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213A -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213A
KR20060035213A KR20040084585A KR20040084585A KR20060035213A KR 20060035213 A KR20060035213 A KR 20060035213A KR 20040084585 A KR20040084585 A KR 20040084585A KR 20040084585 A KR20040084585 A KR 20040084585A KR 20060035213 A KR20060035213 A KR 2006003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password
url
automatic lo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8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285B1 (ko
Inventor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시드
Priority to KR102004008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2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28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저의 설정에 따라 단일의 착신자 통합통신 ID와 연계된 해당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해당 발신자가 설정한 인터넷 사이트의 URL 및 해당 사이트에서 각 URL별로 기계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해당 패킷에 포함하여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URL에 접근을 시도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한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통합통신 ID의 입력 및 전송을 통해, 해당 통합통신 ID의 실제전화번호를 수신한 자동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통신 ID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통합통신 ID의 입력 및 전송을 통해, 해당 통합통신 ID의 실제전화번호를 수신한 자동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부터 기등록된 유저의 URL 정보와,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제공받아 해당 URL에 로그인하기 위한 자동 로그인 패킷을 생성 처리하는 유저 단말기와;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 및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저 단말기와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 및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와; 상기 유저 단말기의 착신자의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호접속 요구시 해당 유저 단말기측으로 기등록된 통합통신 ID와 연계된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처리하며, 유저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구시 해당 유저 단말기번호 및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행하고, 유저가 미리 기지정한 다수의 URL 및 해당 사이트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패킷화하여 해당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와; 상기 유저 단말기를 통해 자동 로그인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기로 각종 인터넷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로 구성되어 각 무선 인터넷 사이트별 자동 로그인이 유저 단말기와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에 의해 실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본 발명을 적용하면, 통합통신 ID에 따른 실제 전화번호를 부여하는 서버에 미리 단말기 번호 및 해당 단말기 번호와 연계되도록 다수의 URL 및 각 URL별 ID와 패스워드, 해당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유저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시도시, 1회 패스워드만을 입력하면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시나 사이트 이동시 기설정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로그인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일일이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아도 되고, 신속하게 로그인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AUTO LOGIN SYSTEM FOR A WIRELESS INTERNET SITE AND METHOD OF THE SAME USING OF A MULTI-COMMUNICATION ID}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서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에서 자동 로그인 처리를 행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에서의 단말기를 통해 생성한 자동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도시한 도면,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An:유저단말기, C1∼Cn:무선인터넷정보제공서버,
WAPS:무선데이터송/수신서버, MIDNS':통합통신ID 네임제공서버.
본 발명은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유저의 설정에 따라 단일의 착신자 통합통신 ID와 연계된 해당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해당 발신자가 설정한 인터넷 사이트의 URL 및 해당 사이트에서 각 URL별로 기계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해당 패킷에 포함하여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URL에 접근을 시도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한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원거리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의 호스트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측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정보제공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최근에는 가입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캐쉬메모리 확장기술 등 주변기술과 가입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 선별기술 및 압축기술이 개발중이며, 이를 통한 각종 콘텐츠 및 그 솔루션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인해 남녀노소 불문하고 휴대폰, PCS를 소지하고 음성통화 및 각종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고 있다. 한편, 컴퓨터 통신의 부흥에 힘입어 이메일을 통한 각종 문서 교환, 동영상,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은 다수의 유저에게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각 유저별, 업체별 홈페이지 등도 활발하게 제작되어 소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단문 메시지 시스템인 메신저 프로그램이 마이크로 소프트사에서 출시되어 많은 유저들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 메신저 프로그램은 PC의 IP값을 등록한 상태에서 소망하는 상대와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메일 등과는 달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놓은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다수의 금융사에서 금융서버를 이용하여 유저가 컴퓨터 단말기를 매개하여 해당 금융서버에 접속하고, 유저 인증과정을 거친 후 소망하는 계좌로의 이체 및 각종 자동이체 설정 등 금융처리를 행하는 인터넷 뱅킹이 성행되고 있다.
결국, 이러한 통신 기반환경에서의 유저는 다수의 접속 수단 인증을 위한 아 이디와 패스워드를 기억해야 하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유선 전화번호, 직장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접속을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 차량 번호 등 각종 번호 및 도메인 주소, 아이디를 기억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 일례로, 특정 유저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제 3자에게 전화를 걸고자 할 경우에도 해당 제 3자에게서 제공받은 명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를 시도하나, 통화 불가시 다시 명함에 적힌 직장 전화번호를 별도로 입력하고 통화 재시도를 행해야 되므로 매우 불편하게 된다.
