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516A -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 Google Patents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516A
KR20060036516A KR1020040085388A KR20040085388A KR20060036516A KR 20060036516 A KR20060036516 A KR 20060036516A KR 1020040085388 A KR1020040085388 A KR 1020040085388A KR 20040085388 A KR20040085388 A KR 20040085388A KR 20060036516 A KR20060036516 A KR 20060036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upled
computer mouse
mous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주)온에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온에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온에어솔루션
Priority to KR1020040085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6516A/ko
Priority to PCT/KR2005/003534 priority patent/WO2006046815A1/en
Publication of KR20060036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Abstract

본 발명은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컴퓨터 마우스(1)의 몸체(2) 내부 양측에 일면이 몸체(2)와 힌지(14)로 결합되어지되 내주면에 각각 일방향 기어(13)가 구성되어진 조절부재(10)와, 상기 조절부재(10)에 결합되어진 힌지(14) 외주면으로 장착되어 조절부재(10)를 탄력적으로 팽창시키게 되는 텐션스프링(20)과, 상기 각 조절부재(10) 사이에 장착되어 양측의 조절부재(10)를 힌지(14)를 축으로 좌우로 가이드시키게 되는 작동수단(30)과, 상기 각 조절부재(10) 내측부에 조절부재(10)를 완충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진 완충수단(40)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작동수단(30)은 각 조절부재(10)의 기어(13)와 맞물려지게 일면에 기어(31b)가 구성되어지고 몸체(2)에 후면에 구성된 돌출편(2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31a)이 구성된 작동부재(31)와, 상기 작동부재(31) 상단에 결합되어진 버튼부재(32)와, 상기 작동부재(31) 외주연에 장착되어져 버튼부재(32)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팽창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에 본 발명은 컴퓨터 마우스의 폭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의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컴퓨터 마우스, 조절부재, 작동수단, 텐션스프링, 작동부재, 버튼부재

Description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The computer mouse where the width adjustment is possible}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을 누른 상태를 보인 내부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의 폭이 조절된 상태를 보인 작동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재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우스 (2) : 몸체
(2a) : 돌출편 (3) : 커버
(4) : 작동버튼 (5) : 회로기판
(10) : 조절부재 (11) : 힌지홀
(13) : 기어 (14) : 힌지
(15) : 장착편 (15a) : 힌지홀
(20) : 텐션스프링 (30) : 작동수단
(31) : 작동부재 (31a) : 홈
(31b) : 기어 (32) : 버튼부재
(32a) : 끼움홈 (33) : 팽창스프링
(40) : 완충수단 (41) : 실린더
(41a) : 에어유통공 (42) : 피스톤로드
(43) : 연결부재 (44,44a) : 힌지
본 발명은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마우스의 후면에 장착되어진 누름버튼을 누름에 따라 몸체내 양측에 구비된 조절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벌어져 마우스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컴퓨터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들은 커서(cursor)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사용하도록 준비되어 있다.
컴퓨터 마우스들은 컴퓨터 스크린에서 커서(cursor)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계적, 광학적, 또는 기타 다른 수단을 채용하고 있는데 두 축들을 따라 평평한 면을 가로질러 마우스를 움직임으로써 커서는 그 마우스의 움직임에 비례하여 컴퓨터 스크린을 가로질러 이동한다.
이러한 마우스의 사용은 컴퓨터 사용자에게 컴퓨터 스크린에서 커서의 동작에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컴퓨터 마우스는 제품 각각에 따라 그 형상이나 폭이 다소 차이가 나게 구비되어 있지만 이미 완성되어 사용하고 있는 마우스의 폭을 조절하기는 불가능하다.
그로 인해, 사용자의 취향이나 손의 크기에 따른 신체조건에 모두 맞출 수 없어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손의 피로감 및 사용상 불편하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컴퓨터 마우스의 폭을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의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 마우스의 몸체 내부 양측에 일면이 몸체와 힌지로 결합되어지되 내주면에 각각 일방향 기어가 구성된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에 결합되어진 힌지 외주면으로 장착되어 조절부재를 탄력적으로 팽창시키게 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각 조절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양측의 조절부재를 힌지를 축으로 좌우로 가이드시키게 되는 작동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작동수단은 각 조절부재의 기어와 맞물려지게 일면에 기어가 구성되어지고 몸체에 구성된 돌출편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구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 상단에 결합되어진 버튼부재와, 상기 작동부재 외주연에 장착되어져 버튼부재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팽창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5)이 구비되어진 몸체(2)와, 상기 몸체(2) 상단에 체결되어진 커버(3), 및 작동버튼(4)으로 이루어져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어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통상의 컴퓨터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2)내 양측면에 힌지(14)로 결합되어져 힌지(14)를 축으로 전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조절부재(10)와, 상기 힌지(14) 외주연에 장착되어지고 양끝단이 각각의 조절부재(10) 내면에 밀착되어진 텐션스프링(20)과, 상기 각 조절부재(10) 사이에 결합되어 조절부재(10)를 좌우로 가이드시키게 되는 작동수단(30)과, 상기 각 조절부재(10) 내측부에 장착되어 조절부재(10)를 완충시키게 되는 완충수단(40)으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각각의 조절부재(10)는 일끝단에 힌지(14)가 결합되어지게 힌지홀(11)이 구성되어지고, 타끝단 내측면에 일방향 기어(13)가 구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조절부재(10) 중앙 내측면에는 완충수단(40)이 체결되어지게 힌지홀(15a)이 구성된 장착편(15)이 구성되어진다.
