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719A - 열경화성 수지로부터의 대상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경화성 수지로부터의 대상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719A
KR20060035719A KR1020067000077A KR20067000077A KR20060035719A KR 20060035719 A KR20060035719 A KR 20060035719A KR 1020067000077 A KR1020067000077 A KR 1020067000077A KR 20067000077 A KR20067000077 A KR 20067000077A KR 20060035719 A KR20060035719 A KR 20060035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copolymer
formulation
mo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600B1 (ko
Inventor
프랑수와 꾸르
앙쏘니 보네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filed Critical 아르끄마
Priority to KR102006700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6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59/1438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59/1455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molecular-weight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oxy Resi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호한 내충격성을 갖는 열경화성 물질을 반응시켜 형성하는 능력을 갖는 열가소성물질의 가공 기술에 의해 가공될 수 있는, 에폭시 수지 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제형물 및 유동학 조절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경화성 수지로부터의 대상물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TION OF OBJECTS FROM THERMOSETTING RESINS}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 (thermosetting resin) 분야, 특히 열가소성 거동을 나타내고, 통상의 열경화성 물질의 가공 방법에 의해 가공될 수 있으며, 반응하여 열경화성 물질을 형성할 수 있는 열경화성 화합물을 기재로 하는 제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형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형물로부터 제조된 완성된 대상물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물질은, 공유 결합에 의해 함께 결합된 다양한 길이의 중합체 사슬로부터 형성되어 3 차원 네트워크 (net-work) 를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열경화성 물질은 예를 들어, 아민 형 경화제와 에폭시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열경화성 물질은, 이들이 구조용 접착제 (structural adhesive) 로서, 또는 복합체용 매트릭스 (matrix) 로서, 또는 전자 성분의 보호를 위한 적용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다수의 흥미로운 특성을 갖는다.
에폭시 물질은, 상기 물질에 높은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제공하는 높은 가교 밀도를 가지며, 이는 상기 물질에 우수한 열기계적 특성을 부여한다. 가교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물질의 Tg 는 더 높아지며, 그 결과 열기계적 특성이 더 좋아지고, 상기 물질의 최대 사용 온도 (maximum service temperature) 가 더 높아진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는 반응하기 전에 액체여서 사용이 매우 어렵고, 조작할 수 없다.
에폭시 수지의 사용 및 가공은 조작의 문제를 나타낸다. 통상 유체인 수지는 용이하게 보관할 수 없으며, 그의 액체 형태는 가공 경로의 수의 제한을 의미한다. 적용에 요구되는 유동성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그의 몰 질량으로 인해, 때로 용매의 사용 또는 고체 및 액체 수지의 배합이 필요하다.
본 출원인은 열경화성 물질 및 유동학-조절제를 기재로 하는 특정 제형물이 통상의 열가소성 물질의 가공 기술에 의해 성형 또는 가공될 수 있음을 막 발견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완성된 대상물은 열경화수지 (thermoset) 의 외관 및 열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형물은 주로, 유동학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위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물질들은, 상기 공중합체를 열결화성 수지에 용해시킨 후, 경화제를 첨가하고 고온 가교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열경화성 물질로부터의 복합체 대상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열가소성 물질의 가공 기술에 기초한 열경화성 물질 및 대상물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a - 반응기 내에서, 압출, 캘린더링 (calendering), 혼련 또는 용해와 같은 통상의 기술에 의해 열경화성 물질을 기재로 한 제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b - 상기 단계 a 에서 제조된 제형물을 회수하고 임의로 저장하는 단계
c - 당업자에게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 열가소성 물질에 한정된 가공 기술에 의해, 상기 단계 b 에서 수득된 생성물을 가공하여 완성된 대상물을 제공하는 단계.
