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931A -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931A
KR20060034931A KR1020040083976A KR20040083976A KR20060034931A KR 20060034931 A KR20060034931 A KR 20060034931A KR 1020040083976 A KR1020040083976 A KR 1020040083976A KR 20040083976 A KR20040083976 A KR 20040083976A KR 20060034931 A KR20060034931 A KR 2006003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memory
data
va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952B1 (ko
Inventor
김현석
장원규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9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6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thres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촬영 시에 삽입되는 AF(Auto focus) 데이터 또는 촬영된 영상의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변화가 심한 부분)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유효한 영상 및 유효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촬영된 이미지의 AF 데이터를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검색된 상기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와 기준 AF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가 기준 AF 데이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가 기준 AF 데이터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시에 삽입되는 AF(Auto focus) 데이터 또는 촬영된 영상의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변화가 심한 부분)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유효한 영상 및 유효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함으로써 복잡한 키 조작 없이 손쉽게 메모리 카드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Method for grouping efficient image in digital camera}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 촬영 시에 삽입되는 AF(Auto focus) 데이터 또는 촬영된 영상의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변화가 심한 부분)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유효한 영상 및 유효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영상을 받아들이는 CCD&COMS 소자(미도시)를 이용하여 DSP(미도시)에서 영상에 관련된 처리를 거친 후 메모리 카드로 들어가 저장된다.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할 때 반 셔터 상황에서 AF(Auto focusing) 모터를 구동시켜 초점을 잡는다. 또는 AF 과정 없이 진행되기도 한다. 이렇게 두 경우로 받아들인 영상이 DSP 내부를 거쳐 화질 개선이나 기타 영상 처리 기법을 통해 최종적으로 현재 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진다.
지금까지 사용되어지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유효 판단 없이 모든 영상 데이터를 저장 매체인 메모리 카드에 저장한다. 최근 메모리 카드의 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CCD&COMS 소자의 발전으로 많은 픽셀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들은 큰 사이즈의 영상을 얻고자 한다. 이로써 메모리 카드의 크기가 커진다 하여도 항상 저장 매체의 메모리 공간은 작게 느껴진다. 만약 메모리 카드의 공간이 부족하여 공간을 확보하고자 한다면, 유효 영상을 제외한 불필요한 영상을 제거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라니 영상 파일 수가 많다면, 일일이 많은 수의 영상을 검색하여 하나하나 선별해야 함으로써 불편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이미 촬영된 영상을 삭제함으로써 생기게 되는 메모리 카드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많은 키 조작을 가지게 되는 불편함을 야기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영상 촬영 시에 삽입되는 AF(Auto focus) 데이터 또는 촬영된 영상의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변화가 심 한 부분)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유효한 영상 및 유효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촬영된 이미지의 AF 데이터를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검색된 상기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와 기준 AF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가 기준 AF 데이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가 기준 AF 데이터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반셔터 상에서 생성된 AF 데이터를 캡쳐될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하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은 유효하지 않은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하지 않은 폴더이며,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은 유효한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한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사용자 의 선택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된 촬영된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의 변화가 심한 부분)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와 Threshold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가 Threshold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가 Threshold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Threshold 값은 촬영된 피사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은 유효하지 않은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하지 않은 폴더이며,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은 유효한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한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 장된 촬영 이미지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에는, 마이크로폰(MIC), 셀프-타이머 램프(11), 플래시(12), 셔터 버튼(13), 모드 다이얼(14), 기능-선택 버튼(15), 촬영-정보 표시부(16), 뷰파인더(17a), 기능-블록 버튼(18), 플래시-광량 센서(19), 렌즈부(20),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21)가 있다.
셀프-타이머 램프(11)는 셀프-타이머 모드인 경우에 셔터 버튼(13)이 눌려진 시점으로부터 셔터가 동작하는 시점까지의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한다. 모드 다이얼(14)은, 각종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컴퓨터 연결 모드, 및 시스템 설정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기능-선택 버튼(15)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1)의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정지영상 촬영 모드, 야경 촬영 모드, 동영상 촬영 모드, 및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촬영-정보 표시부(16)는 촬영과 관련된 각 기능의 정보가 표시된다. 기능-블록 버튼(18)은 촬영-정보 표시부(16)에 디스플레이된 각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디지털 카메라(1)의 뒤쪽에는, 스피커(SP), 전원 버튼(31), 모니터 버튼(32), 자동-초점 램프(33), 뷰파인더(17b), 플래시 대기 램프(34), 디스플레이 패널(LCD)(35), 노출보정/삭제 버튼(36), 엔터/재생 버튼(37), 메뉴/OK 버튼(38),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39w), 망원(telephoto)-줌 버튼(39t),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 대표-음성 버튼(42), 재생모드(Playback) 버튼(42)이 있다.