상기 작동수단(30)은 몸체(2) 후면에 구성된 돌출편(2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31a)이 구성되어지며 조절부재(10)의 기어(13)와 맞물려지게 일방향 기어(31b)가 구성된 작동부재(31)와, 상기 작동부재(31) 상부에 결합 구성되어 작동부재(31)를 작동시키게 되는 버튼부재(32)와, 상기 작동부재(31) 외주연에 장착되어 버튼부재(32)를 복귀시키게 되는 팽창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32) 외주면에는 몸체(2)의 돌출편(2a)이 끼워져 버튼부재(3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홈(32a)이 구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완충수단(40)은 에어유통공(41a)이 구성된 실린더(41)와, 상기 실린더(41)내에 장착되어진 피스톤로드(42)와, 상기 피스톤로드(42)에 일끝단이 피스톤로드(42)와 힌지(44)로 결합되어지고 타끝단이 각 조절부재(10)의 장착편(15)에 힌지(44a)로 결합 구성된 연결부재(43)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컴퓨터 마우스(1)를 컴퓨터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한 상태에서 마우스(1)의 폭이 사용자의 손 크기보다 현저히 작아 마우스(1)를 잡은 사용자의 손에 맞지 않을 경우 상기 작동수단(30)의 버튼부재(32)를 누르게 되면 작동부재(31)가 슬라이드되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조절부재(10)의 기어(13)와 작동부재(31)의 기어(31b)가 상 호 이격되면서 텐션스프링(20)의 텐션력에 의해 상기 조절부재(10)가 힌지(14)를 축으로 전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조절부재(10)가 양측으로 가이드되어질 때 상기 조절부재(10)에 연결부재(43)로 연결되어진 피스톤로드(42)도 동시에 가이드되면서 상기 실린더(41)의 에어유통공(41a)을 통해 공기가 배출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실린더(41)내의 공기압력에 의해 피스톤로드(42)가 완충되어지게 되어 조절부재(10)가 급격하게 가이드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조절부재(10)가 양측으로 벌어진 넓이만큼 마우스(1)의 폭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재(32)를 놓게 되면 팽창스프링(33)의 팽창력에 의해 버튼부재(32) 및 작동부재(31)가 최초의 위치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부재(10)의 기어(13)와 작동부재(31)의 기어(31b)가 서로 맞물려지게 되어 상기 조절부재(10)가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32)의 끼움홈(32a)에 몸체(2)의 돌출편(2a)이 끼워지게 되어 상기 버튼부재(3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우스(1)의 폭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버튼부재(32)를 누른 상태에서 양측으로 벌어져 있는 조절부재(10)를 안쪽으로 누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양측의 피스톤로드(42)가 실린더(41)내에서 서로 압축되어지면서 에어유통공(41a)을 통해 공기가 실린더(41) 내부로 유입되어져 실린더(41)내에 공기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후, 상기 버튼부재(32)를 놓게 되면 팽창스프링(33)의 팽창력에 의해 작동수단(30)이 원상태로 복귀되어지면서 조절부재(10)의 기어(13)와 작동부재(31)의 기어(31b)가 서로 맞물려져 조절부재(10)의 누른 간격만큼 마우스(1)의 폭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10)의 기어(13)와 작동부재(31)의 기어(31b)가 일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어 각 기어(13)(31b)가 상호 맞물려진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10)가 유동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내에 장착된 작동수단에 의해 마우스 몸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조절부재가 양측으로 가이드되어져 마우스의 폭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 크기 등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에 무리가 발생되지 않아 마우스 작업에 따른 관절통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회로기판(5)이 구비되어진 몸체(2)와, 상기 몸체(2) 상단에 체결되어진 커버(3), 및 작동버튼(4)으로 이루어져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어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통상의 컴퓨터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몸체(2)내 양측면에 힌지(14)로 결합되어져 힌지(14)를 축으로 전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일끝단에 힌지(14)가 결합되어지게 힌지홀(11)이 구성되어지고 타끝단 내측면에 일방향 기어(13)가 구성되어지며, 중앙 내측면에 힌지홀(15a)이 구성된 장착편(15)이 구성되어진 조절부재(10)와;
    상기 힌지(14) 외주연에 장착되어지고 양끝단이 각각의 조절부재(10) 내면에 밀착되어진 텐션스프링(20)과;
    상기 각 조절부재(10) 사이에 결합되어지고 몸체(2) 후면에 구성된 돌출편(2a)에 지지되어져 조절부재(10)를 좌우로 가이드시키게 되는 작동수단(30);
    상기 각 조절부재(10)의 장착편(15)에 장착되어 조절부재(10)를 완충시키게 되는 완충수단(40);