본 발명의 제형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 총 중량의 1 내지 80 중량% 의, S-B-M, B-M 및 M-B-M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유동학 조절제 (I):
[상기에서,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1
각 블록은 공유 결합에 의해, 또는 공유 결합에 의해 블록들 중 하나에 및 또다른 공유 결합에 의해 다른 블록에 결합된 중간 분자에 의해, 다음 블록과 결합함,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2
M 은 5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단일중합체성 PMMA 또는 공중합체임,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3
B 는 열경화성 수지 및 블록 M 과 비혼화성이고, 그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열경화수지의 사용 온도 미만임,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4
S 는 열경화성 수지, 블록 B 및 블록 M 과 비혼화성이고, 그의 Tg 또는 그의 용융점 (Tm) 은 B 의 Tg 초과임],
- 제형물의 총 중량의 20 내지 99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수지 (II),
- 제형물의 총 중량의 0 내지 50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물질 (III).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상기 제형물은 당업자에게 익숙한 각종 유기 및 무기 충전제, 예컨대, 섬유, 안료, 충전제, UV 흡수제, 내화성 개선용 충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물은 열가소성 거동을 나타내며, 통상의 열가소성 물질 가공 기술에 의해 가공될 수 있지만, 반응하여 열경화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반응 동안, 상기 제형물은 완전히 액체 상태이거나 고무 같은 상태일 수 있다.
열경화수지에 관해: 이는 공유 결합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다양한 길이의 중합체 사슬로부터 형성되어 3 차원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언급될 수 있는 예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비스말레이미드 및 경화제에 의해 가교되거나 음이온 또는 양이온 중합에 의해 가교된 에폭시 수지이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각종 가능한 R 기를 갖는 단량체 CH2=C(CN)COOR 의 중합에 의해 (경화제를 첨가할 필요 없이) 수득되는 열경화수지인 2-시아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비스말레이미드 형의 열경화성 제형물은 예를 들어, 하기의 것들이다:
메틸렌디아닐린 + 벤조페논 2무수물 + 나딕 이미드 (nadic imide)
메틸렌디아닐린 + 벤조페논 2무수물 + 펜틸아세틸렌
메틸렌디아닐린 + 말레산무수물 + 말레이미드.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수지는 에폭시 열경화성 수지 및 경화제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된다. 이는 또한 옥시란 관능기를 갖는 올리고머와 및 경화제의 임의의 반응 생성물로 정의된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반응 동안 사용되는 반응에 의해, 사용된 수지 및 경화제의 출발 특징에 따라 변화되는 밀도의 3 차원적 네트워크에 대응하여 가교 물질이 수득된다.
이하 E 로 나타내는 용어인 에폭시 수지는 개환에 의해 중합가능한 두 개 이상의 옥시란 형 관능기를 갖는 임의의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용어 "에폭시 수지" 는 실온 (23℃) 또는 더 높은 온도에서 액체인 모든 통상의 에폭시 수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는 한편으로는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지환족, 헤테로시클릭 또는 방향족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예로는, 레소르시놀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 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글리시딜 p-아미노 페놀, 브로모-비스페놀 F 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m-아미노 페놀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테트라글리시딜 메틸렌디아닐린, (트리히드록시페닐) 메탄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페놀-포름알데히드 노볼락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오르토크레졸 노볼락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테트라페닐 에탄의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중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분자 당 1.5 개 이상의 옥시란 관능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 더 특별하게는 분자 당 2 내지 4 개의 옥시란 관능기를 함유하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에폭시 수지, 예컨대 비스페놀 A 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또한 바람직하다.
경화제에 관해, 실온 또는 실온 초과의 온도에서 반응하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가 일반적으로 경화제로서 사용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하기의 것들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5
숙신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산 무수물,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6
디아미노디페닐술폰 (DDS) 또는 메틸렌디아닐린 또는 4,4'-메틸렌-비스-(3-클로로-2,6-디에틸아닐린) (MCDEA) 을 포함하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폴리아민,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7
디시안디아미드 및 이의 유도체,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8
이미다졸,
Figure 112006000165417-PCT00009
폴리카르복실산,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0
폴리페놀.
S-B-M 블록 공중합체에 관해, M 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단량체를 포함하거나, 5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75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한다. 블록 M 을 구성하는 다른 단량체는 아크릴 단량체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반응성일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반응성 단량체는, 에폭시 분자의 옥시란 관능기와, 또는 경화제의 화학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학기를 의미한다. 반응성 관능기의 비제한적 예로는, 옥시란 관능기, 아민 관능기, 카르복시 관능기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또는 이러한 산을 생성하는 임의의 다른 가수분해가능한 단량 체일 수 있다. 블록 M 을 구성할 수 있는 다른 단량체 중에서, 비제한적 예로써,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유리하게는, M 은 60% 이상에 대해 교대배열인 (syndiotactic) PMMA 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B 의 Tg 는 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이다.
