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165A -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165A
KR20060040165A KR1020040089398A KR20040089398A KR20060040165A KR 20060040165 A KR20060040165 A KR 20060040165A KR 1020040089398 A KR1020040089398 A KR 1020040089398A KR 20040089398 A KR20040089398 A KR 20040089398A KR 20060040165 A KR20060040165 A KR 20060040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portable terminal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0165A/ko
Publication of KR2006004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되는 배터리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배터리 착탈시, 보조 전원을 통해 메모리의 데이터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착탈감지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른 배터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배터리 선택신호에 의해 전원이 출력 및 차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에 대응된 일정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력 변환수단과;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부팅여부에 따른 상태신호를 상기 감지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전력변환수단으로부터 일정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전력변환수단으로부터 일정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BATTERY DETECTION FUNCTION}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감지수단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5은 도 4의 제1 감지부의 진리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도 4의 제2 감지부의 진리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되는 배터리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배터리 착탈시, 보조 전원을 통해 메모리의 데이터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그 휴대용 단말기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배터 리에 의해 동작되어 음성 통화 및 해당 특정 모드를 실행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10)과, 그 시스템(1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시스템(10)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전력변환수단(11)은 상기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제어수단(13)과 메모리(15)의 일정 동작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수단(13)과 메모리(15)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수단(13)은 상기 전력변환수단(11)으로부터 일정레벨의 동작전압을 인가받아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15)에는 상기 전력변환수단(11)으로부터 일정레벨의 동작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제어수단(13)의 제어하에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5)는 비휘발성의 플래쉬 메모리와 휘발성의 에스디램(SDRAM)을 포함한다.
기능 모듈(17)은 상기 제어수단(13)의 제어하에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모드에 따른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20)는 일반적으로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 타입의 배터리를 사용하며, 그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외장형과 내장형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는 내장형보다는 외장형으로 제품을 양 산하는 추세이다. 이는 내장형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방전시 충전기가 없을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반면, 외장형 배터리는 방전된 배터리를 이탈시킨후, 충전된 여분의 배터리를 휴대용 단말기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외장형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순간적으로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에 의해, 동작중인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모드의 실행중인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없음으로 인해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분리될 때 전력변환수단에서 메모리로 공급되는 전원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플래쉬 메모리는 비휘발성이므로 전원이 없어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하지만, 에스디램의 경우 휘발성이므로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손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되는 배터리의 갑작스런 이탈 및 이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갑작스런 이탈 및 이격을 감지하여 보조전원을 메모리에 공급함으로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착탈감지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갑작스런 이탈 및 이격이 발생할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에 최소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 배터리 착탈감지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른 배터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배터리 선택신호에 의해 전원이 출력 및 차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에 대응된 일정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력 변환수단과;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부팅여부에 따른 상태신호를 상기 감지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전력변환수단으로부터 일정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전력변환수단으로부터 일정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배터리 착탈감지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 보호장치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휴대용 단말기(100)의 배면구조는 그 휴대용 단말기(1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가 장착된 후, 사용자가 원치 않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제2 스위치(SW1, SW2)를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스위치(SW1, SW2)를 조작하여 상기 배터리(20)를 착탈할 경우, 그 배터리(2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접촉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3, 제4 스위치(SW3, SW4)를 구비한다. 상기 제3, 제4 스위치(SW3, SW4)는 상기 제1, 제2 스위치(SW1, SW2)의 스위칭상태에 관계없이 스위칭된다. 이에, 사용자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된 배터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1~제4 스위치(SW1~SW4)를 구비했음에도 불구하고, 배터리(20)의 갑작스런 이탈이 발생했을때 상기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100)를 최소전력 변환모드로 진입시켜 보조 배터리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2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되어 그 휴 대용 단말기(1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감지수단(31)은 제어수단(13)으로부터 초기 부팅여부에 따른 프리셋(PRESET) 신호와 클리어(CLEAR)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터리(20)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2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휴대용 단말기(100)로 공급되게 제1 배터리 온신호를 상기 배터리(20) 및 제어수단(13)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31)은 상기 배터리(20)가 이탈되어 있는 경우, 보조 배터리(33)의 전원이 제어수단(13)과 메모리(15)에 인가되도록 제2 배터리 온신호를 상기 보조 배터리(33) 및 제어수단(13)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배터리 제어신호는 배터리 선택신호로서, 그 배터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31)의 동작과정은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프리셋(PRESET)과 클리어(CLEAR) 신호는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 부팅여부에 따른 상태신호가 된다.