또한, 특정인의 홈페이지에 억세스하거나, 메일을 송부하고자 할 경우에도 전화번호 알림 시스템(114) 등과 같이 해당 홈페이지나 메일주소에 대해 정보 제공을 하는 시스템이 전무하므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유저가 사용하는 자신의 이메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특정 메일서버에 접속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이메일 수신여부를 확인해야하며, 자신의 계좌에 입금여부를 알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메일서버의 억세스를 닫고, 특정 금융서버에 억세스하여 다시 아이다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입금여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빈번하게 윈도우 창을 오픈 및 클로즈해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불어, 웹 전화 즉, 컴퓨터 단말기의 데이터통신망을 통한 음성통화(일명, 다이얼 패드)의 경우에는 각 컴퓨터 단말기의 유저별 전화번호가 없으므로 비용이 저렴하고 인터넷망을 이용하므로 단선의 위험이 전혀 없으며 지속적으로 품질 향상이 이루어지기는 하나, 종래에는 이러한 웹 전화도 역시 별도의 고유번호가 부여되 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고, 특정한 고유 번호가 부여되면 유저는 자신 및, 소망하는 접속 대상자의 웹 전화번호를 모두 기억해야만 한다는 문제로 인해 웹전화의 보급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외부에서 긴급하게 특정인에게 팩스를 보내야될 상황에도 그 특정인에게 전화하여 팩스번호를 별도로 물어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전화번호 알림 시스템(114)를 통해 특정 회사에 전화를 건 경우에도 다시 내선을 통해 소망하는 부서의 소망하는 담당자가 연결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연결을 시도해야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회사의 경우 비용 및 시간소요에 따른 손실이 막대하고, 해당 담당자와 통화코저하는 호출자는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만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라는 명칭으로 특허출원한 바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특허(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기재한다.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은 유저가 별도의 선택 모드에서 문자 및 기타 특수문자, 숫자, 영문 등으로 이루어진 통합통신 ID를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조작하면 유저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왑(WAP)망을 통해 해당 통합통신 ID에 대응하는 실제 전화번호를 질의하여 제공받고, 제공받은 실제 전화번호로 실제 호접속 요구신호를 발생함으로서 착신을 위한 착신자 식별체계가 문자, 전화번호가 아닌 숫자, 영문, 기타 특수문자, 바코드, 등록 화상데이터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종래 발명에서 예시하는 "통합통신 ID"는 문자(홍길동, 슈퍼맨, 천사 등) 및 기타 특수문자(@@, ^^, ** 등), 숫자(1004, 4989 등), 영문(Zang, King, Lover), 바코드, 화상데이터 등의 자유로운 형태로 구성되어져 있으면서, 유저의 선택에 따라 공개적으로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하게 되는 시스템인 바, 불특정 다수의 유저가 이동통신 단말기(A1∼An)에서 해당 "통합통신 ID"를 입력하여 호접속을 행하여 음성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화번호의 범주라고 할 수 있으며, 착신자의 다양한 통신수단(팩스, 이메일, 홈페이지 등)에 접속되기 위한 ID라는 면에서는 전화번호의 범주보다 훨씬 광범위한 범주에 포함된다고 하겠다. 또한, 일반 통합통신 ID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중복 ID가 존재할 수 없는 유니크하므로 이러한 면에서는 도메인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은 단말기와 시스템 내부에서 문자를 숫자로 바꾸기 위한 인코딩 동작이 없으며, 숫자를 해당 문자로 변환시키기 위한 디코딩 동작이 없다.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은 불특정 다수의 유저가 그 유저 이동통신 단말기(A1∼An)를 통해 입력한 착신측의 통합통신 ID에 해당하는 실제 전화번호를 무선데이터망인 왑망(WAP network)을 통해 제공받으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A1∼An)에서 제공받은 실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발신 유저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호접속을 시도하게 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발신 유저는 일반 전화통화시의 행위인, 착신측 통합통신 ID(예컨대, "홍길동")를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조작하였지만, 해당 발신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는 자동으로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왑망을 통해 접속을 시도하여 해당 착신측 통합통신 ID(홍길동)의 실제 전화번호(예컨대, 011-234-5678)를 요구하고,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는 왑망을 통해 해당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정보(011-234-5678)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발신 유저의 이동통신 단말기(A1∼An)는 해당 착신측 실제 전화번호(011-234-5678)에 대한 호접속 신호를 자동으로 발생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1,2 초내에 이루어지므로 실제로 발신 유저는 시스템을 통해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루틴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A1∼An)는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숫자로 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음성통화를 실행하는 일반 모드 및, 일반 USID 모드(즉, 통합통신 ID 통화모드), C-USID 모드(개인등록용 통합통신 ID 통화모드), L-USID 모드(지역상업용 통합통신 ID 통화모드)로 구분된다. 이때, 종래의 일반 모드 및 일반 USID 모드에 대해서는 먼저 기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C-USID 모드 및 L-USID 모드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C-USID 모드(개인등록용 통합통신 ID 통화모드)는 일반 통합통신 ID(예컨대, 일반 USID)와 연동하여 그 일반 USID와 무관하게 개인적으로 편집하여 등록한 통합통신 ID를 이용하여 호접속을 시도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A1∼An)에는 이러한 모드선택 버튼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져 있으며, 통합 통신 ID의 데이터 패킷 생성시 해당 모드에 대한 정보가 그 패킷에 포함된다.
예컨대, 착신측 일반 통합통신 ID가 "춘향이"인 경우에는 도메인과 같이 공개적으로 사용되는 통합통신 ID이고, 그 실제 전화번호(예컨대, 011-234-5678)가 그 통합통신 ID인 "춘향이"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등록되어져 있으나, 이와는 별개로 특정 발신자가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춘향이" 대신 "마누라"라고 등록하게 되면, 해당 발신자는 그 "춘향이"의 실제 전화번호인 011-234-5678로 호접속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개인적인 등록의 경우에는 C-USID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게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등록하여 "마누라"라는 별개의 통합통신 ID를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C-USID는 개인적으로는 중복이 허용된다. 즉, A라는 불특정 유저도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마누라"라는 C-USID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B의 유저도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마누라"라는 C-USID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각 유저의 "마누라"에 대한 실제 전화번호는 각기 상이하다.
상기 L-USID는 지역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통합통신 ID 인 것으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L-USID로 다수의 업체나 상점이 등록되게 된다. 이러한 L-USID는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각 업종별, 상호별로 등록되는 바, 예컨대 동, 면, 리 등의 특정 지역단위의 업종대표명(짜장, 짬봉, 꽃집..등)으로 분류되어 해당 정보에 대한 추출 및 열람, 호접속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ID이다.
이러한 "통합통신 ID"는 개인적인 사정에 의해 비록 실제 전화번호가 변경되더라도 해당 통합통신 ID가 변경되지 않는 한 평생 전화번호의 개념으로 장시간 연락이 두절된 착신자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단일의 통합통신 ID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수단에 접속할 수 있다는 잇점이 매우 크므로 매우 획기적인 통신 시스템이며, 다양한 시스템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에는 숫자 및 문자의 입력이 가능한 키조작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USID 모드, C-USID 모드, L-USID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모드선택 버튼이 구비되고, 착신측 통합통신 ID가 입력되고 통화버튼이 조작되면 자동으로 기설정 서버에 왑망으로 접속하여 해당 발신측 전화번호정보 및 착신측 통합통신 ID를 전송하며,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실제 전화번호로 자동 호접속 요구신호를 발생하도록 자동 접속 루틴을 행하게 설정된 통합통신 ID 호접속용 단말기(A1∼An)가 제공된다.
