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481A -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481A
KR20060035481A KR1020040085000A KR20040085000A KR20060035481A KR 20060035481 A KR20060035481 A KR 20060035481A KR 1020040085000 A KR1020040085000 A KR 1020040085000A KR 20040085000 A KR20040085000 A KR 20040085000A KR 20060035481 A KR20060035481 A KR 20060035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device
signa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687B1 (ko
Inventor
강충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687B1/ko
Priority to CNB2005100635890A priority patent/CN100461792C/zh
Publication of KR20060035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대체할 수 있는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힌지부의 개폐에 따른 물리적인 손상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모듈 등의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신호 연결장치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장치는,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를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각각의 고정단자와 탄성 접촉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대해 상대 운동되는 복수의 스프링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칩, PCB, 신호 연결장치, 스프링단자, 고정단자

Description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IGNAL CONNECTION DEVICE}
도 1 내지 도 4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 및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부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부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부와 칩이 실장된 PCB와의 신호연결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측면도이 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신호단자를 도시한 후면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신호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본체부
210 : 키패드부 220 : 다이얼링키
230 : 기능키 300 : 폴더부
310 : Sub LCD 320 : Main LCD
400 : PCB 410 : 칩
500 : 힌지부 600 : FPCB
800 : 신호 연결장치 810 : 컨택터
811 : 스프링단자 820 : 신호단자
821 : 접지단자 827 : 보스부
829 : 삽입홈 830 : 힌지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대체할 수 있는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힌지부의 개폐에 따른 물리적인 손상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특정인과의 음성통화가 가능한 무선 통신장치로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가 포함된 호출메시지를 기지국 호출채널을 통하여 송출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응답이 오는 경우에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래에 들어 그 기능에 있어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는데, 단순히 전화의 송, 수신만이 가능했었던 초기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부터 게임 및 VOD(Video On Demand), 전자사전, MP3 플레이어, 사진촬영 등에 이르는 최신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르고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형태에 있어서는 바(Bar)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부터 플립형, 폴더형의 이동통신 단말기까지 개발되었고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 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도 1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부와 상기 기능부를 제어하는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이하 편의상 "PCB"라 한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기능부와 PCB의 신호 연결을 위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이하 편의상 "FPCB"라 한다.)이 마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상태 및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부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 폴더부의 분리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기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부와 칩이 실장된 PCB와의 신호연결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ub-LCD(Liquid Crystal Display; LCD, 이하 편의상 "LCD"라 한다.) 모듈(310) 및 Main-LCD 모듈(320)과 같은 화상표시장치가 마련된 폴더부(300)와 다이얼링키(220) 및 각종 기능키(230)를 포함하는 키패드부(210)가 마련된 본체부(200)가 힌지부(500)에 의하여 결합되어 그 외관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연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인 칩셋(410)(Main Chipset; 이하 편의상 "칩"이라 한다.)이 구비되는데, 상기 칩(410)은 상기 PCB(400)에 실장되고, 상기 칩(410)이 실장된 PCB(400)는 상기 본체부(2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201)와 후면커버(미도시) 사이에 구비된 고정부(203)와 나사(미도시)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PCB(400)에는 상기 칩(410)에서 출력되거나 상기 칩(410)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 연결장치인 FPCB(600)가 상기 PCB(400)상에 마련된 컨넥터(61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부(30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화상표시장치와 진동자(340) 그리고 리시버(350)와 같은 각종 기능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된 기능부와 상기 본체부(200)에 구비된 칩(410)간의 신호 연결을 위한 FPCB(700)가 상기 폴더부(300)에 마련된 컨텍터(710)에 연결되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폴더부(300)에 구비된 각종 기능부와 상기 기능부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FPCB(700)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폴더부(3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301)와 후면커버(미도시) 사이에는 Sub-LCD 모듈(310) 및 Main-LCD 모듈(320)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진동으로 출력하는 바이브레이터(340), 전기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350) 그리고 영상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모듈(미도시)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기능부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능부는 본체부(200, 도 1참조)에 마련된 칩(410, 도 2참조)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폴더부(300, 도 1참조)에 마련된 FPCB(700)와 상기 본체부(200, 도 1참조)에 마련된 FPCB(600, 도 2참조)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기능부와 칩 (410, 도 2참조) 사이의 신호가 송, 수신된다.
