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962A -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962A
KR20060034962A KR1020040084015A KR20040084015A KR20060034962A KR 20060034962 A KR20060034962 A KR 20060034962A KR 1020040084015 A KR1020040084015 A KR 1020040084015A KR 20040084015 A KR20040084015 A KR 20040084015A KR 20060034962 A KR20060034962 A KR 2006003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vowel input
vowel
twice
o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225B1 (ko
Inventor
황차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2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를 이용하여 문자 코드를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자음 입력용 키와 단순화된 모음 입력용 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3개의 키, 즉 'ㅏ'및 'ㅜ'가 할당된 제1모음입력키, 모음 결정 표시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 및 모음 'ㅓ' 및 'ㅗ'가 할당된 제3모음입력키를 이용하여 한글의 모음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종래의 문자 입력에 비해 보다 편리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이다.
키패드, 문자 입력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S IN HANDSE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방식에 따른 키패드를 나타낸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내에 장착된 키패드부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키패드부 120 : 키입력부
130 : 자모처리부 140 : 저장부
170 : 오토메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를 이용하여 문자 코드를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자음 입력용 키와 단순화된 모음 입력용 키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종래의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문자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키패드부(110); 키패드부(110)에서 입력된 문자 입력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키입력부(120); 키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된 코드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음 및 모음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자모음의 연속성을 분석하여 자음 및 모음의 코드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모 처리부(130); 소정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코드데이터를 시프트 라이트 하는 키버퍼(140); 저장된 자모음 코드 데이터와 저장된 다수의 표준 코드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동일 데이터를 탐색시에 해당 코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소 정보를 발생하는 문자 검색부(150); 및 발생된 음소 정보에 응답하여 표준 코드 데이터들의 각각에 대응하여 음소 코드를 억세스하여 출력하는 문자코드 발생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자모 처리부(130), 문자 검색부(150), 문자코드 발생부(160) 및 도 1의 오토메타(170)를 합쳐 문자 생성부로 칭할 수도 있다.
상술한 문자 입력 장치 중에서, 특히, 키패드부(110)는 다양한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의 수가 많아야하므로 부피가 큰 단점이 있기 때문에, 휴대 용 통신 장치용 키패드는 키의 숫자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문자 입력에 어느 정도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이 개발되었다.
*휴대용 통신 장치를 위한 문자 입력 방식에는 다중 디프레션(Multiple Depression) 방식, 단일 디프레션(Single Depression) 방식, 시프트 키 방식, 코드표 이용 방식 및 인접 버튼 조합 방식 등이 있다. 이러한 입력 방식에 있어서, 키 입력 횟수를 줄이면 키 입력 방법이 복잡해지고, 단순한 키입력 방법은 키 입력 횟수의 증가를 야기한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159191호의 경우, 모음 입력을 위해서 'ㅡ', 'ㅣ' 및 '·'의 3개의 기호를 조합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는데, 도 2에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른 키패드의 배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자음이 각각의 숫자키에 할당되어 있고, 3개의 숫자 키에는, 모음 입력을 위한 수직 방향키(ㅣ), 수평 방향키(ㅡ) 및 장단 결정용 키(·)가 각각 할당된다. 예를 들어, '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ㄱ', 'ㅣ', '·'의 키를 차례로 선택한다. 