또한,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에는 상기 통합통신 ID 호접속용 단말기(A1∼An)로부터 착신측 단말기(B1∼Bn)의 전화번호 정보 및 해당 통합통신 ID 호접속용 단말기(A1∼An)의 전화번호 정보와, 호접속 요구신호를 인가받아 호접속 절차를 실행하는 공지의 이동통신 서버(MCS)가 제공된다.
또,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통합통신 ID 호접속용 단말기(A1∼An)로부터 왑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WAPS)가 제공된다.
한편, 종래 발명에는 상기 통합통신 ID 호접속용 단말기(A1∼An)의 실제 전화번호와 연동하여 DB 구축된 USID, C-USID, L-USID의 통합통신 ID를 개별적으로 등록하고,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WAPS)를 매개하여 상기 통합통신 ID 호접속용 단말기(A1∼An)로부터 그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 및 모드선택정보, 착신코자 하는 착신자의 통합통신 ID를 전송받아 해당 착신측 실제 전화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WAPS)를 매개하여 전송하도록 제어루틴을 실행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구축된 제 1, 2, 3, 4 데이터베이스(DB1,DB2,DB3,DB4)는 통합통신 ID 등록자의 신상정보 및 통합통신 ID 등록자의 실제 전화번호정보 및 각 통신수단별 실제 번호, 그 실제 전화번호와 연결된 통합통신 ID, 각 통합통신 ID 등록자별 C-USID 정보 및 C-USID 대상자의 실제 전화번호, 각 지역별로 분류되어 등록된 L-USID 데이터가 각각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은 물론이고, 현재 사용되는 일반 단말기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에서도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망인 왑(WAP)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양한 인터넷 정보제공자(IP)나 인터넷 포털의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각 인터넷 정보 제공사이트나 포털별로 고유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회원 인증을 수행하게 되어져 있다.
따라서, 유저는 다수개의 이메일 서버 및 인터넷 포털, 인터넷 정보 제공서 버에 접속하였을 때마다 해당 서버에서 기계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일일이 입력하여 로그인을 수행해야 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핸드폰 등의 소형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다수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로의 로그인시에는 그 표시화면이 매우 작고, 키입력 버튼이 매우 작으므로 매번 영문을 주로 하여 입력하는 ID 및 패스워드로 입력하는 로그인 방식에는 유저의 불편함이 더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의 설정에 따라 단일의 착신자 통합통신 ID와 연계된 해당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해당 발신자가 설정한 인터넷 사이트의 URL 및 해당 사이트에서 각 URL별로 기계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해당 패킷에 포함하여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URL에 접근을 시도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한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저가 미리 단말기의 내부에 소망하는 각 인터넷 사이트의 URL 및 해당 사이트에서 기계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 설정하여, 해당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URL에 접근을 시도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한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통합통신 ID의 입력 및 전송을 통해, 해당 통합통신 ID의 실제전화번호를 수신한 자동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통신 ID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통합통신 ID의 입력 및 전송을 통해, 해당 통합통신 ID의 실제전화번호를 수신한 자동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부터 기등록된 유저의 URL 정보와,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제공받아 해당 URL에 로그인하기 위한 자동 로그인 패킷을 생성 처리하는 유저 단말기와;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 및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저 단말기와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 및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와; 상기 유저 단말기의 착신자의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호접속 요구시 해당 유저 단말기측으로 기등록된 통합통신 ID와 연계된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처리하며, 유저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구시 해당 유저 단말기번호 및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행하고, 유저가 미리 기지정한 다수의 URL 및 해당 사이트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패킷화하여 해당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와; 상기 유저 단말기를 통해 자동 로그인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기로 각종 인터넷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로 구성되어 각 무선 인터넷 사이트별 자동 로그인이 유저 단말기와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에 의해 실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이 제공된 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는 그 내부에 다수 유저에게 기부여된 통합통신 ID와, 해당 통합통신 ID와 연계되는 실제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해당 유저 단말기의 번호 및 해당 번호와 연계된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해당 유저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와 연계된 다수의 URL 정보와,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는 그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 패킷가 각 유저의 단말기번호 정보 및 해당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접속 패스워드정보, 해당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다수의 URL 정보,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음성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음성메시지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키신호 및 자동 로그인 서비스 선택신호, 접속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각종 기능키신호와 선택/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저장 및 그 실시간 전송, 예약 전송시간 설정에 따른 표시상태나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 를 매개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기등록 자동 로그인 정보에 따른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완료화면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와; 상기 안테나와 듀플렉서를 통해서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는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메시지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처리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방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에 출력하게 되는 음성처리부와; 키입력부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면서,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 화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자동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자동 로그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자동 로그인 정보 즉, 다수의 URL정보 및 해당 URL별 ID, 패스워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URL에 따른 자동 로그인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와; 음성 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착신번호에 대한 호접속신호를 발생하여, 음성통화를 행하며,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해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여,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자동 로그인 화면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토록 하며, 사용자 인증 완료시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로 유저가 선택한 URL에 대한 자동 로그인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 자동 로그인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실행된 후에는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에서 해당 유저 단말기 번호정보 및 선택한 URL 정보, 해당 URL별 ID, 패스워드 정보를 조합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접속신호 및 패스워드 입력을 행하고, 자동 로그인 정보를 전송받아 자동 로그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유저 단말기와, 상기 유저 단말기를 통해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URL 정보를 기저장하고, 해당 URL별 ID와 패스워드를 기저장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등록 URL 및 각 URL에 해당하는 ID 및 패스워드를 접속코자 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포맷에 적합하게 데이터 패킷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측으로 입력 처리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 및 사이트 이동시 자동으로 로그인이 실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자동 로그인 과정은 해당 유저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 및 소망하는 URL 정보 및,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의 자동 로그인 정보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 해당 접속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가 해당 단말기번호를 통해 기저장된 다수의 URL 정보 및 URL별 ID 및 패스워드정보를 추출하여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유저단말기의 메모리에 해당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특정 무선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유저 단말기의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가 구동되어 메모리로부터 해당 URL 정보에 해당하는 ID 및 패스워드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포맷에 적합하게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해당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 