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052A - 와이어통 밴드 - Google Patents

와이어통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052A
KR20060039052A KR1020040088084A KR20040088084A KR20060039052A KR 20060039052 A KR20060039052 A KR 20060039052A KR 1020040088084 A KR1020040088084 A KR 1020040088084A KR 20040088084 A KR20040088084 A KR 20040088084A KR 20060039052 A KR20060039052 A KR 20060039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astening
power line
work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950B1 (ko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양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성 filed Critical 양희성
Priority to KR102004008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9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활용되는 와이어통을 완금상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고 장선기를 이용하여 취부된 와이어통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통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완금을 그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일측면을 잠금처리하여 완금상에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마련된 완금체결부와; 그 내측에 와이어통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수용된 와이어통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상에 잠금부재가 마련된 와이어통 체결부와; 완금체결부에 와이어통 체결부를 회동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완금체결부의 측면에 톱니환이 형성되고, 톱니환 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와이어통 체결부에 고정설치되는 회동축 및, 톱니환의 톱니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와이어통 체결부를 소정각 회동시킨 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통체결부상에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걸쇠가 마련된 회동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통을 완금상에 용이하게 취부시킬 수 있고, 취부된 와이어통을 통상의 장선기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간단히 들어 올릴 수 있으며, 취부된 와이어통을 완금상에서 소정각 회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어, 이 와이어통 상단에 전력선이 취부된 경우 전력선 이선작업 및/또는 애자 교체작업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된다. 또한, 완금에 직접설치되고, 일측 완금에 설치하더라도 취부된 와이어통을 양방향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와이어통을 이용한 각종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와이어통, 와이어통 밴드, 장선기, 전력선 이선작업, 작업공간 확보

Description

와이어통 밴드{BAND OF WIRE-PO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접속고리부 및 체결고리부, 그리고 일부 단면을 보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금 10: 와이어통
11: 고리부
20: 완금 체결부 21: 체결부재
21a: 볼트부재
21b: 너트부재 22: 수용홈
30: 와이어통 체결부 31: 잠금부재
31a: 볼트 31b: 너트
32: 수용부 33: 힌지부
34: 수용공간 35,53: 체결돌기
40: 또다른 와이어통 50: 접속부재
51: 고리형볼트 52: 톱니부
52a: 톱니부 톱니
60: 접속고리부 61: 이음부재
62: 개폐용 힌지
70: 체결고리부 71: 수용공간부
72: 개폐힌지부 73: 결속구
73a: 결속볼트 73b: 결속너트
80: 회동부
81: 톱니환 81a: 톱니환 톱니
82: 회동축 83: 톱니환 체결너트
90: 걸쇠
91: 스프링 92: 핀
93: 조작편
100: 장선기 101: 갈고리부
102: 핸들 103: 인장부
110: 잠금구
120: 스토퍼 121: 스프링부재
122: 구속핀 123: 조작봉
본 발명은 와이어통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활용되는 와이어통을 완금상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고 장선기를 이용하여 취부된 와이어통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통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또는 애자를 교체할 경우 기존 전력선을 이선시키게되며, 이러한 전력선 이선작업시 전력선을 임시 지지하기 위한 이선기구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전력선 이선기구는 완금 하단 전주상에 설치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 전력선 이선기구는 완금과 완금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완금에 기 설치된 피뢰기 등과 인접하여 설치되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공간이 협소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주상에 2단 완금이 설치된 경우 완금과 완금 사이에 전력선 이선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력선 교체작업시 전력선 이선작업이 선행되는 바, 종래 전력선 이선기구는 완금과 완금 사이에 설치하여 하나의 전력선만을 이선시켜 둘 수 있고, 그에 따라 하나의 전력선에 대한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다시금 전력선 이선기구의 위치를 조종하여 타 전력선을 이선시킨 후 전력선 교체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고비용 저효율의 공사를 실시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활용되는 