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445A -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445A
KR20060040445A KR1020040090045A KR20040090045A KR20060040445A KR 20060040445 A KR20060040445 A KR 20060040445A KR 1020040090045 A KR1020040090045 A KR 1020040090045A KR 20040090045 A KR20040090045 A KR 20040090045A KR 20060040445 A KR20060040445 A KR 20060040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socket
insertion hole
closing portion
sock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현
최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0445A/ko
Publication of KR2006004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잭(3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내부에 잭 삽입공(21a)이 형성되고 전자기기의 본체(20) 내부로 구비되는 소켓(21)과, 상기 잭 삽입공(21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잭(30)이 상기 소켓(21)에 착탈될 때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잭 삽입공(21a)의 입구(21b)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소켓개폐부(27)와, 상기 소켓개폐부(27)에 연결되어 상기 소켓개폐부(27)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잭 삽입공(21a)의 내부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마개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용 및 작업공수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전자기기, 잭, 소켓, 탄성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A Structure For Connecting A Jack In Electronic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잭 연결구조가 채용된 휴대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잭 연결구조에 잭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잭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휴대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잭 연결구조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잭 연결구조의 제 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잭 연결구조의 제 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에 잭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예에 잭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21 : 소켓
23 : 가이드홈부 25 : 스토퍼면
27 : 소켓개폐부 27a : 마개부
27b : 가이드부 29 : 탄성부재
30 : 잭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외부 입출력을 위한 잭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는 입출력을 위해 외부로 신호를 보내거나 받기 위한 구조가 마련된다. 이때 외부의 입출력장치에는 잭이 구비되고, 전자기기에는 소켓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잭과 소켓의 결합으로 전자기기와 외부 입출력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휴대용의 전자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먼지나 이물질이 전자기기의 소켓에 유입될 수 있는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되는 전자기기에 적합하다. 그러한 전자기기의 대표적인 것이 최근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휴대폰일 것이다. 따라서 이 하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일례로서 휴대폰을 들어 설명하고, 입출력장치는 이어폰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잭 연결구조가 채용된 휴대폰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잭 연결구조에 잭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은 전방에 디스플레이 창(3)이 형성된 폴더(1)가 힌지(7)로 본체(5)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5)의 후방에는 배터리(6)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폴더형 휴대폰은 전화통화시 상기 힌지(7)를 회전 중심으로 폴더(1)를 회전시켜 다이얼링을 하거나 상대방이 걸어온 경우에는 소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바로 통화를 하게 된다. 상기 폴더(1)에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창(3)이 외측과 내측면에 모두 설치되어 있으나, 내측에만 디스플레이 창(3)이 설치된 것도 있다.
이러한 휴대폰에는 이어폰 잭(13)을 끼울 수 있도록 통상 제작되는데, 이러한 이어폰(미도시)은 일단에 구비된 잭(13)을 휴대폰의 소켓(9)에 끼워 상대방의 음성을 듣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상기 이어폰에 마이크 기능이 추가되어 상기 잭(13)을 통해서는 음성신호가 휴대폰과 이어폰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전달되기도 한다.
상기 잭(13)이 삽입되는 소켓(9)은 상기 본체(5)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소켓(9)은 상기 이어폰 잭(13)이 끼워질 수 있는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본체(5) 내부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상기 본체(5)의 내부에 있는 PCB기판(미도 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9)의 입구는 평상시에는 마개(11)로 막혀있다. 이러한 마개(11)는 일반적으로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소켓(9)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마개(11)의 일단은 상기 본체(5)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소켓(9)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소켓(9)에 끼움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켓(9)을 사용하게 될 때는 상기 마개(11)는 상기 소켓(9)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소켓(9)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잭(13)이 소켓(9)에 삽입되어 상기 잭(13)과 소켓(9)이 끼움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화를 걸거나 받게 되면 상기 잭(13)과 소켓(9)이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있으므로 상기 이어폰으로 음성이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잭 연결구조는 평상시 소켓(9)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개(11)가 씌워져 있다. 그리고 사용시 상기 마개(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9)으로부터 분리되어 뒤로 젖혀진 채 잭(13)이 소켓(9)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은 잭(13)을 꽂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마개(11)를 소켓(9)으로부터 분리해야 하고 사용후에는 상기 마개(11)를 다시 소켓(9)에 삽입하여야 하는 사용상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상기 마개(11)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사용을 위해 상기 마개(11)를 상기 소켓(9)으로부터 빼거나 꽂는 동작이 반복하며, 특히 상기 마개(11)는 잭(13)이 소켓(9)에 꽂혀 있으면 뒤로 휘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잭 연결구조는 장기간 사용하면 마개(11)의 중간부분이 끊어지거나 마개(11)와 본체(5)의 연결이 떨어져 사용이 곤란해 질 뿐만 아니라 외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가 내장된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반영구적인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히 잭을 소켓에 꽂고 빼내는 동작만으로 소켓의 사용 및 보호가 가능한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잭을 삽입할 때 잭과 소켓의 중심이 쉽게 맞추워지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잭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내부에 잭 삽입공이 형성되고 전자기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소켓과, 상기 잭 삽입공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잭이 상기 소켓에 착탈될 때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잭 삽입공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소켓개폐부와, 상기 소켓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켓개폐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켓에는, 상기 소켓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잭 삽입공의 축선방향을 따라 그 내주연에 소정 길이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부의 상단면은, 상기 소켓개폐부의 이동이 상기 잭 삽입공의 입구에서 종료되도록 상기 소켓개폐부의 일면에 대응하는 스토퍼면이다.