엘라스토머성 블록 B 의 합성에 사용되는 단량체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및 2-페닐-1,3-부타디엔으로부터 선택된 디엔일 수 있다. B 는 유리하게는 폴리(디엔), 특히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및 그의 불규칙 공중합체,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소화된 폴리(디엔) 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부타디엔 중에서, 최저 Tg 를 갖는 것들,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1,2 의 Tg (약 0℃) 보다 낮은 Tg (약 -90℃) 를 갖는 폴리부타디엔-1,4 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블록 B 는 또한 수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수소화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블록 B 의 합성에 사용되는 단량체는 또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며, 아크릴레이트의 명칭 뒤의 괄호에 주어진 하기 Tg 값이 수득된다: 에틸 아크릴레이트 (-24℃), 부틸 아크릴레이트 (-54℃),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85℃),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5℃) 및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10℃).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B 와 M 이 비혼화성인 조건에 부합하기 위해, 아크릴레이트는 블록 M 의 아크릴레이트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B 는 주로 폴리부타디엔-1,4 를 포함한다.
S 의 Tg 또는 Tm 은 유리하게는 23℃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초과이다. 블록 S 의 예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것들, 및 알킬쇄에 1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 에스테르로부터 유래된 것들을 들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한 경우에서는, S 와 M 이 비혼화성인 조건에 부합하기 위해, 아크릴레이트는 블록 M 의 아크릴레이트와 상이하다.
S-B-M 트리블록은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g/mol 내지 5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200000 g/mol 이다. 유리하게는, S-B-M 트리블록은 질량 분율로 표현했을 때 (총 100% 임) 하기의 조성을 갖는다:
M: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0%.
B: 2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S: 10 내지 88%,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5%.
본 발명의 물질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는 음이온 중합, 예를 들어, 특허 출원 EP 524,054 및 EP 749,987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충격 보강제 (impact modifier) 의 비율은, 90 내지 40% 의 열경화성 수지에 대해 각각 10 내지 60% 이다.
S-B 디블록에 관해서, S 및 B 블록은 비혼화성이며, 이들은 S-B-M 트리블록의 S 블록 및 B 블록과 동일한 단량체 및 임의로는 공단량체를 포함한다. S 및 B 블록은 열경화수지 내의 충격 보강제의 다른 블록 공중합체 내에 존재하는 다른 S 및 B 블록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S-B 디블록은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g/mol 내지 5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200000 g/mol 이다. S-B 디블록은 유리하게는 B 의 질량 분율이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학 조절제는 하나 이상의 S-B-M 블록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S-B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이는 95 내지 20% 의 S-B-M 트리블록에 대해 각각 5 내지 80% 의 S-B 디블록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조성물의 이점은, 합성 후 S-B-M 을 정제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실상, S-B-M 은 일반적으로 S-B 에서 출발하여 제조되며, 상기 반응은 종종 S-B 및 S-B-M 의 혼합물을 생성하는데, 상기 혼합물은 이후 분리되어 S-B-M 을 수득한다.
유리한 구현예에 따르면, S-B-M 의 부분은 S-B 디블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부분은 70 중량% 이하의 S-B-M 일 수 있다.
