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528B1 -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528B1
KR102137528B1 KR1020187011943A KR20187011943A KR102137528B1 KR 102137528 B1 KR102137528 B1 KR 102137528B1 KR 1020187011943 A KR1020187011943 A KR 1020187011943A KR 20187011943 A KR20187011943 A KR 20187011943A KR 102137528 B1 KR102137528 B1 KR 102137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ntroller
wifi
delete delete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290A (ko
Inventor
젠 뤄
휘 진
송핑 야오
홍유 리
잉웨이 리
홍밍 장
수양 두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61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방법 및 상기 단말기에 따르면,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 및 상기 단말기에 따르면, 제1 안테타와 제2 안테나 중에 작동 상태에 있는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송신 전력이 표준 송신 전력보다 작은 경우, SAR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사용자는 무선 통신 단말기가 가져온 다양한 편리함을 향수하면서,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 방사(electromagnetic radiation)가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점점 더 의식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전자기 방사는 대개 카운터(counter) SAR(Specific Absorption Rate, 비 흡수율)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따라서, SAR을 줄임으로써 전자기 방사의 감소를 구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해당 기술분야에 지식을 가진자는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기의 전자기 방사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통신 품질을 저하시킬 수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과 통신 품질을 보장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동 전화를 예로 들면, 기존의 이동 전화는 기능이 강력하고, 상부 안테나(upper antenna) 및 하부 안테나(lower antenna)와 같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멀티 안테나 시나리오에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이동 전화의 전자기 방사를 감소시키는 것이 해결되어야 할 긴급한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 안테나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고, 또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이동 전화의 전자기 방시를 감소시키 위해,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1 제어기, 제2 제어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는 먼저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중에서,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 다음,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안테나의 사용 상태가 정확하게 식별될 수 있고, 이는 전자기 방사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전자기 방사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낮은 송신 전력은 통신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송신 전력은 무작위로 설정될 수 없고, 적절한 값을 미리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결정되고, 그 대응관계는 안테나 시나리오에 특정한, 적절한 송신 전력 값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 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상기 제2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의 스위칭이 수행된 후에, 무선 통신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송신 전력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을 제어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1 제어기, WiFi 제어기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WiFi 안테나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상기 WiFi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WiFi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1 제어기, 제2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access hotspot)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와 WiFi 안테나가 모두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어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의 스위칭이 수행된 후에,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가 모두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어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어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는 먼저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중에,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 다음,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안테나의 사용 상태가 정확하게 식별될 수 있고, 이는 전자기 방사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전자기 방사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낮은 송신 전력은 통신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송신 전력은 무작위로 설정될 수 없고, 적절한 값을 미리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결정되고, 이 대응관계는 안테나 시나리오에 특정한 적절한 송신 전력 값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어기, WiFi 제어기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WiFi 안테나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상기 WiFi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WiFi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상기 WiFi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WiFi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와 WiFi 안테나가 모두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어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상기 WiFi 제어기 전송하는 단계 -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안테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들에서는,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를 조합하여 사용하여, 사용자가 무선 통신 단말기에 가까이 있는지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머리 가까이에 이동 전화를 들고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미리 설정된 관계에 따라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더욱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에 따르면,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줄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내부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다른 개략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7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7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8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9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실시예 9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전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기는 이동 전화, 태블릿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의 일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동 전화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101∼103), 광 근접 센서(104), 제어기(105) 및 메모리(106)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01)는 보통 하부 안테나 또는 주 안테나(primary antenna)로 지칭된다. 이에 상응하게, 안테나(102)는 보통 상부 안테나(upper antenna) 또는 부 안테나(secondary antenna)로 지칭된다. 안테나(103)는 WiFi 안테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 안테나(101)는 음성 안테나(1011)와 데이터 안테나(1012)로 더 나뉠 수 있다. 이동 전화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어도 음성 통신과 데이터 통신을 포함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안테나(101)는 음성 통신과 데이터 송신에 각각 대응하는 음성 안테나(1011)와 데이터 안테나(1012)로 더 나뉠 수 있다. 상부 안테나(102)도 또한 음성 안테나와 데이터 안테나로 더 나뉠 수 있다. WiFi 안테나(103)의 구조 레이아웃을 고려하면, 상부 안테나(102)는 더 이상 나뉠 수 없다(도 1에서는 추가적인 분할을 제공하지 않는다). WiFi 안테나(103)는 상부 안테나(10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전화가, WiFi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액세스 핫스폿으로서 기능하고,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당업자는 안테나의 레이아웃은 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광 근접 센서(104)는 일반적으로 적외선 거리 측정의 원리를 사용하여 장애물에서 센서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이동 전화에서, 광 근접 센서(104)는 보통 이동 전화에서 머리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기(105)는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 센터이다. 제어기(105)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선로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 전체의 부분들을 연결한다. 제어기(105)는 메모리(1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running or executing)함으로써 그리고 메모리(106)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해 전체적인 모니터링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제어기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기(105)는 두 개의 제어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1051)(AP)와 통신 프로세서(1052)(Modem)로 더 나뉠 수 있다.