모니터 버튼(3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35)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니터 버튼(32)을 첫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 및 그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피사체의 영상만이 디스플레이 되며, 세 번째로 누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5)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자동-초점 램프(33)는 자동 포커싱 동작이 완료된 때에 동작한다.
플래시 대기 램프(34)는 플래시(도 1의 12)가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에 동작한다.
노출보정/삭제 버튼(36)은 디지털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빛의 양을 조절하거나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삭제 버튼으로 사용된다.
엔터/재생 버튼(37)은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재생 모드에서의 정지 또는 재생 등의 기능을 위하여 사용된다.
메뉴/OK 버튼(38)은 모드 다이얼(14)에서 선택된 모드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상향-이동 버튼(40up), 우향-이동 버튼(40ri), 하향-이동 버튼(40lo), 및 좌향-이동 버튼(40le)도 사용자가 각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재생모드 버튼(42)은 마지막 촬영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음성 정보를 확인 하고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입사측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렌즈부(20)와 필터부(41)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부(20)는 줌 렌즈(ZL), 포커스 렌즈(FL), 및 보상 렌즈(CL)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INP)에 포함된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2의 39w) 또는 망원(telephoto)-줌 버튼(도 2의 39t)을 누르면, 이에 상응하는 신호가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가 렌즈 구동부(510)를 제어함에 따라, 줌 모터(MZ)가 구동되어 줌 렌즈(ZL)가 이동된다. 즉, 광각(wide angle)-줌 버튼(도 2의 39w)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짧아져서 화각이 넓어지고, 망원(telephoto)-줌 버튼(39t)이 눌려지면 줌 렌즈(ZL)의 초점 길이(focal length)가 길어져서 화각이 좁아진다.
이와 같은 특성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는 광학계(OPS)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줌 렌즈(ZL)의 위치에 대한 화각(θ)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줌 렌즈(ZL)의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포커스 렌즈(FL)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화각(θ)은 포커스 렌즈(FL)의 위치에 대하여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보상 렌즈(CL)는 전체적인 굴절률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다.
참조 부호 MA는 조리개(aperture,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가리킨다. 여기서, 지정 노출 모드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조리개 구동 모터(MA)의 회전각이 달라진다. 지정 노출 모드란, 피사 영역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일부 영역이 디지털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패널(35)에 표시된 지정 검출 영역에 일치되면, 이 지정 검출 영역의 평균 휘도에 대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량을 설정하는 모드를 말한다.
광학계(OPS)의 필터부(41)에 있어서, 광학적 저역 통과 필터(OLPF, Optical Low Pass Filter)는 고주파 함량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적외선 차단 필터(IRF, 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타이밍 회로(5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5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5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는 CDS-ADC 소자(5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제어기(5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11), 자동-초점 램프(도 2의 33) 및 플래시 대기 램프(도 2의 34)가 포함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도 1의 13), 모드 다이얼(도 1의 14), 기능-선 택 버튼(도 1의 15), 기능-블록 버튼(도 1의 18), 모니터 버튼(도 2의 32), 확인/삭제 버튼(도 2의 36), 엔터/재생 버튼(도 2의 37), 메뉴 버튼(도 2의 38), 광각-줌 버튼(도 2의 39w), 망원-줌 버튼(도 2의 39t), 상향-이동 버튼(도 2의 40up), 우향-이동 버튼(도 2의 40ri), 하향-이동 버튼(도 2의 40lo), 및 좌향-이동 버튼(도 2의 40le)을 포함한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504)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가 일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05)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50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515)가 착탈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LCD 구동부(514)에 입력되고, 이로 인하여 칼라 LCD 패널(35) 즉 표시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21a)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508)와 그 접속부(21b)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디오 필터(509) 및 비디오 출력부(21c)를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5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50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한편, 플래시(12)는 플래시-광량 센서(19)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제어기(512)와 플래시 제어기(511)를 통하여 구동된다.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메모리 카드(51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촬영할 이미지 또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유효한 이미지 및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로 분류하여 메모리 카드(515)에 저장함으로써 메모리 카드(515)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메모리 카드(515)는 3개의 영역으로 분리된다. 메모리 카드(515)의 제1 영역에는 촬영된 이미지가 저장되고,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분류 제어 동작에 의해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가 저장되고, 메모리 카드(515)의 제3 영역에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분류 제어 동작에 의해 유효한 이미지가 저장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써, 피사체 촬영 직전 Preview 상에서 잡은 AF 데이터를 캡쳐(Capture)될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한다(500단계). 사용자는 피사체 촬영 직전 포커스를 자동으로 맞추기 위해 반셔터 동작을 취하게 되고, 반셔터 동작 시에 생성되는 AF 데이터를 캡쳐될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한다. 일반적으로 촬영된 이미지 파일은 더미(Dummy) 부분, 헤더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더미 부분에 사용자 정보나 기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비공개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영상 데이터의 부가적인 내용을 삽입 함으로써 검색 및 비교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더미 부분에 촬영될 이미지의 AF 데이터를 삽입한다.