와이어통을 완금상에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고, 장선기를 이용하여 취부된 와이어통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와이어통을 이용한 각종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통 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통을 완금상에 취부시킬 수 있도록 된 와이어통 밴드에 있어서, 완금을 그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면을 잠금처리하여 완금상에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마련된 완금체결부와; 그 내측에 와이어통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수용된 와이어통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상에 잠금부재가 마련된 와이어통 체결부와; 완금체결부에 와이어통 체결부를 회동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완금체결부의 측면에 톱니환이 형성되고, 톱니환 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와이어통 체결부에 고정설치되는 회동축 및, 톱니환의 톱니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와이어통 체결부를 소정각 회동시킨 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통 체결부상에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걸쇠가 마련된 회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와이어통 체결부는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또다른 와이어통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그 전면부에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단차진 내측 외주면상에 톱니부가 형성된 접속부재와, 접속부재의 단차진 양단 외주면상에 장착되되 톱니부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그 회동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스토퍼가 마련된 접속고리부 및, 체결고리부의 외주면상에 취부되고 그 내측에 또다른 와이어통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수용된 또다른 와이어통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상에 체결구가 마련된 와이어통 체결고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속부재와 와이어통 체결부는 상호 견고히 체결되도록 그 접촉면상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와이어통 체결부는 그 수용부에 내재된 와이어통을 장선기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소정부위에 장선기의 일측단을 걸기 위한 체결고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체결부재는 개방된 상기 일측면을 잠금처리할 수 있도록 개방면 일측단에 힌지결합된 볼트부재와, 개방면 타측 하단에 볼트부재를 내재시키기 위한 수용홈을 형성하여 외측에서 볼트부재와 체결되는 너트부재가 더 구비되고; 잠금부재는 와이어통 체결부에 내재된 와이어통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 일측에 힌지결합된 볼트와, 개폐면 타측에 볼트를 내재시켜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여 외측에서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접속고리부 및 체결고리부, 그리고 일부 단면을 보인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사용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는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통(10)을 완금(1)상에 용이하게 취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크게 완금체결부(20)와, 와이어통 체결부(30)가 구비되고, 또다른 와이어통(40)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접속부재(50) 및 접속고리부(60), 체결고리부(70)가 더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완금체결부(20)는 완금(1)에 직접 장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면을 잠금처리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21)가 마련된다.
즉, 완금체결부(20)는 완금(1)을 그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대략 사각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일측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방이 개방된다. 또한 개방된 하방을 잠금처리할 수 있도록 일측벽 하단에 힌지결합된 볼트부재(21a)와, 타측벽 하단에 볼트부재(21a)를 내재시키기 위한 수용홈(22)을 형성하여 외측에서 볼트부재(21a)와 체결되는 너트부재(21b)로 이루어진 체결부재(2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볼트부재(21a)를 회동시켜 타측벽 하단에 형성된 수용홈(22)에 내재시킨 후 외측에서 타측벽을 사이에 두고 너트부재(21b)를 체결하면, 개방된 하 방은 잠금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완금체결부(20)는 완금(1)상에 고정 장착되게된다.
더불어, 타측단 상단이 힌지부재(23)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너트부재(21b) 체결시(조임시) 타측단이 완금(1)에 더욱 밀착됨으로써, 완금(1)에 완금체결부(20)를 보다 견고히 고정 장착시킬 수 있게된다.
다음, 와이어통 체결부(30)는 와이어통(10)을 완금(1)상에 취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와이어통 체결부(30)는 완금체결부(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측에 와이어통(10)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34)이 마련되되 개폐가능하도록 힌지부(33)가 구비되고 수용된 와이어통(10)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상에 잠금부재(31)가 마련된다.
