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810Y1 -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 - Google Patents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810Y1
KR200376810Y1 KR20-2004-0034936U KR20040034936U KR200376810Y1 KR 200376810 Y1 KR200376810 Y1 KR 200376810Y1 KR 20040034936 U KR20040034936 U KR 20040034936U KR 200376810 Y1 KR200376810 Y1 KR 200376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obile phone
display unit
du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주
Original Assignee
이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주 filed Critical 이동주
Priority to KR20-2004-0034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8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은 이중 폴더를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내측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구비한 제 1폴더(20)와; 상기 제 1폴더(20)의 좌우 어느 일측에 형성된 제 1힌지부(40)에 의하여 상기 제 1폴더(20)와 회동결합되고, 일측에 일정 공간이 개방되어진 개방부(60)및 전면 측부에 적어도 하나의 조작버튼(70)을 구비한 제 2폴더(50) 및; 상기 제 1힌지부(40)와 90도의 각을 이루는 상기 제 2폴더(50)의 상측에 형성된 제 2힌지부(80)에 의하여 상기 제2폴더(50)와 회동결합되고 숫자 및 문자, 기호 전송을 위한 제 1키패드부(100)와 상기 제 2폴더(50)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60)의 하단부위인 전면 일측에 위치한 제 2키패드부(110)를 구비한 베이스부(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게임작동을 활용하기 위한 별도의 폴더를 추가로 장착하되,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되는 화면이 와이드 화면으로 제공되어 기존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핸드폰 화면보다 멀티미디어 등의 환경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DUAL FOLDED TYPE STRUCTURE OF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기존 음성 및 전자문서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키패드 및 본체에 보다 확대된 멀티미디어 기능 및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또 하나의 폴더를 제공함으로 보다 다양한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무선 단말기, 즉 핸드폰의 급속한 발달로 기존 1990년대 후반 단순하게 음성 송수신 기능만을 제공하던 휴대폰과 달리 현재는 휴대폰을 통하여 문사메시지(SMS) 송수신 및 음성인식 기능, 동영상 및 스틸 화면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의 제공, MP3 등의 다양한 음원과 동영상 재상이 가능한 휴대폰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고화질 HD 급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하고 모바일 게임을 다운로드 받아 휴대폰에서 즐길 수 있도록 휴대폰의 기술이 날로 진보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통상 LCD 패널로 제공되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는 종방향이 더 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적으로 가로/세로비율이 16:9 비율로 제공되는 HD 등의 동영상을 재생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게임이나 TV 화면 역시 가로방향(횡방향)이 더 긴 형식의 화면이 제공되는 것이 현실이다보니 기존의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로서 멀티미디어 기능, 특히 동영상이나 정지화상 등을 제공하는데 있어서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별도의 힌지수단을 장착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회전하는 휴대폰이 출시되어 인기를 끌고 있으나 이는 화면은 와이드 형식(16:9)으로 제공될 수 있을지는 몰라도 키패드부는 기존의 핸드폰과 별 차이를 보이지 못하여 특히 게임을 할 경우 게임기에서 제공되는 키패드와 배열 구성상의 차이가 많아 게임을 즐기기에는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또한, 다양한 구조의 핸드폰에 대해 국내 특허 및 실용신안공보에 많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 중 특히 국내 특허 0365929호인 "이중 폴더형 핸드폰 구조"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와 폴더로 이루어지는 형태의 폴더형 핸드폰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부와 다이얼을 위한 숫자버튼과 특수 기능버튼이 포함되는 숫자버튼부가 일체로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와 제 1힌지에 의하여 회전결합 고정되고,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소형표시부가 전면에 일체로 구비되며, 문자전송을 위한 다수의 문자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문자버튼부가 후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 1폴더와, 상기 베이스와 제 2힌지에 의하여 회전결합 고정되고 문자전송에 의한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형표시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제 2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핸드폰은 폴더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문자버튼부 전용을 별도로 배치함으로써 문자메시지 작성, 수정이 용이하고 대형표시부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
