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341A -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341A
KR20060039341A KR1020040088485A KR20040088485A KR20060039341A KR 20060039341 A KR20060039341 A KR 20060039341A KR 1020040088485 A KR1020040088485 A KR 1020040088485A KR 20040088485 A KR20040088485 A KR 20040088485A KR 20060039341 A KR20060039341 A KR 20060039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an
air supply
exhaus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8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341A/ko
Publication of KR2006003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2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 F04D17/04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of transverse-f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측에 장방형의 급기흡입구와 배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급기흡입구와 배기배출구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급기흡입구를 통해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 형태의 급기팬; 및 상기 배기배출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 형태의 배기팬을 포함한다.
폐열회수, 환기장치, 열교환기, 팬, 급기, 배기

Description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Ventilation apparatus for waste heat recovery in window-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가 창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덕트 10: 열교환기
10a: 열교환 소통로 11: 급기흡입구
15: 급기팬 21: 배기배출구
25: 배기팬
본 발명은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 내부에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실외로 안내되는 실내공기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면서 열교환하는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열교환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건물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장치이다.
이러한 환기장치의 경우 박스형태의 본체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가 구비되고, 격벽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급기덕트의 급기흡입구 측에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급기팬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덕트의 배기배출구 측에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배기팬이 구비된다.
그리고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가 구비된다.
하지만, 종래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열교환기의 경우 신축건물이 아닌 경우에는 주로 벽을 뚫거나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장착이 매우 어렵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 내부의 급기통로 및 배기통로인 열교환 소통로가 직선형태의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의 열교환 단면적이 적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시간도 짧아 전체적으로 열교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축건물 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경우에도 벽을 뚫지 않더라도 창문에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열교환 소통로의 구조를 변형하여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서의 열교환 단면적을 최대화시키고 열교환기 내부를 통과하는 시간을 증대시켜 열교환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후측에 장방형의 급기흡입구와 배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급기흡입구와 배기배출구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급기흡입구를 통해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 형태의 급기팬; 및 상기 배기배출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 형태의 배기팬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소통로의 형태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열교환 소통로를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져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열교환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가 창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 열교환기(10), 급기팬(15), 배기팬(25)을 포함한다.
본체(1)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상하로 길쭉한 형태로서, 창문틀(2)에 창문(3)과 유사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본체의 상하단에는 창문틀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다양한 형태의 고정구조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체(1)의 전후측에는 각각 내부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급기흡입구(11)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흡입구(11)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배출구(21)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급기흡입구(11) 및 배기배출구(21)의 형태도 길쭉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급기팬과 배기팬으로 인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열교환기(10)는 상기 급기흡입구(11)와 배기배출구(21)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한다.
급기팬(15)은 본체(1) 내부의 급기흡입구(11)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한다. 본 발명의 급기팬(15)은 종전과 달리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cross flower fan)을 장착한다. 이는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형상이 길쭉한 직사각형인 것을 고려한 것이다.
배기팬(25)은 본체(1) 내부의 배기배출구(21)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한다. 본 발명의 배기팬(25)은 상기 급기팬(15)과 동일하게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을 장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교환기(10)의 열교환 소통로(10a)의 형태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열교환 소통로(10a)를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져 열교환 성능이 향상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열교환기(10)는 표면에 열교환 소통로(10a)가 형성되는데, 상기 열교환 소통로(10a)는 일정한 파형 형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열교환 면적을 확대하여 열교환 성능을 증대시킨다. 즉, 종래 직선형으로 형성된 열교환 소통로(10a)에 비해 일정한 파형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열교환 소통로(10a)를 통과하는 체류시간이 상당히 증가되며, 이에 따라 열교환기(10)의 열교환 성능은 크게 향상된다.
이 때, 급기흡입구(11)와 배기배출구(21)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본체(1)의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3)에 의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 내부에 급기팬(15)과 배기팬(25)으로서 크로스 플로워 팬이 장착됨으로써, 장방형의 길쭉한 형상의 본체(1)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상기 장방형의 급기팬(15) 및 배기팬(25)에 대응하도록 본체(1)의 전후측에 형성된 장방 형의 급기흡입구(11)와 배기배출구(21)가 형성된다.
한편, 실내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모터(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인 급기팬(15)과 배기팬(25)을 각각 회전시키게 되고, 이후 배기팬(25)에 의해 실내공기가 본체(1) 전측의 배기배출구(21)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10)의 배기측 열교환 소통로(10a)를 지나 본체(1) 후측의 배기배출구(2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급기팬(15)에 의해 신선한 실외공기가 급기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10)의 급기측 열교환 소통로(10a)를 지나 급기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 소통로(10a)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는 유선형으로 형성된 상기 열교환 소통로(10a)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 소통로(10a) 상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열교환 면적도 확대된다. 즉, 상기 열교환기(10) 내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면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간의 열교환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신축건물 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경우에도 벽을 뚫지 않더라도 창문에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열교환 소통로의 구조를 변형하여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서 열교환 단면적을 최대화시키고 열교환기 내부를 통과하는 시간을 증대시켜 열교환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전후측에 장방형의 급기흡입구와 배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의 상기 급기흡입구와 배기배출구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급기흡입구를 통해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 형태의 급기팬;
    상기 배기배출구를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장방형의 크로스 플로워 팬 형태의 배기팬을 포함하는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의 열교환 소통로의 형태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상기 열교환 소통로를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져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0040088485A 2004-11-02 2004-11-02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60039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85A KR20060039341A (ko) 2004-11-02 2004-11-02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85A KR20060039341A (ko) 2004-11-02 2004-11-02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341A true KR20060039341A (ko) 2006-05-08

Family

ID=3714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485A KR20060039341A (ko) 2004-11-02 2004-11-02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5937A (zh) * 2017-05-28 2018-06-01 袁功峰 环窗框热回收式新风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5937A (zh) * 2017-05-28 2018-06-01 袁功峰 环窗框热回收式新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88B1 (ko) 박형 환기장치
CN103261803B (zh) 浴室干燥机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US20050287945A1 (en) Ventilating system
RU2531735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
JP2006046731A (ja) 換気システムと住宅構造
KR20060039341A (ko) 창문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KR20070047107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60124961A (ko) 공기조화기의 베인 회동 장치
KR200436421Y1 (ko) 건물 지붕용 환기장치
KR100321113B1 (ko) 공기청정기
KR20200068438A (ko) 실내 하류공기를 배기하는 창문형 열교환 공기정화 시스템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KR20060013964A (ko) 단일모터형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541475B1 (ko) 전열교환기
KR102548326B1 (ko) 전열교환기
KR100577253B1 (ko) 환기시스템
KR102505742B1 (ko) 전열교환기
KR102541476B1 (ko) 전열교환기
KR102280520B1 (ko)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JP4603830B2 (ja) 換気機構付構造体
KR1004327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유동구조
KR101138478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353940Y1 (ko) 공기 순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