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888A -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888A
KR20060034888A KR1020040083907A KR20040083907A KR20060034888A KR 20060034888 A KR20060034888 A KR 20060034888A KR 1020040083907 A KR1020040083907 A KR 1020040083907A KR 20040083907 A KR20040083907 A KR 20040083907A KR 20060034888 A KR20060034888 A KR 20060034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cdma
packet dat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u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799B1 (ko
Inventor
한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799B1/ko
Priority to CNB200510091166XA priority patent/CN100350811C/zh
Priority to US11/227,534 priority patent/US20060083203A1/en
Publication of KR2006003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도중에 이동통신단말기가 CDMA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 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통화를 하는 도중에 WCDMA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이 있으면 CDMA 모뎀을 활성화 시키고, WCDMA 시스템에 마지막으로 접속한 URL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WCDMA 시스템에 할당된 모든 통화 리소스를 해제한 후에 저장된 URL로 CDMA 시스템을 통해 발신하고, CDMA 시스템에 접속되면 진행중이던 패킷 데이터 통화를 계속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킷 데이터 통화중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지역에서 CDMA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도 WCDMA 시스템을 통해 접속중이던 사이트에 CDMA 시스템을 통해 계속해서 접속되게 된다.
듀얼모드, 패킷, 데이터 통화, 이동통신단말기, WCDMA, CDMA

Description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Successive packet data service method in dual mode mobile phone}
도 1은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듀얼모드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CDMA 중첩셀에서 CDMA 셀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주제어부, 120 메모리,
130 WCDMA 모뎀부, 140 CDMA 모뎀부,
150 듀플렉서.
본 발명은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 있는 도중에 이동통신단말기가 CDMA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 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해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가지의 모드로 동작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듀얼모드(dual-mode) 이동통신단말기라고 하며, 본 발명에서는 CDMA 망 및 WCDMA 망에서 모두 동작이 가능한 단말기를 일컫는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CDMA 망과 WCDMA 망뿐만 아니라 GSM 망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트리플모드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멀티모드 이동통신단말기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CDMA망 및 WCDMA망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CDMA용 RF 회로와 모뎀 그리고 WCDMA용 RF 회로와 모뎀이 모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WCDMA 시스템과 CDMA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부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WCDMA 시스템과의 동작을 위한 WCDMA 회로부(130)와 CDMA 시스템과의 동작을 위한 CDMA 회로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양 모드에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부(110) 및 주제어부(110)에서 필요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0)를 구비한다. 양 회로부(130, 140)는 듀플렉서(150)를 통해 안테나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같은 시간에 양 회로부(130, 140)가 모두 활성화되지는 않으며, 듀플렉서(150)는 한쪽 회로부의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양 회로부(130, 140)는 각각 RF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RF 송수신모듈(137, 147)과, 모뎀(135, 145), 제어부(131, 141), 메모리(133, 143)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은 다수의 IC 칩이나 MMIC(Monolithic Microwave IC)로 각각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몇개의 칩에 병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RF 송수신 모듈을 하나로 설계하여 CDMA 회로부와 WCDMA 회로부에서 공유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다가 CDMA 망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경우에 WCDMA 망에서 받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종료되어 버리고, 사용자가 계속해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CDMA 망으로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 절차를 밟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WCDMA 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다가 이동통신단말기가 CDMA 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계속해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통화를 하는 도중에 WCDMA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이 있으면 CDMA 모뎀을 활성화 시키고, WCDMA 시스템을 통한 패킷 데이터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WCDMA 시스템에 할당된 모든 통화 리소스를 해제한 후에 저장된 WCDMA 시스템을 통한 패킷 데이터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하여 CDMA 시스템으로 발신하고, CDMA 시스템에 접속되면 진행중이던 패킷 데이터 통화를 계속 진행한다.
