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261U -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유선, 무선, 이동전화, 기타 정보기기 포함)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유선, 무선, 이동전화, 기타 정보기기 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261U
KR19980014261U KR2019980002225U KR19980002225U KR19980014261U KR 19980014261 U KR19980014261 U KR 19980014261U KR 2019980002225 U KR2019980002225 U KR 2019980002225U KR 19980002225 U KR19980002225 U KR 19980002225U KR 19980014261 U KR19980014261 U KR 199800142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s
hangul
syllable
vowels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규
Original Assignee
최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규 filed Critical 최병규
Priority to KR2019980002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261U/ko
Publication of KR199800142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261U/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한글은 초성의 경우, ㄱ,ㄴ,ㄷ,ㄹ,ㅁ,ㅂ,ㅅ,ㅈ,ㅇ,ㅎ,ㅋ,ㅌ,ㅍ,ㅊ,ㄲ,ㄸ,ㅃ,ㅆ,ㅉ 까지 19자와 중성의 경우,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ㅐ,ㅒ,ㅔ,ㅖ,ㅘ,ㅝ,ㅙ,ㅞ,ㅚ,ㅟ,ㅢ의 21자가 있으며 종성인 받침은 다소 복잡한 규칙에 따라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타자기나 컴퓨터 키보드에서 한글을 입력할 때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한글입력자체가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전화기의 경우, 1,2,3,4,5,6,7,8,9,0의 열 개의 보턴밖에 없기 때문에 최소한 40개의 자모로 이루어져 있는 한글을 전화기상에서 입력한다는 것이 큰 기술적 문제로 남아있다.
[이전의 한글입력방식]
지금까지 사용하는 방식은 영문알파베트를 전화기로 입력하는 방식을 응용한 것이다. (LGP 5000F PCS) 그러나 한글은 영문보다 자모의 수도 많거니와 음절단위로 글자를 분리해서 쓰기때문에 이러한 알파베트방식은 불편한 점이 많다고 하겠다.
[새로운 한글입력방식]
그래서 보다 쉽게 전화기상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먼저 전화기보턴에 올라가는 한글자모의 수를 줄여야만 효율적인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18자의 자모만을 전화기보턴에 배열한다.
자음:ㄱㄴㄷㄹㅁㅂㅅㅈㅇㅎ(10자)
모음:ㅏㅐㅓㅔㅗㅜㅡ ㅣ(8자)
자음중에서 빠진 ㄲㄸㅃㅆㅉ은 복(復)자음인식키를 설정해서 처리한다.
復+ㄱ=ㄲ
復+ㄷ=ㄸ
復+ㅂ=ㅃ
復+ㅅ=ㅆ
復+ㅈ=ㅉ
또한, ㅋㅌㅍㅊ 네글자는 (ㅎ)기능키를 이용해서 처리한다.
(ㅎ)+ㄱ=ㅋ
(ㅎ)+ㄷ=ㅌ
(ㅎ)+ㅂ=ㅍ
(ㅎ)+ㅈ=ㅊ
모음의 경우 복모음은 크게 ㅣ선행모음과 'ㅗㅜㅡ'복모음이 있는데 'ㅣ'모음과 'ㅗㅜㅡ'모음을 다른 모음들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ㅣ+ㅏ=ㅑㅣ+ㅐ=ㅒㅣ+ㅓ=ㅕㅣ+ㅔ=ㅖㅣ+ㅗ=ㅛㅣ+ㅜ=ㅠ
ㅗ+ㅏ=ㅘㅗ+ㅐ=ㅙㅗ+ㅣ=ㅚㅜ+ㅓ=ㅝㅜ+ㅔ=ㅞㅜ+ㅣ=ㅟ
ㅡ+ㅣ=ㅢ
이렇게 전화기 버튼위에 올릴 자음10자와 모음8자는 일반적인 자음,모음 사용순서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배열한다.
1:ㄱㄴ2:ㄷㄹ3:ㅁㅂ4:ㅅㅈ5:0復
6:ㅎ(ㅎ)7:ㅏㅐ8:ㅓㅔ9:ㅗㅜ0:ㅓㅣ
[앞/뒤 글자 인식방법]
한 개의 보턴에 배정된 두 개의 글자는 보턴을 짧게 혹은 길게 누르는 것에 따라서 短보턴은 앞글자, 長보턴은 뒷글자로 인식한다.
[한글조합방식]
기존에는 글자완성키를 이용하여 음절을 구분하였으나 불편한 점이 없지 않으므로 일반 전동타자기나 컴퓨터 키보드와 같이 받침에 따라오는 모음의 존재여부에 따라서 음절을 구분하고 역시 前음절의 받침인지 後음절의 초성인지를 구별한다. 이것은 전화기버턴에 올라가는 한글 자모의 수를 두 개로 제한하므로서 연속적인 보턴사용을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데 따른 잇점이다.
대한민국
短2(ㄷ):ㄷ
長7(ㅐ):대
短6(ㅎ):대ㅎ(대에는 ㅎ받침이 없다)
短7(ㅏ):대하
長1(ㄴ):대한
短3(ㅁ):대한ㅁ
長0(ㅣ):대한미
長1(ㄴ):대한민
短1(ㄱ):대한민ㄱ
長9(ㅜ):대한민구
短1(ㄱ):대한민국
한글의 경우, 자음(조성)+모음(중성)+자음(종성) 순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원칙에 따라서 처리하되 받침인 종성의 경우 그것이 前음절의 받침인지 後음절의 초성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받침처리방식]
한글에는 자음이 초성과 종성(받침)에 모두 쓰이는데, 모음 뒤에 오는 자음이 전음절의 받침인지 후음절의 초성인지의 여부는 일단 받침을 포함한 글자를 구성한 후, 이미 말했듯이 다음에 모음이 오는지에 따라서 결정한다.
*다음에 자음이 입력된다면 새로운 글자를 만들면 된다.
*다음에 모으밍 들어온다면 전음절의 받침을 빼내서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넘긴다.
長3(ㅂ):ㅂ
短7(ㅏ):바
短2(ㄷ):받
短7(ㅏ):바다
[쌍자음 받침]
쌍자음받침은 ㄲ과 ㅆ이 있는데, 단자음 받침과 같은 원칙으로 따라오는 모음의 존재여부에 따라서 전음절의 받침과 후음절의 초성여부를 결정한다.
[복자음받침처리방식]
한글에는 바침에 복자음 받침이 오는 경우가 있는, ㄳ,ㄶ,ㄵ,ㄺ,ㄻ,ㄽ,ㄿ,ㄾ,ㅀ,ㄼ,ㅄ 등이 있다. 모음 뒤에 연속적인 자음2개가 올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한다.
먼저, 모음 뒤에 연속적 자음2개가 복자음받침이 되는 가를 검색한 후, 복자음받침이 아니라면, 두번째 받침은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넘긴다. 왜냐하면 현대한글에서는 초성에 복자음이 오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복자음받침이라면, 그 음절에서 복자음받침이 존재하는 가를 검색한 후, 그 글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역시 같은 방식으로 두번째 받침은 다음 음절로 넘긴다.
만일 복자음받침이 있는 글자의 경우라면, 일단 글자를 구성한 후, 다음에 자음이 입력되면 그대로 다음 음절로 시작하면 되고, 다음에 모음이 입력되면, 전 음절의 두 번째 받침을 빼내서 다음 음절로 넘기면 된다.
短5(ㅇ):ㅇ
短7(ㅏ):아
長1(ㄴ):안
長4(ㅈ):앉
短8(ㅓ):안저
長1(ㄴ):안전

