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419A -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 Google Patents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419A
KR20060035419A KR1020040084909A KR20040084909A KR20060035419A KR 20060035419 A KR20060035419 A KR 20060035419A KR 1020040084909 A KR1020040084909 A KR 1020040084909A KR 20040084909 A KR20040084909 A KR 20040084909A KR 20060035419 A KR20060035419 A KR 20060035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operation button
portable telephone
button
game co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영
Original Assignee
박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영 filed Critical 박민영
Priority to KR102004008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5419A/ko
Publication of KR2006003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는 게임 컨텐츠가 구비된 휴대용 전화기로서, 정면에 화면표시부가 마련된 제1몸체, 정면에 수화부와 게임용 제1조작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제1몸체의 일 단에 결합되는 제2몸체, 및 정면에 송화부와 번호입력부가 마련되고 배면에 게임용 제2조작버튼이 마련되며 상기 제1몸체의 타 단에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의 위치전환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몸체를 포함한다. 이 휴대용 전화기는 사용자가 다양한 게임 컨텐츠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준다.

Description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MOBILE PHONE}
도 1은 종래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몸체의 연결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2의 배면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의 전화기 모드에서 게임기 모드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분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몸체 11 : 화면표시부
12 : 메모리카드용 슬롯 13 : 연결 축
14 : 입출력단자 15 : 안내홈
20 : 제2몸체 21 : 수화부
22 : 함몰부 23 : 게임용 방향조정버튼
24 : 입출력단자 25 : 축공
30 : 제3몸체 31 : 송화부
32 : 번호입력부 33 : 게임용 기능버튼
34 : 스피커 40 : 배터리
50 : 안테나 60 : 카메라 렌즈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화기에 저장된 다양한 게임 컨텐츠를 보다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게임용 방향키와 게임용 기능키가 액정화면을 기준으로 서로 분리되어 배치된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용 전화기는 단순히 통화기능 외에 일정관리, 주소록관리, 게임기능 등 여러 가지 복합기능을 수행한다. 이 중 게임기능은 사용자들의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고 사용자들에게 심심치 않은 재미를 안겨주므로 상당한 인기가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휴대용 전화기는 모든 버튼이 한 곳에 집중되어 있어, 사용자가 게임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방향버튼과 기능버튼을 동시에 양 손으로 조작하기 어렵다.
즉, 일반적인 게임기는 한 손으로 게임의 방향조정버튼을 조작하고 다른 손으로 게임의 기능버튼을 조작할 수 있도록 방향조정버튼과 기능버튼이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는데, 휴대용 전화기는 모든 버튼이 한곳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게임을 쉽게 진행할 수 없다. 때문에 휴대용 전화기에 저장 또는 공급되는 게임의 종류는 많으나, 사용자가 실제로 휴대용 전화기로 즐길 수 있는 게임 컨텐츠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휴대용 전화기는 게임용 버튼이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의 번호 입력 버튼으로 한정되어 항상 게임이 액정화면의 길이방향(세로방향)으로만 진행되므로, 가로방향으로 긴 화면이 필요한 게임은 종래 휴대용 전화기에서 하기 어렵다.
아울러 휴대용 전화기의 액정화면의 가로 폭은 사용자의 시야에 비해 상당히 좁으므로, 사용자가 게임을 하기 위해 액정화면을 오랫동안 볼 경우 눈의 피로를 느끼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의 다양한 게임 컨텐츠를 보다 쉽고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게임용 방향조정버튼과 게임용 기능버튼이 분리 배치된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컨텐츠가 구비된 휴대용 전화기로서, 정면에 화면표시부가 마련된 제1몸체, 정면에 수화부와 게임용 제1조작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제1몸체의 일 단에 결합되는 제2몸체, 및 정면에 송화부와 번호입력부가 마련되고 배면에 게임용 제2조작버튼이 마련되며 상기 제1몸체의 타 단에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의 위치전환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몸체를 포함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몸체의 연결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2의 배면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는 제1몸체(10), 제2몸체(20), 및 제3몸체(30)로 나누어진다.
제1몸체(10)는 휴대용 전화기의 가운데 몸통을 형성한다. 제1몸체(10)의 정면에는 화면표시부(11)가 마련된다. 화면표시부(11)는 LCD와 같은 액정화면으로 문자와 동영상 등을 출력한다.