전송된 접속 패스워드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가 기저장된 접속 패스워드와 비교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해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URL 정보 및 ID, 패스워드 정보를 자동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접속된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해제후 재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다시 자동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인증과정부터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음성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음성메시지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키신호 및 자동 로그인 서비스 선택신호, 접속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각종 기능키신호와 선택/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저장 및 그 실시간 전송, 예약 전송시간 설정에 따른 표시상태나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를 매개로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완료후의 화면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와; 안테나와 듀플렉서를 통해서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는 수신부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메시지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처리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방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 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에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키입력부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면서,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 화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URL 정보 및,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발생된 자동 로그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URL정보 및 해당 URL별 ID, 패스워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URL에 따른 자동 로그인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와; 음성 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착신번호에 대한 호접속신호를 발생하여, 음성통화를 행하며,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해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여,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자동 로그인 화면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접속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완료시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로 유저가 선택한 URL에 대한 자동 로그인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유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저가 키입력부를 통해 메모리에 접속 패스워드 및 다수의 소망하는 URL,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 설정하는 과정과; 키입력부를 매개로 무선 인터넷 접속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키입력부를 매개로 접속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된 접속패스워드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접속 패스워드를 비교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행하는 과정과;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특정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선택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해당 사이트의 URL 및 해당 URL에 연계된 ID, 패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 사이트 포맷에 적합하게 로그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해당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해당 사이트 서버로 전송하여 로그인을 실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해당 사이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인증과정이 실패한 경우에는 직접 URL을 입력하는 과정과; 해당 URL별로 기계정받은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과; 해당 ID 및 패스워드를 통한 로그인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수동 로그인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은 유저의 설정에 따라 단일의 착신자 통합통신 ID와 연계된 해당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해당 발신자가 설정한 인터넷 사이트의 URL 및 해당 사이트에서 각 URL별로 기계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해당 패킷에 포함하여 발신자 단말기측으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 정 인터넷 사이트의 URL에 접근을 시도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시, 억세스하는 다수의 사이트(URL)별로 미리 해당 유저가 계정받은 고유의 ID 및 패스워드를 매번 입력하고 수동으로 로그인을 해야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초 유저의 접속 패스워드만을 입력하면 억세스하는 기설정 사이트에 대한 로그인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유저는 미리 무선 인터넷 접속수단이나 접속 매개수단에 해당 유저가 회원으로 가입된 각 사이트의 URL을 등록시키고, 해당 URL별로 기계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 설정한다. 그리고 해당 유저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요구 신호 발생시 해당 사용자의 인증후, 자동으로 로그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무선 인터넷 접속수단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이며, 접속 매개수단은 해당 서비스 제공자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시 자동 로그인등의 보조 억세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이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통합 통신 ID의 실제 전화번호를 서버에 질의하는 시스템에서는 실제 전화번호 정보 요구시, 해당 유저의 로그인 정보(URL 별, ID 및 패스워드)를 동일 패킷에 저장하여 해당 유저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패킷 비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은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통합통신 ID의 입력 및 전송을 통 해, 해당 통합통신 ID의 실제전화번호를 수신한 자동 호접속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로부터 기등록된 유저의 URL 정보와,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제공받아 해당 URL에 로그인하기 위한 자동 로그인 패킷을 생성 처리하는 유저 단말기(A1∼An)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경우, 해당 단말기(A1∼An)의 분실시, 해당 유저가 회원으로 가입된 다수의 URL 정보와, ID 및 패스워드 정보가 노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최초 무선 인터넷 접속시도에 따른 사용자 인증화면이 출력되도록 설정되어져 있으며, 그 사용자 인증화면에서 유저의 접속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자동 로그인 전처리 과정으로 실행토록 한다.
만약, 유저가 그 유저 단말기(A1∼An)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으면, 일반 무선 인터넷 접속이 실행되고, 일일이 각 사이트별로 개별 수동 로그인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에는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 및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C1∼Cn)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저 단말기(A1∼An)와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 및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C1∼Cn)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WAPS)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에는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착신자의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호접속 요구시 해당 유저 단말기(A1∼An)측으로 기등록된 통합통신 ID와 연계된 착 신자의 실제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처리하며, 유저 단말기(A1∼An)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구시 해당 유저 단말기(A1∼An) 번호 및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행하고, 유저가 미리 기지정한 다수의 URL 및 해당 사이트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패킷화하여 해당 유저 단말기(A1∼An)로 전송하기 위한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가 제공된다.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의 내부에는 다수 유저에게 기부여된 통합통신 ID와, 해당 통합통신 ID와 연계되는 실제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B10)와; 해당 유저 단말기(A1∼An)의 번호 및 해당 번호와 연계된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1)와; 해당 유저 단말기(A1∼An)의 전화번호 정보와 연계된 다수의 URL 정보와,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12)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에는 상기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해 유저가 미리 기계정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기(A1∼An)로 각종 인터넷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C1∼Cn)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한 자동 로그인 사용자 인증은 단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에 기저장된 비밀번호를 상기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해 입력한 비밀번호와 상호 비교함으로써 단말기 자체내에서 행해지는 인증이 아니라, 미리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패스워드를 기저장하고, 해당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해 패스워드를 유저가 직접 입력함으로써 해당 유저 단말기(A1 ∼An)의 번호와 패스워드가 조합된 패킷데이터를 통해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는 해당 유저가 기등록한 URL 정보 및 해당 URL별 ID와 패스워드를 상기 유저 단말기(A1∼An)로 전송하여 그 유저 단말기(A1∼An)의 자동 로그인 설정을 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자동 로그인 설정방법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내부에 유저가 회원으로 가입된 URL 및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말기 분실에 따른 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서버에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대한 자동 로그인 정보 데이터의 설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저 단말기(A1∼An) 및 유저의 PC(미도시)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한 자동 로그인 데이터의 설정 예만을 기재토록 한다.