상기 소켓개폐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이 접촉되어 불필요한 전기흐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이 상기 잭과 접촉되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이다.
상기 소켓개폐부는, 상기 잭 삽입공의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노출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면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되고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되는 마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장착되게 내부로 함몰된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잭에 의한 압력을 견디기 위한 판재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판재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을 따라 하나 이상이 등각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대응되게 상기 마개부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잭 삽입공의 입구와 스토퍼면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마개부의 진입 이 용이하도록 상기 마개부의 진입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결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개폐부의 상단은 상기 잭을 소켓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잭으로 상기 소켓개폐부를 누를 때 상기 잭과 소켓개폐부가 맞물리도록 중심부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잭 삽입공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마개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용 및 작업공수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잭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휴대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1)은 휴대폰의 본체(20)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소켓(21)의 위치는 상기 본체(20)의 특정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설계에 따라 본체(20)의 어느 지점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21)에는 이어폰 잭(30)이 삽입된다. 즉, 상기 소켓(21)은 이어폰 잭(3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휴대폰과 이어폰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교환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소켓(21)의 내부는 상기 잭(30)이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의 잭 삽입공(2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은 상기 잭(3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도체인 물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잭 삽입공(21a)의 상단은 상기 잭(30)이 내부로 삽입되는 소켓(21)의 입구(21b)로서, 상기 입구(21b)는 이하에서 설명될 소켓개페부(27)의 마개부(27a)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에는 소켓개폐부(27)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이러한 소켓개폐부(27)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소켓개폐부(27)가 안정적으로 잭 삽입공(21a)의 입구(21b)를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이 상기 소켓(2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하에서 설명될 소켓개폐부(27)의 가이드부(27b)에 대응되는 가이드홈부(23)이다.
상기 가이드홈부(23)는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에 상대적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부(23)를 통해서는 상기 잭(30)과 전기적 접촉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에서 상기 가이드홈부(23)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형성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그 면적이 크므로 상기 소켓(21)과 잭(30)과의 전기적 접촉면적은 충분히 확보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홈부(23)와 상기 잭 삽입공(21a)의 입구(21b)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소켓개폐부(27)가 탄성부재(29)에 의한 탄성력으로 소켓(21)을 이탈하지 않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면(25)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이드홈부 (23)는 상기 잭 삽입공(21a)의 입구(21b)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입구(21b)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부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부(23)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27b)는 상기 가이드홈부(23)의 상단 내주면에 그 이동이 차단되게 되는데, 이렇게 상기 가이드부(27b)의 이동을 차단하는 면이 스토퍼면(25)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스토퍼면(25)과 입구(21b)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소켓개폐부(27)가 상기 입구(21b)로 보다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개폐부(27)의 진입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입구(21b)의 하단으로부터 스토퍼면(25)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25a)이 상기 스토퍼면(25)과 입구(21b)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소켓개폐부(27)가 상기 입구(21b)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나 상기 입구(21b)에 진입한다 해도 상기 경사면(25a)에 안내되어 상기 입구(21b)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잭(30)이 상기 소켓(21)에 착탈될 때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입구(21b)를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이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29)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입구(21b)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잭(30)이 잭 삽입공(21a)으로 진입하면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본체(20)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탄성부재(29)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는다. 