그런데 상기 기능부 중의 하나인 화상표시장치의 신호 전송량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8~16bit 정도의 Parallel 전송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전송량을 FPCB(600, 700)를 통하여 상기 화상표시장치와 칩(410, 도 2참조)사이에 송,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FPCB(600, 700)를 구성하는 신호선의 한계로 인하여 다층구조(Multi-Layer)를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칩(410, 도 2참조)과 상기 기능부사이에 신호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FPCB(600, 700)와 연결되는 수십 개의 핀(Pin)이 구비된 컨넥터(610, 710)가 상기 본체부(200, 도 1참조)와 상기 폴더부(300, 도 1참조)에 동시에 구비되어야 함으로 인해 PCB(400)의 공간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FPCB(600, 700)는 구조적으로 적절한 쉴드(Shield)를 하기 어렵고 상기 PCB(400)에 실장된 칩(410, 도 2참조)과 상기 기능부와의 연결거리가 길어, 상기 FPCB(600, 700)를 통하여 송, 수신되는 신호가 전송되는 도중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신호 수신단에 대하여 노이즈(Noise)를 방사하게 됨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1참조)의 통신신호 수신단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FPCB를 대체할 수 있는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공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힌지부의 개폐에 따른 물 리적인 손상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모듈 등의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신호 연결장치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장치는,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를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각각의 고정단자와 탄성 접촉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대해 상대 운동되는 복수의 스프링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힌지부에 배치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에 탄성 접촉하는 스프링단자가 구비된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송, 수신 신호를 연결하는 FPCB를 대체할 수 있음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칩과 상기 기능부와의 연결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상기 신호 연결장치를 통하여 신호가 송, 수신될 때 방사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통신신호 수신단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계구조에 따라 기존의 신호 연결장치인 FPCB의 구조를 새롭게 설계하고 최 적화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 인해 생산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단가가 절감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반복적인 힌지부 개폐로 야기되는 신호 연결장치의 물리적인 손상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신호단자를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신호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칩(410, 도 2참조)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400, 도 2참조)과 화상표시장치(310, 도 3참조)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800)는,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부(200)와 폴더부(300)를 결합시키는 힌지부(830)와, 상 기 힌지부(830)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고정단자(821)와, 상기 각각의 고정단자(821)와 탄성 접촉되어 상기 고정단자(821)에 대해 상대 운동되는 복수의 스프링단자(8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800)는 상기 고정단자(821)와 상기 힌지부(830)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신호단자(820)와 상기 스프링단자(811)가 포함된 컨택터(810)가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단자(821)에 스프링단자(811)가 탄성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스프링단자(811)가 상기 고정단자(821) 상대 운동하는 관절부(A)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단자(811)가 포함된 컨택터(810)를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컨택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800, 도 5참조)를 구성하는 컨택터(810)는 상기 컨택터(810)의 주요부분을 구성하는 몸체(815)의 일측부에 상기 스프링단자(81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단자(811)가 결합된 위치와 대향되는 방향에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5참조)의 본체부(200, 도 5참조) 또는 폴더부(300, 도 5참조)에 고정되어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고정부(813)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복수의 칩(410, 도 2참조)이 실장된 PCB(400, 도 2참조)와 화상표시장치(310, 도 3참조)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단자(811)는 소정의 두께와 너비 및 탄성력을 가지며 그 일부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호(圓弧)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컨택터(810) 몸체(815)의 일측부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단자(811)는 상기 신호단자(820, 도 6참조)에 마련된 접지단자(821, 도 6참조)에 탄성접촉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5참조)를 구성하는 폴더부(300, 도 5참조)의 개폐 여부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821, 도 6참조)에 대하여 상대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단자(811)가 탄성 접촉하는 접지단자(821, 도 6참조)가 마련된 신호단자(820, 도 6참조)를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신호단자를 도시한 후면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의 신호단자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800, 도 5참조)를 구성하는 신호단자(8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5참조)의 본체부(200, 도 5참조)와 폴더부(300, 도 5참조)를 상호 결합시키는 힌지부(8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830)에는 힌지부(83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고정단자 (821)가 배치되어 상기 신호단자(820) 몸체부(815)의 일측부에 마련되고, 상기 힌지부(830)가 마련된 위치와 대향되는 방향에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5참조)의 본체부(200, 도 5참조) 또는 폴더부(300, 도 5참조)에 고정되어 전기적 신호를 연결할 수 있는 고정부(823)가 마련되어 있어 복수의 칩(410, 도 2참조)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400, 도 2참조)과 화상표시장치(310, 도 3참조)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850, 도 5참조)를 구성하는 신호단자(820)는 상기 힌지부(830)의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보스부(827)가 구비되고 상기 각 보스부(827) 사이에 요(凹)홈(829)이 형성되어 상기 각 요홈(829)에 상기 각 고정단자(8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연결 장치(850, 도 5참조)를 구성하는 컨택터(810, 도 7참조)에 구비된 각 스프링단자(811, 도 7참조)가 상기 각 요홈(829)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단자(821)와 탄성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800, 도 5참조)는 상기 신호 연결장치(800, 도 5참조)를 구성하는 신호단자(82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5참조)의 