S-B-M 트리블록의 전부 또는 일부가 M-S-B-S-M 또는 M-B-S-B-M 펜타블록으로 대체된 경우에도,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언급된 디블록 또는 트리블록과 같이 음이온 중합에 의해, 그러나 2관능성 개시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펜타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은 S-B-M 트리블록의 수평균 분자량과 동일한 범위 내이다. 두개의 M 블록 모두의 비율, 및 두개의 B 또는 S 블록 모두의 비율은 S-B-M 트리블록 내의 S, B 및 M 의 비율과 동일한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제형물은 통상의 혼합 장치를 사용하여, 아직 가교되지 않은 열경화성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 및 상기 조절제의 균질한 혼합을 제공하는 모든 열가소성 기술, 예컨대, 압출, 캘린더링, 사출 성형 또는 압착을 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득된 생성물은 과립, 시트 또는 필름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수득된, 미반응된 또는 부분 반응된 물질은 조작될 수 있는 고무상 물질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공은 열경화성 물질의 반응의 느린 동역학을 제공하는 온도에서 수행될 것이다. 단계 [c] 에서, 완성된 대상물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 중에 및 단지 온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열경화성 수지는 열경화수지로 전환될 것이다. 온도 상승 동안, 반응을 겪는 고무상 물질은, 사용된 수지 (II) 및 제제 (I) 의 성질에 따라, 액체 상태로 다시 변화되거나 고무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반응 후 열가소성 거동을 나타내는 선형 또는 분지형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액체 반응성 수지에 적용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러한 접근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여전히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완성된 대상물은 각종 산업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로써, 비제한적인 예로써, 150℃ 에서 50% 의 S-B-M 과 DGEBA-MDEA 배합물을 압출시킨 후, 목적한 온도에서 성형하고 온도를 상승시켜 (그러나, 제형물의 액화가 일어나는 온도를 초과하지는 않음) 가교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고압, 고온 튜브의 제조에의 적용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는 또한 압출 코팅, 주조 압출 또는 캘린더링에 의해 제조된, 두께 100 ㎛ 미만의 필름 또는 시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압출은 반응의 과도한 진행을 방지하는 온도에서 수행될 것이며, 이때 상기 필름 또는 시트는 기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온도 상승에 의해, 또는 간단히 반응 동역학이 느린 온도, 예를 들어 0℃ 에서 보관함으로써 가교될 수 있다.
이하에 기술되는 실험 섹션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예시한다.
경화 조건:
통상의 조건이 사용된다.
제형물에 대한 통상의 첨가제, 예컨대,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이미드, 폴리페닐렌 에테르 등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의 첨가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을 것이다.
하기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에폭시 수지: Ciba Geigy 사에 의해 등록 상표 LY556 으로 시판중인, 에폭시기 당 평균 히드록실기의 수 n = 0.075 이고 분자량이 383 g/mol 인 비스페놀 A (DGEBA) 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경화제: Lonza 사에 의해 등록 상표 LONZACURE M-DEA 로 시판중인, 아민 경화제, 즉, 방향족 디아민, 4,4'-메틸렌-비스-(3-클로로-2,6-디에틸아닐린). 상기 생성물은 87℃ 내지 90℃ 의 용융점 및 310 g/mol 의 분자량을 특징으로 한다.
SBM1: 이는, S 가 폴리스티렌이고, B 가 폴리부타디엔이고, M 이 질량 분율 22% 의 폴리스티렌, 질량 분율 9% 의 폴리부타디엔 및 69 중량% 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를 함유하는 PMMA 인 S-B-M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며, 이는 수평균 분자량이 7000 g/mol 인 폴리스티렌 블록, 분자량이 11000 g/mol 인 폴리부타디엔 블록 및 수평균 분자량이 84000 g/mol 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의 연속 음이온 중합에 수득된다. 상기 생성물은 EP 524,054 및 EP 749,987 에 기재된 절차에 제조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하나는 -90℃, 다른 하나는 95℃ 및 또다른 하나는 130℃ 인 세가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SBM2: 이는, S 가 폴리스티렌이고, B 가 폴리부타디엔이고, M 이 질량 분율 12% 의 폴리스티렌, 질량 분율 18% 의 폴리부타디엔 및 70 중량% 의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를 함유하는 PMMA 인 S-B-M 트리블록 공중합체이며, 이는 수평균 분자량이 14000 g/mol 인 폴리스티렌 블록, 분자량이 22000 g/mol 인 폴리부타디엔 블록 및 수평균 분자량이 85000 g/mol 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블록의 연속 음이온 중합에 의해 수득된다. 상기 생성물은 EP 524,054 및 EP 749,987 에 기재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상기 생성물은 하나는 -90℃, 다른 하나는 95℃ 및 또다른 하나는 130℃ 인 세가지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Core-Shell 또는 SBS 와 같은 다른 유형의 조절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의 제조.