그리고 상기 잭(30)이 상기 소켓(21)으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탄성부재(29)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본체(20)의 외측으로 이동하며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켓개폐부(27)의 복귀시 상기 소켓개폐부(27)가 상기 탄성부재(29)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입구(21b)를 통과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소켓개폐부(27)에는 스토퍼면(25)에 걸려 멈출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입구(21b)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20)의 외주면에 노출되는 마개부(27a)와 상기 마개부(27a)에 구비되어 상기 잭 삽입공(21)의 가이드홈부(23)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스토퍼면(25)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되는 가이드부(27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부(27a)는 상기 입구(21b)의 내주연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구(21b)의 내주연을 원형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마개부(27a)도 그에 대응되게 단면을 원형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가이드부(27b)는 상기 마개부(27a)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홈부(23)에 대응하도록 상기 마개부(27a)의 외주연을 따라 등각 배열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27b)가 두 개 구비된다면 상기 가이드부(27b) 사이는 180°간격으로 상기 마개부(27a)의 외주연에 배치될 것이고, 만일 세 개가 구비된다면 120° 간격으로 배치될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홈부(23)가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에 두 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부(27b)가 상기 가이드홈부(23)에 대응되게 상기 마개부(27a)의 외주연에 두 개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가이드부(27b)는 상기 소켓개폐부(27)가 스토퍼면(25)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되도록 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소켓개폐부(27)가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때 원활한 이동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잭 삽입공(21a)에는 상기 가이드부(27b)에 대응하는 가이드홈부(23)가 형성된다는 것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다음으로, 탄성부재(29)는 상기 소켓개폐부(27)에 연결되어 상기 소켓개폐부(27)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29)의 일단은 상기 소켓개폐부(2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부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9)는 상기 잭(30)이 소켓(21)으로 진입되며 상기 소켓개폐부(27)를 밀게 될 때 상기 소켓개폐부(27)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잭(30)이 상기 소켓(21)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소켓개폐부(27)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9)를 본 실시예에서는 잭 삽입공(21a)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통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여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켓개폐부(27)에 일단이 연결된 상기 탄성부재(29)의 타단은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부재(29)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29)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다른 구성이 채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 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잭 연결구조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는 상기에서 언급된 제 1실시예와 소켓개폐부(43)의 형상 및 그에 따른 탄성부재(49)의 연결지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소켓개폐부(43)는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마개부(45)와 가이드부(47)로 구성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47)는 그 저면에서 내부로 소정길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47)에는 탄성부재(49)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고 소정깊이로 함몰된 지지부(47a)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47a)에 탄성부재(49)의 일단이 연결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49)는 그 일단이 상기 소켓개폐부(43)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소켓개폐부(43)에 연결된 것이 되어 상기 소켓개폐부(43)와의 연결이 보다 공고히 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개폐부(43)가 상기 잭(30)에 의해 잭 삽입공(41a)의 내주연을 따라 슬라이드될 때 상기 소켓개폐부(43)는 상기 탄성부재(49)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소켓개폐부(43)의 내부로 지지부(47a)가 성형됨으로써 상기 소켓개폐부(43)가 잭(30)에 의해 압력을 받는 부분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얇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상기 소켓개폐부(43)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47a)의 바닥면에 판재(47b)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판재(47b)는 상기 잭(30)에 의한 압력을 견디기 위한 것으로, 그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 나,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일 이렇게 판재(47b)가 상기 지지부(47a)에 장착된다면, 상기 탄성부재(49)는 상기 판재(47b)의 일면에 설치되게 될 것이다.
그 외의 다른 구성은 제 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잭 연결구조의 제 3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에서는 소켓개폐부(53)가 축선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소켓개폐부(53)의 연장길이는 잭(30)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잭 삽입공(51a) 내주연의 축선방향 길이에 대응한다. 다시 말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켓개폐부(53)와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이 마주보는 영역이 상기 소켓(21)과 잭(30)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소켓개폐부(53)는 상기 잭(30)이 상기 소켓(51)에 진입하여 상기 잭 삽입공(51a)의 내주연에 접촉되는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소켓개폐부(53)에 연결된 탄성부재(55)가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55)와 잭 삽입공(51a)의 내주연이 접촉되어 불필요한 전기적 흐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소켓개폐부(53)의 축선방향 길이를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 외의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잭 연결구조의 제 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의 특징은 소켓개폐부(63)의 상단에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소켓개폐부(63)는 상기 잭(30)을 소켓(61)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잭(30)으로 상기 소켓개폐부(63)를 누를 때 상기 잭(30)과 소켓개폐부(63)의 상단이 잘 맞물리도록 중심부가 함몰 형성된다. 이는 상기 소켓개폐부(63)의 상면이 평평하다면 상기 잭(30)을 소켓(61)에 삽입할 때 상기 잭(30)이 미끄러 지거나 상기 잭(30)과 소켓(61)의 중심이 정확히 맞추어 지지 않아, 상기 잭(30)이 소켓(61)의 입구에 걸려 진입이 방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소켓개폐부(63) 상면의 함몰되는 정도는 상기 잭(30)의 선단을 자연스럽게 상기 소켓개폐부(63)의 중심부로 유도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므로 약간만 패이는 정도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소켓개폐부(63)의 상단이 함몰되는 정도는 본 실시예의 예시된 정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의 작용을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제 1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되, 소켓개폐부의 상면은 제 4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면부호는 제 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것을 그대로 적용하기로 한다.
