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140A -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140A
KR20060035140A KR1020040084495A KR20040084495A KR20060035140A KR 20060035140 A KR20060035140 A KR 20060035140A KR 1020040084495 A KR1020040084495 A KR 1020040084495A KR 20040084495 A KR20040084495 A KR 20040084495A KR 20060035140 A KR20060035140 A KR 20060035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semen
atopic dermatiti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미
성현아
윤준원
이성일
이병곤
김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4008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5140A/ko
Publication of KR2006003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Perillae Semen), 우방자(Arctii Semen) 및 초두구(Alpiniae Katsumadaii Sem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부평초(Spirodelae Her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IgE 매개성 알러지 반응 억제 능력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자, 우방자, 초두구, 당귀, 부평초, 면역반응 억제,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compositions for exteral applica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도 1a는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Nc/Nga 마우스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식물 추출물이 제외된 조성물을 도포하고, 10일 뒤 혈중 IgE를 정량한 값이다.
도 1b는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Nc/Nga 마우스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10일 뒤 혈중 IgE를 정량한 값이다.
도 2a는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Nc/Nga 마우스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중 식물 추출물이 제외된 조성물을 도포하고, 5일 뒤 긁는 횟수의 감소 정도를 측정한 값이다.
도 2b는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된 Nc/Nga 마우스에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도포하고, 5일 뒤 긁는 횟수의 감소 정도를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은 소자(Perillae Semen), 우방자(Arctii Semen) 및 초두구(Alpiniae Katsumadaii Sem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부평초(Spirodelae Her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 임파구 매개성 면역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치유 개선하는 효능을 갖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원인 불명의 강한 소양감, 건조함, 심한 각질 발생, 두부 인설(비듬), 홍반과 부어오름, 피부균열, 심한 진물과 습진, 태선화 등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피부의 이상 증후군이다. 많은 경우 10년 이상 지속되며 장기간 생활에 큰 불편을 끼치는 만성 질환으로서, 예전에는 영아기나 유아기에 시작되어 성장과 함께 병세가 점점 개선되어 7-8세 이전에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로 유발된 공해,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발생률이 해마다 증가 일로에 있으며, 증상이 청소년기 및 성인기까지 지속되어 점점 심해지거나 청소년기 이후에 새롭게 발병하는 경우도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에 대해서는 최근까지 수많은 연구결과와 정보가 제시되었으나, 질환 자체의 복잡성과 서로 상충되는 연구 데이터들로 인해 정확한 병인과 유효한 치료법에 대해서 아직까지 명확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는 스테로이드 제제, 경구용 항히스타민제, 하이드록시퀴놀린(hydroxyquinoline), 타르 제제 및 저자극성 보습제 등으로서, 근본적인 치료보다는 증상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 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는 어떤 의약품도 환자들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까지는 국소용 스테로이드 제제가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의 주종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장기간 사용시의 내성발현 및 안전성의 문제로 인해 부작용이 없고 보다 안전한 비스테로이드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들이 겪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피부 증상 가운데 가장 대표적이며 심각한 것으로 거론되는 것 중 하나가 가려움증이다.
강한 가려움증은 피부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재까지는 히스타민의 과다 분비가 가려움증의 주요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여타의 분자적 기전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다양한 이론과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을 뿐이다. 최근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에서의 가려움이 다수의 화학적 매개인자들 뿐 아니라 소양감각성 및 신경성 요소가 함께 섞여 발생한다는 주장이 신빙성을 얻고 있다. 또한 가려움 유발 매개인자의 증가현상과 함께 환자들의 ‘가려움 역치’가 낮아졌을 가능성도 있는데, 이러한 역치 저하 현상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인 생리에서 화학적 매개인자보다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가려움 감각의 복잡성과 가려움 역치 저하현상의 중요성은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에 기여하는 복합적인 환경적 요인, 예를 들면, 모직 의류, 발한, 세균 독소, 심지어 정신적 요인 등에 의해 간접적으로 뒷받침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론들 중에서도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아토피 환자에게 ‘가려움-긁기’라는 악순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즉, 긁기로 인한 피부손상이 가려 움을 증폭시킨다. 가려움 반응은 양모 섬유와 같은 점(點)상 자극에 대해 특별히 신속하게 일어난다. 확산성 가려움은 아토피성 가려움증의 두드러진 특징으로서, 발한, 급격한 기온 변화, 옷을 입거나 벗을 때 발생하는 급작스런 가려움증 발작을 설명해 준다.