AF 데이터가 더미 부분에 기록된 이후, 사용자는 완전셔터 동작을 통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501단계). 촬영된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제어 하에, 일시적으로 DRAM(504)에 저장되었다가, 메모리 카드(515)의 제1 영역으로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515)의 여유 공간 확보를 위해, 메모리 카드(515)의 제1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를 불러오게 되고,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촬영된 이미지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와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 AF 데이터를 비교한다(502단계). 본 단계는 촬영 이후에 실시될 수도 있고, 촬영과 동시에 실시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촬영 이후에 실시된 것으로 설명한다.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비교 결과 촬영된 이미지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 AF 데이터 범위 내에 있는 경우(503단계),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촬영된 이미지에 흔들림(손떨림)이 없다고 판단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한다(504단계).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515)의 제1 영역에서 제3 영역으로 즉, 유효한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505단계).
메모리 카드(515)의 제3 영역 즉, 유효한 폴더에 저장된 유효한 이미지는 이후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에 이용한다(506단계).
그러나,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비교 결과 촬영된 이미지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는 기준 AF 데이터 범위를 초과한 경우(503단계),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촬영된 이미지에 흔들림(손떨림)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한다(507단계).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515)의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508단계).
흔들림이 발생했지만, 사용자 측면에서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에 저장된 이미지가 중요한 이미지라고 판단되면, 이를 유효한 데이터로 복구할 수 있다(509단계).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이미지는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에서 제3 영역, 즉 유효한 폴더로 이동한다(510단계).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삭제된다(511단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6은 AF 정보가 삽입되지 않은 촬영 이미지로부터 유효한 이미지 또는 유효하지 않은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한 방법이다.
사용자는 메모리 카드(515)의 여유 공간 확보를 위해 메모리 카드(515)의 제1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를 불러온다(600단계).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상기 검출된 이미지로부터 특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 변환가 심한 부분)를 추출한다(601단계).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에 포함되는 AF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AF 모터의 이동에 따른 이미지의 히스토그램 변화 추이를 인식하여 히스토그램 값이 가장 큰 위치를 AF 상태로 인식하고, 이 정보를 특징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의 Edge detection을 통하여 특징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이러한 AF 알고리즘이나, Edge detection은 모두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에 포함된다.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추출된 특징 정보와 Threshold 값을 비교한다(602단계). Threshold 값은 촬영된 이미지의 피사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여 기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물 등 오브젝트 사진은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윤곽 특징을 뽑는다면 두드러지게 나타내어진다. 하지만, 흔들린 영상 즉, AF가 맞지 않은 영상에 대해서는 영상의 블러링(Blurring) 현상이 발생하여 윤곽 특징이 AF가 맞는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특징 정보(윤곽 또는 색상 변화가 심한 부분)에 따라 Threshold 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비교 결과 추출된 특징 정보가 Threshold 값 이상인 경우(603단계),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촬영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 변환가 심한 부분)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한다(604단계).
유효한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515)의 제1 영역에서 제3 영역으로 즉, 유효한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605단계).
메모리 카드(515)의 제3 영역 즉, 유효한 폴더에 저장된 유효한 이미지는 이후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에 이용한다(606단계).
그러나,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비교 결과 추출된 특징 정보가 Threshold 값 이하인 경우(603단계), 마이크로 제어기(512)는 촬영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 변환가 심한 부분)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한다(607단계).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로 판단된 촬영 이미지는 마이크로 제어기(512)의 제어 하에, 메모리 카드(515)의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된다(608단계).
