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925A - 저 오버헤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저 오버헤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925A
KR20060036925A KR1020057023801A KR20057023801A KR20060036925A KR 20060036925 A KR20060036925 A KR 20060036925A KR 1020057023801 A KR1020057023801 A KR 1020057023801A KR 20057023801 A KR20057023801 A KR 20057023801A KR 20060036925 A KR20060036925 A KR 20060036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machine
hatch
elevato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오 페르난도 델
호세 카날레스
안드레스 몬존
줄리안 카바나스
호세 카발레로
레안드레 아디폰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5702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6925A/ko
Publication of KR2006003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및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용 구동 장치는 평형추(24) 및 엘리베이터 카(22) 모두와 합체된 편향 도르레들(23, 25)에 평행한 축을 따라 연장하는 구동 도르레(27)를 갖는 기계를 병합한다. 이런 방식으로, 종래 기술에 발생해 왔던 꼬임은 감소되거나 소멸된다. 상기 기계는 안내 레일들 사이의 받침대(18) 상에 장착된다. 엘리베이터 카는 외팔보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안내 레일의 측방향 외부면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는 기계의 수직 방향 상방향 위로 경유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무 기계실, 구동 장치, 편향 도르레, 구동 도르레

Description

저 오버헤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 구조 {LOW OVERHEAD MACHINE ROOMLESS ELEVATOR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기계 및 합체 도르래의 특정 배치, 및 매우 낮은 오버헤드 공간의 필요에 기인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특정 장착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통상 엘리베이터 승강구 내에서의 수직 이동을 위해 안내되는 카를 포함한다. 통상, 기계는 엘리베이터 카 및 연결된 평형추를 연결하고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도르래들 주위의 로프 또는 벨트를 구동한다. 역사적으로, 상기 기계는 엘리베이터 승강구 위의 룸(room) 내에 장착된다. 따라서, 승강구 위에 바람직하지 않은, 많은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다.
보다 최근에는, 소위 "무 기계실(machine roomless)" 엘리베이터가 설계되어 왔다. 이런 구조에서, 상기 기계는 엘리베이터 승강구 내의 작은 공간에 합체된다. 분리실(separate room)이 필요하지 않았다.
통상, 공지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 상기 기계와 합체된 구동 도르레에 대해 비평행한 도르레를 포함한다. 이런 비평행한 구조는 통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작은 밀봉 공간 내에서 여러 도르레들 위로 벨트 또는 로프를 통과시킬 필요가 있다.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가 보다 널리 이용되는 동안, 비평행 한 도르레들은 때때로 로프 또는 벨트의 꼬임에 기인하는 귀찮은 문제들이 있다. 이런 벨트의 꼬임은 전통적인 로프 또는 벨트에서보다 한층 더 손실이 크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장착의 일 유형은 외팔보식 장착이다. 외팔보식 장착에서, 상기 카는 일측에서 구조물을 안내하도록 장착된다. 외팔보식 장착은 통상 안내 레일 사이에 측방향으로 있는 장착 구조물을 거쳐 안내 레일 상에 장착되어 왔다. 보다 최근에는, 안내 레일의 측방향 외측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장착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에서, 기계는 엘리베이터의 받침대(bedplate)에, 그리고 안내 레일 사이에 장착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는 소위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이다. 상기 기계와 합체된 구동 도르레를 따르는 카와 평형추 모두와 합체된 편향 도르레는, 모두 평행축을 따라 연장한다. 이로 인해, 꼬임의 가능성은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매우 얇은 벨트 등의 보다 근대적인 구동 연결부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명세서와, 다음과 같이 간단히 기술되는 도면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1은 경로의 중간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도1의 엘리베이터 카용 안내 및 구동 구조물의 상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4-4를 대략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5는 수직 방향으로 최상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 카를 도시한 것이다.
엘리베이터(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를 따라 상하로 수직 이동 가능한 카(22)를 갖는다. 편향 도르레(23)는 안내 로프(21)를 수용하고 카(22)를 상하로 수직 이동시키기 위해 장착된다. 로프(21)는 그 단부 각각에서 받침대(18) 상의 데드 단부 히치(dead end hitch, 19)에 부착된다. 데드 단부 히치를 중재하여, 로프(21)는 편향 도르레(23), 평형추(24)에 합체된 편향 도르레(5), 및 구동 기계(26)에 합체된 도르레(27)를 경유한다. 오히려 이 개략도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르레들(23, 25, 27) 모두는 평행한 축을 따라 연장하고, 모두 승강구의 벽(28)으로부터 이격된 매우 작은 공간 내에 있다. 상기 도르레들(23, 25, 27)은 또한 평행축을 따라 사실상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평행축 및 축 정렬은 모든 로프 강하(drop)가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보증한다. 본 발명의 단순화된 이해를 위해서, 단지 단일 로프 및 단일 세트의 도르레들(23, 25, 27)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통상 여러 세트의 도르레들 및 로프들이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평행축 및 축 정렬의 이용은 모든 로프 강하가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도 있음을 보증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00, 102)는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움직인다. 안내 슈 등의 안내 구조물이 롤러를 대신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롤러는 하기되는 것과 같이 안내 레일을 따라 카(22)를 안내할 것이다. 더 잘 이해되도록, 엘 리베이터 카(22)는 캐빈(cabin, 106)이라 불리는 것과, 프레임(104)을 포함한다. 프레임(104)은 캐빈과 벽(28) 사이에 있다. 편향 도르레(23)는 프레임(104) 상에, 그리고 캐빈(106)으로부터 내측으로 장착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도르레(27)는 기계 또는 구동 모터(26)에 합체되고 받침대(18)에 장착된다. 도1 또는 도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안내 레일(30)은 받침대(18)의 각 다향 측방향 측부에 장착되고, 승강구를 따라 연장한다. 안내 레일(30)은 실제로 한 쌍의 대향된 안내 레일(31, 32)을 갖는데, 레일(31)은 측방향 외측에, 레일(32)은 측방향 내측에 있다. 안내 레일(31, 32)은 가로 부재(cross memeber, 33)에 의해 주기적으로 연결된다. 가로 부재(33)는 또한, 안내 레일(31, 32)을 벽(28)에 연결시키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레일(31)은 카(22)로부터 롤러(100, 102)를 수용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로 인해 카(22)는 일측에서 외팔보식 장착되고, 측방향 외부면에서 안내 레일 상에 연결된다. 안내 구조물은 개략적이도록 의도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추(24)는 내부 레일(32) 상에 장착된다. 또한, 이 개략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르레들(23, 25)은 또한 평행하다.
도3 및 도4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레일(31, 32)은 단일 구조물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신 두 개의 분리 레일이다. 레일들은 다양한 위치에서 위치될 수도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형추(24)에 대한 레일(32)은 카(22)에 대한 레일(31)보다 벽에 근접되게 위치된다. 이 는, 또한 공간의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하고, 벽(28)과 카(22) 사이에 필요 공간의 과도한 양이 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물론, 본 발명은 조합된 카 및 평형추 안내 레일의 이용의 연장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22)는 이제 수직 방향 최상부 위치로 이동되었다. 카의 수직 방향 최상부 부분(40)은 기계(26)의 수직 방향 상부이다. 따라서, 카의 수직 방향 최상부 부분(40)의 상부에 필요한 공간(42)의 양은 종래 기술에 비교해서 매우 작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개시되었지만, 당업계의 통상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변경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그 때문에, 다음의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참 범주 및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 연구되어졌다.