상술한 입력 방식은 한글의 필기 획 순과 일치하고, 모음 입력을 위해 최소의 키를 이용하므로, 키 패드 이용의 효율성이 높은 동시에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입력 방식은 모음을 위한 키 할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한 번의 입력에 한 획씩 입력되므로, 모음 입력을 위하여 모음을 구성하는 획의 숫자만큼 키를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ㅖ'를 입력하기 위하여, 'ㆍ', ' ㆍ', 'ㅣ', 'ㅣ'를 차례로 선택해야 하므로 키 입력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수 있는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수 있는 키패드 구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이 할당된 다수의 입력키와, 한번 누르면 'ㅏ'가 입력되고 두번 누르면 ‘ㅜ’가 입력되는‘ㅏ’ 및 ‘ㅜ’가 할당된 제1모음입력키와, 한번 누르면 ‘ㅡ’가 입력되고, 두번 누르면 ‘ㅣ’가 입력되고, 세번 누르면 ‘ㅢ’가 입력되는 모음결정표시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와, 한번 누르면 ‘ㅓ’가 입력되고, 두번 누르면 ‘ㅗ’가 입력되는 ‘ㅓ’ 및 ‘ㅗ’가 할당된 제3모음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음입력키를 한번 누르고 상기 제2모음입력키를 한번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상기 제1모음 입력키를 두번 누르고 제2모음입력키를 한번 누르면 ‘ㅠ’가 입력되며, 제2모음입력키를 먼저 한번 누르면 모음 ‘ㅡ’이 선택되지만 연속되어 제3모음입력키을 한번 누르며 ‘ㅕ’가 입력되고, 제2모음입력키를 먼저 한번 누르 면 모음‘ㅡ’이 선택되지만 곧이어 제3모음 입력키을 두번 누르면 ‘ㅛ’가 선택되며, 상기 제1모음입력키 및 제2모음입력키 또는 제1모음입력키 및 제2모음입력키 및 제3모음입력키 또는 제2모음입력키 및 제3모음입력키 또는 제1모음입력키 및 제3모음입력키와의 조합을 이용하여 새로운 모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모음 'ㅏ'및 'ㅜ'가 할당된 제1모음입력키; 모음 결정 표시 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 및 모음 'ㅓ' 및 'ㅗ'가 할당된 제3모음입력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키 패드에 할당된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는, 키패드부(310), 키입력부(320), 문자 생성부(330), 저장부(340) 및 표시부(350)를 포함한다.
키패드부(3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문자 입력 신호를 후술하는 키입력부(3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키입력부(320)는, 상기 키패드부(310)에서 입력된 문자 입력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코드 데이터를 후술하는 문자 생성부(330) 내 자모처리부(도시되지 않음)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문자 생성부(330)는, 상기 키입력부(320)로부터 입력된 코드데이터를 차례대로 후술하는 저장부(340)에 저장시키고, 저장된 상기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음소 정보를 조합하여 음절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음절 정보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표시부(35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저장부(340)는, 상기 문자 생성부(330)으로부터 입력받은 복수개의 코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키 마다 할당되어 자음 및 모음 테이블등을 저장하고, 상기 문자 생성부(3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코드 데이터 및 상기 테이블에 저장된 자음 및 모음 정보를 상기 문자 생성부(33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표시부(350)는, 상기 문자 생성부(330)으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 중, 키패드부(3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하드 웨어 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입력키 내지 제12 입력키(411~412)는 숫자키로서, 각각 1~9, *, 0 및 #가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입력키(411~412)는 코드 데이터 값을 가진다. 여기서, 코드 데이터란 복수의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키가 선택되었을 때, 문자 생성부(330) 내 문자 검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고서, 임의의 값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내에 장착된 키패드부(310)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4에서, 제1입력 키 내지 제9입력키(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는 각각 키 패드에 표시된 자음이 할당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키 패드가 눌려지면, 해당 키 입력 신호를 상기 키 입력부(32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 10 입력 키(410)(이하 제1모음 입력키), 제 11입력 키(411)(이하 제2모음 입력키), 제12입력 키(403)(이하 제3모음 입력키)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로서, 제 1 모음 키입력 버튼(410)은, 모음인 'ㅏ'와 'ㅜ'가 할당되고, 사용자가 1회 누르는 경우에는 'ㅏ'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를 상기 키입력부(320)로 전달하고, 사용자가 2회 누르는 경우에는 'ㅜ'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를 상기 키입력부(3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음 결정 표시가 할당된 제2 모음 입력 키(412)는 모음결정표시인 'ㅡ'와 'ㅣ'가 할당되고, 사용자가 1회 누르는 경우에는 'ㅡ'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를 상기 키입력부(320)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2회 누르는 경우에는 'ㅣ'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를 상기 키입력부(3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모음결정표시 모양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모음 결정 표시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4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될 때는 'ㅡ', 'ㅣ'로 표현되지만, 제 1모음입력 키(410) 또는 제 3모음입력 키(412)와 함께 연속하여 사용될 때는 'ㅑ','ㅠ','ㅕ','ㅛ' 등의 모음을 생성한다.
다시 설명하면, 제1모음입력키가 입력되고 제2모음입력키를 입력하면 'ㅑ'를 생성하고, 제2모음입력키가 입력되고 제3모음입력키가 입력되면 'ㅕ'가 생성된다.