상기 기술을 살펴보면, 이중 폴더의 구조로 인하여 별도로 제공되는 문자버튼으로 문자메시지를 용이하게 작성, 확인할 수 있을 수는 있겠지만 별도로 제공된 폴더에 단지 문자버튼만을 제공하여 이미 기존 핸드폰 구조에 의하여 문자전송이 익숙해져 있는 세대(특히, 20 내지 30대의 세대)에게는 특별히 대단한 기능이라고 할 수도 없는 상태이며 또한 다양한 매체가 핸드폰을 통해 제공되는 현대의 기술 상황을 보았을 때 종방향의 사각 형상의 화면표시부로는 상기 간단히 언급한 대로 TV 내지 다양한 게임에 유용한 와이드 화면이 제공되지 못하여 별도의 폴더가 수행하는 역할이 폴더 및 화면표시부를 위해 추가로 소요될 것이 확실한 제조비용에 비하여 그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중 폴더형 휴대폰을 제공하되, 현대 휴대폰에서 제공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새로운 키패드 구성을 가진 폴더와 이와 더불어 와이드 화면이 동시에 제공되는 신 개념의 핸드폰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폰에 2중의 폴더 구조를 제공하되 화면이나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외측 폴더에 구성하고 그 아래에 회전고정 부착되어 있는 폴더에는 게임 및 동영상, 음악재생을 위한 버튼을 제공하고 이 폴더의 일부 공간을 절개하여 하단의 베이스부에서의 음성 송수신 및 문자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때 외측 폴더의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종방향 및 횡방향 화면 모두가 제공되는 핸드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측 폴더 하부의 폴더를 게임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용으로 구성하여 간편한 조작으로 게임 조작이 가능하고 와이드화면을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은 이중 폴더를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내측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구비한 제 1폴더(20)와; 상기 제 1폴더(20)의 좌우 어느 일측에 형성된 제 1힌지부(40)에 의하여 상기 제 1폴더(20)와 회동결합되고, 일측에 일정 공간이 개방되어진 개방부(60)및 전면 측부에 적어도 하나의 조작버튼(70)을 구비한 제 2폴더(50) 및; 상기 제 1힌지부(40)와 90도의 각을 이루는 상기 제 2폴더(50)의 상측에 형성된 제 2힌지부(80)에 의하여 상기 제2폴더(50)와 회동결합되고 숫자 및 문자, 기호 전송을 위한 제 1키패드부(100)와 상기 제 2폴더(50)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60)의 하단부위인 전면 일측에 위치한 제 2키패드부(110)를 구비한 베이스부(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하좌우'라는 용어는 기존 종방향(상하방향)이 더 긴 사각 형상의 폴더형 휴대폰의 상하좌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또한, '가로방향(종방향)'은 좌우방향, '세로방향(횡방향)'역시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10)는 일반적인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세로방향으로 길게 뻗은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외측 부분(상단부위)인 제 1폴더(20)는 외측에는 일반 시중의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한 발신표시 및 시간, 문자메시지를 표시하는 외측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폴더(20)의 내측에는 폴더의 크기에 비례하여 사각 형상의 LCD 패널(바람직하게는, 가로: 세로비율이 9:16)이 구비된 화면표시부인 디스플레이부(30)가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하기 내용에서 언급되지는 않으나 핸드폰의 일측부에 공지된 카메라를 포함시킬 수가 있고, 리시버 수단 역시 포함이 가능하다.
제 1폴더(20) 내측의 디스플레이부(30)의 상하단에는 스피커부가 추가로 부착이 가능하여 스테레오 음질의 음원이 제공되며 기타 SRS, 돌비디지털 형식의 음원도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1폴더(20)는 이 하부에 위치한 제 2폴더(50)와 제 1힌지부에 의하여 회동결합이 되어 있는데, 이 제 1힌지부(40)는 종래 휴대폰의 상측부가 아닌 좌우측부의 어느 한 부위에 제공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 1폴더(20)와 제 2폴더(50)는 제 1힌지부(40)에 의하여 현재 유통 시판되는 전자사전과 같은 가로방향의 구조와 유사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폴더(20)를 개방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30)는 횡방향을 기본 구조로 가지게 되며 이 종측과 횡측의 길이 비율은 9:16으로 이루어져 현재 제공되는 디지털동영상 송출방식화면(SD, HD 등)에 적응이 될 수 있다.