캘린더 (calender) 를 이용하여, 코어-쉘 (core-shell) 입자를 DGEBA 에 분산시킨다. 주기 (cycle) 는 10 분간의 혼합 후 10 분간의 휴식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100℃ (아민의 용융점 초과) 로 가열하고, 디아민을 10 분 간 분산시킨다.
경화 조건:
상기 혼합물을 220℃ 에서 2 시간 동안 경화시킨다.
열기계 분석에 의한 유리 전이 온도 (Tg) 의 측정:
유동학 측정기 (Rheometrics instrument) (Rheometrics Solid Analyzer RSAII) 를 사용하여, 경화 후의 샘플에 대한 동적-기계 분석에 의해 Tg 를 측정하였다. 평행육면체 형상 (1*2.5*34 ㎣) 의 샘플에 1 Hz 의 장력 빈도 (tension frequency) 에서 50 내지 250℃ 로 온도 주사 (temperature scanning) 를 수행한다. 탄젠트 d 의 최대값에서 유리 전이 온도를 기록한다.
팽윤의 측정:
크기 20×20×1 mm 의 평행육면체 형상의 샘플을, 톨루엔으로 충전된 100ml 비커에 15 일간 넣어 둔다. 상기 비커를 실온에서 밀폐시켜 보관한다. 15 일간 침지시킨 후, 상기 샘플을 꺼내어 그 중량을 측정한다. 하기 식으로부터 %팽윤을 수득한다:
%팽윤 = (m15일 - m초기)/m초기
이어서, 상기 샘플을 건조시키고 중량을 재측정하여, 상기 물질의 구성성분 중 어느 것도 톨루엔에 의해 용해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믹서를, PS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이 7000 g/mol 인 조성물 203050 의 SBM 40 g, 및 분자량이 348.5 g/mol 인 DOW Chemicals 사제 DGEBA 에폭시드 혼합물인 DER332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1
60 g, 및 Lonza 사제 MDEA 아민으로 충전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DGEBA 및 MDEA 를 화학양론적 비율로, 즉, DGEBA 41.53 g 및 MDEA 18.47 g 으로 첨가하였다. 150℃ 에서 혼합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혼합물을 압착하여, 장력에 있어서의 파손시 신장률이 650% 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0℃ 인 두께 1 mm 의 투명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20℃ 에서 2 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상기 혼합물은 액화 온도가 150℃ 였다. 수득된 플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는 154℃ 였고, 톨루엔 내에서의 팽윤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믹서를, PS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이 25000 g/mol 인 조성물 203050 의 SBM 40 g, 및 분자량이 348.5 g/mol 인 DOW Chemicals 사제 DGEBA 에폭시드 혼합물인 DER332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2
60 g, 및 MDEA 아민으로 충전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DGEBA 및 MDEA 를 화학양론적 비율로, 즉, DGEBA 41.53 g 및 MDEA 18.47 g 으로 첨가하였다. 150℃ 에서 혼합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혼합물을 압착하여, 장력에 있어서의 파손시 신장률이 700% 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0℃ 인 두께 1 mm 의 투명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20℃ 에서 2 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상기 혼합물은 액화 온도가 230℃ 였다. 수득된 플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는 155℃ 였고, 톨루엔 내에서의 팽윤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믹서를, PS 블록의 수평균 분자량이 7000 g/mol 인 조성물 203050 의 SBM 30 g, General Electric 사제 PPO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3
Blendex 803 10 g, 및 분자량이 348.5 g/mol 인 DOW Chemicals 사제 DGEBA 에폭시드 혼합물인 DER332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4