    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30)은 몸체(2)에 구성된 돌출편(2a)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홈(31a)이 구성되어지며 조절부재(10)의 기어(13)와 맞물려지게 일방향 기어(31b)가 구성된 작동부재(31)와, 상기 작동부재(31) 상부에 결합 구성되어 작동부재(31)를 작동시키게 되는 버튼부재(32)와, 상기 작동부재(31) 외주연에 장착되어 버튼부재(32)를 복귀시키게 되는 팽창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32) 외주면에는 몸체(2)의 돌출편(2a)이 끼워져 버튼부재(3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홈(32a)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40)은 에어유통공(41a)이 구성된 실린더(41)와, 상기 실린더(41)내에 장착되어진 피스톤로드(42)와, 상기 피스톤로드(42)에 일끝단이 피스톤로드(42)와 힌지(44)로 결합되어지고 타끝단이 각 조절부재(10)의 장착편(15)에 힌지(44a)로 결합 구성된 연결부재(43)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KR1020040085388A 2004-10-25 2004-10-25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KR20060036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388A KR20060036516A (ko) 2004-10-25 2004-10-25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PCT/KR2005/003534 WO2006046815A1 (en) 2004-10-25 2005-10-24 Width-adjustable computer m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388A KR20060036516A (ko) 2004-10-25 2004-10-25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516A true KR20060036516A (ko) 2006-05-02

Family

ID=3622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388A KR20060036516A (ko) 2004-10-25 2004-10-25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36516A (ko)
WO (1) WO20060468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932A1 (en) * 2007-07-31 2009-02-05 Microsoft Corporation Pointing device for interface with a graphical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0497B2 (en) * 2013-01-26 2015-03-03 Dexin Corporation Computer mouse with adjustable decorative wing
AU2014407200B2 (en) * 2014-09-24 2020-12-17 Razer (Asia-Pacific) Pte. Ltd. Mice
US11128636B1 (en) 2020-05-13 2021-09-21 Science House LL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headse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7416A (ja) * 1988-07-27 1990-02-07 Nec Corp マウス入力装置
US6157370A (en) * 1996-01-03 2000-12-05 Softview Computer Products Corp. Ergonomic mouse extension
US6154196A (en) * 1998-06-08 2000-11-28 Wacom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convertible between right-handed and left-handed modes
KR20000063893A (ko) * 2000-08-09 2000-11-06 이정훈 마우스 폭 가변장치
KR100530042B1 (ko) * 2003-12-22 2005-11-22 김정기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7932A1 (en) * 2007-07-31 2009-02-05 Microsoft Corporation Pointing device for interface with a graphical display
US8363012B2 (en) 2007-07-31 2013-01-29 Microsoft Corporation Pointing device for interface with a graphic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46815A1 (en)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6220B2 (en) Hinge device
US7201449B2 (en) Multiple direction adjustment armrest
US7293747B2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US7210690B2 (en) Direction-limiting device for stroller
US20070120405A1 (en) Angle adjustment mechanism for lumbar support of chair backrest
WO2003021118A1 (fr) Composant de charniere et appareil electronique l&#39;employant
US6409266B1 (en) Device for adjusting lateral position of a chair armrest
US7121663B1 (en) Eyeglasses assembly
WO2006028528A3 (en) Probe-style quick-attach interconnect mechanism
JP6326110B2 (ja) 蝶番及び緩衝装置
HK1049261A2 (en) Clutch mechanism for locks
CA2332377A1 (en) Tensioner with second pivot-arm for damping mechanism
KR20060036516A (ko)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WO2002077524A8 (en) Multi-mode lighter
JP2002015637A5 (ko)
US5583588A (en) Spectacle frame having rotary members
US8556345B2 (en) Chair having angle and tension adjusting functions
TWI750742B (zh) 滑鼠
US5582395A (en) Buffer assembly for front forks
KR100634817B1 (ko) 하체 단련기
BRPI0414629A (pt) absorvedor de choque
KR100530042B1 (ko) 폭조절이 가능한 컴퓨터 마우스
US10335938B2 (en) Cushion device for cylinder of pneumatic tool
EP3311257B1 (en) Mouth-held extendable mouth stylus for activating functions on a touch screen or keys
TW201726477A (zh) 自行車前叉避震器鎖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