이어폰 잭(30)을 소켓(21)에 꽂기 위해서 먼저 상기 잭(30)의 선단을 소켓개폐부(27)의 상단에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소켓개폐부(27)의 상면은 중앙부가 소정깊이로 함몰되어 있으므로 상기 잭(30)의 중심이 잭 삽입공(21a)의 중심에 쉽게 일 치된다.
이 후 상기 잭(30)을 도 10a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잭 삽입공(21a)에 진입시키면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이러한 후진은 상기 소켓개폐부(27)의 후단에 연결된 탄성부재(29)를 압축하게 하여 상기 탄성부재(29)가 탄성력을 보유하게 한다. 그리고 소켓개폐부(27)의 후진시 상기 소켓개폐부(27)의 가이드부(27b)는 상기 잭 삽입공(21a)의 가이드홈부(23)에 의해 안내되므로 상기 소켓개폐부(27)는 뒤틀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소켓(21)의 내부로 진입한 잭(30)은 상기 소켓(21)에 끼워져 고정상태에 있게 되고 상기 잭(30)의 외주연은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과 휴대폰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므로 이어폰과 휴대폰 사이에 전기적 신호의 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어폰이 음향출력의 기능만 하게 된다면 상기 휴대폰에서 상기 이어폰쪽으로 일방적인 신호의 전달만이 있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기 이어폰에 마이크 기능도 추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휴대폰에서 이어폰으로 전달되는 신호와 더불어 마이크로 입력된 음향신호가 상기 휴대폰쪽으로 전달됨으로써 양방향 신호전달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잭(30)과 소켓(21)간 끼움결합의 결속력은 상기 소켓개폐부(27)가 상기 탄성부재(29)에 의해 받는 탄성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하다. 따라서 끼움결합된 잭(30)은 상기 탄성부재(29)에 의한 탄성력에 불구하고 상기 소켓(21)에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후, 도 10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잭(30)을 소켓(21)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잭(30)의 이동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켓개폐부(27)의 이동은 상기 탄성부재(29)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소켓개폐부(27)의 가이드부(27b)가 이때도 상기 가이드홈부(23)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상기 잭 삽입공(21a)의 내주연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된다.
그런데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탄성부재(29)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그 복귀의 신뢰성을 주기 위해 상기 탄성부재(29)는 상기 소켓개폐부(27)가 상기 소켓(21)의 외부로 돌출될 정도의 탄성력을 상기 소켓개폐부(27)에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잭 삽입공(21a)의 입구(21b)에 스토퍼면(25)이 구비되지 않는다면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잭 삽입공(21a) 외부로 돌출되므로 사용자는 소켓개폐부(27)를 잭 삽입공(21a)의 내부로 다시 밀어 넣어야 하고, 그러한 돌출은 휴대폰의 외관을 해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잭(30)이 소켓(21)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소켓개폐부(27)에 탄성부재(29)에 의한 탄성력이 가해지면, 상기 잭 삽입공(21a)의 입구(21b)를 통해서는 상기 소켓개폐부(27)의 마개부(27a)가 진입한다. 이때 상기 입구(21b)의 하단에는 상기 마개부(27a)의 진입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결된 경사면(25a)이 있어 상기 마개부(27a)가 상기 입구(21b)에 보다 쉽게 진입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마개부(27a)가 상기 입구(21b)에 진입하면 상기 소켓개폐부(27)의 가이드부(27b) 상면이 상기 가이드홈부(23)의 상면에 해당되는 상기 스토퍼면(25)에 접 촉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소켓개폐부(27)의 이동이 스토퍼면(25)에 의해 멈추어 지게 된다.