메모리(106)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51)는 메모리(1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실행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세스 데이터를 실행한다. 메모리(106)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6)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k storage device), 플래시 메모리 구성요소, 또는 다른 휘발성 고체상태 저장 장치(solid-state storage devic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단말기 구성이 무선 통신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요건에 따라 도 1의 구성을 적절히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일부 구성요소를 삭제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일부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로로 대체할 수 있다.
이동 전화가 일례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동작하는 이동 전화의 내부 아키텍쳐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전화는 통신 제어기(modem), WiFi 칩셋(WiFi chipset) 및 광 근접 센서(optical proximity sensor)를 포함한다.
통신 제어기(modem)는 상부 안테나 또는 하부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통신 제어기(modem)에 코드 또는 모듈이 추가되어, 안테나 스위치 모니터 유닛(antenna switch monitor)을 형성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 모니터 유닛은, 상부 안테나 또는 하부 안테나가 음성 통신 유형, 및 데이터 송신의 수행 여부를 포함하여, 작동 상태에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WiFi 칩셋(WiFi chipset)은 다른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거나, 액세스 핫스폿으로서 기능하거나, WiFi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WiFi 네트워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광 근접 센서(optical proximity sensor)는 적외선 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이동 전화기가 머리에 가까운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전화는 텔레포니 관리기(TelephonyManager), WiFi 관리기(WiFiManager), 센서 관리기(SensorManager) 및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를 더 포함한다.
텔레포니 관리기(TelephonyManager)는 이동 전화의 SIM에 관한 상태 및 정보,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 상태 및 이동 전화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여, 이동 전화 통신과 관련된 상태 및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일련의 획득 방법을 제공한다.
WiFi 관리기(WiFiManager)는 WiFi 접속을 관리하기 위한 대부분의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WiFi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 생성 또는 디스에이블하고, WiFi 네트워크에 관한 동적 정보를 조회(query)하도록 구성된다.
센서 관리기(SensorManager)는 센서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센서의 유형, 센서의 값 등을 획득할 수 있다.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는 통신 제어기(modem) 하향에 연결되고,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자바 라이브러리(Java library) 상향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RILD는 통신 제어기(modem)로부터, 상부 안테나 또는 하부 안테나가 음성 통신 유형 및 데이터 송신이 수행되는지의 여부를 포함하여, 작동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SAR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ar service)의 제어기(controller)로부터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SAR 서비스 애플리케이션(Sar service)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에서 동작하는 기능 모듈일 수 있다. 특히 SAR 서비스 애플리케이션(Sar service)에는 모니터(monitor) 및 제어기(controller)가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monitor)는 텔레포니 관리기(TelephonyManager)에 등록하여, 음성 통신 유형 및 데이터 송신의 실행 여부를 포함하여, 상부 안테나 또는 하부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는, 모니터(monitor)는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에 등록하여,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기(modem)로부터, 음성 통신 유형 및 데이터 송신의 수행 여부를 포함하여, 상부 안테나 또는 하부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는 모니터(monitor)는 WiFi 관리기(WiFiManager)를 사용하여, WiFi 칩셋이 WiFi 네트워크를 확립하는지, 다른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지, 액세스 핫스폿으로 기능하는지, 또는 WiFi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지를 포함하여, WiFi 칩셋(WiFi chipset)의 작동 상태를 알 수 있다.
