 이중화 시스템을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게 된다. 이중화 시스템은 1:1 이중화 시스템과 1+1 이중화 시스템이 있다. 상기 1:1 이중화 시스템은 액트(act)모드로 동작하는 보드와 스탠바이(stand-by)모드로 동작하는 두 개의 보드로 구성된다. 상기 액트 모드로 동작하는 보드가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스탠바이 모드의 보드는 대기하고 있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액트 모드로 동작하는 보드가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 보드가 액트 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1 이중화 시스템은 상기 1:1 이중화 시스템과 동일하게 두 개의 보드로 구성되지만 그 구현 방법은 상이하다. 상기 1+1 이중화 시스템에서 상기 두 개의 보드들은 모드 액트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두 개의 보드로부터 명령을 받는 하위 보드들은 이상이 없는 보드로부터 도시되지 않는 시스템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선택적으로 송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이중화 시스템을 구현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핵심망(Core Network)에 사용되는 대용량 전송 시스템 및 핵심망에 접속되는 모든 액세스망에 관련된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내에서 고속 데이터 인터페이스 용도로 광섬유 케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왜냐하면 광섬유 케이블은 전력 케이블과 비교하여 대역폭과 전송거리에 있어서 제한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특히 고속 대용량 데이터 스위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위치 인터페이스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일 광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을 도시한 구현한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화 시스템은 두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 A, B(110, 120)와 두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 A, B(130, 140)로 구성된다. 상기 마스터 보드 A, B(110, 120)는 상위 레벨의 시스템으로 하위 레벨의 시스템인 슬레이브 보드 A, B(130, 140)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 마스터 보드와 슬레이브 보드간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보드들(110 내지 140)은 단일 광원을 사용하는 광송수신기가 구비된 광모듈(113 내지 116, 123 내지 126, 133 내지 136, 143 내지 146)과 1×1 광섬유 케이블(150)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상기 도 1의 이중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광모듈들(113 내지 116, 123 내지 126, 133 내지 136, 143 내지 146)은 각각 하나의 광송수신기가 구비되므로 다수의 채널이 필요한 경우 광모듈을 추가하여야 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마스터 보드와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1×1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하고, 미도시된 시스템 제어 장치에 의해 액트/스탠바이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 하나의 광 송수신기를 액트 /스탠바이 전용으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인터페이스에 사용하는 채널이 증가할 때마다 광모듈의 숫자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실장성의 문제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이중화 시스템이 다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광모듈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광모듈은 제어부(111)가 제어를 하게 되므로 상기 광모듈이 증가함에 따라 제어부가 각각의 광모듈을 감시하고 제어해야 하는 복잡성의 문 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최근 들어 광 송수신기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하나의 광모듈에 다중 광원을 사용하게 되었다. 다음의 도 2는 종래의 다중 광원과 다심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한 이중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화 시스템(200)의 광모듈은 다중 광원을 사용하여 다수개의 고용량 광 송수신기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위 레벨의 시스템인 마스터 보드 A, B(210, 220)는 하나의 광모듈에 송신 채널 8개와 수신 채널 8개로 구성된 총 16개의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각 채널은 2.5 Gb/s의 용량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나의 광모듈은 20 Gb/s의 광송수신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위 레벨의 시스템인 슬레이브 보드 A(230)는 각각 4개의 수신 채널과 4개의 송신 채널을 구비하므로 10 Gb/s의 송수신기를 구비한 두 개의 광모듈(235,23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광모듈은 상기 각각의 광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231, 237), 상기 각각의 광모듈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232, 2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레이브 B(240)도 상기 슬레이브 A(23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보드 A, B(210, 220)와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230, 240)는 MTP/MPO(Multiple Terminations Push-pull latch/Multi-fiber Push Multi-fiber Push On)와 같은 리본(Ribbon)형태의 1×2 다심 광섬유 케이블(250)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이중화 시스템(200)은 상기 도 1에서 나타낸 이중화 시스템보다 시스템 실장성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결하였다. 