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887A -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887A
KR20060034887A KR1020040083904A KR20040083904A KR20060034887A KR 20060034887 A KR20060034887 A KR 20060034887A KR 1020040083904 A KR1020040083904 A KR 1020040083904A KR 20040083904 A KR20040083904 A KR 20040083904A KR 20060034887 A KR20060034887 A KR 2006003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ssage
data service
voice cal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797B1 (ko
Inventor
윤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97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06Call di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하는 도중에 제3자로부터 음성호가 착신될 때 이를 다른 전화번호로 착신전환 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교환시스템으로 보내고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한다.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형태나 서비스 리퀘스트 메시지 형태 또는 별도의 새로운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를 미리 교환시스템에 등록해놓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하고 있는 도중에 음성호가 착신되는 경우에, 음성호를 수신하면서도 진행중이던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
데이터서비스, 착신전환, 음성호, 단문메시지, 이동통신, 전화번호, 등록

Description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call during data service call}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방법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의 음성호 수신 절차를 보여주는 흐름도 및 화면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의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및 화면예이다.
도 4는 데이터서비스 통화 도중에 착신전환을 하는 경우의 교환시스템과 각 단말 사이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하는 도중에 제3자로부터 음성호가 착신될 때 이를 다른 전화번호로 착신전환 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의 대역폭이 증대됨에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업로드 하는 등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이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동안에도 다른 사람들로부터 중요한 전화가 걸려올 수 있다. 이러한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인 단말기로 음성호가 수신되면 교환시스템에서 해당 단말기로 단문메시지를 보내서 음성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통지하고 있다.
이를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서비스 통화 도중에 음성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교환시스템으로부터 단문메시지가 수신된다(S101). 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메시지를 해석하여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도 1b와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103). 이를 확인한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는 해당 음성호를 받을 것인지를 결정하여 음성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거부할 수 있다(S105).
사용자가 음성호를 수신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진행중이던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도먼트(dormant) 상태로 보내고 단말기의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음성호를 수신하기로 하였다는 사실을 단문메시지로 교환시스템에 통지하면 교환시스템에서는 해당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가 된 후에 다시 음성호 착신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에게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기가 음성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107). 한편, 사용자가 음성호를 무시하고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실을 단문메시지로 교환시스템에 통지하고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하게 된다(S109).
종래에는 이상과 같은 절차를 거쳐서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에 음성호가 왔을 때 이를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음성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진행중이던 데이터 서비스를 도먼트 상태로 보내야 하므로 음성호를 종료한 후에 다시 데이터 서비스를 재개시켜야 하고, 또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업로드 하던 경우에는 다운로드나 업로드를 다시 처음부터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하고 있는 도중에 음성호가 착신되는 경우에, 음성호를 수신하면서도 진행중이던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하는 도중에 음성호가 착신되면 이를 수신하고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종료하거나, 음성호를 거부하고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하거나, 또는 음성호를 착신전화시켜서 다른 전화기에서 음성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서비스를 계속하는 방법 중의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데이터 서비스 통화 도중에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교환시스템으로 보내는 단계; (c)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가 도착하면 자동으로 보낼 수도 있으며, 또는 음성호 수신, 착신전환, 음성호 거부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착신전환을 선택하면 보내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음성호 수신을 선택하면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도먼트(dormant) 상태로 보내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보냄으로써 교환시스템에서 다시 음성 착신호를 보내어 음성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호 거부를 선택하면 음성호 거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교환시스템으로 보내고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하게 된다.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형태로 수신되며, 이 경우에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도 단문메시지 형태로 송신할 수 있다.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단문메시지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는 서비스 코넥트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 형태로 수신되고,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서비스 리퀘스 트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 형태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서비스 리퀘스트 메시지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단계 (b)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를 미리 교환시스템에 등록해놓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환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 중인 단말기로 음성호 통화 요청이 오면 해당 단말기로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로부터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해당 음성호를 착신전환한다.