제어기(controller)는 안테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전화는 안테나의 작동 상태와 안테나의 송신 전력 사이의 대응관계, 예를 들어 진리표를 미리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기(controller)는 모니터(monitor)로부터 안테나의 작동 상태를 획득한 후에, 진리표에 따라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하기 바란다.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 후, 제어기(controller)는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기(modem)에 대응하는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전화는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로부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WiFi 칩셋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WiFi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모니터(monitor)는 센서 관리기(SensorManager)로부터 광 근접 센서(optical proximity sensor)의 트리거 여부를 더 알아 낸다. 이에 상응하게, 제어기(controller)는 추가로, 안테나의 작동 상태 및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도 2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위에서 설명한 SAR 서비스 애플리케이션(Sar service), 텔레포니 관리기(TelephonyManager), WiFi 관리기(WiFiManager), 센서 관리기(SensorManager),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 및 WiFi 제어기는 모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내에서 동작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안드로이드 아키텍처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SAR 서비스 애플리케이션(Sar service)이 추가된다. 또한, 통신 제어기(modem)는 안테나 스위치 모니터 유닛(antenna switch monitor)을 포함한다. 이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안테나의 송신 전력의 제어와 밀접하게 관련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적어도, 이하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단계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 실시예 및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방법이 특정 시퀀스에서 복수의 작업(operation)을 포함하지만, 이들 방법이 더 많거나 적은 작업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들 작업은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실행될 수 있고, 이들 시퀀스 사이에 엄격한 순서는 없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이고, 제2 제어기는 통신 제어기(modem)인 예를 설명을 위해 사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301. 제1 제어기가,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동 전화는 하부 안테나(101)와 상부 안테나(102)를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하부 안테나(101) 또는 상부 안테나(102)가 작동 상태인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획득 방식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는 통신 제어기(modem)로부터 하부 안테나(101) 또는 상부 안테나(102)가 작동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기(modem)의 안테나 스위치 모니터 유닛(antenna switch monitor)은, 모니터링에 의해, 하부 안테나(101) 또는 상부 안테나(102)가 작동 상태인지를 알 수 있다.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는, 예를 들어 하부 안테나(101)가 작동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안 후, RILD는 하부 안테나(101)가 작동 상태에 있다는 정보를 SAR 서비스 애플리케이션(Sar service)의 모니터(monitor)에 전송한다.
물론, 모니터(monitor)는, 예를 들어 하부 안테나(101)가 작동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기 위해, 텔레포니 관리기(TelephonyManager)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기는 작동 상태의 하부 안테나(101)가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 중인지를 결정할 수 있고, 작동 상태의 하부 안테나(101)가 음성 통신중이면, 하부 안테나(101)가 2G/3G 음성 통신 또는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한 4G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든 정보는 통신 제어기(modem) 또는 텔레포니 관리기(TelephonyManager)를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2G/3G 음성 통신 및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4G 음성 통신의 예는 두 가지 음성 통신 유형 사이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고, 후자의 음성 통신 유형은 전자의 음성 통신보다 진보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유사한 경우에도 그러하다.
단계 302.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2 제어기에 전송한다.
안테나의 작동 상태와 안테나의 송신 전력 사이의 대응관계는 이동 전화에, 예를 들어 진리표(true table)에 미리 설정된다. 다음은 미리 설정된 진리표를 보여준다. 대응관계는 다른 형태일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 제공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표 1은 진리표의 일부이다. 제1 열은 상태 시퀀스 번호이고, 제2 열은 안테나 작동 상태이며, 제3 열은 대응하는 안테나의 송신 전력이다. 진리표의 값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8041582250-pct00001
표 1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2G/3G 음성 통신의 예로 사용하고, LTE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LTE TDD(Time Division Duplex)를 4G 음성 통신의 예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은 안테나의 작동 상태와 안테나의 송신 전력 사이의 대응관계을 구체적으로 열거한다. 제어기(controller)는 진리표에 따라 대응하는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안테나(101)는 WCDMA 음성 통신의 작동 상태에 있고, 제어기(controller)는 하부 안테나(101)의 송신 전력이 22.5dBm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송신 전력은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 표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SAR을 감소시키는 요건을 고려한 후에 결정된 적절한 값이라는 것이다, 전술한 송신 전력은 모두 표준 송신 전력보다 작다. 표준 송신 전력은 전자기 방사를 고려하지 않고 획득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이다. SAR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표 1의 송신 전력이 표준 송신 전력보다 작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설정된 송신 전력은 국가에서의 전자기 방사에 대한 요건에 따라 통신 품질과 함께 역의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획득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통신 제어기(modem)에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는 제어기(controller)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을 통신 제어기(modem)에 전송한다.
단계 303. 제2 제어기가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를 제어한다.