그러나 상기 이중화 시스템(200)은 하위 레벨의 시스템에서 총 5 Gb/s 용량의 송신기와 5 Gb/s 용량의 수신기만을 필요한 경우에도 시스템의 이중화를 위하여 10 Gb/s 용량의 광 송수신기가 구비된 광모듈을 2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필요없는 채널의 낭비가 발생하므로 상기 이중화 시스템 또한 시스템의 실장성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화 시스템에서 상기 각 광모듈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가 따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시스템의 복잡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 광 인터페이스를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실장성 및 복잡성을 높일 수 있는 이중화 시스템 및 이에 따른 절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용량 광 인터페이스를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절체 기능을 보다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이중화 시스템 및 이에 따른 절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이터 이중화 시스템은 상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고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상기 광모듈을 구비하는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와 하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고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상기 광모듈을 구비하는 M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와 상기 마스터 보드와 상기 슬레이브 보드간의 이중화 인터페이스를 하는 M×N 다심 광케이블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터 보드는 상기 광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프레임 에러를 검출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광모듈이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광송수신기를 온오프(On-Off) 또는 리셋(Reset)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광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프레임 에러를 검출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광모듈이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광송수신기를 온오프(On-Off) 또는 리셋(Reset)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M × N 다심 광케이블은 MTP/MPO의 광 커넥터(Optic Cable Connector)와 광 케이블 바디(Optic Cable Body)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는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와 하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는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를 구비하여 상호간의 인터페이스를 액트(Act)/스탠바이(Stand-By)하는 1+1 이중화 시스템(Duplication System)의 절체 방법은 상기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에서 동시에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액트 모드인 마스터 보드에서 전송된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액트 모드인 마스터 보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스탠바이 모드인 마스터 보드를 액트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보드가 액트 모드로 전환된 상기 마스터 보드로 절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는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와 하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는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를 구비하여 상호간의 인터페이스를 액트(Act)/스탠바이(Stand-By)하는 1+1 이중화 시스템(Duplication System)의 절체 방법은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에서 동시에 상기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액트 모드인 슬레이브 보드에서 전송된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액트 모드인 슬레이브 보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스탠바이 모드인 슬레이브 보드를 액트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보드가 액트 모드로 전환된 상기 슬레이브 보드로 절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중화 시스템은 1+1 이중화 방법과 1:1 이중화 방법 모두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우선 상기 이중화 시스템을 설명한 후 1+1 이중화 방법과 1:1 이중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구현된 본 발명의 이중화 시스템은 8개의 채널을 하나의 광모듈을 통해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각 채널은 2.5 Gb/s의 데이터 전송 용량을 가짐을 가정하였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300)은 상위 레벨의 시스템인 마스터 보드 A, B(310, 320)와 하위 레벨의 시스템인 슬레이브 보드 A, B(330, 340)로 구성되고 상기 보드들(310,320,330,340)은 각각 다중광원이 탑재되어 있는 광모듈(315, 325, 333, 34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8개의 채널이 송수신함을 가정하였으므로 상기 각 광모듈들(315, 325, 333, 343)은 8개의 광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보드 A, B(310, 320)와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330, 340)는 다심 광 섬유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한다. 여기서 상기 다심 광 섬유 케이블은 MTP/MPO(Multiple Terminations Push-pull latch/Multi-fiber Push Multi-fiber Push On) 등과 같은 형태의 광 커넥터(Optic Cable Connector)(316, 326, 334, 335)와 광 케이블 바디(Optic Cable Body)(317)를 이용한 2×2 형태의 다심 광케이블이며, 이를 통해 물리적으로 전이중화(Full-Duplex) 방식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광 케이블 바디(317)는 상기 표시된 케이블 형태를 위해 구성하기 위하여 광케이블이 엇갈리거나, 광융합 접착을 통한 광케이블 연결을 위한 부분으로 특정한 형태를 가지지는 않는다.