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데이터테이블(8)은 각 유저의 단말기(A1∼An)번호 정보(10) 및 해당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접속 패스워드정보(12: WAP 패스워드), 해당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다수의 URL 정보(14),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16)(18)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유저는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최초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접속하고, 접속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설정하고, 소망하는 다수의 URL정보를 입력하고,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저장하고 자동 로그인을 설정한다.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MIDNS')에 자동 로그인이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유저단말기(A1∼An)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저 단말기(A1∼An)의 브라우저(2)에 접속 패스워드(WAP 패스워드)의 입력창이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브라우저(2) 하단에는 확인버튼(6)이 출력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확인버튼(6)의 우측에는 취소버튼(미도시)이 더 생성되는 바, 이때 유저가 자동 로그인을 원치 않을 경우에는 취소버튼을 선택하여 일반 무선 인터넷과 동일하게 각 URL마다 ID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하여 사이트 접속 및 이동을 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에서 자동 로그인 처리를 행하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에서 자동 로그인 처리를 행하기 위한 별도의 유저 단말기(A1∼An)의 구성이 요구되는 바, 상기 유저 단말기(A1∼An)는 키입력부(20)와, 표시부(22), 안테나(23), 듀플렉서(24), 수신부(26), 송신부(28), 음성처리부(30), 스피커(32), 마이크로폰(34), 메모리(36) 및,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 제어부(4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키입력부(20)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 화번호의 입력과, 음성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음성메시지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고 있는 바, 음성 및 문자 메시지의 작성 및 그 예약 전송시간 설정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음성 및 문자 메시지의 전송 예약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정보를 작성하는 기능키버튼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특정되는 상기 키입력부(20)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키신호 및 자동 로그인 서비스 선택신호, 접속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각종 기능키신호와 선택/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유저 단말기(A1∼An)는 그 키입력부(20)중 특정 메뉴키 및 확인키(미도시)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상태에서, 자동 로그인 설정을 위한 접속 패스워드 입력 설정, 소망하는 URL 입력,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입력 설정을 행함으로써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키입력부(20)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저장 및 그 실시간 전송, 예약 전송시간 설정에 따른 표시상태나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WAPS)를 매개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부터 전송된 기등록 자동 로그인 정보에 따른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완료화면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박형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듀플렉서(24)는 상기 안테나(23)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부(26)는 상기 안테나(23)와 듀플렉서(24)를 통해서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 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미도시)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며, 상기 송신부(28)는 상기 마이크로폰(34)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메시지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30)는 상기 수신부(26)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방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3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34)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28)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36)는 키입력부(20)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면서,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 화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부터 전송된 자동 로그인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상기 키입력부(20)를 통해 자동 로그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부터 전송된 자동 로그인 정보 즉, 다수의 URL정보 및 해당 URL별 ID, 패스워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URL에 따른 자동 로그인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이다.
즉, 유저가 그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조작하여 자동 로그인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부터 제공받은 자동 로그인 데이터(다수의 URL 및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가 상기 메모리(36)에 저장된 상태에서, 유저가 키입력부(20)를 매개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를 선택하면,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ID 및 패스워드를 조합하여 로그인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착신번호에 대한 호접속신호를 발생하여, 음성통화를 행하며, 상기 키입력부(20)의 키조작에 의해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여,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시, 상기 메모리(36)로부터 자동 로그인 화면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토록 하며, 사용자 인증 완료시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로 유저가 선택한 URL에 대한 자동 로그인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그인 서비스는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와,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는 해당 유저의 사용자 인증 및 기저장된 자동 로그인 데이터의 전송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유저 단말기(A1∼An)는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대한 사용자 인증 요청 및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부터 제공받은 자동 로그인 데이터의 실행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시 자동 로그인 정보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에 저장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전혀 없으며, 사용자 인증시에도 상기 유저 단말기(A1∼An)에 기설정된 비밀번호의 단순 입력이 아닌, 단말기 번호 및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기등록된 패스워드의 인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인증후의 실질적인 자동 로그인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에서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ID 및 패스워드로 이루어진 패킷 데이터의 생성 및 해당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C1∼Cn)로의 자동 로그인 정보 전송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에서의 단말기를 통해 생성한 자동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유저 단말기(A1∼An)로부터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 전송되는 자동 로그인 데이터 패킷(42)은 일반 데이터 패킷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시작을 나타내는 헤더(H: 44)와, 패킷 종료를 나타내는 테일(T: 48)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사이에 패킷의 내용을 담고 있는 컨텐츠(C: 46)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데이터 패킷(42)은 그 컨텐츠(46)의 구성으로, 자동으로 입력되는 발신자 전화번호 데이터(462) 및, 유저의 입력에 따라 구성되며 무선 인터넷 접속시 자동 로그인 패스워드인 WAP 패스워드 데이터(464)와; 유저가 입력한 다수의 URL 및 해당 URL의 ID와 패스워드 정보(466)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유저 단말기(A1∼An)로부터 생성된 상기 자동 로그인 패킷(42)은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 전송되어 자동 로그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 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 6b, 6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자동 로그인 설정을 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먼저 상기 유저 단말기(A1∼An)로부터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대한 접속을 행하고(제 1 단계: ST-1),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중 자동 로그인 설정 메뉴를 선택한다(제 2 단계: ST-2).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의 자동 로그인 설정 메뉴창에서 유저가 그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접속 패스워드를 입력, 전송함으로써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해당 접속 패스워드가 입력되도록 한다(제 3 단계: ST-3).