통신 제어기(modem)는 RILD에 의해 전송되는 하부 안테나(101)의 송신 전력, 예를 들어 22.5dBm을 수신한 후, 22.5dBm으로 송신을 수행하도록 하부 안테나(1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무선 통신 단말기는 먼저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 중에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 다음,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안테나의 사용 상태가 정확하게 식별될 수 있고, 이는 전자기 방사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대응관계는 안테나 상태에 특정한, 적절한 송신 전력 값을 포함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작동 상태에 있는 안테나에 대해, 안테나가 음성 통신 중인지 또는 데이터 전송 중인지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안테나가 음성 통신 중이면, 음성 통신 유형이 추가로 결정되어, 안테나의 송신 전력이보다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기 방사는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환경이 변화할 때, 상부 안테나 또는 하부 안테나의 작동 상태가 스위칭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 작동 상태의 하부 안테나(101)를 차단하면, 이동 전화는 상부 안테나(102)를 작동 상태로 스위칭한다. 상부 안테나(102)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된 후, 통신 제어기(modem)의 안테나 스위치 모니터 유닛(antenna switch monitor)는, 모니터링에 의해 상부 안테나(102)가 작동 상태로 전환된 것을 알 수 있고, 그 후 상부 안테나(102)가 WCDMA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게 되며, 또한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에 통지한다. RILD Radio Interface Layer Deamon)는, 상부 안테나(102)가 WCDMA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는 정보를 수신한 후에, 그 정보를 모니터(monitor)에 전송한다. 또는, 텔레포니 관리기(TelephonyManager)가 모니터링에 의해, 상부 안테나(102)가 WCDMA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 후 모니터(monitor)에 통지할 수 있다. 모니터(monitor)가 제어기(controller)에, 상부 안테나(102)가 WCDMA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작동 상태를 송신한 후에, 제어기(controller)는 미리 설정된 진리표에 따라, 안테나의 송신 전력이 22dBm이라는 것을 획득할 수 있다. RILD가 상부 안테나(102)의 송신 전력을 획득 한 후, RILD는 통신 제어기(modem)에 22dBm으로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부 안테나(102)를 제어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즉, 도 4로부터, 도 3의 방법에 기초하여, 실시예 1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304. 제1 제어기가,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305.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2 제어기에 전송한다.
단계 306. 제2 제어기가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2 안테나를 제어한다.
단계 304 내지 단계 306의 설명은 단계 301 내지 단계 303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의 스위칭이 수행된 후에,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의 스위칭이 수행된 후에, 통신 제어기(modem)가 제2 안테나의 미리 설정된 송신 전력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을 제어하기 전에, 통신 제어기(modem)는 먼저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표준 송신 전력으로 설정한 다음, 미리 설정된 송신 전력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신 전력 스위칭이 수행되는 경우, 보다 양호한 제어가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방법은 이하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전화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때로 이동 전화를 머리 가까이에 들고 있는 방식으로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때로 이어폰 등의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명백하게, 이동 전화가 머리 가까이에 있는 경우, 머리에의 방사를 감소시키기 위해, 이동 전화의 전자기 방사가 가능한 한 최소일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더욱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면, 이는 이동 전화가 머리에 매우 가까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이동 전화가 머리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표 2를 참조하면,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가 이동 전화에 미리 설정된 진리표에 부가된다. 이에 상응하게,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표 1과 다르다.
[표 2]
Figure 112018041582250-pct00002
표 2에서는, 상부 안테나(102)가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머리 가까이에 이동 전화를 들고 있는 작동 상태(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됨)가 예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을 도입하여, 무선 통신 단말기가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자기 방사는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제어된다.
또한, SAR 서비스 애플리케이션(Sar service)은 이미 시작된 상태이며, 이는 이동 전화의 전력을 비교적 많이 소모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SAR 서비스 애플리케이션(Sar service)을 시작하기 위한 트리거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이동 전화가 안테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하지 않으며, 실시예 1에서의 구체적인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어기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인 예가 설명에 사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501. 제1 제어기가, WiFi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WiFi 안테나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제어기가 상기 WiFi 안테나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제1 제어기가,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제1 제어기가,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를 참조하면, WiFi 관리기(WiFiManager)는 WiFi 칩셋(WiFi chipset)의 작동 상태를 획득한 후에, WiFi 칩셋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monitor)에 전송한다.
단계 502.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WiFi 제어기에 전송한다.
WiFi 안테나의 작동 상태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 사이의 진리표는 이동 전화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모니터(monitor)는 모니터링을 통해 모니터에 의해 획득된 WiFi 안테나의 작동 상태에 따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에 전송한다. 그 후 RILD(Radio Interface Layer Deamon)는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WiFi 제어기에 전송한다.
표 3의 진리표는 WiFi 안테나의 작동 상태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의 대응관계를 보여준다.
[표 3]
Figure 112018041582250-pct00003
단계 503. WiFi 제어기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WiFi 안테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로부터, WiFi의 서비스 유형이 결정되고,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이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어되므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음을 알 수있다.