상기 이중화 시스템(300)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광모듈(315, 325, 333, 343)은 8개의 광송수신기로 구성되므로 상기 마스터 보드 A, B(310, 320)와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330, 340)는 각각 하나의 광모듈만 구비하면 된다. 이로 인해 각 보드들은 제어부를 하나씩 구비하게 된다. 예컨대, 상위 레벨 시스템인 상기 마스터 보드 A(310)를 살펴보면, 상기 마스터 보드 A(310)는 제어부(311), 데이터 처리부(312), 8개의 송수신 채널을 구비한 광모듈(315), 슬레이브 보드들(330, 340)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 A1(316)로 구성된다.
우선 데이터는 상기 커넥터 A1(316)을 통해 송수신된다. 상기 광모듈(315)은 시그널 검출(Signal Detect)포트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수신 데이터의 시그널 저하(Signal Degradation) 발생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311)는 외부 시스템 또는 상기 광모듈(315)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보드(330, 34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프레임 에러와 같은 오류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와 같이 시그널 저하나 프레임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광모듈(315)의 송수신기를 온오프(On-Off) 또는 리셋(Reset) 등의 제어를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1 이중화 절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1 이중화 절체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이중화 시스템을 간단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4의 이중화 시스템(400)은 상기 도 3의 이중화 시스템(300)과 마찬가지로 각 보드의 광모듈은 8개의 채널을 구비하고 있고 마스터 보드 A, B(410, 420)와 슬레이브 보드 A, B (430, 440)간의 인터페이스는 2×2 다심 광케이블을 사용하므로 상호 인터페이스 라인(L1 내지 L4)으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광모듈에 구비되는 8개 채널의 광송수신기를 각각 TX #1 내지 TX #8, RX #1 내지 RX #8로 나타내고 상기 각 채널은 2.5 Gb/s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우선 상기 1+1 이중화 절체 방법에 앞서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기본적인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겠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마스터 보드 A(310)는 광모듈(315)의 TX #1 내지 TX #4를 통해 슬레이브 보드 A(330)의 RX #1 내지 RX #4로 4채널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광모듈(315)의 나머지 TX #5 내지 TX #8을 통해 슬레이브 보드 B(340)의 RX #5 내지 RX #8로 4채널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마스터 보드 B(320)도 광모듈(325)의 TX #1 내지 TX #4를 통해 슬레이브 보드 A(330)의 RX #1 내지 RX #4로 4채널의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광모듈(325)의 나머지 TX #5 내지 TX #8을 통해 슬레이브 보드 A(330)의 RX #5 내지 RX #8로 4채널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러한 상기 광 모듈(315,325,333,343)과 정합하는 광 커넥터(316,326,334,344)는 광 모듈의 용량에 맞춰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도 4의 이중화 시스템(4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1+1 이중화 절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중화 시스템이 1+1 이중화 절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상위 시스템인 마스터 보드 A, B(410, 420)는 이중화 방안에 따라 액트/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데 여기서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 각각 액트 모드와 스탠바이 모드로 가정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는 항상 같은 데이터를 동시에 L1 내지 L4를 이용하여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는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로부터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 는 이중화 기본 방안에 따라 상기 각 데이터 처리부(435, 445)에서 상기 마스터 A(410)에서 수신한 데이터는 처리하고 상기 마스터 B에서 수신한 데이터는 종결시킨다. 그러나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가 상기 마스터 A(41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가 시스템에 장애를 중 정도의 비트 에러나 광모듈에 이상이 있어 상기 마스터 A(410)에서 수신한 광신호의 시그널 저하(Signal Degradation)가 발생하면 상기 마스터 보드 B(42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에서 선택하여 처리한다. 