최근에는 T 임파구의 활성과다 및 면역 글로부린(IgE)의 과다 분비로 인한 과민반응과 같이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 반응이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질환의 주된 원인 중 하나라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이들 피부 질환을 치료하려는 접근법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T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을 제어하는 사이토카인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인터류킨-2와 인터류킨-4이다. 인터류킨-2는 T 세포 활성화의 초기 단계에 생산되어 Th 세포를 자극함으로써 면역반응을 강력하게 촉발하는 사이토카인이다. 또한 최근에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인과 관련하여 커다란 관심을 모으고 있는 인터류킨-4는 T 세포 유형 중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의 특징적인 병리현상인 Th2 세포의 불균형적인 활성증대를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동시에 인터류킨-4는 B 세포를 자극하여 면역글로부린-E (IgE) 생산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가된 IgE 는 인체 내의 혈관 주위나 피부에 있는 비만 세포의 표면에 붙어 있다가 항원의 재침입시 비만세포를 활성화 시켜 히스타민과 같은 화학 물질의 분비를 촉진하게 되고 이러한 물질들은 혈관과 피부를 자극하여 홍반, 발적, 가려움증 등의 알러지 반응을 촉발시켜 아토피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80-90%에서 혈청 IgE 가 증가되어 있으며, 혈청 IgE가 증가된 경우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의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IgE 매개성 알러지 반응이 아토피의 병인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반응의 주요 매개 인자로 생각되는 IgE의 과도한 분비 억제를 통한 항염 효과와 다양한 기전들의 복합적 외연이라고 볼 수 있는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항소양 효과를 동시에 소구하는 물질은 일반적인 면역억제 물질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 더욱 근본적이면서도 직접적인, 적합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피부질환을 포함한 많은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 식물을 사용하는 민간요법이 많이 알려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사철쑥 및 쇠무릎은 두드러기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도꼬마리는 일반적인 피부병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질병에 사용되는 식물 중에서, 소자(Perillae Semen)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인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과실로서, 거담, 변비치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우방자(Arctii Semen)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이년생 초본인 우엉(Arctium lappa)의 과실로서, 항균, 혈당강하, 풍습제거, 소종, 해독 등의 효능이 있고; 초두구(Alpiniae Katsumadaii Semen)는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초두구(Alpinia katsumadai)의 종자로서, 거한, 행기, 조습 등의 효능이 있어 심복냉통, 소화불량, 반위, 하리, 구토 등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는 미나리과(Umbelliferae)의 다년생 초본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서 거풍, 보혈, 구어혈, 조경, 진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부평초(Spirodelae Herba)는 부평초과(Lemnaceae)의 다년생 초본인 개구리밥(Spirodela polyrrhiza (L) SCHLEID)의 전초로서 발한, 이뇨, 청열, 해독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종 질환의 증상 개선 및 치료에 대한 효능은 입증되어 있으나, 혈중 IgE 수준 억제를 통한 항염 효과나 동물과 임상 실험을 통해 입증된 가려움증 완화(항소양 효과) 효능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서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면역반응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던 중 소자(Perillae Semen), 우방자(Arctii Semen) 및 초두구(Alpiniae Katsumadaii Sem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부평초(Spirodelae Her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병리학적으로 인체 아토피 증상과 가장 흡사한 증상을 보이는 동물 모델로 알려진 NC/Nga 마우스 동물 모델에서 면역 반응의 핵심 인자인 IgE 생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아울러 긁기 횟수도 경감시킨다는 것을 발견하고, 임상 실험을 통해서도 그 효능을 입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자(Perillae Semen), 우방자(Arctii Semen) 및 초두구(Alpiniae Katsumadaii Sem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부평초(Spirodelae Her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된 IgE 매개성 알러지 반응을 억제하고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건선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안전하고 유효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소자(Perillae Semen), 우방자(Arctii Semen) 및 초두구(Alpiniae Katsumadaii Sem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부평초(Spirodelae Her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소자(Perillae Semen), 우방자(Arctii Semen) 및 초두구(Alpiniae Katsumadaii Seme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부평초(Spirodelae Her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은 각각 0.001~10 중량%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0.0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중 각 식물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정상적인 과도한 면역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피부질환, 구체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의 증상을 개선하고, 나아가 이들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상기 피부질환의 증상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상기 식물 추출물은 생체외(in vivo) 실험을 근거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로 함유된다. 