제 2폴더(50)는 제 1폴더(20)와 베이스부(90) 사이에 위치한 폴더로서, 개방부(60)에 의하여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뚫려 있는)구조를 가지며 이 개방부(60)의 일측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버튼(70)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개방부(60)는 제어수단(130)에 의한 디스플레이부(30)의 화면크기 조절 및 제 2폴더(50)의 기능 활용을 강화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제 2폴더(50)의 중앙부위 내지 약간 하단 측부로 치우친 적절한 부위에 디스플레이부(30)의 크기의 절반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 2폴더(50)의 후면에는 별도의 스피커부 내지 조작버튼의 제공이 가능하며 이는 베이스부(90)의 기능 활용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 2폴더(50)는 게임 및 TV, 동영상, 이미지파일, 텍스트, 음악 등을 와이드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30)에서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전용 인터페이스 기능을 위한 것으로 이 제 2폴더(50)에 위치한 조작버튼(70)에 의하여 음악 및 동영상 재생 및 조절을 할 수가 있고 역시 게임 등의 다양한 캐릭터 등을 조작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을 위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 조작버튼(70)은 정지모드, 플레이모드, 다양한 무기선택 내지 무기발사, 슈팅 및 게임에서 지원되는 아이템 사용모드 등으로 사용이 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조작버튼은 3 내지 8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물론, 후술할 제 2 키패드부(110)와 더불어 조작버튼(70)의 조작이 다양화될 수가 있다.
이러한 제 2폴더(50)는 외관상의 특징을 강화하기 위하여 후면에 별도로 제공이 가능한 스피커와 조작버튼(70) 및 이와 연결 및 구동을 위한 복수의 도선을 제외하고 전체가 투명 소재로 제작이 되어 제 2폴더(5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사용자에게 이 하단에 위치한 베이스부(90)가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구조(10)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부(90)는 일반 핸드폰의 본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문자 및 음성 송수신, 휴대폰설정을 위한 제 1 키패드부(100)와 마이크 및 내부의 음성 등의 송수신 및 제 1폴더(20) 상의 조작버튼(70) 내지 스피커의 구동 및 기타 기능설정을 위한 제어회로, 외부기기와 연결을 위한 RF 송수신부 및 스마트 카드 장착부, USB 포트 등이 구성되어 있다. 물론, 베이스부(90)의 하단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부(120)가 장착이 되는데 이는 종래의 휴대폰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베이스부(90)는 제 2폴더(5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이 되어 있는데, 제 1폴더(20)와 제 2폴더(30)의 연결과 달리 베이스부(90)와 제 2폴더(50)의 연결을 위한 제 2힌지부(80)는 상단 일측, 다시 말해 제 1 힌지부(40)와 90도의 각을 이루는 일측부에 연결이 되어 있다.
더불어, 제 1폴더(20)를 덮었을 때 개방부(60)가 맞닿는 부위에는 원형 내지 십자형상의 조작버튼과 필요에 의하여 추가로 구성이 가능한 조작버튼까지 구비된 제 2키패드부(110)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부(90)에는 제어 수단(1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제어 수단(130)은 2개로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제 1 및 제 2 힌지부(40,80)의 작동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의 화면 크기를 조절/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폴더(50)가 베이스(90)부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제 1폴더(20)가 제 2폴더(50)에 닫혀 있는 상태라면 개방부(60)의 크기에 상응하는 화면크기를 디스플레이부(30)상에 제공하고 제 1폴더(2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라면 상하방향의 전체화면을 제공하며 제 2폴더(50)가 베이스부(90)에 닫혀 있는 상태에서 제 1폴더(20)만 개방된 상태라면 좌우방향의 전체화면(와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하여 제공한다.