상기 제 3 모음 입력 키(412)는 모음인 'ㅓ'와 'ㅗ'가 할당되고, 사용자가 1회 누르는 경우에는 'ㅓ'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를 상기 키입력부(320)로 출력하고, 사용자가 2회 누르는 경우에는 'ㅗ'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신호를 상기 키입력부(32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기타 다른 모음의 생성은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음입력 키(410) 내지 상기 제12 입력 키(412)의 입력 순서에 따라 할당된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하면 된다.
모음 키 입력 순서 및 횟수
제1모음입력키한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한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한번
제2모음입력키한번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또는 제2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세번 또는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3모음입력키두번 +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또는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1모음입력키 한번
제2모음입력키 세번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모음의 입력이 세개의 입력 키로 가능함을 보여준다. 즉 단모음은 제1모음입력키(410) 내지 제3모음입력 키(412)를 한 번 또는 두번 누름으로써, 입력 가능하다. 중모음 중 'ㅢ'는 제11입력키(411)를 세 번 누르면 된다.
예를 들면, 한글 '계'를 입력하기 위해서 제1 입력키(401), 제2모음입력키(411), 제3모음입력키(412)를 이용하는데, 제1입력키(401) → 제2모음입력키(411) → 제3모음입력키(412) → 제2모음입력키(411) 두번의 순서로 입력하게 된다. 이후에, 키입력부(420)는, 키패드부(310)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데, 동일 키가 두 번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키의 두 번째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해당 키의 코드 데이터를 두 번 생성하게 된다. 상기 문자생성부(330)은 이러한 코드데이터 및 상기 <표 1>을 이용하여 해당 문자인 '계'를 상기 표시부(350)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한글 '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1입력키(401), 제2모음입력키(408) 및 제3모음입력키(411)를 이용하는데, 제1입력키(401) 세번 → 제2모음입력키(411) → 제3모음입력키(412)의 순서로 입력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자음은 어떠한 자판배열이 입력되어도 무방하며, 일단 자음이 입력되면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음으로서 한글을 모두 표현할 수 있다.
이후에, 키입력부(420)는, 키패드부(310)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 키가 두 번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키의 두 번째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해당 키의 코드 데이터를 두 번 생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음이 할당된 입력키 세개의 조합에 의해 모든 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문자 입력이 편리하고, 한글이 쓰이는 방식과 같은 순서로 입력하므로 익히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은 3개의 키, 즉 'ㅏ'및 'ㅜ'가 할당된 제1모음입력키, 모음 결정 표시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 및 모음 'ㅓ' 및 'ㅗ'가 할당된 제3모음입력키를 이용하여 한글의 모음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종래의 문자 입력에 비해 보다 편리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자음이 할당된 다수의 입력키와
    한번 누르면 'ㅏ'가 입력되고 두번 누르면 ‘ㅜ’가 입력되는‘ㅏ’ 및 ‘ㅜ’가 할당된 제1모음입력키와
    한번 누르면 ‘ㅡ’가 입력되고, 두번 누르면 ‘ㅣ’가 입력되고, 세번 누르면 ‘ㅢ’가 입력되는 모음결정표시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와
    한번 누르면 ‘ㅓ’가 입력되고, 두번 누르면 ‘ㅗ’가 입력되는 ‘ㅓ’ 및 ‘ㅗ’가 할당된 제3모음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음입력키를 한번 누르고 연속하여 상기 제2모음입력키를 한번 누르면 ‘ㅑ’가 입력되고,
    상기 제1모음 입력키를 두번 누르고 연속하여 제2모음입력키를 한번 누르면 ‘ㅠ’가 입력되며
    제2모음입력키를 먼저 한번 누르면 모음 ‘ㅡ’이 선택되지만 연속되어 제3모음입력키을 한번 누르며 ‘ㅕ’가 입력되고,
    제2모음입력키를 먼저 한번 누르면 모음‘ㅡ’이 선택되지만 곧이어 제3모음 입력키을 두번 누르면 ‘ㅛ’가 선택되며
    상기 제1모음입력키 및 제2모음입력키 또는 제1모음입력키 및 제2모음입력키 및 제3모음입력키 또는 제2모음입력키 및 제3모음입력키 또는 제1모음입력키 및 제 3모음입력키와의 조합을 이용하여 새로운 모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음 입력키, 제2모음 입력키, 제 3모음 입력키는 병렬로 배치되며, 그 순서는 제 1모음 입력키가 좌측에, 제2모음 입력키가 중간에위치하고 제 3모음 입력키는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결정표시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는 ‘-‘ 과 ‘|’ 이 키패드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4.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모음 'ㅏ'및 'ㅜ'가 할당된 제1모음입력키;
    모음 결정 표시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 및
    모음 'ㅓ' 및 'ㅗ'가 할당된 제3모음입력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음입력키 및 제2모음입력키 또는 제1모음입력키 및 제2모음입력키 및 제3모음입력키 또는 제2모음입력키 및 제3모음입력키 또는 제1모음입력키 및 제 3모음 입력키와의 조합을 이용하여 새로운 모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음입력키, 상기 제2모음입력키 및 상기 제3모음입력키는
    아래의 표 1에 따라 대응되는 모음을 생성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표 1]
    모음 키 입력 순서 및 횟수 제1모음입력키한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한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한번 제2모음입력키한번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또는 제2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세번 또는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3모음입력키두번 +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또는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1모음입력키 한번 제2모음입력키 세번