또한, 유사하게, 이동 전화가 WiFi 안테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동 전화가 사용자의 머리에 가까운지를 판정하기 위해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가 함께 사용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으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구체적인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 제1 제어기가,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제어기가,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들은 결합된다. 예를 들어, 하부 안테나(101)는 작동 상태에 있고, WiFi 칩셋은 WiFi 네트워크를 확립하고 액세스 핫스폿으로서 기능한다.
602.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그 송신 전력을 제2 제어기 및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한다.
표 4의 진리표는 안테나와 대응하는 송신 전력의 대응관계를 보여준다.
[표 4]
Figure 112018041582250-pct00004
Figure 112018041582250-pct00005
603. 제2 제어기 및 WiFi 제어기가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와 WiFi 안테나가 모두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제1 안테나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는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어된다. 따라서, 통신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자기 방사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WiFi가 액세스 핫스폿으로서 기능하는 기간 동안에, 상부 안테나 또는 하부 안테나의 작동 상태가 스위칭되는 경우, 제1 제어기는 추가로, 진리표에 따라, 스위칭 후의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한다. 따라서, 송신 전력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자세한 것은 도 7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음성 통신이 포함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가, 이동 전화가 사용자의 머리에 가까운지를 판정하기 위해 조합하여 추가로 사용될 수 있어, 송신 전력을 더욱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 4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800)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장치, 제어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실시예 1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관련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800)는,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801);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802); 및
획득된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803)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803)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제어기가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결정 모듈(801)은 추가로,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802)은 추가로,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803)은 추가로, 획득된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803)에 의해 획득되는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제어기가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2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결정 모듈(801)은 제1 결정 유닛(8011)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유닛(8011)은,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안테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에 기초하여,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 유닛(8011)은 추가로,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802)은 더 구체적으로,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에 기초하여,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는 광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결정 모듈(801)은 제2 결정 유닛(8012)을 포함한다.
제2 결정 유닛(8012)은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802)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대응관계는,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 유닛(8011)은 추가로,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802)은 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대응관계는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실시예 5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900)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장치, WiFi 제어기,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 장치(900)는 실시예 2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관련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치(900)는,
WiFi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WiFi 안테나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901);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902); 및
획득된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WiFi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903)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902)에 의해 획득된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WiFi 제어기가 WiFi 제어기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WiFi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은 제1 결정 유닛(9011)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유닛(9011)은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902)은 구체적으로, WiFi 음성 통신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901)은 제2 결정 유닛(9012)을 포함한다.
제2 결정 유닛(9012)은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902)은 구체적으로, WiFi 액세스 핫스폿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는 광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결정 모듈(901)은 제3 결정 유닛(9013)을 더 포함한다.
제3 결정 유닛(9013)은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902)은 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대응관계는 WiFi가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실시예 6은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1000)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장치,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한다. 장치(1000)는 실시예 3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관련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1000)는,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모듈(1001);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모듈(1002);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1003); 및
제1 안테나 및 WiFi 안테나의 획득된 송신 전력을 제어기 및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1004)을 포함한다.
획득 모듈(1003)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제어기 및 WiFi 제어기가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 모듈(1001)은 추가로,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03)은 추가로,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송신 전력을 제어기 및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03)에 의해 획득되는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제어기 및 WiFi 제어기가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 모듈(1001)은 제1 결정 유닛(10011)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유닛(10011)은,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안테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03)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대응관계는,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2 대응관계는,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 유닛(10011)은 추가로,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03)은 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3 및 제4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대응관계는,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4 대응관계는,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무선 통신 단말기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 모듈(1001)은 제2 결정 유닛(10012)을 포함한다.
제2 결정 유닛(10012)은,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03)은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5 및 제6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5 대응관계는, 제1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6 대응관계는, 제1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결정 유닛(10012)은 추가로,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03)은 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7 및 제8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7 안테나 대응관계는, 제2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무선 통신 단말이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8 대응관계는, 제2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단말기는 광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장치(1000)는 제3 결정 모듈(1005)을 더 포함한다.
제3 결정 모듈(1005)은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03)은 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9 및 제10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9 대응관계는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10 대응관계는,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결정 유닛(10011)은 추가로, 무선 통신 단말기가 제1 안테나에서 제2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모듈(1003)은 더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11 및 제12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1 대응관계는,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12 대응관계는,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는 각각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각각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대응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및 통신 프로세서(modem)를 포함하고, 이 둘은 비교적 독립적인 방식으로 각각의 기능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가 단 하나의 제어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는 쉽다. 제어기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및 통신 프로세서(modem)에 의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기능들을 통합할 수 있으며, 제어기가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어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한다.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101. 제어기가,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1102.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한다.