접속 패스워드란 유저가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상기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을 행하기 위한 패스워드이다. 즉, 유저 단말기(A1∼An)의 분실시 자동 로그인 서비스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스워드이며, 무선 인터넷 접속시도시 1회 입력만으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고, 무선 인터넷 접속해제 전까지 해당 사용자 인증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유저는 상기 유저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URL을 입력하고,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전송한다(제 4 단계: ST-4). 그러면,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는 해당 유저 단말기 번호 및 접속 패스워드, 각 URL 데이터 및 URL별 ID 및 패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제 5 단계: ST-5).
유저 단말기(A1∼An)로부터 입력종료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는 해당 정보를 등록하고, 입력 종료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3단계로 복귀하여 지속적인 URL 및 ID, 패스워드 등록을 행하도록 한다(제 6,7 단계: ST-6,7).
도 6b는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대한 자동 로그인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한 자동 로그인 실행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대한 유저의 자동 로그인 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시도 즉, 네이트 등의 버튼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를 행하면,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제어부(40)는 메모리(36)에 기저장된 자동 로그인 선택화면을 출력시키면서 자동 로그인에 대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만약,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통해 취소신호를 발생시키면, 각 URL에 대한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기존의 수동입력모드로 전환된다.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이용하여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기설정된 접속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 전송하면,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는 해당 접속 패스워드를 비교하고, 해당 유저 단말기의 번호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을 행한다.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는 그 내부에 저장된 유저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다수의 URL 정보 및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상기 유저 단말기(A1∼An)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유저 단말기(A1∼An)는 그 자동 로그인 정보(다수의 URL 정보 및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36)에 저장하고 자동 로그인 설정을 행한다.
그 상태에서,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통해 특정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메모리로부터 해당 URL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URL의 로그인 포맷에 적합한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 측으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ID 및 패스워드 인증을 통해 회원 로그인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면, 유저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각종 정보 열람 및 정보 다운로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도중,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상기 키입력부(20)를 통해 지속적으로 다른 인터넷 사이트로의 이동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타 사이트로의 이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해당 사이트의 URL에 해당되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메모리(36)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고, 해당 URL의 로그인 포맷에 적합한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 측으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ID 및 패스워드 인증을 통해 회원 로그인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면, 유저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각종 정보 열람 및 정보 다운로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도중에, 상기 키입력부(20)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해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구동을 정지하고, 해당 URL로의 자동 로그오프를 실행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로그오프전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메모리(36)에 전송받은 URL 정보 및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그오프후 재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다시, 접속 패스워드 입력단계부터 동일하게 반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로그인 서비스는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와,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는 해당 유저의 사용자 인증 및 기저장된 자동 로그 인 데이터의 전송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유저 단말기(A1∼An)는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대한 사용자 인증 요청 및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로부터 제공받은 자동 로그인 데이터의 실행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시 자동 로그인 정보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에 저장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정보 유출의 위험성이 전혀 없으며, 사용자 인증시에도 상기 유저 단말기(A1∼An)에 기설정된 비밀번호의 단순 입력이 아닌, 단말기 번호 및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에 기등록된 패스워드의 인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또, 사용자 인증후의 실질적인 자동 로그인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에서의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ID 및 패스워드로 이루어진 패킷 데이터의 생성 및 해당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C1∼Cn)로의 자동 로그인 정보 전송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은 유저가 미리 단말기의 내부에 소망하는 각 인터넷 사이트의 URL 및 해당 사이트에서 기계정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 설정하여, 해당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의 URL에 접근을 시도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수행되 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은 소망하는 다수의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URL 정보 및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유저 단말기(A1∼An) 내부에 저장하고, 이에 대한 자동 로그인을 실행토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은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MIDNS')가 필요하지 않으며, 무선 인터넷 접속시 상기 URL 정보 및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가 단말기 분실로 인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속 패스워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 역시 유저 단말기(A1∼An)를 통한 자체 입력 및 그 기설정 패스워드와의 비교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유저 단말기(A1∼An)는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 및 기능으로 이루어지나, 다소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도 있으므로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재차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유저 단말기(A1∼An)는 키입력부(20)와, 표시부(22), 안테나(23), 듀플렉서(24), 수신부(26), 송신부(28), 음성처리부(30), 스피커(32), 마이크로폰(34), 메모리(36) 및,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 제어부(40)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키입력부(20)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음성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음성메시지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고 있는 바, 음성 및 문자 메시지의 작성 및 그 예약 전송시간 설정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음성 및 문자 메시지의 전송 예약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코드정보를 작성하는 기능키버튼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특정되는 상기 키입력부(20)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키신호 및 자동 로그인 서비스 선택신호, 접속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각종 기능키신호와 선택/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유저 단말기(A1∼An)는 그 키입력부(20)중 특정 메뉴키 및 확인키(미도시)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상태에서, 자동 로그인 설정을 위한 접속 패스워드 입력 설정, 소망하는 URL 입력,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입력 설정을 행함으로써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키입력부(20)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저장 및 그 실시간 전송, 예약 전송시간 설정에 따른 표시상태나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를 통해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WAPS)를 매개로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완료후의 화면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박형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듀플렉서(24)는 상기 안테나(23)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부(26)는 상기 안테나(23)와 듀플렉서(24)를 통해서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미도시)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며, 상기 송신부(28)는 상기 마이크로폰(34)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메시지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30)는 상기 수신부(26)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방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32)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34)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28)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36)는 키입력부(20)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면서,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 화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URL 정보 및,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패스워드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상기 키입력부(20)를 통해 발생된 자동 로그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36)에 저장된 다수의 URL정보 및 해당 URL별 ID, 패스워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URL에 따른 자동 로그인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이다.
즉, 유저가 그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조작하여 자동 로그인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가 구동됨으로써 상기 메모리(36)에 기저장된 자동 로그인 데이터(다수의 URL 및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추출하여 유저가 키입력부(20)를 매개하여 특정 인터넷 사이트를 선택하면,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ID 및 패스워드를 조합하여 로그인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착신번호에 대한 호접속신호를 발생하여, 음성통화를 행하며, 상기 키입력부(20)의 키조작에 의 해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여,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시, 상기 메모리(36)로부터 자동 로그인 화면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상기 메모리(36)에 기저장된 접속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완료시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로 유저가 선택한 URL에 대한 자동 로그인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조작하여 자동 로그인 설정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메모리(36)에 저장된 자동 로그인 설정을 위한 화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22)를 매개로 디스플레이시킨다.