제1몸체(10)의 윗면과 아랫면에는 연결축(13)과 입출력단자(14)가 마련된다. 연결축(13)은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및 제3몸체(30)를 결속시켜주는 구실을 한다. 그리고 입출력단자(14)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및 제3몸체(30) 상호간 의 전기신호가 소통하게 하는 접촉단자 구실을 한다. 연결축(13)에는 홈(13-1)이 형성된다.
연결축(13)의 주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안내홈(15)이 형성되고, 안내홈(15)에는 복수개의 결착 홈(16)이 형성된다. 안내홈(15)은 제2몸체(20) 및 제3몸체(30)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이동경로 구실을 한다. 결착 홈(16)은 제2몸체(20) 및 제3몸체(30)의 회전이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구실을 한다.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은 후에 다시 설명하겠다.
제1몸체(10)의 측면에는 메모리카드용 슬롯(12)이 구비된다. 메모리카드용 슬롯(12)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저장메모리를 보충하기 위한 보조 메모리카드나 게임 또는 음악 등이 저장된 메모리카드가 삽입된다.
제1몸체(10)의 배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가 장착된다.
제2몸체(20)는 제1몸체(10)의 윗면에 결합된다. 제2몸체(20)의 정면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화부(21)와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이 마련된다.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은 게임기 모드에서 사용되는 조작버튼으로서 방향조정을 담당한다.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은 디지털 카메라 모드에서 카메라 작동버튼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한편, 제2몸체(20)의 정면은 전화통화시 사용자의 귀에 닿는 부분이므로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이 위치된 부분을 움푹하게 하여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이 수화부(21)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게 하였다. 도면부호 22는 움푹하게 들어간 함몰부를 나타낸 것이다. 함몰부(22)는 사용자가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을 조정하기 용이하도록 손가락(특히 엄지손가락)이 밀착될 수 있는 형태가 좋다. 수화부(21)는 게임기 모드에서 효과음을 출력한다.
제2몸체(20)의 배면에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60)가 장착된다. 제2몸체(20)의 내부에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60)에 잡힌 영상을 그래픽 파일로 구현해 주는 디지털 카메라 장치가 구비된다. 디지털 카메라 렌즈(60)에 잡힌 영상은 제1몸체(10)의 화면표시부(11)에 구현된다.
제2몸체(20)의 아랫면에는 축공(25)이 형성되고 입출력단자(24) 및 볼(26)이 구비된다. 축공(25)에는 연결축(13)이 결합된다. 축공(25)에는 연결축(13)의 홈(13-1)과 대응되는 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따라서, 축공(25)에 연결축(13)이 결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입출력단자(24)는 제1몸체(10)의 입출력단자(14)와 접속된다. 입출력단자(14, 2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13)을 기준으로 양 쪽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2몸체(20) 및 제3몸체(30)가 연결축(13)을 중심으로 180도 간격으로 회전하여도 전기적 접속이 계속 유지되어 휴대용 전화기가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전기신호의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축(13)을 중공축으로 형성하고 이 공간에 각 몸체를 연결하는 회로를 구비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2몸체(20)와 제3몸체(3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제1몸체(10)와의 전기신호가 계속적으로 이 루어진다.
볼(26)은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2몸체(20)의 외측으로 조금 돌출되게 결합되며 내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 볼(26)은 제1몸체(10)의 안내홈(15)을 따라 구르면서 제2몸체(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접촉마찰력을 줄여주는 기능을 한다. 다만, 볼(26)이 결착 홈(16)을 지나는 순간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착 홈(16)에 밀착된다. 따라서, 볼(26)이 결착 홈(16)과 일치되는 부분에 위치되면 제2몸체(20)의 회전이 멈춰진다. 그러나 다시 제2몸체(20)를 회전시키면 볼(26)이 결착 홈(16)을 빠져 나오게 되어 제2몸체(20)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제2몸체(20)의 윗면에는 통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50)가 결합된다.
제3몸체(30)는 제1몸체(10)의 아랫면에 결합된다. 제3몸체(30)의 정면에는 송화부(31)와 번호입력부(32)가 마련된다. 번호입력부(32)에는 숫자버튼, 통화버튼, 종료버튼, 방향버튼 등이 포함된다. 제3몸체(30)의 배면에는 게임용 기능버튼(33)과 스피커(34)가 마련된다. 게임용 기능버튼(33)은 게임기 모드에서는 게임진행용 작동버튼으로 활용되고 디지털 카메라 모드에서는 카메라 작동버튼으로 활용된다.