단계 1103. 제어기가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를 제어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의 방법에 다음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단계 1104. 제어기가,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1105.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
단계 1106. 제어기가 그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2 안테나를 제어한다.
유사하게, 제어기가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의 작동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어기가, 무선 통신 단말이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어기가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가 추가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어기, WiFi 제어기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한다.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301. 제어기가, WiFi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WiFi 안테나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한다.
단계 1302.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WiFi 제어기에 전송한다.
단계 1302. WiFi 제어기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WiFi 안테나를 제어한다.
유사하게, 제어기가 WiFi 안테나의 서비스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어기가,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또는 제어기가,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가 추가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9]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단말기는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한다. 유사한 내용에 대해서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401. 제어기가,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1402.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한다.
단계 1403. 제어기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WiFi 제어기에 전송하며, 여기서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WiFi 제어기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WiFi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1404. 제어기가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1 안테나를 제어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3의 방법에 다음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단계 1405. 제어기가,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단계 1406.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한다.
단계 1407. 제어기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WiFi 제어기에 전송하며, 여기서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WiFi 제어기가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WiFi 안테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1408. 제어기가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제2 안테나를 제어한다.
유사하게, 이 방법에서,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또는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 중인 경우에 따라 그리고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와 조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광 근접 센서의 트리거 여부가 추가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2]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2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각각 제공하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방법을 각각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0은 제어기,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어기는 실시예 7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7 및 실시예 1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실시예 11은 제어기, WiFi 제어기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어기는 실시예 8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8,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제12 실시예는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어기는 실시예 9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관련 설명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9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참조한다.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또한, 당업자라면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프로세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실시예에서의 방법의 프로세스들이 수행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로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요컨대,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대체, 또는 개선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7)

  1. 제1 제어기, 제2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안테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응관계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대응관계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상기 제2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제3 및 제4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대응관계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4 대응관계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상기 제2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제7 및 제8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7 대응관계는 상기 제2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8 대응관계는 상기 제2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안테나에서 상기 제2 안테나로 스위칭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광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제11 및 제12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대응관계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2 대응관계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은 제1 음성 통신 유형과 제2 음성 통신 유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음성 통신 유형은 상기 제1 음성 통신 유형보다 높은 통신 레벨을 갖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기에 의해 보고되는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WiFi 안테나에 대응하는 표준 WiFi 송신 전력보다 적고;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안테나에 대응하는 표준 안테나 송신 전력보다 적거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안테나에 대응하는 표준 안테나 송신 전력보다 적은, 방법.
  9. 제1 제어기, 제2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WiFi 안테나, 및 광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획득된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추가로,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링되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안테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제9 및 제10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9 대응관계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0 대응관계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추가로,