이 경우 상기 마스터 보드 A(410)의 시스템 내부의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마스터 A(410)의 제어부(413)에서 상기 광모듈(411)의 송신기를 오프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는 상기 광신호 저하를 감지하여 상기 마스터 보드 B(420)로 자동으로 절체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수신 신호의 일정 프레임 정보를 디코딩 하거나 상위 시스템 제어부의 제어를 받지 않더라도 상기 슬레이브 보드 A(430)는 상기 마스터 보드 B(42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에(435)에서 처리하도록 절체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간의 이중화 절체 방법 대해 설명하겠다. 슬레이브 A, B(430, 440)의 액트/스탠바이는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의 이중화 방안에 의해 정해지는데 여기서는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가 각각 액트 모드, 스탠바이 모드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우선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는 상기한 방법과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40)는 동시에 수신한 데이터 신호 중 상기 슬레이브 보드 A(43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하고 상기 슬레이브 보드 B(440)에서 수신한 데이터는 종결시킨다. 그러다가 상기 슬레이브 보드 A(430)에서 비트 에러나 광모듈에 이상이 있어 상기 마스터 A(410)에서 수신한 광신호의 시그널 저하(Signal Degradation)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는 자동으로 상기 슬레이브 보드 B(440)로 절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위 시스템의 제어부에 의해 관리를 받지 않으므로 빠른 절체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1:1 이중화 절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1:1 이중화 절체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상기 1+1 이중화 방법에 사용되는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1:1 이중화 절체 방법은 상기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상기 1:1 이중화 시스템에서도 기본적인 데이터 흐름은 상기 1+1 이중화 시스템과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1:1 이중화 시스템에서는 상위 시스템인 마스터 보드 A, B(410, 420)는 이중화 방안에 따라 액트/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 1실시 예와 동일하게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가 각각 액트 모드, 스탠바이 모드로 가정하기로 한다. 따라서 액트 모드인 상기 마스터 보드 A(410)는 광 모듈에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한다. 그리고 스탠바이가 된 마스터 보드 B(420)는 광 모듈을 오프상태로 한다.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의 액트/스탠바이의 관리는 미도시된 시스템 제어부에서 관리한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에서는 상기 마스터 보드 A(410)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다가 상기 마스터 보드 A(410)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비트 에러나 광모듈에 이 상이 있어 상기 마스터 A(410)에서 수신한 광신호의 시그널 저하(Signal Degradation)가 발생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마스터 이중화 방안에 의해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의 액트/스탠바이 모드를 바꾸게 된다. 즉 상기 마스터 보드 A, B(410, 420)가 각각 스탠바이, 액트 모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보드 A, B(430,440)는 수신 광신호와 광전 변환된 신호를 디코딩한 결과를 가지고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마스터 보드 B(420)로 절체하게 된다. 그리고 슬레이브 보드 A, B(430, 440)간의 이중화 방안은 마스터 보드간의 이중화 방안과 유사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화 시스템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마스터 보드와 두 개의 슬레이브 보드를 구비하였지만 M 개의 마스터 보드와 N 개의 슬레이브 보드를 구비하고 M × N의 다심 광케이블을 사용하면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N 은 적어도 2이상의 정수로서 광모듈이 지원할 수 있는 포트수와 전송용량에 따라 정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스템간 인터페이스에서 2×2 다심 광케이블과 다중 광원 광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광모듈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함으로써, 시스템의 실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광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을 보다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중화 시스템은 1+1 이중화 방법을 적용하면 상위 시스템의 제어부를 통해 절체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빠른 절체가 가능하다.