한편, 제3몸체(30)의 배면에도 제2몸체(20)의 정면과 마찬가지로 움푹하게 들어간 함몰부(35)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함몰부(35)에는 게임용 기능버튼(33)이 마련된다. 함몰부(35)에 게임용 기능버튼(33)을 형성하는 이유는 게임용 기능버튼(33)이 게임시 외에는 쉽게 눌려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스피커(34)는 게임기 모 드에서 게임의 효과음을 출력한다.
제1몸체(10)와 접촉하는 제3몸체(30)의 윗면에는 제2몸체(20)의 아랫면과 동일한 형태와 구실을 하는 축공, 입출력단자, 볼 등이 마련된다. 이들에 대한 설명 및 작동은 제2몸체(20)의 설명부분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전화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의 전화기 모드에서 게임기 모드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상시 휴대용 전화기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제1몸체(10), 제2몸체(20), 및 제3몸체(30)가 모두 정면을 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번호입력부(32)를 통한 입력신호가 그대로 화면표시부(11)에 출력되고 전화통화도 가능하다.
위 상태에서 사용자가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몸체(30)를 180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몸체(20)의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과 제3몸체(30)의 게임용 기능버튼(33)이 화면표시부(11)와 동일평면상에 위치되어 휴대용 전화기가 사용자가 게임을 하기에 좋은 게임기 모드로 전환된다. 게임기 모드에서는 방향조정버튼(23)과 게임용 기능버튼(33)이 입력장치로서 작동되고 번호입력부(32)는 작동되지 않는다. 다만, 이 게임기 모드에서도 전화수신은 가능하다. 따라서 게임 중 전화가 걸려오면 제3몸체(30)를 원상태로 회전시켜 다시 전화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게임기 모드에서는 제2몸체(20)의 수화부(21)와 제3몸체(30)의 스피커(34)가 게임의 효과음을 동시에 다중으로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입체음향을 들으면서 게임을 보다 생동감 있게 즐길 수 있다. 한편, 게임기 모드에서는 화 면표시부(11)의 길이방향이 가로로 놓여지므로 게임기 모드에서 진행되는 게임 컨텐츠는 이러한 환경에 맞게 프로그램밍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휴대폰의 기능에 화면표시부(11)의 출력화면을 90도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부가시키는 것도 좋다.
게임의 종류에 따라서는 원판형태로 된 방향조정버튼(23)으로 게임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 도 7은 바로 이러한 경우를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안테나(50)는 분리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테나(50)를 조이스틱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조정버튼(23)의 중앙에 나사홈(27)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분리된 안테나(50)를 나사홈(27)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안테나(50)가 조이스틱 구실을 하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방향조정을 할 수 있다.
한편, 위 실시예에서는 제2몸체(20)가 회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게임기와 휴대폰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회전되지 않아도 좋다. 다만, 카메라 기능을 더 부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화면표시부(11)를 보면서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2몸체(20)가 회전되게 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위 실시예에서는 게임용 방향조정버튼(23)과 게임용 작동버튼(33)이 각각 제2몸체(20)와 제3몸체(30)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0)의 정면에는 화면표시부(111)와 스피커(112)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몸체(110)의 양 끝에는 지지대(115)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다. 지지대(115)는 제1몸체(110)의 측면이 연장되는 형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2몸체(120)와 제3몸체(130)의 측면을 감싼다.
제2몸체(120)는 제1몸체(110)의 일 단과 지지대(115)에 의해 형성된 반 밀폐 공간에 장착된다. 제2몸체(120)의 정면에는 수화부(121)와 게임용 방향조정버튼(123)이 마련된다. 게임용 방향조정버튼(123)은 앞에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몸체(120)에 움푹하게 형성된 함몰부(122)에 위치된다.
제3몸체(130)는 제1몸체(110)의 타 단과 지지대(11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장착된다. 제3몸체(130)의 정면에는 송화부(131)와 번호입력부(132)가 마련되고, 배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게임용 기능버튼(133)이 마련된다. 이때, 게임용 기능버튼(133)은 제3몸체(130)의 배면에 움푹하게 형성된 함몰부(134)에 위치된다.
제3몸체(130)는 정면과 배면의 위치가 뒤바뀔 수 있도록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몸체(130)의 회전이 앞의 실시예와 달리 제1몸체(110)의 너비방향을 축으로 이루어진다. 제3몸체(130)의 회전을 지탱하는 축(도시되지 않음)은 지지대(115)에 설치된다. 이 회전축으로는 제3몸체(130)와 제1몸체(110)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는 도선 또는 접촉단자가 마련된다.