즉, 와이어통 체결부(30)는 그 내측에 와이어통(10)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상의 수용공간(34)이 힌지부(33)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이 수용공간(34)을 잠금처리하여 내재된 와이어통(10)을 결속,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 개폐면에 힌지결합된 볼트(31a)와, 타측 개폐면에 볼트(31a)를 내재시키기 위한 수용부(32) 및, 외측에서 볼트(31a)와 체결되는 너트(31b)로 이루어진 잠금부재(3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볼트(31a)를 회동시켜 타측 개폐면에 형성된 수용부(32)에 내재시킨 후 수용부(32)를 사이에 두고 외측에서 너트(31b)를 체결하면(조이면), 와이어통 체결부(30)의 수용공간(34)이 점차 좁혀지고, 그에 따라 내재된 와이어통(10)은 와이어통 체결부(30)상에 결속, 장착되게된다.
한편, 와이어통 체결부(30)는 그 자체를 소정각 회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완금체결부(20)에 장착되는 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금체결부(20)에 와이어통 체결부(30)를 회동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완금체결부(20) 측면에 톱니환(81)이 형성되고, 톱니환(81) 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와이어통 체결부(30)에 고정설치되는 회동축(82) 및, 톱니환(81)의 톱니(81a)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와이어통 체결부(30)를 소정각 회동시킨 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통 체결부(30)상에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걸쇠(90)가 마련된 회동부(80)가 구비된다.
즉, 와이어통 체결부(30)에 일측단이 고정설치된 회동축(82)이 톱니환(81)을 관통하여 축설되고, 그 타측단이 회동축 체결너트(83)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와이어통 체결부(30)는 완금체결부(20)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완금체결부(20)와 접하는 와이어통 체결부(30)상에 스프링(91)에 의해 탄지되어 톱니환 톱니(81a)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와이어통 체결부(30)의 회동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핀(92)과, 이 핀(92)을 후퇴시켜 톱니환 톱니(81a)와의 구속을 해제시킴으로써 와이어통 체결부(3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작편(93)으로 이루어진 걸쇠(90)가 마련된다.
따라서 완금체결부(20)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와이어통 체결부(30)를 소정각 회동시킨 후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걸쇠(90)를 조작하여 탄지된 핀(92)을 후퇴시키면 톱니환 톱니(81a)와의 구속이 해제되어 와이어통 체결부(30)를 회동시킬 수 있게되고, 걸쇠(90)를 놓으면 탄지된 핀(92)이 스프링(91)에 의해 전진하여 톱니환 톱니(81a)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와이어통 체결부(30)의 회동각을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다음, 도 5는 또 다른 와이어통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된 접속고리부(60) 및 체결고리부(70)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와이어통 체결부(3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접속부재(50)에 체결된다.
먼저, 접속부재(50)는 전술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에 고리(51a)가 형성된 볼트(51;이하, 고리형 볼트라한다)에 의해 관통되어 와이어통 체결부(30)의 전면부에 체결되고, 단차진 내측 외주면상에 톱니부(52)가 형성된다. 또한, 고리형 볼트(51)에 의한 체결시 와이어통 체결부(30)에 보다 견고히 결속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통 체결부(30)의 접촉면과 접속부재(50)의 접촉면상에는 상호 끼움 결합되는 체결돌기(35,53)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접속고리부(60)와 체결고리부(70)는 이음부재(61)에 의해 일체로 조립되고, 이 상태에서 접속고리부(60)가 접속부재(5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고리부(60)는 접속부재(70)의 단차진 외측 외주면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폐용 힌지(62)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접속부재(50)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상에 잠금처리를 위한 잠금구(110)가 마련된다. 또한, 접속고리부(60)는 접속부재(50)상에서 소정각 회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스토퍼(1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스토퍼(120)는 접속고리부(60)상에 스프링부재(121)에 의해 탄지되어 톱니부 톱니(52a)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접속고리부(60)의 회동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구속핀(122)과, 이 구속핀(122)을 후퇴시켜 톱니부 톱니(52a)와의 구속을 해제시킴으로써 접속고리부(6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작봉(12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접속부재(50)상에 결속된 접속고리부(60)를 소정각 회동시킨 후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잠금구(110)를 일부분 풀어 접속고리부(60)가 접속부재(50)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하고, 스토퍼(120)를 조작하여 탄지된 구속핀(122)을 후퇴시키면 톱니부 톱니(52a)와의 구속이 해제되어 접속고리부(60)를 회동시킬 수 있게된다. 이후, 스토퍼(120)를 놓으면 탄지된 구속핀(122)이 스프링부재(121)에 의해 전진하여 톱니부 톱니(52a)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접속부재(50)상에서 접속고리부(60)의 회동각을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체결고리부(70)는 이음부재(61)에 의해 접속고리부(60)에 일체로 설치되는 바, 접속고리부(60)가 접속부재(50)상에서 소정각 회동함에 따라 체결고리부(70) 역시 회동하게되고, 그에 따라 체결고리부(70)에 체결된 또다른 와이어통(40)도 접속고리부(60)의 회동각 만큼 회동하게된다.