각 식물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활성 성분으로서 작용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10중량%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의 피부질환의 증상 개선, 나아가 치료와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한 피부질환의 증상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또는 상기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이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 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에센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으로, 또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경피 투여형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한 식물 추출물은 추출물 그대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에 의해 형성되는 산 부가염을 사용할 수 있다. 산 부가염 이외에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트리에틸아민, 3차-부틸아민과 같은 염기 부가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의약에 사용되는 각종 보조제, 예컨대 담체나 기타 첨가제, 예컨대 안정제, 완화제,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식물 추출물의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고, 특히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국소 도포에 적절한 고체 또는 액체 부형제나 희석제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연고, 크림, 주사제, 산제, 과립제, 정제 등의 적합한 어떠 한 제형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상태, 질환의 증상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0.001~1000㎎/ ㎏×day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약제와 동등하게 또는 다른 약제를 보조하기 위해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식물 추출물의 조제
소자, 우방자, 초두구, 당귀, 부평초 각 1kg을 건조분쇄하고 중량(kg)비 4배량의 95% 에탄올을 가한 후 80℃에서 2시간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를 하루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불순물을 침전 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회 여과한 여액을 감압 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하고 각 식물 추출물을 50g 씩 얻었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8]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조제
하기 표 1에 표시된 조성으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8의 조성물(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중량%)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소자 추출물 - 0.02 - - 0.02 0.02 0.02 0.02 0.02
우방자 추출물 - - 0.02 - 0.02 - 0.02 0.02 0.02
초두구 추출물 - - - 0.02 - 0.02 - 0.02 0.02
당귀 추출물 - 0.02 - 0.02 0.02 - 0.02 0.02 0.02
부평초 추출물 - - 0.02 0.02 - 0.02 0.02 - 0.02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0.6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0.1 0.1 0.1 0.1 0.1 0.1

[시험예 1] Nc/Nga 마우스 아토피 동물 모델에서의 혈중 IgE 생산 억제 효과 측정 시험
본 조성물에 대한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Nc/Nga 마우스에 DNCB 처치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고 상기 실시예 8의 조성물 하기와 같이 처리하여 IgE 생산 억제 효과를 측정 비교하였다.
우선, 암컷 Nc/Nga 마우스 50마리를 대상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키기 위해 5주간 DNCB를 처치하였다. 첫 주에는 Acetone-Olive oil(3:1)에 1% 로 희석한 DNCB를 1회 등부위에 바른 후, 2주째부터 5주째까지 4주간 0.2% DNCB를 주 2-3회 등부위에 발라주어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DNCB처치 3주후 및 시험물질처치 직전(6주째) 모든 동물의 혈청내 IgE level과 긁는 횟수를 측정하여 무작위법을 통해 각 군의 긁는 횟수와 IgE level 이 균등하도록 군분리를 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은 IgE 측정치는 100 ul 이상의 혈액을 안와정맥총에서 채혈하여 혈청 내 IgE를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법으로 정량한 값이다.
6주째에 DNCB처리를 중단한 후, 시험 물질을 매일 2회씩 9일간 피부에 적용하고 시험 물질 처치 전과 10일째에 각각IgE를 정량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한 군에 대하여 Kruskal-Walis 통계법을 이용, 대조군과 시험 조성물 처치군 간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검정하였으며(p<0.10) 그 결과를 하기 표 2,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군 내에서 실험 물질 처리전과 처리 10일차 간의 IgE 수준 차이 분석
비교예 1 실시예 8
No. 처리 전 (ng/ml) 물질처치 10일 후 (ng/ml) No. 처리 전 (ng/ml) 물질처치 10일 후 (ng/ml)
A-1 20.9 39.5 B-1 26.6 23.0
A-2 27.5 14.6 B-2 23.4 18.1
A-3 9.2 12.5 B-3 16.1 14.4
A-4 22.2 7.9 B-4 20.0 9.1
A-5 22.0 19.1 B-5 15.6 6.7
B-6 12.2 4.7
B-7 12.9 7.6
P = 0.802 P = 0.086
상기 표 2,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자, 우방자, 초두구, 당귀, 부평초 추출물을 모두 함유한 조성물을 아토피염 유사 증상을 보이는 마우스의 환부에 처치했을 때 혈중 IgE 의 수준을 상당히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Nc/Nga 마우스 아토피 동물 모델에서의 긁기 횟수 억제 효과 측정 실험
본 조성물에 대한 항소양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Nc/Nga 마우스에 DNCB 처치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하고 상기 실시예 8의 조성물을 각각 처리하여 긁는 횟수 감소 효과를 측정 비교하였다. 증상 유발 방법은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하였으며 시험 약물 처치 5일과 10일 후 개체당 30분 동안의 긁는 횟수를 캠코더(camcoder)로 촬영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군 당, 시간당 긁는 횟수를 Χ2를 통해 분산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군 내에서 실험물질 처리전과 처리 5일차 총 긁기횟수 차이
비교예 1 실시예 8
No. 처치전 (회/30min) 물질 처치 5일후 (회/30min) No. 처치전 (회/30min) 물질 처치 5일후 (회/30min)
A-1 99 112 B-1 29 39
A-2 83 8 B-2 49 45
A-3 45 45 B-3 44 41
A-4 29 62 B-4 68 19
A-5 56 27 B-5 87 28
A-6 33 75 B-6 100 57
B-7 44 27
P = 0.873 P = 0.10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자, 우방자, 초두구, 당귀, 부평초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을 아토피염 유사 증상을 보이는 마우스의 환부에 처치했을 때 긁기 횟수를 줄이는 효과, 즉 가려움증을 억제시키는 항소양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인체에서 아토피 증상 개선