WCDMA 시스템으로부터의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은,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주기적으로 WCDMA 시스템에 전송한 WCDMA 신호의 강도에 관한 정보를 WCDMA 시스템에서 분석한 후에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WCDMA 시스템에서 보내게 된다. 한편, WCDMA 신호의 강도에 관한 정보는,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가 되는 경우에만 주기적으로 보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WCDMA 시스템을 통한 패킷 데이터 통화와 관련된 정보에는 WCDMA 시스템에 마지막으로 접속한 URL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 경우에, CDMA 시스템으로 발신할 때는, 상기 WCDMA 시스템에 마지막으로 접속한 URL로 발신하게 된다.
한편, WCDMA 시스템과의 접속과 관련된 리소스를 해제한 이후에는 WCDMA 모뎀을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통화를 하고 있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시스템에 WCDMA 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WCDMA 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WCDMA 시스템에서 상기 WCDMA 신호 강도가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여,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면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을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을 수신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CDMA 모뎀을 활성화 시키고, WCDMA 시스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제3단계와, WCDMA 시스템과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현재의 패킷 데이터 통화에 할당된 리소스를 해제하는 제4단계와,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WCDMA 시스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CDMA 시스템으로 발신하는 제5단계와,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CDMA 시스템을 통해 패킷 데이터 통화를 진행하는 제6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단계는 일정 기간마다 수행할 수도 있고,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가 되는 경우에만 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소정의 조건은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로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는 것일 수도 있고, WCDMA 신호의 강도가 계속 낮아져서 소정의 레벨 이하로 된 것일 수도 있으며, 단순히 WCDMA 신호의 강도가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 고 있는 도중에(단계 301),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WCDMA 신호의 강도에 관한 정보를 WCDMA 시스템에 전송한다(단계 303). 단계 303은 일정 기간마다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가 되는 경우에만 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WCDMA 신호의 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WCDMA 시스템은,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지역을 벗어나려고 하는 상황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05). 이러한 판단은 수신된 WCDMA 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가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일정한 요건으로는,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로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는 것일 수도 있고, WCDMA 신호의 강도가 계속 낮아져서 소정의 레벨 이하로 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단순히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로 내려가면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지역을 벗어나려고 하는 상황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은 특정 요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신호강도에 관한 정보가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 진행하지만, 신호강도에 관한 정보가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WCDMA 시스템은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로 시스템 접속을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낸다(단계 307).
이 메시지를 수신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CDMA 모뎀(145)을 활성화시키고, 현재 진행중이던 WCDMA 시스템과의 접속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309). WCDMA 시스템과의 접속에 관한 정보에는 마지막으로 접속한 사이트의 URL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WCDMA 시스템 접속과 관련된 리소스를 해제한다(단계 311). 마찬가지로, WCDMA 시스템에서도 해당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련된 리소스를 해제함으로써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와 WCDMA 시스템과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종료하게 된다(단계 313).
CDMA 모뎀이 활성화되면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단계 309에서 저장하였던 WCDMA 시스템과의 접속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CDMA 시스템에 접속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발신을 하게 된다(단계 315). 예를 들면, 마지막으로 접속한 사이트의 URL로 데이터 통화 발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CDMA 시스템을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 상태에 접어들게 된다(단계 317).
따라서, 패킷 데이터 통화중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지역에서 CDMA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도 WCDMA 시스템을 통해 접속중이던 사이트에 CDMA 시스템을 통해 계속해서 접속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의 과정을 수행할 때의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망을 통해서 패킷 데이터 통화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CDMA 모뎀부(140)는 비활성화 상태로 있으며(단계 401), 제어부(110)와 WCDMA 모뎀부(13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상태에 있게 된다(단계 403). 이 상태에서 WCDMA 모뎀부(130)는 일정 시간마다 WCDMA 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WCDMA 시 스템으로 전송한다(단계 405). 단계 405는 WCDMA 신호 강도가 일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만 실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망을 통해서 패킷 데이터 통화를 하고 있는 동안에 단말기가 WCDMA 지역을 벗어나기 시작하면 WCDMA 신호 강도가 낮아지게 되고, WCDMA 시스템에서는 이에 따라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 메시지를 패킷 데이터 통화중인 단말기로 보내게 된다. 이러한 메시지를 받으면(단계 407), WCDMA 모뎀부(130)는 이를 제어부(110)에 보고한다.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 메시지를 보고받은 제어부(110)는 CDMA 모뎀을 활성화시키고(단계 411), WCDMA 시스템과의 접속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120)에 저장한다(단계 413). WCDMA 시스템과의 접속에 관한 정보에는 마지막으로 접속한 사이트의 URL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WCDMA 모뎀부(130)는 WCDMA 시스템 접속과 관련된 리소스를 해제한다(단계 415). 리소스 해제가 완료되면 WCDMA 모뎀부(130)는 제어부(110)로 시스템 재접속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보내고(419), 이를 수신한 제어부(110)는 WCDMA 모뎀을 비활성화 시킨다(단계 421).