전력변환수단(11)은 상기 감지수단(31)을 통해 감지된 결과에 따른 배터리(20) 또는 보조 배터리(33)의 전원을 인가받아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에 대응된 일정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은 제어수단(13)과 메모리(15)가 될 수 있다.
제어수단(13)은 상기 전력변환수단(11)으로부터 배터리(20) 또는 보조 배터리(33)의 전원이 일정 레벨 변환된 전원을 인가받아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3)은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 부팅시에 프리셋신호로 "L"과, 클리어 신호로 "H"를 상기 감지수단(31)으로 출력한다. 초기부팅 이 후에는 각각 "L"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13)은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 부팅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리셋기능을 포함한다.
메모리(15)는 상기 전력변환수단(11)으로부터 배터리(20)의 착탈여부에 따른 배터리 전원 또는 보조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데이터를 유지한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제1 감지수단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4에 인가전압(Vcc)은 배터리(20) 장착시에는 배터리 전원이 되며, 그 배터리(20) 이탈시에는 보조 배터리 전원이 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감지수단(31)은 제1 감지부(31A)와 제2 감지부(31B)로 구성되며, 이러한 상기 제1, 제2 감지부(31A, 31B)는 제1~제4 스위치(SW1~SW4), 앤드 게이트(AND gate)(31a, 31c, 31d), 인버터(inverter)(31b)와 오아 게이트(OR gate)(31e, 31f) 및 SR플립플롭(filp-flop)(31g)으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도 4의 (a)는 상기 제1 스위치(SW1)의 스위칭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을 일반 모드 또는 최소전력 모드로 변환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도 4의 (a)의 구성은 제1 스위치(SW1)를 통해 배터리(20) 이탈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가 미리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배터리 이탈시 보조전원을 인가하는 보조 배터리(33)가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의 전력소모를 감당하지 못하여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에스디램(SDRAM)의 메모리(15)가 연소될 가능성을 방지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도 4의 (a)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 4의 (b)는 배터리(20)의 착탈에 따라 제1 배터리 온신호 또는 제2 배터리 온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 이탈시에도 제어수단(13) 또는 메 모리(15)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도 4의 (b)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전술한 상기 도 4의 (a)의 제1 감지부(31A)는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진리표의 모드 A~모드D와 같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1 스위치(SW1)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스위치(SW1)는 단락상태가 되고, 상기 제1 스위치(SW1)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스위치(SW1)는 개방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위치(SW1)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는 것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배터리(20)가 이탈될 경우에 수행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상기 제1 스위치(SW1)의 스위칭 동작과 배터리(20)의 전원인가여부에 따라 변화되는 ⓐ지점의 전위(모드 A, 모드 C에서 "H", 모드 B, 모드 D에서 "L")를 입력받아 앤드 게이트(31a)는 논리곱 연산을 수행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시스템을 일반 모드 혹은 최소 전력모드로 변환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최소 전력모드로 변환되기 위해서는 상기 앤드게이트(31a)의 출력전위가 "L"로 되어야 한다. 상기 출력전위의 신호가 "L"인 경우를 최소 전력모드 변환신호라 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시스템은 최소 전력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치(31a)에 의해서만 최소 전력모드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제2 감지부(31B)의 동작에 따른 진리표를 나타낸 것으로, 모드(Mode)에 따라 6개(모드1~모드6)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경우의 수가 6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4개의 모드(모드 1과 모드 4~모드 6)로 동작됨을 인지해야 한다. 여 기서, 상기 도 6의 진리표에서 "↑"는 저전위 "L"에서 고전위 "H"로 상승하는 에지(edge)를 의미하고, "↓"는 고전위 "H"에서 저전위 "L"로 하강하는 에지를 의미하며, "X"는 입력신호에 무관함을 의미한다.