Claims (9)

  1. 고속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광원 광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광모듈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하는 이중화 시스템(Duplication System)에 있어서,
    상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고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상기 광모듈을 구비하는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와,
    하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고 다수의 채널을 사용하는 상기 광모듈을 구비하는 M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r Board)와,
    상기 마스터 보드와 상기 슬레이브 보드간의 이중화 인터페이스를 하는 M× N 다심 광케이블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보드는,
    상기 광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프레임 에러를 검출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광모듈이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광송수신기를 온오프(On-Off) 또는 리셋(Reset)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보드는,
    상기 광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프레임 에러를 검출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광모듈이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광송수신기를 온오프(On-Off) 또는 리셋(Reset)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 × N 다심 광케이블은,
    MTP/MPO(Multiple Terminations Push-pull latch/Multi-fiber Push Multi-fiber Push On)의 광 커넥터(Optic Cable Connector)와 광 케이블 바디(Optic Cable Body)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M 은 2를 나타내고 상기 N 은 2이상의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6. 고속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이중화 시스템(Duplication System)에서 상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는 M 개의 마스터 보드 (Master Board)와 하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는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를 구비하여 상호간의 인터페이스를 액트(Act)/스탠바이(Stand-By)하는 1+1 이중화 시스템(Duplication System)의 절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에서 동시에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액트 모드인 마스터 보드에서 전송된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액트 모드인 마스터 보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스탠바이 모드인 마스터 보드를 액트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슬레이브 보드가 액트 모드로 전환된 상기 마스터 보드로 절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M 은 2를 나타내고 상기 N 은 2이상의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고속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의 이중화 시스템(Duplication System)에서 상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는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와 하위 레벨 시스템을 담당하는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를 구비하여 상호간의 인터페이스를 액트(Act)/스탠바이(Stand-By)하는 1+1 이중화 시스템(Duplication System)의 절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Slave Board)에서 동시에 상기 M 개의 마스터 보드(Master Board)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N 개의 슬레이브 보드가 상기 수신 데이터의 오류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액트 모드인 슬레이브 보드에서 전송된 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액트 모드인 슬레이브 보드를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고 스탠바이 모드인 슬레이브 보드를 액트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보드가 액트 모드로 전환된 상기 슬레이브 보드로 절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M 은 2를 나타내고 상기 N 은 2이상의 정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90580A 2004-11-08 2004-11-08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절체 방법 KR20060041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580A KR20060041099A (ko) 2004-11-08 2004-11-08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절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580A KR20060041099A (ko) 2004-11-08 2004-11-08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절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099A true KR20060041099A (ko) 2006-05-11

Family

ID=3714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580A KR20060041099A (ko) 2004-11-08 2004-11-08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절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10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5035A (en) Optical fiber ring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US9756404B2 (en) Data center path switch with improved path interconnection architecture
US8824280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nabling link status propagation
US4870637A (en) Optical backplane
EP0779761A2 (en) Optical switching unit and control method for same
US9294290B2 (en) Optical cable assemblies with low-speed data pass-through architecture and sleep mode operation
US6628441B1 (en) Optical bus system and method
EP0533167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ransmission line switching system
CN106713096B (zh) 总线型fc-ae-1553网络系统及网络终端之间的数据发送和获取方法
US8588615B2 (en) Optical communication car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0445533A (zh) 一种双冗余光纤以太网传输系统
JPH1032545A (ja) 光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光接続方法
CN102253914B (zh) 数据传输处理方法、装置和设备接口
CN103392303B (zh) 接收端检测方法、检测电路、光模块及系统
WO2021249270A1 (zh) 光电收发装置及其控制方法
CN102340355A (zh) 一种自适应光纤收发方向的方法及装置
CN102244540A (zh) 光模块及光层保护方法
US20130318271A1 (en) Cable harness switches
CN102511140B (zh) 多端口无源光信号共享装置
KR20060041099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중화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절체 방법
CN101127569B (zh) 具有多个千兆位光端口的单板实现保护倒换的装置
US5068847A (en) Fiber optic network architecture having data feedback for monitoring communications thereon
CN101584156B (zh) 用户住宅侧光线路终端装置
JP2766242B2 (ja) 印刷機用バスシステム
CN212875808U (zh) 支持光纤通讯的传输设备及显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