60 g, 및 Lonza 사제 MDEA 아민으로 충전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DGEBA 및 MDEA 를 화학양론적 비율로, 즉, DGEBA 41.53 g 및 MDEA 18.47 g 으로 첨가하였다. 150℃ 에서 혼합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혼합물을 압착시켜, 장력에 있어서의 파손시 신장률이 620% 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0℃ 인 두께 1 mm 의 투명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220℃ 에서 2 시간 동안 경화시켰다. 상기 혼합물은 액화 온도가 230℃ 였다. 수득된 플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는 158℃ 였고, 톨루엔 내에서의 팽윤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 (비교용)
롤러 믹서를, SBM 블록 공중합체 40 g, 및 분자량이 348.5 g/mol 인 DOW Chemicals 사제 DGEBA 에폭시드 혼합물인 DER332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5
60 g, 및 MDEA 아민으로 충전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DGEBA 및 MDEA 를 화학양론적 비율로, 즉, DGEBA 41.53 g 및 MDEA 18.47 g 으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은 냉각시 불투명하고, 거대분리되고 (macroseperated), 어떠한 응집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5 (비교용)
롤러 믹서를, Paraloid KM355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6
형의 코어 쉘 40 g (상기 코어-쉘 입자는 주로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의 쉘로 이루어진 코어를 가공함), 및 분자량이 348.5 g/mol 인 DOW Chemicals 사제 DGEBA 에폭시드 혼합물인 DER332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7
60 g, 및 MDEA 아민으로 충전시켰다. 상기 혼합물에 DGEBA 및 MDEA 를 화학양론적 비율로, 즉, DGEBA 41.53 g 및 MDEA 18.47 g 으로 첨가하였다. 수득된 혼합물은 냉각시 투명하고, 어떠한 응집도 나타내지 않았다.

Claims (35)

  1. 하기 단계에 따라, 열경화성 수지 (thermosetting resin) 로부터 대상물을 제조하는 방법:
    a - 열경화성 물질을 기재로 한 제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b - 상기 단계 a 에서 제조된 제형물을 회수하고 임의로 저장하는 단계
    c - 통상 열가소성 물질에 한정된 가공 기술에 의해, 상기 단계 b 에서 수득된 생성물을 가공하여 완성된 대상물을 제공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를 포함하는 제형물이 반응기 내에서의 압출, 캘린더링 또는 용해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형물은 섬유, 안료, UV 흡수제 및/또는 내화성 개선용 충전제와 같은 유기 및 무기 충전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는 방법:
    - 제형물의 총 중량의 1 내지 80 중량% 의, S-B-M, B-M 및 M-B-M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유동학 조절제 (I):
    [상기에서,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8
    각 블록은 공유 결합에 의해, 또는 공유 결합에 의해 블록들 중 하나에 및 또다른 공유 결합에 의해 다른 블록에 결합된 중간 분자에 의해, 다음 블록과 결합함,
    Figure 112006000165417-PCT00019
    M 은 50 중량% 이상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단일중합체성 PMMA 또는 공중합체임,
    Figure 112006000165417-PCT00020
    B 는 열경화성 수지 및 블록 M 과 비혼화성이고, 그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열경화수지 (thermoset) 의 사용 온도 미만임,
    Figure 112006000165417-PCT00021
    S 는 열경화성 수지와 비혼화성이고, 블록 B 및 블록 M 및 그의 Tg 또는 용융점 (Tm) 은 B 의 Tg 초과임],
    - 제형물의 총 중량의 20 내지 99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열경화성 물질 (II),
    - 제형물의 총 중량의 0 내지 50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물질 (III).