모드 1~모드 3은 배터리(20)가 장착되어 초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부팅하는 경우로서, 본 발명에서는 모드 1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를 부팅시킨다. 이때, ⓑ, ⓒ지점의 전위에 관계없이 상기 제2 감지부(31B)는 배터리(20)의 전원을 통해서 휴대용 단말기(20)가 동작된다. 상기 도 6에서는 배터리(20)의 전원을 인가하는 제1 배터리 온신호 출력시의 상기 ⓑ, ⓒ지점의 전위("H" 또는 "L")를 "X" 로 표시하였다. 이는 상기 ⓑ, ⓒ 지점의 전위에 관계없음을 의미한다.
우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배터리(29)가 장착되면, 제2~제4 스위치(SW2~SW4)는 단락상태가 된다. 그래서 ⓑ, ⓒ지점은 저전위 "L"이 된다. 그래서, 앤드게이트(31c)에는 "L"이 입력되어, 그 앤드게이트(31c)의 출력은 "L"이 된다.
또한, 상기 ⓑ지점의 "L"이 인버터(31d)에 의해 인버팅되어 앤드게이트(31d)의 입력중 하나로 "H"가 입력되더라도 앤드게이트(31d)의 출력은 "L"이 된다.
상기 앤드 게이트(31c, 31d)의 출력은 다음단의 오아게이트(31e, 31f)의 입력이 되는데, 이때, 참조부호 31e의 오아게이트에는 "L"만 입력됨으로써, "L"을 출력한다. 상기 오아게이트(31e)의 출력 "L"은 SR플립플롭(31g)의 S(set)로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오아게이트(31e)의 프리셋(PRESET)신호와 하기의 클리어(CLEAR)신호는 제어수단(13)으로부터 입력받는다.
그러나, 이때, 참조부호 31f의 오아게이트의 입력중 클리어(CLEAR)는 "H"가 되므로, 상기 오아게이트(31f)의 출력은 "H"가 되어 상기 SR플립플롭(31g)의 R(reset)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SR플립플롭(31g)의 출력 Q는 "L"이 되어 제1 보조 배터리 온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SR플립플롭(31g)의 나머지 하나의 출력인 Q'는 SR플립플롭 특성에 따라 상기 출력 Q의 반전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과정 모드 1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0)는 장착된 배터리(20)로부터 배터리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한다.
상술한 모드 1을 통해 초기 부팅후에는 제어수단(13)에서 출력되는 프리셋(PRESET) 신호와 클리어(CLEAR) 신호는 "L"가 된다.
이에, 상기 SR플립플롭의 출력 Q는 "L"이 출력되고, 그 출력 Q의 반전 신호인 Q'는 "H"가 출력된다. 이는 상기 SR플립플롭의 특성에 따라 이전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시스템 즉, 제어수단(13)과 메모리(15)에 인가되는 전원은 배터리(20)로부터 출력된다.
이후, 상기 제2 감지부(31B)는 상기 장착된 배터리(20)가 이탈되면, 다음과 같은 모드 4의 과정을 통해 보조 배터리(33)의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으로 인가하도록 제어한다.
우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장착된 배터리(20)가 이탈되면, 제2~제4 스위치(SW2~SW4)는 개방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제4 스위치(SW2~SW4)의 스위칭 동작은 시간적 차이를 가지며 발생하지만, 배터리 이탈을 감지하는데에는 이를 무시해도 가능하다. 그래서 ⓑ, ⓒ지점은 고전위 "H"가 된다. 그래서, 앤드게이 트(31c)의 입력이 "H"가 되어, 그 앤드게이트(31c)의 출력은 "H"가 된다. 여기서, 상기 ⓒ지점의 전위는 이전 "L"->"H"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점의 "H"가 인버터(31b)에 의해 인버팅되어 앤드게이트(31d)의 입력중 하나로 입력되므로, 상기 앤드게이트(31d)의 출력은 "L"이 된다.