  6. 모음 'ㅏ'및 'ㅜ'가 할당된 제1모음입력키;
    모음 결정 표시 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 및
    모음 'ㅓ' 및 'ㅗ'가 할당된 제3모음입력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키 패드에 할당된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코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음절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데이터는,
    상기 제1모음입력키, 제2모음입력키, 제3모음입력키의 단독 키 입력 신호 및
    상기 제2모음입력키와 상기 제1모음입력키 또는 상기 제2모음입력키와 상기 제3모음입력키와 결합 키 입력 신호에 상응한 모음 정보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8. 모음 'ㅏ'및 'ㅜ'가 할당된 제1모음입력키;
    모음 결정 표시가 할당된 제2모음입력키; 및
    모음 'ㅓ' 및 'ㅗ'가 할당된 제3모음입력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 신호에 상응하는 모음은 아래의 표 2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표 2]
    모음 키 입력 순서 및 횟수 제1모음입력키한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한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한번 제2모음입력키한번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또는 제2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세번 또는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3모음입력키두번 +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또는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1모음입력키 한번 제2모음입력키 세번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또는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2모음입력키 한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3모음입력키두번 + 제1모음입력키 한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또는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한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3모음입력키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1모음입력키 두번 + 제2모음입력키 두번 제3모음입력키 두번 + 제1모음입력키 한번 제2모음입력키 세번
KR1020040084015A 2004-10-20 2004-10-20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16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015A KR100616225B1 (ko) 2004-10-20 2004-10-20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015A KR100616225B1 (ko) 2004-10-20 2004-10-20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962A true KR20060034962A (ko) 2006-04-26
KR100616225B1 KR100616225B1 (ko) 2006-08-25

Family

ID=3714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015A KR100616225B1 (ko) 2004-10-20 2004-10-20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67B1 (ko) * 2006-03-28 2007-05-02 은익수 모바일기기의 한글입력방법
KR101141774B1 (ko) * 2010-10-28 2012-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자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826A (ko) * 1998-01-17 1999-08-05 박용완 한글 문자입력시스템 및 한글의 모음 입력방법
KR19980014261U (ko) * 1998-02-18 1998-06-05 최병규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유선, 무선, 이동전화, 기타 정보기기 포함)
KR100470698B1 (ko) * 2001-12-24 2005-02-21 주식회사 텔컴전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20062611A (ko) * 2002-06-28 2002-07-26 박병진 이동식 단말기 한글입력방법
KR20040016160A (ko) * 2002-08-16 2004-02-21 장원종 2 모음 체계를 이용한 모음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단말장치
KR100651400B1 (ko) * 2004-07-13 2006-11-29 서영환 가로세로막대한글에 의한 핸드폰한글입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067B1 (ko) * 2006-03-28 2007-05-02 은익수 모바일기기의 한글입력방법
KR101141774B1 (ko) * 2010-10-28 2012-05-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자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225B1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00B1 (ko)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750653B1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321322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16225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41448B1 (ko) 단말기의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방법
KR20010104193A (ko)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642107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971280B1 (ko) 변환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13987A (ko) 텐키를 이용한 한글신호입력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KR100852020B1 (ko) 문자입력방법
KR200289449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100635438B1 (ko) 모음의 입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313360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20010091356A (ko) 휴대전화기의 효율적인 한글입력장치 및 방법
KR200600622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장치
KR100741639B1 (ko)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0539281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