그리고 체결고리부(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또다른 와이어통(40)을 완금(1)상에 취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또다른 와이어통(40)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71)가 마련되되 개폐가능하도록 개폐힌지부(72)가 구비되고, 수용된 또다른 와이어통(40)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상에 결속구(73)가 마련된다.
즉, 체결고리부(70)는 그 내측에 또다른 와이어통(40)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대략 원통형상의 수용공간부(71)가 개폐힌지부(72)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이 수용공간부(71)를 잠금처리하여 내재된 또다른 와이어통(40)을 결속,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 개폐면에 힌지결합된 결속볼트(73a)와, 타측 개폐면에 결속볼트(73a)를 내재시키기 위한 수용부(74) 및, 외측에서 결속볼트(73a)와 체결되는 결속너트(73b)로 이루어진 결속구(73)가 구비된다.
따라서 체결고리부(70)에 또다른 와이어통을 내재시킨 후 결속볼트(73a)에 결속너트(73b)를 체결시켜 조일 경우, 또다른 와이어통(40)은 체결고리부(70)에 의해 결속됨으로써 완금(1)상에 취부되게된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통 밴드의 사용 예로서, 통상의 장선기를 이용하여 와이어통 체결부에 취부된 와이어통(10)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와이어통 체결부(30) 측면 소정부위에 장선기(100)의 갈고리부(101)를 걸 수 있도록 체결고리(24)가 형성되고, 장선기(100)의 핸들(102)을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조작함에 따라 그 길이가 짧아지는 인장부(103)를 체결할 수 있도록 와이어통(10) 하단부에 고리부(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래칫구조를 갖는 장선기(100)의 핸들(102)을 반복하여 조작할 경우 인장부(103)가 짧아짐에 따라 와이어통(10)은 와이어통 체결부(30)로부터 그 만큼 상승하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통을 완금상에 용이하게 취부시킬 수 있고, 취부된 와이어통을 통 상의 장선기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간단히 들어 올릴 수 있으며, 취부된 와이어통을 완금상에서 소정각 회동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어, 이 와이어통 상단에 전력선이 취부된 경우 전력선 이선작업 및/또는 애자 교체작업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된다.
또한, 완금에 직접설치되고, 일측 완금에 설치하더라도 취부된 와이어통을 양방향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그에 따라 직접작업방식이나 간접작업방식 하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와이어통을 완금상에 취부시킬 수 있도록 된 와이어통 밴드에 있어서,
    상기 완금을 그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일측면을 잠금처리하여 상기 완금상에 장착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가 마련된 완금체결부와;
    그 내측에 상기 와이어통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수용된 상기 와이어통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상에 잠금부재가 마련된 와이어통 체결부와;
    상기 완금체결부에 상기 와이어통 체결부를 회동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완금체결부의 측면에 톱니환이 형성되고, 상기 톱니환 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상기 와이어통 체결부에 고정설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톱니환의 톱니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상기 와이어통 체결부를 소정각 회동시킨 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통 체결부상에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걸쇠가 마련된 회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통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통 체결부는 전력선 이선작업 등에 사용되는 또다른 와이어통을 취부시킬 수 있도록 그 전면부에 관통되는 고리형 볼트에 의해 체결되고 단차진 내 측 외주면상에 톱니부가 형성된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의 단차진 양단 외주면상에 장착되되 상기 톱니부의 톱니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그 회동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진퇴가능하게 탄지된 스토퍼가 마련된 접속고리부 및, 상기 접속고리부의 외주면상에 이음 설치되고 그 내측에 상기 또다른 와이어통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고 수용된 상기 또다른 와이어통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상에 결속구가 마련된 체결고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통 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와 상기 와이어통 체결부는 상호 견고히 체결되도록 그 접촉면상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통 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통 체결부는 수용된 상기 와이어통을 장선기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그 측면 소정부위에 장선기의 고리부를 걸기 위한 체결고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통 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개방면을 잠금처리할 수 있도록 개방면 일측단에 힌지결합된 볼트부재와, 개방면 타측 하단에 상기 볼트부재를 내재시키기 위한 수용홈을 형 성하여 외측에서 상기 볼트부재와 체결되는 너트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와이어통 체결부에 내재된 상기 와이어통을 결속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폐면 일측에 힌지결합된 볼트와, 개폐면 타측에 상기 볼트를 내재시켜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여 외측에서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통 밴드.