    상기 제2 안테나가 작동 상태로 스위칭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통신 단말기.
  11. 제1 제어기, 제2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제5 및 제6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대응관계는, 상기 제1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6 대응관계는, 상기 제1 안테나가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 및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12. 제1 제어기, 제2 제어기, WiFi 제어기,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WiFi 안테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고,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에 의해 획득되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제2 제어기 및 상기 WiFi 제어기가 상기 송신 전력을 수신한 후에, 상기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WiFi 안테나를 각각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 안테나를 사용하여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는 광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미리 설정된 제9 및 제10 대응관계에 따라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 및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9 대응관계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0 대응관계는, 상기 제1 안테나의 음성 통신 유형,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가 WiFi 액세스 핫스폿으로 설정되는 경우, 및 상기 광 근접 센서가 트리거되는 경우에 기초하여, 상기 WiFi 안테나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KR1020187011943A 2015-09-29 2015-09-29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 KR102137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91017 WO2017054117A1 (zh) 2015-09-29 2015-09-29 一种控制无线通信终端的发射功率的方法和无线通信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290A KR20180061290A (ko) 2018-06-07
KR102137528B1 true KR102137528B1 (ko) 2020-07-24

Family

ID=5842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943A KR102137528B1 (ko) 2015-09-29 2015-09-29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820280B2 (ko)
EP (3) EP3672103B1 (ko)
JP (1) JP6700403B2 (ko)
KR (1) KR102137528B1 (ko)
CN (2) CN107534475B (ko)
RU (1) RU2681087C1 (ko)
WO (1) WO2017054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2103B1 (en) * 2015-09-29 2021-03-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
US20210135377A1 (en) * 2017-06-13 2021-05-06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terminal
CN109495120B (zh) 2018-12-20 2020-10-16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动态调整sar值方法、装置、移动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US20210337397A1 (en) * 2019-04-30 2021-10-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sel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17620B2 (en) * 2020-07-27 2023-11-1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tenna radiation power and electronic device
WO2022086488A1 (en) * 2020-10-19 2022-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mission power reduction
US11832195B2 (en) * 2021-07-13 2023-11-28 Dell Products L.P. Failsafe handoff between system embedded controller and radio using antenna controller
CN113783634B (zh) * 2021-08-25 2023-06-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调整电磁波比吸收率的方法及装置、介质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0830A1 (en) * 2013-06-13 2014-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dynamic total rf power compensation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946A (en) * 1993-07-15 1998-08-04 Rotzoll; Robert R. Wake up device for a communications system
US6879630B2 (en) * 2000-03-30 2005-04-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Automatic equalization circuit and receiver circuit using the same
US7103344B2 (en) * 2000-06-08 2006-09-05 Menard Raymond J Device with passive receiver
DE60222779T2 (de) 2001-02-14 2008-07-03 Ntt Docomo Inc. Kommunikationsregel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in einem Mobilfunksystem
US7369485B2 (en) * 2002-08-19 2008-05-06 Conexant, Inc. Wireless receiver for sorting packets
US6873606B2 (en) 2002-10-16 2005-03-29 Qualcomm, Incorporated Rate adaptive transmission scheme for MIMO systems
US8320301B2 (en) *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US7106814B2 (en) * 2003-04-30 2006-09-12 Motorola, Inc. Method and wireless device employing a preamble to initiate communications
US7873385B2 (en) * 2006-04-05 2011-01-18 Palm, Inc. Antenna sharing techniques
US8588351B2 (en) * 2007-08-22 2013-11-19 Motorola Mobility Llc Multi-band signal detection
WO2010069357A1 (en) 2008-12-19 2010-06-24 Nokia Corporation Two power control loops for antenna switching transmit diversity
US9287957B2 (en) 2009-04-30 2016-03-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multi-antenna uplink transmission
US8583160B2 (en) * 2009-05-04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755398B2 (en) * 2009-12-09 2014-06-17 Rf Micro Devices, Inc. Multiplexed serial control bus
US8989792B1 (en) * 2010-01-22 2015-03-24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inertial sensors to trigger transmit power management
US9144040B2 (en) * 2010-04-01 2015-09-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antenna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363693B2 (en) * 2010-04-16 2013-01-29 Hitachi, Ltd. Adaptive frequency hopping in time-slotted based wireless network
SG184929A1 (en) * 2010-04-20 2012-11-29 Paratek Microwa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device
US20120021707A1 (en) 2010-07-26 2012-01-2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ment of transmitter power in a system
CN102131274A (zh) 2011-03-11 2011-07-2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通信数据卡及其工作方法
CN102255653B (zh) * 2011-03-29 2014-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光信号控制方法、光信号控制系统和光背板系统
US8948293B2 (en) * 2011-04-20 2015-02-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own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enhancements for single-cell with remote radio heads
CN102761902B (zh) * 2011-04-29 2014-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容量站激活的方法及无线通信装置与系统
EP2533431B1 (en) * 2011-06-10 2014-10-29 Alcatel Lucent Method for receiving uplink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master unit and slave unit thereof
CN102265640B (zh) * 2011-06-21 2014-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光线路传输保护系统和方法