Claims (11)

  1. 승강구 내에서 이동 가능한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며,
    승강구 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하기 위한 기계와,
    상기 승강구 내에 장착되고 편향 도르레를 갖는 평형추와,
    상기 승강구 내에 이동을 위해 장착되고 편향 도르레를 갖는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는 구동 도르레를 갖고, 상기 구동 도르레 및 상기 편향 도르레는 모두 회전 평행축을 갖고, 연결 부재는 상기 승강구 내에서 상기 평형추 및 상기 카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편향 도르레 및 상기 구동 도르레를 경유하고, 상기 기계는 승강구 내, 그리고 상기 승강구를 형성하는 상기 카와 벽 사이의 공간 내에 장착되어 상기 카의 바로 상방은 아닌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기 위한 한 쌍의 대향된 안내 레일이 있고,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구동 도르레의 회전축의 대향된 길이 방향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받침대는 상기 대향된 안내 레일을 연결하고, 상기 기계는 상기 받침대 상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상기 안내 레일로부터 외팔보식으로 장착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은 길이 방향으로 외측에 안내면을 갖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상기 외부 안내면 상에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 안내 레일 상에서 안내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에 대한 상기 안내 레일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상기 안내 레일보다 벽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상기 기계의 수직 방향으로 위에 있는 경로의 수직 방향 최상점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두 개의 대향 단부 각각에서의 데드 단부 히치, 그리고 상기 받침대 상에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합체된 상기 편향 도르레는 상기 카 에 승객들을 수용하기 위한 캐빈의 외부 모서리와 승강구를 형성할 벽 사이에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도르레 및 상기 편향 도르레는 모두 그 각각의 회전 평행축을 따라 사실상 동일한 축 위치에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057023801A 2005-12-12 2003-06-12 저 오버헤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 구조 KR20060036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3801A KR20060036925A (ko) 2005-12-12 2003-06-12 저 오버헤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3801A KR20060036925A (ko) 2005-12-12 2003-06-12 저 오버헤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925A true KR20060036925A (ko) 2006-05-02

Family

ID=3714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801A KR20060036925A (ko) 2005-12-12 2003-06-12 저 오버헤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69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174B2 (en) Elevator installation
AU2002339285B2 (en) Elevator system
US7267200B2 (en) Elevator with compact rope suspension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030159891A1 (en) Elevator with drive unit mounted in a superior lateral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US7918319B2 (en) Elevator apparatus
JP5330666B2 (ja) 昇降路内に2つのエレベータケージを互いに上下に配置して備えるエレベータ
EP2279977B1 (en) Low overhead machine roomless elevator configuration
US11104549B2 (en) Machine mounting structure for elevator system
EP1564177B1 (en) Elevator equipment
KR20080055705A (ko) 승강기 설비
KR20060036925A (ko) 저 오버헤드 무 기계실 엘리베이터 구조
US10689229B2 (en) Elevator system suspension member termination
EP1795484B1 (en) Elevator apparatus
KR20060130668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