KR1020040088084A 2004-11-02 2004-11-02 와이어통 밴드 KR10060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084A KR100609950B1 (ko) 2004-11-02 2004-11-02 와이어통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084A KR100609950B1 (ko) 2004-11-02 2004-11-02 와이어통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052A true KR20060039052A (ko) 2006-05-08
KR100609950B1 KR100609950B1 (ko) 2006-08-09

Family

ID=3714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084A KR100609950B1 (ko) 2004-11-02 2004-11-02 와이어통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9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522B1 (ko) * 2007-08-21 2009-10-01 양희성 전선 이선용 밴드
KR100946425B1 (ko) * 2007-10-18 2010-03-10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CN106015871A (zh) * 2016-07-12 2016-10-12 佛山市联智新创科技有限公司 一种通讯线缆支撑杆的升高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9385B (zh) * 2016-04-27 2019-07-19 南通市多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通讯电缆支撑杆路的增高装置
CN105759386B (zh) * 2016-04-27 2019-08-02 上海爱谱华顿电子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通讯电缆支撑杆路的增高支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522B1 (ko) * 2007-08-21 2009-10-01 양희성 전선 이선용 밴드
KR100946425B1 (ko) * 2007-10-18 2010-03-10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CN106015871A (zh) * 2016-07-12 2016-10-12 佛山市联智新创科技有限公司 一种通讯线缆支撑杆的升高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950B1 (ko) 200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7598B1 (en) Portable lifting and transferring techniques
US20110111929A1 (en) Combination kettle bell and dumbbell
US20030015230A1 (en) Umbrella shaft, and umbrella having such an umbrella shaft
WO2007033535A1 (fr) Trepier pour camera
JP4268745B2 (ja) 電線絶縁保護管の端末固定具
JP2003011733A (ja) クロスバー用の調節自在クランプ
KR100609950B1 (ko) 와이어통 밴드
JP4285729B2 (ja) ロック機構付き締付装置
KR20090039398A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JP2006290030A (ja) 建設機械用サイドミラー支持装置
US11118655B2 (en) Assembling structure for timely and securely locking and releasing a rope
KR100865477B1 (ko) 와이어통 체결장치
KR100925068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JP4181704B2 (ja) 施錠装置
KR100609951B1 (ko) 와이어통 밴드를 이용한 전선이선 교체 가선기구
KR100919522B1 (ko) 전선 이선용 밴드
FI110931B (fi) Kiinnityskoukku
KR100896915B1 (ko) 훅크의 안전장치
KR20120080505A (ko) 크레인 후크의 안전 고리 장치
JP3593056B2 (ja) 吊具
JP4227774B2 (ja) 天蓋開閉装置付コンテナ
JP2010229724A (ja) 盗難防止用施錠具
JP6933877B1 (ja) 開閉式拘束具
KR200301903Y1 (ko) 잠금장치
KR20120047158A (ko) 차량용 캡 틸팅 스테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