윤곽선 또는 색상 변화가 심한 부분에 이상이 있지만, 사용자 측면에서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에 저장된 이미지가 중요한 이미지라고 판단되면, 이를 유효한 데이터로 복구할 수 있다(609단계).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이미지는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에서 제3 영역, 즉 유효한 폴더로 이동한다(610단계).
메모리 카드(515)의 제2 영역 즉, 유효하지 않은 폴더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삭제된다(611단계).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촬영 시에 삽입되는 AF(Auto focus) 데이터 또는 촬영된 영상의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변화가 심한 부분)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유효한 영상 및 유효하지 않은 영상으로 분류함으로써 복잡한 키 조작 없이 손쉽게 메모리 카드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게 된다.

Claims (10)

  1.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촬영된 이미지의 AF 데이터를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검색된 상기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와 기준 AF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이터가 기준 AF 데이터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된 AF 데 이터가 기준 AF 데이터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반셔터 상에서 생성된 AF 데이터를 캡쳐될 이미지 파일의 더미 부분에 기록하고 피사체를 촬영하여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은 유효하지 않은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하지 않은 폴더이며,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은 유효한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한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6. 디지털 카메라 동작 방법으로서,
    (a) 메모리의 제1 영역에 저장된 촬영된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미지로부터 특징 정보(윤곽선 또는 색상의 변화가 심한 부분)를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와 Threshold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가 Threshold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추출된 특징 정보가 Threshold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Threshold 값은 촬영된 피사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은 유효하지 않은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하지 않은 폴더이며,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은 유효한 촬영 이미지가 저장되는 유효한 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메모리의 제3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 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메모리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촬영 이미지는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20040083976A 2004-10-20 2004-10-20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0673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76A KR100673952B1 (ko) 2004-10-20 2004-10-20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76A KR100673952B1 (ko) 2004-10-20 2004-10-20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931A true KR20060034931A (ko) 2006-04-26
KR100673952B1 KR100673952B1 (ko) 2007-01-24

Family

ID=3714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76A KR100673952B1 (ko) 2004-10-20 2004-10-20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9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604A1 (en) * 2007-03-22 2008-10-0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removal, replacement and tagging of flash frames in a video
KR100947737B1 (ko) * 2008-04-17 2010-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방송 시스템과 동기 화면 검출 방법 및 방송컨텐츠와 부가 정보 간의 동기 방법
KR101431541B1 (ko) * 2008-01-1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010B1 (ko) * 1996-12-27 1999-09-01 구자홍 디지탈 카메라의 화상 기록 제어방법
KR20000040911A (ko) * 1998-12-21 2000-07-15 황희륭 휴대형 검침 판독기
JP2003032521A (ja) 2001-07-12 2003-01-31 Nikon Corp カメラ
JP2004159083A (ja) 2002-11-06 2004-06-03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KR100547998B1 (ko) * 2003-02-10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의제어방법
KR100547157B1 (ko) * 2003-11-20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처리 장치 및 방법, 화상처리장치를 채용한화상형성장치 및 화상캡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8604A1 (en) * 2007-03-22 2008-10-0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removal, replacement and tagging of flash frames in a video
US9036977B2 (en) 2007-03-22 2015-05-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ic detection, removal, replacement and tagging of flash frames in a video
KR101431541B1 (ko) * 2008-01-18 2014-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0947737B1 (ko) * 2008-04-17 2010-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방송 시스템과 동기 화면 검출 방법 및 방송컨텐츠와 부가 정보 간의 동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952B1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039B1 (ko) 사용자가 쉽게 증명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디지털카메라의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KR101086409B1 (ko) 사용자 설정 연사모드 촬영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59639A (ko)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KR20040056675A (ko) 촬영 상태가 부적절하였음을 알려주는 디지털 카메라 및그 제어방법
KR20110047613A (ko) 촬영가이드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58025B1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00056280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5025479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59429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86403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20080063996A (ko) 사용자의 얼굴이 모니터링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673952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KR100627049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 영상에 객체를 합성하는 장치 및방법
KR100562405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수정 방법
KR101080404B1 (ko) 동영상을 정지 영상화하여 트리밍 하는 방법
KR101080405B1 (ko) 인증 이미지를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동작 방법
KR100604324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이미지 캡쳐 장치
KR10145741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3697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90043159A (ko)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651811B1 (ko) 페이지 단위 이미지 삭제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43683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6453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070295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이미지에 강조 부분을표시하는 방법
KR101431541B1 (ko) 디지털 카메라에서 유효한 영상을 분류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