이때,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와,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단문메시지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는 서비스 코넥트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 형태로 송신되며,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서비스 리퀘스트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리퀘스 메시지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는 각 단말기에 대해서 교환시스템에 미리 저장하여 두고, 착신전환 요청이 오면 착신전환 요청을 한 단말기에 대해서 저장된 전화번호로 착신전환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 기지국(120) 및 교환시스템(200)을 거쳐서 게이트웨이(220)를 통해 인터넷 등의 데이터망(D)을 통해 콘텐츠 서버(500) 등에 연결되어 데이터서비스 통화를 하게 된다. 이때, 기지국(230)을 통해 연결되는 다른 이동통신단말기(300) 또는 유선전화망(P)에 연결되어 있는 일반전화기(400)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화를 걸게 되면, 교환시스템(200)은 이 사실을 단문메시지나 서비스 코넥트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 형태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통지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해당 음성호를 다른 이동통신전화기나 유선전화기로 착신전환을 요청하게 된다.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전화기의 전화번호 또는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는 미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착신전환을 요청할 때 사용자가 입력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미리 교환시스템(200)에 등록해놓은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서비스 통화 도중에 착신되는 음성호를 착신전환하는 절차에 대해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의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및 화면예이다.
데이터 서비스 통화 도중에 음성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교환시스템으로부터 이를 알리는 메시지가 수신된다(S301). 이러한 메시지로는 단문메시지나 서비스 코 넥트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음성호 착신을 알리는 별도의 메시지를 신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메시지를 해석하여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도 3b와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303). 이를 확인한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는 해당 음성호를 받을 것인지, 다른 전화번호로 착신전환할 것인지, 또는 음성호를 거부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음성호를 수신하거나 착신전환하거나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는 도 3b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바로 착신전환을 요청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음성호를 수신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진행중이던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도먼트(dormant) 상태로 보내고 단말기의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음성호를 수신하기로 하였다는 사실을 교환시스템에 통지한다. 그러면, 교환시스템에서는 해당 단말기가 아이들 상태가 된 후에 다시 음성호 착신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에게 전송함으로써 해당 단말기가 음성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307).
사용자가 착신전환을 하기로 결정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음성호 전환을 요청하고 데이터서비스 통화를 계속하게 된다(S311).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는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교환시스템에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착신전환을 요청하면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착신전환 대상 전 화번호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가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음성호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해당 전화번호를 포함시켜서 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호를 무시하고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실을 교환시스템에 통지하고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하게 된다(S309).
위의 3가지 경우에 교환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로는 단문메시지나 서비스 리퀘스트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해서 전용의 메시지를 신설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서비스 통화 도중에 착신전환을 하는 경우의 교환시스템과 각 단말 사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서비스 통화중인 이동통신단말기(100)로 다른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유선전화기 등의 발신단말기가 발신을 하면(S401), 교환시스템(200)은 음성호가 착신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S403). 전술한 것처럼, 이러한 메시지로는 단문메시지나 서비스 코넥트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 또는 본 발명의 절차를 위해 신설된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음성호가 착신됨을 알리는 도 3b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착신전환을 선택하면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교환시스템에 전송하게 된다(S405). 또는 설정에 따라서는 데이터 서 비스 통화 도중에 음성호 착신을 알리는 메시지가 도착하면 자동으로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교환시스템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것처럼, 이러한 메시지로는 단문메시지나 서비스 리퀘스트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를 사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위해서 전용의 메시지를 신설할 수도 있다.