이러한 과정중에 CDMA 모뎀부(140)는 초기화 및 CDMA 시스템에의 동기화 과정 등을 거쳐서 아이들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단계 417). 그러면, 제어부(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어 있는 WCDMA 시스템과의 접속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CDMA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요청한다(단계 423). 예를 들면, WCDMA 시스템을 통해 마지막으로 접속한 사이트의 URL로 CDMA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통화 발신을 하도록 요청하는 것이다. 그러면, CDMA 모뎀부(140)는 CDMA 시스템을 통해 상기 URL로 데이터 통화 발신을 함으로써(단계 425), WCDMA 시스템을 통해 받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CDMA 시스템을 통해 계속해서 받을 수 있게 된다(단계 427).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WCDMA 망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다가 이동통신단말기가 CDMA 망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CDMA 시스템을 통해 동일한 URL로 발신을 함으로써 CDMA 망으로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해서 받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WCDMA망과 CDMA망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통화를 하는 도중에 WCDMA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이 있으면 CDMA 모뎀을 활성화 하는 제1단계와,
    WCDMA 시스템을 통한 패킷 데이터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2단계와,
    WCDMA 시스템에 할당된 모든 통화 리소스를 해제하는 제3단계와,
    제2단계에서 저장된 정보를 사용하여 CDMA 시스템으로 데이터 통화를 발신하는 제4단계와,
    CDMA 시스템에 접속되면 진행중이던 패킷 데이터 통화를 계속 진행하는 제5단계
    를 구비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는
    WCDMA 신호의 강도에 관한 정보를 WCDMA 시스템에 전송하는 제1-1단계와,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통화를 하는 도중에 WCDMA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이 있으면 CDMA 모뎀을 활성화 하는 제1-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는 일정 기간마다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단계는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가 되는 경우에만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CDMA 시스템을 통한 패킷 데이터 통화와 관련된 정보에는 WCDMA 시스템에 마지막으로 접속한 URL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4단계는 상기 WCDMA 시스템에 마지막으로 접속한 URL로 발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 이후에
    WCDMA 모뎀을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8. WCDMA 시스템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 통화를 하고 있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시스템에 WCDMA 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제1단계와,
    상기 WCDMA 신호 강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WCDMA 시스템에서 상기 WCDMA 신호 강도가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여,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면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을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단계와,
    시스템 접속 변경 요청을 수신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CDMA 모뎀을 활성화 시키고, WCDMA 시스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제3단계와,
    WCDMA 시스템과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현재의 패킷 데이터 통화에 할당된 리소스를 해제하는 제4단계와,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제3단계에서 저장된 WCDMA 시스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CDMA 시스템으로 데이터 통화를 발신하는 제5단계와,
    상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CDMA 시스템을 통해 패킷 데이터 통화를 진행하는 제6단계
    를 구비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일정 기간마다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가 되는 경우에만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WCDMA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로 일정 시간 이상 경과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WCDMA 신호의 강도가 계속 낮아져서 소정의 레벨 이하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WCDMA 시스템 접속 정보에는 WCDMA 시스템에 마지막으로 접속한 URL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5단계는 상기 WCDMA 시스템에 마지막으로 접속한 URL로 발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제5단계 이후에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가 WCDMA 모뎀을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40083907A 2004-10-20 2004-10-20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09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07A KR100709799B1 (ko) 2004-10-20 2004-10-20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서비스 제공 방법
CNB200510091166XA CN100350811C (zh) 2004-10-20 2005-08-09 在双模移动通信终端中连续提供分组数据业务的方法
US11/227,534 US20060083203A1 (en) 2004-10-20 2005-09-14 Method of successively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dual-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07A KR100709799B1 (ko) 2004-10-20 2004-10-20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888A true KR20060034888A (ko) 2006-04-26
KR100709799B1 KR100709799B1 (ko) 2007-04-23

Family