본체부(200, 도 5참조)에 고정되고, 컨택터(810, 도 7참조)가 폴더부(300, 도 5참조)에 고정됨으로 인해 복수의 칩(410, 도 2참조)이 실장된 PCB(400, 도 2참조)와 화상표시장치(310, 도 3참조)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800, 도 5참조)는 상기 신호 연결장치 (800, 도 5참조)를 구성하는 컨택터(810, 도 7참조)가 이동통신 단말기(100, 도 5참조)의 본체부(200, 도 5참조)에 고정되고, 신호단자(820)가 폴더부(300, 도 5참조)에 고정됨으로 인해 복수의 칩(410, 도 2참조)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400, 도 2참조)과 화상표시장치(310, 도 3참조) 등의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힌지부에 배치되는 고정단자와 상기 고정단자에 탄성 접촉하는 스프링단자가 구비된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등과 같은 기능부간의 송, 수신 신호를 연결하는 FPCB를 대체할 수 있음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칩과 상기 기능부와의 연결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상기 신호 연결장치를 통하여 신호가 송, 수신될 때 방사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음으로 인해 통신신호 수신단 성능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표준화된 형태의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설계구조에 따라 기존의 신호 연결장치인 FPCB의 구조를 새롭게 설계하고 최적화 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 인해 생산 공정이 간소화되고 생산단가가 절감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연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반복적인 힌지부 개폐로 야기되는 신호 연결장치의 물리적인 손상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복수의 칩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화상표시장치 모듈 등의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신호 연결장치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신호 연결장치는,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부와 폴더부를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각각의 고정단자와 탄성 접촉되어 상기 고정단자에 대해 상대 운동되는 복수의 스프링단자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단자는 소정의 두께와 너비 및 탄성력을 가지며 그 일부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호(圓弧)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의 둘레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보스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보스부 사이에 요(凹)홈이 형성되어 상기 각 요홈에 상기 각 고정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각 스프링단자가 상기 각 요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단자와 탄성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단자는 상기 폴더부에 고정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단자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고정단자는 상기 폴더부에 고정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기능부간의 신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85000A 2004-10-22 2004-10-22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000A KR100652687B1 (ko) 2004-10-22 2004-10-22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B2005100635890A CN100461792C (zh) 2004-10-22 2005-04-13 具有信号连接装置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000A KR100652687B1 (ko) 2004-10-22 2004-10-22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481A true KR20060035481A (ko) 2006-04-26
KR100652687B1 KR100652687B1 (ko) 2006-12-07

Family

ID=3674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000A KR100652687B1 (ko) 2004-10-22 2004-10-22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52687B1 (ko)
CN (1) CN100461792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639A2 (en) * 2008-12-31 2010-07-08 Technologies Korea Yh Laird Hinge assemblies for use with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5597B (zh) * 2015-12-30 2020-06-02 深圳市大富精工有限公司 电子设备的折叠保护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4305B2 (ja) * 1994-10-20 2007-10-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用電話器並びにその開閉装置
JP2970901B2 (ja) * 1997-06-27 1999-11-02 三山工業株式会社 足掛具の取付装置
KR100451207B1 (ko) * 2002-10-04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영상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63432B1 (ko) * 2002-12-10 2004-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639A2 (en) * 2008-12-31 2010-07-08 Technologies Korea Yh Laird Hinge assemblies for use with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WO2010076639A3 (en) * 2008-12-31 2010-10-21 Technologies Korea Yh Laird Hinge assemblies for use with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4204A (zh) 2006-04-26
KR100652687B1 (ko) 2006-12-07
CN100461792C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082B1 (ko)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KR100713536B1 (ko) 전자기기의 연성회로
JP3718137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用いるスライドタイプ携帯電話
KR100703466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
KR20110003629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20100279694A1 (en)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US20110237314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07443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CN100536492C (zh) 一种具有直线型软性印刷电路板的移动通信终端
KR100652687B1 (ko) 신호 연결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986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700580B1 (ko)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101051523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결합장치
KR1006907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460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230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장치
KR2006011413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20014847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10947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369496Y1 (ko)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KR100651496B1 (ko) 전자기기의 연성 회로
KR200249984Y1 (ko) 멀티 기능을 갖는 폴더형 휴대 전화 단말기
KR100689434B1 (ko) 폴더형 무선 단말기
KR20040092510A (ko)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