CN102725997B (zh) * 2011-12-09 2016-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交换设备低功耗实现方法及其装置和数据交换设备
CN103179653B (zh) * 2011-12-22 2019-06-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天线发射功率的方法及装置、移动终端
CN102595571B (zh) 2012-02-01 2015-07-0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及其功率调整方法
US9287953B2 (en) 2012-05-21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ntenna selection
US9020447B2 (en) * 2012-05-24 2015-04-2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king a change to an antenna element based on a power level of a transmission power amplifier
JP5662380B2 (ja) 2012-06-08 2015-01-2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無線端末装置のアンテナ出力を制御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
DE102012211368A1 (de) * 2012-06-29 2014-01-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Fahrzeugs mit einem Fahrassistenzsystem
TWI482443B (zh) * 2012-07-18 2015-04-21 Wistron Corp 通訊系統及其控制電路
US9402261B2 (en) 2012-08-14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plink data signals simultaneously with device to device data signals
US8995594B2 (en) * 2012-08-22 2015-03-31 Intel Corporation Baseband cancellation of platform radio interference
WO2014078552A1 (en) * 2012-11-14 2014-05-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ation and reconfiguration in a wireless network
CN104126324B (zh) * 2013-02-08 2018-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接入点控制方法及相关设备、系统
US20140273884A1 (en) 2013-03-13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Wlan diversity/mimo using shared antenna
CN103249133B (zh) 2013-03-29 2016-12-2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控制长期演进网络天线功率的方法及其移动终端
CN104184504B (zh) * 2013-05-27 2019-0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毫米波通信空间复用传输方法及毫米波通信设备
US20140362744A1 (en) 2013-06-11 2014-12-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by time division duplexing (tdd) devices using multiple antennas
US9325369B2 (en) * 2013-09-04 2016-04-26 Binatone Electronics International Ltd Methods and device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with FHSS signals
CN104469818B (zh) * 2013-09-18 2018-11-13 华为终端有限公司 避免信道干扰的电路、方法以及相关装置
US9287954B2 (en) * 2013-09-30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 antenna switching
CN104661290A (zh) 2013-11-19 2015-05-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功率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04717726A (zh) 2013-12-17 2015-06-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US20150208345A1 (en) * 2014-01-17 2015-07-23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power consumption at a transceiver
CN104812102A (zh) 2014-01-25 2015-07-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无线通信装置
KR20150128346A (ko) *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전자장치에서 자동 링크 변경 방법 및 장치
CN105491641B (zh) * 2014-09-19 2020-02-0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发现信号的传输方法、小区发现的方法及装置
US9490885B1 (en) * 2015-05-01 2016-11-08 Amazon Technologies, Inc. Proximity sensor and antenna system arrangement for metal housing
US10285114B2 (en) * 2015-07-29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broadcasting service discovery information
EP3672103B1 (en) * 2015-09-29 2021-03-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of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s terminal
KR102079539B1 (ko) * 2015-12-31 2020-02-2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12976B2 (en) * 2017-11-03 2019-06-04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configurations for transceiving up to ten data streams via four antennas
US10420023B2 (en) * 2018-01-10 2019-09-17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antenna front end controller integration
CN111034162A (zh) * 2018-04-20 2020-04-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电磁辐射比吸收率的方法及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0830A1 (en) * 2013-06-13 2014-12-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dynamic total rf power compen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9370B1 (en) 2019-12-04
JP6700403B2 (ja) 2020-05-27
WO2017054117A1 (zh) 2017-04-06
US20200178181A1 (en) 2020-06-04
CN112867122A (zh) 2021-05-28
EP3911038A1 (en) 2021-11-17
CN107534475B (zh) 2021-01-05
US10820280B2 (en) 2020-10-27
EP3349370A4 (en) 2018-09-12
RU2681087C1 (ru) 2019-03-04
US11265820B2 (en) 2022-03-01
CN112867122B (zh) 2024-04-16
JP2018533893A (ja) 2018-11-15
US20180288710A1 (en) 2018-10-04
KR20180061290A (ko) 2018-06-07
CN107534475A (zh) 2018-01-02
EP3672103A1 (en) 2020-06-24
EP3349370A1 (en) 2018-07-18
EP3672103B1 (en) 2021-03-10
EP3911038B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528B1 (ko) 무선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기
CN112119649B (zh) 接收信号的方法和终端设备
US9467936B2 (en) Multimode terminal and service implementation method for multimode terminal
US9661674B2 (en) Dual-SIM network selection techniques
US10932116B2 (en) Wireless fidelity network scanning method and mobile device
US20130223335A1 (en) Multi-mod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 thereof
WO2016131263A1 (zh) 终端通讯方法、装置及射频收发装置
CN111866976B (zh) 网络切换方法及装置
US202202795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and storage medium
KR20230048529A (ko) 네트워크 선택 방법, 정보 송신 방법,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CN115038097A (zh) 间隙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066290A1 (zh) Uai发送方法、接收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5968028A (zh) 定位方法的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20240016413A (ko) 핸드오버 성공 보고(shr)의 생성 방법, 장치, 단말 및 매체
CN115474255A (zh) 基于旁链路的中继服务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6456385A (zh) 干扰辅助信息的上报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20230145201A (ko) 통신 방식 결정 방법, 장치 및 관련 기기
CN116155463A (zh) Gap窗口的配置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5314175A (zh) 带宽部分处理方法、装置及终端
WO2013111558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ならびに無線通信方法
WO2015109704A1 (zh) 终端射频干扰处理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