상기 앤드 게이트(31c, 31d)의 출력은 각각 다음단의 오아게이트(31e, 31f)의 입력중 하나가 되는데, 이때, 참조부호 31e의 오아게이트에는 프리셋(PRESET) 신호의 "L"과 상기 앤드 게이트(31c)의 "H"가 입력됨으로써, "H"을 출력한다. 상기 오아게이트(31e)의 출력 "H"는 SR플립플롭(31g)의 S(set)로 입력된다.
그러나, 이때, 참조부호 31f의 오아게이트의 입력중 클리어(CLEAR) 신호는 "L"이 되므로, 상기 오아게이트(31f)의 출력은 "L"이 되어 상기 SR플립플롭(31g)의 R(reset)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SR플립플롭(31g)의 출력 Q는 "H"가 되고, 상기 SR플립플롭(31g)의 나머지 하나의 출력인 Q'는 "L"이 되므로, 제2 보조 배터리 온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상기한 모드 4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수단(13)과 메모리(15)는 보조 배터리(33)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최소 전력 변환모드로 동작중이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배터리(20)가 이탈 및 이격됨을 알게되면, 상기 배터리(20)를 장착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20)가 장착되면서 제2 감지부(31B)는 순차적으로 모드 5와 모드 6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모드 5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에 이탈된 배터리(20)가 재장착되 면, 제2~제4 스위치(SW2~SW4)는 단락상태가 된다. 그래서 ⓑ, ⓒ지점은 저전위 "L"이 된다. 그래서, 앤드게이트(31c)의 입력이 "L"이 되어, 그 앤드게이트(31c)의 출력은 "L"이 된다.
또한, 상기 ⓑ지점의 "L"이 인버터(31b)에 의해 "H"가 되어 앤드게이트(31d)의 입력중 하나로 입력되고, 상기 앤드 게이트(31d)의 나머지 입력으로 ⓒ지점의 "L"이 입력되므로, 상기 앤드게이트(31d)의 출력은 "L"이 된다.
상기 앤드 게이트(31c, 31d)의 출력은 각각 다음단의 오아게이트(31e, 31f)의 입력중 하나가 되는데, 이때, 참조부호 31e의 오아게이트에는 프리셋(PRESET) 신호의 "L"과 상기 앤드 게이트(31c)의 "L"이 입력됨으로써, "L"을 출력한다. 상기 오아게이트(31e)의 출력 "L"은 SR플립플롭(31g)의 S(set)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앤드 게이트(31d)의 출력 "L"도 다음단의 참조부호 31f인 오아게이트의 클리어(CLEAR) 신호와 함께 입력되어 "L"을 출력한다. 상기 오아게이트(31f)의 출력 "L"은 상기 SR플립플롭(31g)의 R(reset)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SR플립플롭(31g)의 특성에 따라 출력 Q는 이전상태(배터리가 이탈된 상태, Q값이 "H"인 상태)인 "H"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출력 Q와 ⓒ지점을 연결하는 다이오드(D)에 의해 상기 Q의 출력은 저전위인 "L"이 된다. 그리고, 상기 SR플립플롭(31g)의 출력 Q'는 "H"가 된다. 이에 의해, 모드 5에서는 제1 배터리 온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에 재장착된 배터리(20)에 의해 제어수단(13)과 메모리(15)는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후, 모드 6에서는 SR플립플롭(31g)의 S(set)과 R(reset) 입력값이 각각 "L"이 될때 이전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특성때문에 제1 배터리 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Q 출력이 "L"이기 때문에 다이오드는 도통상태가 되지 않는다. 이에, 상기 Q 출력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100)에 재장착된 배터리(20)에 의해 제어수단(13)과 메모리(15)는 배터리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받는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가 장착된 상황에서는 배터리 전원을 제어수단과 메모리에 인가하고, 배터리가 이탈 및 이격된 상태에서는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제어수단과 메모리에 인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갑작스런 이탈 및 이격을 감지하여 배터리의 이탈 및 이격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메모리 및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른 배터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배터리 선택신호에 의해 전원이 출력 및 차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또는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에 대응된 일정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력 변환수단과;
    휴대용 단말기의 초기부팅여부에 따른 상태신호를 상기 감지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전력변환수단으로부터 일정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전력변환수단으로부터 일정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배터리 이탈이전에 스위칭되어 최소 전력 모드 변환신호를 제어수단 또는 메모리로 출력하게 구성된 제1 감지부와;
    배터리 착탈여부에 따라 스위칭하고, 그 스위칭에 따른 감지신호를 논리연산하여 배터리 선택신호를 출력하게 구성된 제2 감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배터리 이탈시 단락상태가 되고, 배터리 장착시 개방상태가 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그 제1 스위치를 통해 출력되는 배터리 전원과 배터리 전원을 입력신호를 논리곱 연산하여 최소 전력모드 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배터리 착탈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2, 제3 스위치와;
    상기 배터리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단자의 접촉여부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4 스위치와;
    상기 제2, 제3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른 출력전위와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배터리 전원 또는 보조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는 제1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2, 제3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른 출력전위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전위와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른 출력전위를 입력받아 논리곱 연산하는 제2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 앤드게이트의 출력전위와 제어부로부터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논리 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1 오아게이트와;