ID=3618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07A KR100709799B1 (ko) 2004-10-20 2004-10-20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83203A1 (ko)
KR (1) KR100709799B1 (ko)
CN (1) CN1003508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140A (ko) * 2006-03-31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의 시간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TWI407761B (zh) * 2006-12-07 2013-09-01 Wistron Neweb Corp 可同時於複數個行動通訊系統下待機之通訊裝置
US8548482B2 (en) * 2007-10-22 2013-10-0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requency selection
US20190037568A1 (en) * 2016-02-01 2019-01-3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115278564B (zh) * 2022-08-02 2023-11-28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终端呼叫的处理方法及其装置、通信系统以及网络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2730B (en) * 1993-10-08 1998-01-2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and a handover procedure of the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6269254B1 (en) * 1998-09-28 2001-07-31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with API between user application program and telephony program and method
KR100392643B1 (ko) * 2000-12-07 2003-07-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모드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한 핸드오프 결정지원 방법
US7181218B2 (en) * 2001-04-10 2007-0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anding handover between differing radio access technologies
KR100426519B1 (ko) * 2001-12-06 2004-04-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패킷 통신방법
KR100965861B1 (ko) 2002-10-24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 제어 장치
KR100483923B1 (ko) * 2002-11-13 2005-04-18 (주)엔텔스 이종의 이동통신망에서 일반가입자의 데이터 서비스의인증과 빌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7830853B2 (en) * 2002-12-06 2010-11-0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GSM to W-CDMA reselection
KR100557124B1 (ko) * 2003-02-2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절차를 이용하는 핸드오버시스템 및 방법
KR100981510B1 (ko) * 2003-03-08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
JP4250991B2 (ja) * 2003-03-27 2009-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方法
ES2268319T3 (es) * 2003-05-21 2007-03-16 Siemens S.P.A. Metodo para descargar software con soporte de movilidad de sesion en sistemas de comunicacion moviles.
US20050037757A1 (en) * 2003-08-12 2005-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handoff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799B1 (ko) 2007-04-23
CN1764302A (zh) 2006-04-26
CN100350811C (zh) 2007-11-21
US20060083203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48075B (zh) 测量报告上报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EP1679917B1 (en)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ode wireless terminal
CN1897729B (zh) 切换不同通信网之间分组业务呼叫的双模移动终端和方法
US7706331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from a WCDMA system to a CDMA system in a multi-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07882A (ko)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대기상태에서의 시스템간 전환 방법
KR102137528B1 (ko)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
US7860048B2 (en) Mobile terminal, resource allocation manager,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8029150A (zh) 数据传输的方法和设备
US20070222852A1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KR100709799B1 (ko)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연속적인 패킷 데이터서비스 제공 방법
US20060045125A1 (en) Hybri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mode of the same
KR100573081B1 (ko)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 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592180B1 (ko) 듀얼모드 단말기에서의 모드 변환 방법
KR100564028B1 (ko)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638438B1 (ko)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EP4087325A1 (en) Wifi hotspot management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706409B1 (ko) 광역 씨디엠에이 및 씨디엠에이 겸용 이동 단말기의 부팅방법
CN113543211B (zh) 降低信号间干扰的方法及相关产品
KR100573079B1 (ko)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 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650834B1 (ko) 멀티모드 단말기에서 더블유씨디엠에이에서씨디엠에이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353651B1 (ko) 덱트 시스템에서 채널 설정 방법
KR101611957B1 (ko) 듀얼 ssid의 전환 설정을 이용한 무선랜 ap의 저전력 제어 방법
JP2020123851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397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선택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385801A (zh) 无线通信系统及无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