한편, 제1몸체(110)의 단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는 두께를 가진 제3몸체(130)가 제1몸체(110)에 단부에 밀착되어 회전될 수 있도 록 제3몸체(130)의 회전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제1몸체(110)의 단부에는 돌기(116)가 형성되고, 제3몸체(130)의 단부에는 끼움 홈(136)이 형성된다. 돌기(116)는 제3몸체(130)가 제1몸체(110)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순간에 끼움 홈(136)에 결착되어 제3몸체(130)를 고정시키는 구실을 한다. 이 돌기(116)는 제3몸체(130)가 회전할 때 제3몸체(130)에 의해 눌려 제1몸체(110) 내측으로 이동한 후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돌기(116)의 동작 및 구성은 탄성부재를 이용한 간단하고 일반적인 기술사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제1몸체(110)가 제3몸체(13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형태이므로 제1몸체(110)와 제3몸체(130)의 결합이 앞의 실시예보다 안정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몸체(110)와 제3몸체(130)가 서로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넓으므로 분리된 2개의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 및 도선의 배치가 용이하다.
한편, 위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제1몸체(110)의 위쪽에 결합된 제2몸체(120)도 제3몸체(130)처럼 회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게임 컨텐츠를 보다 쉽고 재미있고 실감나게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휴대용 전화기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게임 컨텐츠를 보다 다양화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 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2)

  1. 게임 컨텐츠가 구비된 휴대용 전화기로서,
    정면에 화면표시부가 마련된 제1몸체,
    정면에 수화부와 게임용 제1조작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제1몸체의 일 단에 결합되는 제2몸체, 및
    정면에 송화부와 번호입력부가 마련되고 배면에 게임용 제2조작버튼이 마련되며 상기 제1몸체의 타 단에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의 위치전환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몸체를 포함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용 제1조작버튼은 게임용 방향조정버튼이고 상기 게임용 제2조작버튼은 복수개의 게임용 기능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임용 제1조작버튼은 복수개의 게임용 기능버튼이고 상기 게임용 제2조작버튼은 게임용 방향조정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몸체의 배면에는 게임효과음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메모리카드용 슬롯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정면과 상기 제3몸체의 배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함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게임용 제1조작버튼과 제2조작버튼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몸체는 상기 제1몸체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제3몸체의 양 측면을 파지하는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몸체는 상기 지지대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의 너비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3몸체의 접촉면에는 상기 제3몸체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제3몸체의 회전운동이 소정각도로 분절되도록 상기 돌기가 안착되는 복수개의 걸림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배면에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2몸체의 정면과 배면이 각각 상기 제1몸체의 정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용 휴대용 전화기.
KR1020040084909A 2004-10-22 2004-10-22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KR20060035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909A KR20060035419A (ko) 2004-10-22 2004-10-22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909A KR20060035419A (ko) 2004-10-22 2004-10-22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908U Division KR200372910Y1 (ko) 2004-10-22 2004-10-22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419A true KR20060035419A (ko) 2006-04-26

Family

ID=3714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909A KR20060035419A (ko) 2004-10-22 2004-10-22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5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07B1 (ko) * 2005-03-1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조립형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07B1 (ko) * 2005-03-1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조립형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05B1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KR100631670B1 (ko) 휴대용 단말기
US7184718B2 (en) Transformable mobile station
US7606605B2 (en) Two-way folder-type terminal
US78948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EP1723774B1 (en) Dual keypad phone
CN112422721A (zh) 电子设备以及音频输出方法
KR20060127074A (ko) 형태 변경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모바일 스테이션
KR200372910Y1 (ko)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KR100729673B1 (ko) 게임기를 내장한 이동전화장치
KR20060035419A (ko)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JP4393750B2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JP2003273980A (ja) 携帯電話機用ゲームコントローラ
KR10065066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게임전용 키패드 장치
JP4440289B2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KR100658207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766609B1 (ko) 다기능 휴대용 무선 단말기
CN100581183C (zh) 双旋转横式手机
JP2002341999A (ja) 携帯端末用コントローラ
KR200376810Y1 (ko)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
KR200329658Y1 (ko) 디지털 게임기가 내장된 완구형 핸드폰
KR1006508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0770B1 (ko) 게임용 휴대 단말기
KR20060032870A (ko) 손잡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