  3.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a) 의 과정 중에서, 상기 열경화성 물질 (II) 을 (II) 의 느린 반응 동역학을 갖는 가공 조건에서 상기 제제 (I) 와 혼합시킨 후, 제 2 단계에서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반응이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의 M 블록이 60% 이상 교대배열인 (syndiotactic) PMM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의 M 블록이 반응성 단량체, 유리하게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의 B 블록의 Tg 가 0℃ 미만,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의 B 블록이 주로 폴리부타디엔-1,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블록의 디엔이 수소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블록이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 의 Tg 또는 Tm 이 23℃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 가 폴리스티렌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 g/mol 내지 500000 g/mol 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2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 공중합체의 수평균 분자량이 20000 g/mol 내지 200000 g/mol 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제 (I) 의 비율이 (II) 99 내지 65% 에 대해 각각 1 내지 35%, 유리하게는 (II) 92 내지 68% 에 대해 8 내지 3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제 (I) 이 코어-쉘 (A), 관능화된 엘라스토머, S-B 블록 공중합체 및 ATBN 또는 CTBN 반응성 고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M-B-M 및 S-B-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B 디블록의 블록 S 및 B 가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S-B 디블록이 10000 g/mol 내지 500000 g/mol 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격 보강제 (impact modifier) 가 하나 이상의 S-B-M 블록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S-B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격 보강제가 하나 이상의 S-B-M 블록 공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코어-쉘 중합체 (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2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격 보강제가 하나 이상의 S-B-M 블록 공중합체, 하나 이상의 ATBN 또는 CTBN 반응성 고무 및 임의로 S-B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B-M 트리블록의 전부 또는 일부가 M-S-B-S-M 또는 M-B-S-B-M 펜타블록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경화성 수지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수득된 생성물이 과립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과립이 시간 제한 없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수득된 생성물이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b 에서 수득된 생성물이 필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시트 또는 필름이 0℃ 미만의 온도에서 제한 없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 따라 완성된 대상물이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고압 또는 고온 적용을 위한, 제 28 항의 튜브의 용도.
  30.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 따라 완성된 대상물이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열성형될 수 있으며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서의, 제 30 항의 플레이트의 용도.
  32.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 따라 완성된 대상물이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전기 및 전자 적용을 위한 물질로서의, 제 32 항의 시트의 용도.
  34.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c 에 따라 완성된 대상물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코팅 적용을 위한 물질로서의, 제 34 항의 필름의 용도.
KR1020067000077A 2006-01-02 2003-07-02 열경화성 수지로부터의 대상물의 제조 방법 KR100886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0077A KR100886600B1 (ko) 2006-01-02 2003-07-02 열경화성 수지로부터의 대상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0077A KR100886600B1 (ko) 2006-01-02 2003-07-02 열경화성 수지로부터의 대상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719A true KR20060035719A (ko) 2006-04-26
KR100886600B1 KR100886600B1 (ko) 2009-03-05

Family

ID=3714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077A KR100886600B1 (ko) 2006-01-02 2003-07-02 열경화성 수지로부터의 대상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8705B2 (en) 2006-06-16 2011-04-0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3985A (en) 1966-12-27 1970-10-13 Shell Oil Co Powdered heat curable epoxy resin compositions and their preparation
WO1997006199A1 (fr) 1995-08-04 1997-02-20 Asahi Denka Kogyo Kabushiki Kaisha Composition solidifiable de resine epoxy
FR2809741B1 (fr) * 2000-05-31 2002-08-16 Atofina Materiaux thermodurs a tenue au choc amelioree
US20030082385A1 (en) 2001-07-13 2003-05-01 Toray Composites (America), Inc. Quick cure carbon fiber reinforced epoxy res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8705B2 (en) 2006-06-16 2011-04-05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901815B2 (en) 2006-06-16 2014-12-0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600B1 (ko)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7757B2 (en) Thermoset materials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US6894113B2 (en) Thermoset materials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KR101323831B1 (ko) 강화된 조성물
KR100810951B1 (ko) 긴 저장 수명을 가진 반응성 열경화 시스템
CA2319218A1 (en) Hybrid materials employing ppe/polystyrene/curable epoxy mixtures
KR100785679B1 (ko) 에폭시 수지 및 유동학 조절제를 기재로 하는 유기 섬유 및대응하는 직물
US20090008826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Objects From Thermosetting Resins
US5369167A (en) Melt blending acid or anhydride-grafted block copolymer pellets with epoxy resin
KR100886600B1 (ko) 열경화성 수지로부터의 대상물의 제조 방법
FR2841252A1 (fr) Structuration d'un liquide reactif a l'aide d'un agent renforcant
CN101107314B (zh) 有改善抗冲击性能的热固性材料
ES2386968T3 (es) Materiales termoestables con resistencia al impacto mejorada
CN117279966A (zh) 环氧树脂改性剂、含有其的环氧树脂组合物、由环氧树脂组合物构成的接合剂以及固化环氧树脂组合物而成的树脂固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