한편,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기의 전화번호는 미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착신전환을 요청할 때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이 전화번호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교환시스템(200)에 전송되게 된다. 또는, 착신전환 대상 전화번호를 미리 교환시스템(200)에 등록해 놓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에 착신전환 대상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교환시스템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착신전환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착신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교환시스템(200)은 착신전환 대상 전화번호로 착신 신호를 보낸다(S407). 착신 신호를 받은 착신전환 대상 전화기가 응답하면(S409), 교환시스템(200)은 발신단말기와 착신전환 대상 전화기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함으로써(S413), 발신단말기로부터의 음성호에 대해서 착신전환 대상 전화기로의 착신전환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서비스 통화중인 단말기의 사용자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종료하거나 중지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전화기로 음성호를 전환시켜서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중요하지 않는 음성호에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또는 데이터서비스 통화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서비스 통화를 일시 중지하고 음성호를 받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a) 데이터 서비스 통화 도중에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교환시스템으로 보내는 단계;
    (c)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계속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는
    (b-1) 음성호 수신, 착신전환, 음성호 거부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b-2) 사용자가 착신전환을 선택하면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교환시스템으로 보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b-3) 사용자가 음성호 수신을 선택하면 데이터 서비스 통화를 도먼트(dormant) 상태로 보내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보내는 단 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b-4) 사용자가 음성호 거부를 선택하면 음성호 거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교환시스템으로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형태로 수신되며,
    단계 (b)에서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형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의 단문메시지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는 서비스 코넥트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 형태로 수신되며,
    단계 (b)에서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서비스 리퀘스트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 형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의 메시지에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착신전환의 대상이 되는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11. (a) 데이터 서비스 통화 중인 단말기로 음성호 통화 요청이 오면 교환시스템은 상기 단말기로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단말기로부터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지정된 전화번호로 해당 음성호를 착신전환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형태로 송신되며,
    단계 (b)에서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단문메시지 형태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의 단문메시지에는 상기 지정된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음성호 수신을 알리는 메시지는 서비스 코넥트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 형태로 송신되며,
    단계 (b)에서 착신전환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서비스 리퀘스트 메시지 (Service Request Message) 형태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b)에서의 메시지에는 상기 지정된 전화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전화번호는 상기 단말기에 대해서 교환시스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KR1020040083904A 2004-10-20 2004-10-20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KR10070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04A KR100709797B1 (ko) 2004-10-20 2004-10-20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904A KR100709797B1 (ko) 2004-10-20 2004-10-20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887A true KR20060034887A (ko) 2006-04-26
KR100709797B1 KR100709797B1 (ko) 2007-04-23

Family

ID=3714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904A KR100709797B1 (ko) 2004-10-20 2004-10-20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97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070B1 (ko) * 2005-01-26 2006-11-10 박종도 전화비서 서비스 시스템
KR100830823B1 (ko) * 2006-07-25 2008-05-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20120012886A (ko) * 2010-08-03 2012-02-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50B1 (ko) * 2000-10-14 2003-11-1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 수신되는 음성 호에 대해선택적으로 통화 연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30881B1 (ko) * 2000-10-20 2007-06-20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번호서비스에서 착신자표시 서비스 방법
KR100488353B1 (ko) * 2001-12-27 2005-05-10 주식회사 케이티 전화망의 사용자 터미널의 데이터통신 중에음성호출신호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30077729A (ko) * 2002-03-26 2003-10-04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중 호 대기 서비스장치 및방법
KR20040087550A (ko) * 2003-04-08 200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음성 호 수신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070B1 (ko) * 2005-01-26 2006-11-10 박종도 전화비서 서비스 시스템
KR100830823B1 (ko) * 2006-07-25 2008-05-20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sms를 이용한 실시간 착신전환방법
KR20120012886A (ko) * 2010-08-03 2012-02-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797B1 (ko) 200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985B1 (ko) 얼리 세션을 이용한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얼리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19111B1 (ko)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EP0954156A2 (en) Conference call
US7813748B2 (en) Group communications switching method, subscriber terminal and server used for the method
US11596014B2 (en) Multimode base station and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54581B1 (ko)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P2012213049A (ja) 電話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転送制御方法
EP198129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s talking method, and program software
KR200100264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정보 등록 및 서비스방법
US8107948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management server,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2007300243A (ja) グループ通話通知方法及び移動局
KR100709797B1 (ko) 데이터 서비스 통화중 음성호 착신전환 방법
JP4463313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移動通信交換装置、加入者情報管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2014032956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connecting calls with quality problems or reconnecting dropped calls
KR2010002015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6340204A (ja) テレビ電話通信端末
KR20060010071A (ko) 음성통화 중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5555B1 (ko) 통화채널을 이용한 수신자 정보 데이터 전달 방법
KR20050014110A (ko) Mm3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유니크를 보장하는mms 시스템 및 방법
KR101475283B1 (ko) 이동통신에서의 번호 변경 안내 장치 및 방법
JP2008301198A (ja) 着信制御通信システム、その加入者プロファイル保持装置、呼制御装置、および着信制御方法
JP2010141811A (ja) 通信装置、移動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10057008A (ja)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通信方法、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27717B1 (ko) Wcdma 이동통신에서의 동영상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EP1677507B1 (en) System, a subscriber terminal and a computer program for call establishment via a dat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