Description

전화기에서의 한글입력에 관한 새로운 방식(유.무선, 이동전화 및 기타 정보지기 포함)
LG PCS에서 전화기버튼에 한글자모를 배열하여 입력하는 방식(LGP-5000F)
한글 한글자가 완성되었을 때, 기존의 글자완성키를 누르지 않아도 된다.
전화기 버튼에 한글자모를 배열하는 방식
한글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빠르게 입력한다.
한글의 자음에서 ㄲ,ㄸ,ㅃ,ㅆ,ㅉ과 ㅋ,ㅌ,ㅍ,ㅊ,등의 자음을 배열하지 않고, 기능키를 설정하여 처리함.
전화기에 배열해야 할, 한글 자음.모음의 수가 줄어서 보턴 한개당 2개만의 자모만 배정됨으로써, 기존의 자모선택을 위한 연속적 보턴사용일 불필요함.
전화기에서 한글을 입력할때, 적은 KEY STROKE으로 입력하기 위함.

Claims (2)

  1. 전화기에서의 한글 자모 배열 방식.
  2. 제1항에 있어서 한글조합방식.
KR2019980002225U 1998-02-18 1998-02-18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유선, 무선, 이동전화, 기타 정보기기 포함) KR199800142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25U KR19980014261U (ko) 1998-02-18 1998-02-18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유선, 무선, 이동전화, 기타 정보기기 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225U KR19980014261U (ko) 1998-02-18 1998-02-18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유선, 무선, 이동전화, 기타 정보기기 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261U true KR19980014261U (ko) 1998-06-05

Family

ID=69711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225U KR19980014261U (ko) 1998-02-18 1998-02-18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유선, 무선, 이동전화, 기타 정보기기 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261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747B1 (ko) * 2000-08-24 2002-11-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414416B1 (ko) * 2000-09-28 2004-01-07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100432267B1 (ko) * 2000-01-15 2004-05-20 조관현 간편한 한글자판
KR100616225B1 (ko) * 2004-10-20 2006-08-25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800606B1 (ko) * 2006-09-26 2008-02-05 (주)대한기독교서회미디어 한글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267B1 (ko) * 2000-01-15 2004-05-20 조관현 간편한 한글자판
KR100362747B1 (ko) * 2000-08-24 2002-11-2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KR100414416B1 (ko) * 2000-09-28 2004-01-07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100616225B1 (ko) * 2004-10-20 2006-08-25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800606B1 (ko) * 2006-09-26 2008-02-05 (주)대한기독교서회미디어 한글 입력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7771A (ko) 기본문형의 조합을 통한 한글, 영문, 숫자 입력장치
KR19980014261U (ko) 전화기의 새로운 한글입력방식(유선, 무선, 이동전화, 기타 정보기기 포함)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970078245A (ko) 전화기 번호판의 한글 자모 배치 및 한글 구현 방법
JP3007007U (ja) 入力装置
KR20010106807A (ko) 전화버튼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45120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50587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JP2002333942A (ja) コンピュータ用「ローマ字入力」専用端末機のキーボード。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649139B2 (ja) ローマ字入力用のキーボード
KR100404339B1 (ko) 한글 자판배열 및 그 입력장치
KR20020035698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문자입력 키패드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970031661A (ko) 전화기의 한글문자 입력방법
KR960027934A (ko) 전자식 전화기의 한글입력방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CN100498655C (zh) 简化汉语拼音两键输入法
JPH0441399Y2 (ko)
JPS59121425A (ja) 「へい」音漢字変換装置
CN1293511A (zh) 手机汉语拼音的输入方法
JPS58222330A (ja) 日本語変換方式
KR20000012384A (ko) 기본문형을 조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 장치
JPS60136868A (ja) 日本語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