이하, 상기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의 구조(10)에 대한 구성을 토대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제 1폴더(20)를 제 1힌지부(40)에 의하여 회동 개방하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용으로 사용되어지는 2폴더(50)가 사용자에게 노출이 된다.
이 제 2폴더(50)에 구성된 개방부(60)에 의하여 그 하단에 위치한 베이스부(90)의 제 2키패드부(110) 역시 노출이 된다. 즉, 가로방향을 사용방향으로 기준을 둘 때 제 2폴더(50)상의 조작버튼(70)이 우측에 제 2키패드부(110)가 좌측에 제공이 되어 일반 휴대용 게임기의 조작버튼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되며 이미 이러한 구조에 친숙한 사용자에 의하여 편리하게 작동이 되어 질 수가 있다.
제 2키패드부(110)는 바람직하게 공지된 핸드폰 조작버튼 내지 게임기의 버튼으로 흔히 사용되는 원형 내지 십자형상의 조작버튼으로 구성되어 게임을 할 때 상하좌우 이동 버튼으로 편리하게 사용되어 질 수가 있으며 물론 다른 동영상이나 음악재생 등을 위해서 사용되어 질 수도 있다. 또한, 제 1폴더(20)만 개방될 경우 제어수단(130)에 의하여 제 1폴더(20)의 내측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30)가 와이드 화면으로 제공되어지기 때문에 현재 와이드 화면 방식으로 신호전송 내지 설정이 되어 있는 영상 및 게임을 보다 넓은 화면표시에 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및 게임 등을 즐길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및 게임의 조작은 개방부(60)에 의하여 노출된 베이스부(90)의 제 2키패드부(110)와 제 2폴더(50) 전면에 위치된 조작버튼(70)에 의하여 가능하다.
또한, 제 1힌지부(40)와 90도의 각을 이루어 휴대폰 상측, 하측 어느 한 곳(바람직하게는 상측)에 구성되어 있는 제 2힌지부(80)를 통해 베이스부(90)에 연결된 제 2폴더(50)를 개방하면 일반적인 휴대폰의 기능, 즉 음성송수신 기능, 문자메시지 송수신 기능, 휴대폰 설정기능 등을 사용 및 조작할 수 있다.
더불어, 베이스부(90)의 제 2키패드부(110)는 상기 서술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조작을 위하여서도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본 휴대폰에서 사용되어지는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설정을 위해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제 1폴더(20)를 제 2폴더(50)에서 개방시킨 상태에서 제 2폴더(50)를 또한 베이스부(90)에서 개방시킬 경우 제 1폴더(20) 내측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30)는 베이스부(90)의 좌우 어느 일측에 위치하게 될 수가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구조를 기반으로 제어수단(130)을 통해 상하방향의 넓은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0)로부터 제공받을 수가 있으며, 제 1폴더(20)를 제 2폴더(50)에서 덮은 상태에서 제 2폴더(50)를 베이스부(90)에서 개방시킬 경우에는 제 2폴더(50)의 개방부(60)에 상응하는 크기의 화면이 베이스부(90)의 상하 어느 일 측(바람직하게는 상측)에 제공되어 질 수가 있다.