그 상태에서, 유저가 상기 키입력부(20)를 조작하여 사용자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소망하는 다수의 URL 및 해당 각 URL별 로그인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36)에 저장된다.
그리고, 자동 로그인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유저가 키입력부(20)를 조작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시도 즉, 네이트 등의 버튼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를 행하면,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제어부(40)는 메모리(36)에 기저장된 접속 패스워드 입력화면을 출력시킨다.
만약,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통해 취소신호를 발생시키면, 각 URL에 대한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기존의 수동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이용하여 메모리(36)에 기설정된 사용자 패스워드와 동일한 접속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해당 유저 단말기의 제어부(40)는 해당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행한다. 만약,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면 수동으로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행하는 종래의 수동 로그인 모드로 전환된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저가 상기 유저 단말기(A1∼An)의 키입력부(20)를 통해 특정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선택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메모리로부터 해당 URL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URL의 로그인 포맷에 적합한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 측으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서의 ID 및 패스워드 인증을 통해 회원 로그인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면, 유저는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각종 정보 열람 및 정보 다운로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도중,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상기 키입력부(20)를 통해 지속적으로 다른 인터넷 사이트로의 이동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타 사이트로의 이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해당 사이트의 URL에 해당되는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메모리(36)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고, 해당 URL의 로그인 포맷에 적합한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복귀한다.
그런 도중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키입력부(20)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해제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38)는 구동을 정지하고, 해당 URL로의 자동 로그오프를 실행한다. 또한, 로그오프후 재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다시, 접속 패스워드 입력단계부터 동일하게 반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통합통신 ID에 따른 실제 전화번호를 부여하는 서버에 미리 단말기 번호 및 해당 단말기 번호와 연계되도록 다수의 URL 및 각 URL별 ID와 패스워드, 해당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유저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접속시도시, 1회 패스워드만을 입력하면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시나 사이트 이동시 기설정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로그인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일일이 ID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아도 되고, 신속하게 로그인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통합통신 ID의 입력 및 전송을 통해, 해당 통합통신 ID의 실제전화번호를 수신한 자동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통합통신 ID를 이용한 호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 통합통신 ID의 입력 및 전송을 통해, 해당 통합통신 ID의 실제전화번호를 수신한 자동 호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부터 기등록된 유저의 URL 정보와,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가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제공받아 해당 URL에 로그인하기 위한 자동 로그인 패킷을 생성 처리하는 유저 단말기와;
    후술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 및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의 전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저 단말기와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 및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와;
    상기 유저 단말기의 착신자의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호접속 요구시 해당 유저 단말기측으로 기등록된 통합통신 ID와 연계된 착신자의 실제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처리하며, 유저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요구시 해당 유저 단말기번호 및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통한 사용자 인증을 행하고, 유저가 미리 기지정한 다수의 URL 및 해당 사이트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패킷화하여 해당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와;
    상기 유저 단말기를 통해 자동 로그인됨으로써 상기 유저 단말기로 각종 인 터넷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정보제공서버로 구성되어 각 무선 인터넷 사이트별 자동 로그인이 유저 단말기와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에 의해 실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는 그 내부에 다수 유저에게 기부여된 통합통신 ID와, 해당 통합통신 ID와 연계되는 실제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해당 유저 단말기의 번호 및 해당 번호와 연계된 접속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해당 유저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와 연계된 다수의 URL 정보와,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는 그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 패킷가 각 유저의 단말기번호 정보 및 해당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접속 패스워드정보, 해당 단말기 번호와 연계된 다수의 URL 정보, 각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음성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음성메시지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키신호 및 자동 로그인 서비스 선택신호, 접속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각종 기능키신호와 선택/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저장 및 그 실시간 전송, 예약 전송시간 설정에 따른 표시상태나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를 매개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기등록 자동 로그인 정보에 따른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완료화면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와; 상기 안테나와 듀플렉서를 통해서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는 수신부와;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메시지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처리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방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에 출력하게 되는 음성처리부와; 키입력부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면서,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 화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자동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자동 로그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로부터 전송된 자동 로그인 정보 즉, 다수의 URL정보 및 해당 URL별 ID, 패스워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URL에 따른 자동 로그인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와; 음성 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착신번호에 대한 호접속신호를 발생하여, 음성통화를 행하며,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해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여,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자동 로그인 화면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 제공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토록 하며, 사용자 인증 완료시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로 유저가 선택한 URL에 대한 자동 로그인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 자동 로그인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실행된 후에는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에서 해당 유저 단말기 번호정보 및 선택한 URL 정보, 해당 URL별 ID, 패스워드 정보를 조합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6. 무선 인터넷 접속신호 및 패스워드 입력을 행하고, 자동 로그인 정보를 전송받아 자동 로그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유저 단말기와, 상기 유저 단말기를 통해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URL 정보를 기저장하고, 해당 URL별 ID와 패스워드를 기저 장하는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기등록 URL 및 각 URL에 해당하는 ID 및 패스워드를 접속코자 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포맷에 적합하게 데이터 패킷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측으로 입력 처리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 및 사이트 이동시 자동으로 로그인이 실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자동 로그인 과정은 해당 유저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 및 소망하는 URL 정보 및,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의 자동 로그인 정보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무선 인터넷 접속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로 해당 접속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가 해당 단말기번호를 통해 기저장된 다수의 URL 정보 및 URL별 ID 및 패스워드정보를 추출하여 유저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유저단말기의 메모리에 해당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특정 무선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유저 단말기의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가 구동되어 메모리로부터 해당 URL 정보에 해당하는 ID 및 패스워드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포맷에 적합하게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과;