    상기 제2 앤드게이트의 출력전위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태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2 오아게이트와;
    상기 제1 오아게이트의 출력전위를 셋(set)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제2 오아게이트의 출력전위를 리셋(reset)신호로 입력받아 에스알 래치하여 배터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SR플립플롭과;
    상기 SR플립플롭의 출력신호가 고전위이고, 상기 제4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배터리 전원 또는 보조 배터리 전원이 저전위일때 상기 SR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저전위로 다운시키는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신호는,
    휴대용 단말기 초기 부팅시 , 제1 오아게이트에 저전위(L)로 입력되고, 제2 오아게이트에 고전위(H)로 입력되고,
    상기 초기 부팅이후, 상기 제1 오아게이트에 저전위로 입력되고, 상기 제2 오아게이트에 고전위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선택신호는,
    제어부와 메모리에 배터리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1 배터리 온신호와,
    상기 제어부와 메모리에 보조 배터리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2 배터리 온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89398A 2004-11-04 2004-11-04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40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398A KR20060040165A (ko) 2004-11-04 2004-11-04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398A KR20060040165A (ko) 2004-11-04 2004-11-04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165A true KR20060040165A (ko) 2006-05-10

Family

ID=3714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398A KR20060040165A (ko) 2004-11-04 2004-11-04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0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2090A1 (en) 2008-03-13 2009-09-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removal det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2090A1 (en) 2008-03-13 2009-09-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removal detection
US7755321B2 (en) 2008-03-13 2010-07-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removal detection
CN101960725B (zh) * 2008-03-13 2013-08-14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电池移出检测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2919B2 (ja) バッテリタイプ自動感知装置
KR100395131B1 (ko) 스마트 배터리의 실제 잔류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US7535196B2 (en) Power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for cellular phone having main battery and attachable battery
RU2204204C2 (ru) Блок источника питания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телефона
US2009002701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through discernment of charging cable
CN101795202A (zh) 路由器装置
WO2021017147A1 (zh) 一种无线耳机串口控制方法、装置及无线耳机和存储介质
US20110126031A1 (en) Vehicle-mounted multimedia apparatus and a method of powering the same
KR100498047B1 (ko)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CN117458668B (zh) 电池保护电路、电池保护板及电子设备
JP3224026B2 (ja) 電源強制遮断機能つきコンピュータ
US95155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for mobile device
US7679326B2 (en) Computer with multiple removable battery packs
KR20060040165A (ko) 배터리 착탈감지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060178171A1 (en) Audio/charging module and electronic system and porable electronic device thereof
US7026790B2 (en) Built-in battery controller for personal telecommunication device
JPH11212683A (ja) テーブルタップ
JPH09312938A (ja) 電子機器の電源制御回路
TWI692165B (zh) 電池供電系統及其方法
KR2005000078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호스트/슬레이브 설정 장치
KR20060136238A (ko) 복수개 배터리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의복수개 배터리 절환 제어 방법
EP4354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control between battery packs
JPH09128114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適用するカード方式の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101428763B1 (ko) 듀얼 배터리가 장착된 태블릿 피시 및 제어방법
KR950012060B1 (ko) 노트북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