상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조성물과 실시예 1~ 8의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아토피 증상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슷한 정도의 증상을 나타내는 피부염 증상이 있다고 생각하는 패널 40명에 대하여, 각 조 20명씩 2개조로 나누어, 온도 24~26℃, 습도 75% 조건에서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8의 조성물(크림 제형)을 매일 2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소양감”, “건조함”, “ 각질 발생”, “비듬”, “홍반”, “부어오름”, “피부균열”, “진물과 습진” 및 “태선화본” 으로 나누고, 상기 증상이 있는 경우 각각의 증상에 대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한 후 이를 평균하여 아토피 증상 개선효과를 개인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아토피 증상 개선 효과
도포군 응답자 수 (인)
현저히 개선 개선 변화없음 악화
비교예 1 2 4 14 0
실시예 1 6 6 8 0
실시예 2 7 5 8 0
실시예 3 5 7 8 0
실시예 4 7 7 6 0
실시예 5 6 7 7 0
실시예 6 8 7 5 0
실시예 7 7 8 5 0
실시예 8 8 8 4 0
상기 표 4로부터,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어느 경우에도 조성물에 의한 과민반응이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제시된 결과들로부터 초두구, 당귀, 소자, 우방자, 부평초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가 아토피염 동물 모델에서 비정상적으로 과다 분비되는 혈중 IgE 수준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동물 모델과 인체 임상 실험을 통해 가려움증 역시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는 Nc/Nga 마우스 아토피 모델에서 비정상적으로 과다 분비되는 혈중 IgE 수준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동일 모델에서의 실험과 임상 실험을 통해 가려움증을 완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IgE 매개성 알러지 반응을 병인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 기타 피부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항염 효과와 함께 가려움증 질환의 병증 개선 또는 예방에 있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소자(Perillae Semen), 우방자(Arctii Semen) 및 초두구(Alpiniae Katsumadaii Semen)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및 당귀(Angelicae Gigantis Radix) 및 부평초(Spirodelae Herb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IgE 매개를 통한 T 임파구 매개성 면역질환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임파구 매개성 면역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의 양으로 각각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40084495A 2004-10-21 2004-10-21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035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495A KR20060035140A (ko) 2004-10-21 2004-10-21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495A KR20060035140A (ko) 2004-10-21 2004-10-21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140A true KR20060035140A (ko) 2006-04-26

Family

ID=3714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495A KR20060035140A (ko) 2004-10-21 2004-10-21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51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613B1 (ko) * 2007-04-30 2009-05-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비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초두구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비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계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4069688A1 (ko) * 2012-10-31 2014-05-08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소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6843A (ko) 2020-01-29 2021-08-0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천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갖는 피부외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613B1 (ko) * 2007-04-30 2009-05-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비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 및 초두구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비환식 트리테르페노이드계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4069688A1 (ko) * 2012-10-31 2014-05-08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소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6843A (ko) 2020-01-29 2021-08-0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천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갖는 피부외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97836A (zh) 一种保湿舒缓止痒护肤乳霜及其制备方法
KR20050052839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1920724A (zh) 一种修复敏感肌的护肤组合物
CN105998617B (zh) 一种具有舒缓老年皮肤瘙痒功效的外用中药提取物及制备方法和用途
CN111514055A (zh) 一种具有抗炎修复功效的化妆品用多肽组合物颗粒剂
KR20050052838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03514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5108B1 (ko) 백자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31351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4700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874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98993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4299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71586B1 (ko) 민감성피부 및 피부트러블 개선용 시트마스크팩 조성물
KR20100031118A (ko) 석곡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81200B1 (ko) 초두구 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5969922B (zh) 一种特应性皮炎、湿疹的外用中药组合物、基于其的除湿糊及其制备方法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CN113384636B (zh) 一种外用治疗婴幼儿儿童特应性皮炎的消炎止痒中药配方及使用方法
CN113289026B (zh) 一种复方黄柏组合物、复方黄柏喷雾制剂、制备方法及用途
KR10093087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31350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874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97647A (ko) 강진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50118820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