    해당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해당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입력 전송된 접속 패스워드를 상기 통합통신 ID 네임제공서버가 기저장된 접속 패스워드와 비교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해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URL 정보 및 ID, 패스워드 정보를 자동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단말기로부터 접속된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접속해제후 재접속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다시 자동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 인증과정부 터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
  11.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상대방측 전화번호의 입력과, 음성메시지의 작성을 위한 음성메시지의 입력, 다양한 메뉴기능의 선택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버튼을 갖추고 있으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키신호 및 자동 로그인 서비스 선택신호, 접속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각종 기능키신호와 선택/입력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조작 상태에 따른 음성 메시지의 저장 및 그 실시간 전송, 예약 전송시간 설정에 따른 표시상태나 선택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데이터 송/수신 서버를 매개로 소망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로그인 완료후의 화면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안테나를 통해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듀플렉서와; 안테나와 듀플렉서를 통해서 상대방측 이동통신 단말기나 유선전화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교환기로부터의 음성신호 또는 문자정보를 수신받게 되는 수신부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 및 메시지 설정모드에 따라 설정된 코드정보를 송신 가능하게 필터링 및 증폭처리하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대방측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송신부에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키입력부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면서,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 용자 인증 화면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URL 정보 및,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하며, 무선 인터넷 접속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속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발생된 자동 로그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URL정보 및 해당 URL별 ID, 패스워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유저가 선택한 URL에 따른 자동 로그인 패킷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와; 음성 통화를 위한 키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착신번호에 대한 호접속신호를 발생하여, 음성통화를 행하며,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에 의해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가 이루어지는 지를 감시하여, 무선 인터넷에 대한 접속시도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자동 로그인 화면데이터를 출력시키고, 유저가 입력한 접속 패스워드를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접속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완료시 상기 자동 로그인 프로세서로 유저가 선택한 URL에 대한 자동 로그인 실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유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
  12. 유저가 키입력부를 통해 메모리에 접속 패스워드 및 다수의 소망하는 URL, 해당 URL별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 설정하는 과정과;
    키입력부를 매개로 무선 인터넷 접속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키입력부를 매개로 접속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과;
    입력된 접속패스워드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접속 패스워드를 비교판단하여 사 용자 인증을 행하는 과정과;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키입력부를 통해 특정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대한 선택신호가 발생되는 과정과;
    해당 사이트의 URL 및 해당 URL에 연계된 ID, 패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 사이트 포맷에 적합하게 로그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해당 로그인 데이터 패킷을 해당 사이트 서버로 전송하여 로그인을 실행하도록 하는 과정과;
    해당 사이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과정이 실패한 경우에는 직접 URL을 입력하는 과정과;
    해당 URL별로 기계정받은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과;
    해당 ID 및 패스워드를 통한 로그인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수동 로그인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방법.
KR1020040084585A 2004-10-21 2004-10-21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2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85A KR100721285B1 (ko) 2004-10-21 2004-10-21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85A KR100721285B1 (ko) 2004-10-21 2004-10-21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213A true KR20060035213A (ko) 2006-04-26
KR100721285B1 KR100721285B1 (ko) 2007-05-25

Family

ID=3714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585A KR100721285B1 (ko) 2004-10-21 2004-10-21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951B1 (ko) * 2007-02-05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이메일 세팅 정보 수신 방법
KR101030454B1 (ko) * 2008-05-27 2011-04-25 허용진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웹 사이트 로그인 방법 및 시스템
WO2013100731A1 (en) * 2011-12-28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ituting for authentication and payment for third party site in a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37B1 (ko) * 2000-02-25 2003-11-01 신광섭 인터넷 교환 서비스 방법 및 인터넷 교환 서비스 시스템
KR100422988B1 (ko) * 2000-11-16 2004-03-12 주식회사 스마트로 기록매체를 이용한 개인용 맞춤 웹브라우저 자동 로그 온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45525B1 (ko) * 2002-11-29 2006-11-13 주식회사 유시드 통합 통신 아이디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4185454A (ja) 2002-12-05 2004-07-02 Hitachi Ltd ユーザ認証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951B1 (ko) * 2007-02-05 2008-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이메일 세팅 정보 수신 방법
KR101030454B1 (ko) * 2008-05-27 2011-04-25 허용진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웹 사이트 로그인 방법 및 시스템
WO2013100731A1 (en) * 2011-12-28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ituting for authentication and payment for third party site in a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164976B2 (en) 2011-12-28 2018-12-25 Samsung Eel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ituting for authentication and payment for third party site in a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285B1 (ko) 200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310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сети связи
US6430174B1 (e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simultaneous voice and multimedia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US689193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74369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lephone number, and computer product
CN101730999B (zh) 用于在通信设备之间共享公共位置相关信息的系统、方法及设备
CN101669354A (zh) 用于通信设备之间基于事件的信息同步的方法和装置
JP2008017083A (ja)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方法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KR100725897B1 (ko) Enum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21285B1 (ko) 통합 통신 id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자동 로그인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378472B1 (ko) 핫폰의 시리얼번호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연결방법
JP4492350B2 (ja) 通話接続システム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JP4667148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アドレス帳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810752B1 (ko) 통합통신 id의 호접속용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호접속 시스템과 호접속 방법
KR20030024012A (ko) 무선단말기로 전화통화를 시작하자마자 상대방의무선웹사이트를 서로 동시에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웹브라우저 시스템 및 방법
JP2019145972A (ja) 電話制御装置及び電話制御方法
RU226662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100411136B1 (ko) 발신자 id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10028119A1 (en) Unique ID Based, Data File Exchange and Synchroniz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s
KR20020006267A (ko) 번호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1227B1 (ko)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휴대폰의 착신호 전환 방법
KR20010074611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푸시가 가능한전화통신장치
KR100830705B1 (ko) 개방형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자동전화걸기 포털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자동전화걸기서비스방법
JP2002112338A (ja) コンテンツ伝達方法及びコンテンツ伝達サーバー
JP4316472B2 (ja) 移動体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