결국, 제 1폴더(20)를 제 2폴더(50)에서 덮은 상태에서 제 2폴더(50)를 베이스부(90)에서 개방시킬 경우에는 제 1힌지부(40) 및 제 2힌지부(80)의 작동상태를 통하여 구동되는 제어 수단(130)에 의하여 화면크기가 개방부(60)의 크기에 알맞게 재조정되기 때문에 하나의 디스플레이부(30)에 의하여 화면크기 및 방향조절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및 게임작동을 활용하기 위한 별도의 폴더를 추가로 장착하되, 디스플레이부에서 제공되는 화면이 와이드 화면으로 제공되어 기존 세로방향으로 길게 제공되는 핸드폰 화면보다 멀티미디어 등의 환경에 유용하게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폴더에 별도의 개방부를 제공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제공을 위한 와이드 화면과 기존 음성송수신을 위한 기본 화면이 동시에 제공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가질 뿐 아니라, 기존 휴대폰에 게임기 및 이동 동영상 재생기 등을 일체화하여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휴대폰의 패러다임을 열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의 제 1폴더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의 제 2폴더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의 제 1폴더 및 제 2폴더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의 제어수단에 대한 기능을 설명한 흐름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핸드폰 구조 80: 제 2힌지부
20: 제 1폴더 90: 베이스부
30: 디스플레이부 100: 제 1키패드부
40: 제 1힌지부 110: 제 2키패드부
50: 제 2폴더 120: 배터리부
60: 개방부 130: 제어수단
70: 조작버튼

Claims (6)

  1. 이중 폴더를 구비한 휴대폰에 있어서,
    내측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를 구비한 제 1폴더(20)와;
    상기 제 1폴더(20)의 좌우 어느 일측에 형성된 제 1힌지부(40)에 의하여 상기 제 1폴더(40)와 회동결합되고, 일측에 일정 공간이 개방되어진 개방부(60)와 전면 측부에 적어도 하나의 조작버튼(70)을 구비한 제 2폴더(50) 및;
    상기 제 1 힌지부(40)와 90도의 각을 이루는 상기 제 2폴더(50)의 상측에 형성된 제 2 힌지부(80)에 의하여 상기 제 2폴더(50)와 회동결합되고 전면에 숫자 및 문자, 기호 전송을 위한 제 1 키패드부(100)와 상기 제 2 폴더(50)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60)의 하단부위인 전면 일측에 위치한 제 2 키패드부(110);를 구비한 베이스부(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힌지부(40,8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를 전체 화면과 상기 개방부(60)의 크기로 크기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제어 수단(130)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상하측에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폴더(50)의 내측에 스피커부와 조작버튼(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키패드부(110)는 원형 또는 십자형상의 조작버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좌우길이와 상하길이비율이 9: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폴더형 휴대폰 구조.
KR20-2004-0034936U 2004-12-09 2004-12-09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 KR200376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936U KR200376810Y1 (ko) 2004-12-09 2004-12-09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936U KR200376810Y1 (ko) 2004-12-09 2004-12-09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810Y1 true KR200376810Y1 (ko) 2005-03-10

Family

ID=4367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936U KR200376810Y1 (ko) 2004-12-09 2004-12-09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8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69B1 (ko) 2007-01-29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KR100810352B1 (ko) 2006-12-2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52B1 (ko) 2006-12-2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00769B1 (ko) 2007-01-29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6605B2 (en) Two-way folder-type terminal
KR20070087744A (ko) 복수의 액정을 갖는 이동단말기
JP5117032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モード切替方法
JP2007174617A (ja) ディスプレイパートおよびキーパッドパートを含む個人携帯端末機
KR20040091272A (ko) 더블 폴더 휴대폰
CN1953468A (zh) 便携式终端和滑动型支架
JP2006135961A (ja) スピーカーユニット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EP1723774B1 (en) Dual keypad phone
JP2005198062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5299273B2 (ja) 回転式携帯端末機
KR100754605B1 (ko) 폴딩형 키패드를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KR200376810Y1 (ko) 이중 폴더형 휴대폰 구조
KR100729673B1 (ko) 게임기를 내장한 이동전화장치
JP3631119B2 (ja) 無線情報端末機
US20080039214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game function
KR20070109764A (ko) 휴대기기 구조
KR100766609B1 (ko) 다기능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31617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494653B1 (ko) 중앙 회전식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474304B1 (ko) 측면키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KR200372910Y1 (ko) 게임기 겸용 휴대용 전화기
KR200319970Y1 (ko) 더블 폴더 휴대폰
KR100901189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0895187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전자 장치
KR200301252Y1 (ko) 폴더형 복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