이때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소켓개폐부(27)의 후단에 연결된 탄성부재(29)에 의해 지속적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다. 따라서 상기 소켓개폐부(27)는 상기 스토퍼면(25)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입구(21b)를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소켓개폐부의 후단에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평상시에는 잭 삽입공의 입구를 차단하고 있다가, 잭의 진입시에는 상기 소켓개폐부가 잭 삽입공의 축선방향을 따라 밀려 상기 잭이 진입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잭 삽입공의 내부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마개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재료비용 및 작업공수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수축과 팽창에 의해 소켓개폐부가 소켓의 잭 삽입공을 차단하는 비교적 단순한 구성을 채용하여 탄성부재의 탄성이 보존되는 한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히 잭을 소켓에 꽂고 빼내는 동작만으로 소켓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차단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소켓개폐부의 상단은 중앙부가 함몰되어 잭과 잭 삽입공의 중심이 쉽게 맞추어짐으로써 잭을 소켓에 삽입하는 작업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잭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내부에 잭 삽입공이 형성되고 전자기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소켓과,
    상기 잭 삽입공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잭이 상기 소켓에 착탈될 때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잭 삽입공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소켓개폐부와,
    상기 소켓개폐부에 연결되어 상기 소켓개폐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상기 소켓개폐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잭 삽입공의 축선방향을 따라 그 내주연에 소정 길이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의 상단면은, 상기 소켓개폐부의 이동이 상기 잭 삽입공의 입구에서 종료되도록 상기 소켓개폐부의 일면에 대응하는 스토퍼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개폐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이 접촉되어 불필요한 전기흐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 이 상기 잭과 접촉되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개폐부는, 상기 잭 삽입공의 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노출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면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되고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을 따라 이동되는 마개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장착되게 내부로 함몰된 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잭에 의한 압력을 견디기 위한 판재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판재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는 상기 잭 삽입공의 내주연을 따라 하나 이상이 등각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홈부에 대응되게 상기 마개부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잭 삽입공의 입구와 스토퍼면이 만나는 모서리에는 상기 마개부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마개부의 진입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결되는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개폐부의 상단은 상기 잭을 소켓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잭으로 상기 소켓개폐부를 누를 때 상기 잭과 소켓개폐부가 맞물리도록 중심부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KR1020040090045A 2004-11-05 2004-11-05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KR20060040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045A KR20060040445A (ko) 2004-11-05 2004-11-05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045A KR20060040445A (ko) 2004-11-05 2004-11-05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445A true KR20060040445A (ko) 2006-05-10

Family

ID=3714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045A KR20060040445A (ko) 2004-11-05 2004-11-05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04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47B1 (ko) * 2008-06-18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이물질 유입방지용 파워아울렛 소켓
US10225941B2 (en) 2016-05-27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eal memb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47B1 (ko) * 2008-06-18 2010-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이물질 유입방지용 파워아울렛 소켓
US10225941B2 (en) 2016-05-27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eal member
US10645831B2 (en) 2016-05-27 2020-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 device with seal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122B1 (ko) 이동 통신 단자용 리드 및 이동 통신 단자
US7131871B1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US20050049016A1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US7885058B2 (en) Cover assembly
US7798828B2 (en) Cover assembly
KR20110081913A (ko) 이어플러그 인식을 위한 이어잭
CN110460704B (zh) 一种电子设备
KR100791760B1 (ko) 전자기기의 외부 접속단자 개폐장치
US7699659B2 (en) Surface contact card latching assembly
KR20060040445A (ko)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JP2001319727A (ja) ジャック防塵構造
EP1521336B1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JP4429147B2 (ja) 携帯情報端末用の蓋および携帯情報端末
KR20010098100A (ko) 삽입형 이어-마이크로폰
TW202004799A (zh) 按鍵防水結構
KR100613060B1 (ko) 회동 입출식 이어폰 연결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32004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200370688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보호장치
KR100856826B1 (ko) 헤드셋
KR1011554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접속구 자동개폐장치
KR200342552Y1 (ko) 가이드 홈과 접촉핀을 이용한 슬라이드 기구 및 그를이용한 휴대폰 단자 커버
KR200180595Y1 (ko) 휴대용 전화기의 개폐장치
KR1009764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접속구 개폐장치
KR200230329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100636520B1 (ko) 반자동 개폐구조의 잭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