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552A -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552A
KR20060034552A KR1020040083717A KR20040083717A KR20060034552A KR 20060034552 A KR20060034552 A KR 20060034552A KR 1020040083717 A KR1020040083717 A KR 1020040083717A KR 20040083717 A KR20040083717 A KR 20040083717A KR 20060034552 A KR20060034552 A KR 20060034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imensional input
receiving groove
game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1175B1 (ko
Inventor
김경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11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용홈이 구비되는 홀더와; 사각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의 적어도 XY평면, XZ평면, YZ평면에 거리 센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거리 센서부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의 수용홈에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3차원 입력기와; 상기 3차원 입력기를 홀더에서 개폐시켜 개,폐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거리 센서가 내측의 적어도 3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3차원 입력기를 홀더의 수용홈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게임을 할 때에 3차원 입력기를 홀더의 수용홈으로부터 돌출시켜 사용하고 게임 후에는 홀더의 수용홈에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한 것이므로 각종 동적 이미지 게임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3차원 입력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THREE DIMENSION IN PUT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용 3차원 게임 제어기의 외형 예시도.
도 2는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용 3차원 게임 제어기를 이용한 이미지 게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의 개폐부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의 개폐부 확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201, 301 거리 센서부 800 : 홀더
801 : 삽입공 802 : 걸림홈
810 : 수용홈 820 : 3차원 입력기
821 : 삽입홈 900 : 개폐부
910 : 걸림구 911,921,930 : 스프링
912,922 : 스토퍼 920 : 누름구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리 센서가 내측의 적어도 3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3차원 입력기를 홀더의 수용홈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각종 동적 이미지 게임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3차원 입력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한 기능으로 생각되는 것은, 통화 기능보다는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부가 기능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도 단말기에서 수행 가능한 부가 기능의 개발에 많은 연구와 투자를 하고 있다.
예컨대, 단말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결합하거나 MP3 재생 기능을 부가하고, 최근에는 모바일 뱅킹 기능까지 부가하여 단말기를 통해 수표 조회나 송금까지 가능하게 되었으며, 네비게이션 기능까지 부가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더 이상 추가할 새로운 부가 기능을 찾을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 관련 업계에서는 기존에 부가된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대신 좀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부가 기능으로 게임 기능이 있는데, 기존에 컴퓨터나 오락실에서 이용하던 게임들을 단말기용으로 변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들을 모바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들간 순위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최근의 게임이 네트워크 기능을 부가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그러한 게임들 역시 기존에 단말기에 내장된 퍼즐이나 카드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정적인 게임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경주나 스포츠, 전투와 같은 역동적인 게임의 경우에도 그 조작은 버튼을 눌러 수행되는 2차원적인 조작 방식이었다.
즉, 화려한 3차원 그래픽에 비해서 버튼 입력에 의한 2차원적인 조작 방식으로 3차원 게임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버튼을 할당해야만 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전/후/좌/우/상/하 제어를 위한 버튼을 할당해야 하며, 컴퓨터에서와 같이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게임을 한다고 하더라도, 조이스틱에 의해서는 전/후/좌/우 방향의 2차원 제어만 가능할 뿐, 상/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버튼을 추가로 할당하여 양손을 모두 이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버튼 입력에 의한 조작으로는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리 센서를 3축의 격자 구조 어레이로 배열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인식장치를 구성하고, 그 인식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적 이미지 게임이 가 능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3차원 게임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게임 장치를 창출하여 특허출원 제 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1은 선출원한 이동 통신 단말기용 3차원 게임 제어기의 개략적인 외형을 보인 예시도로서, 거리 센서를 각기 일정한 간격의 격자형 구조로 배열하고, 그 거리 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의 조합에 의해, 사물의 모양 및 움직임을 2차원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평판 세 개를, 각기 X,Y,Z 의 3축 중 2축(X-Z, X-Y, Y-Z)에 접하도록 삼면을 형성하고, 그 삼면 내부에 있는 사물의 모양 및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각 평판에 배열되는 거리 센서의 간격은 좁게 할수록 더 정확히 사물의 모양을 인식할 수 있지만, 그 만큼 거리 센서가 많이 소요되고 검출 회로가 복잡해질 뿐 아니라, 빠른 신호 처리를 요구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 인식 장치를 이용할 장치(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전용 게임기 등)를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평판(이하, 거리 인식 평판이라 칭함)의 크기와 모양은 반드시 사각형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각 거리 인식 평판들을 여러 가지 형태의 일체형으로 구성하거나, 각 거리 인식 평판들을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도2는 선출원한 이동 통신 단말기용 3차원 게임 제어기를 이용한 이미지 게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각 거리 인식 평판(100 ~ 300)은 다수의 거리 센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거리 센서부(101, 201, 301)와, 상기 거리 센서부 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처리하여 그 평판 위에 있는 사물의 모양 및 움직임을 2차원적으로 형상화하여 출력하는 거리 신호 처리부(102, 202, 302)와, 상기 각 거리 인식 평판의 거리 인식 처리부로부터 처리된 신호를 조합하여 사물의 모양 및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형상화하여 출력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부(400)와, 상기 3차원 이미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700)에서 탐색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탐색부(500)와, 상기 이미지 탐색부를 통해 탐색된 이미지의 데이터 값을 연결된 소정의 장치(이동 통신 단말기, 전용 게임기, 컴퓨터 등)로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6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거리 센서부 및 거리 신호 처리부, 3차원 이미지 생성부, 데이터 통신부로 이루어진 장치가 3차원 게임기가 되며, 그 3차원 게임기와 결합되는 이미지 탐색부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미지 게임 장치가 구성되는데, 그 구성 전체를 상기 3차원 게임기에 내장하거나 연결되는 장치(이동 통신 단말기, 전용 게임기, 컴퓨터 등)에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탐색부(500)는 공간적으로 인식된 사물의 모양과, 기저장된 사물의 모양을 비교하는 비교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통신부(600)는 적어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전용 게임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포트(RS-232, USB)를 구비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형태에 따라 직렬 방식이나 USB 방식으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데이터 변환 프로토콜(Serial, Parallel, USB 등)을 구비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게임 방법에 대한 동 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3차원 이미지 게임의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가위, 바위, 보(묵,찌,빠) 게임이 있고, 단말기의 화면에 임의의 손 모양을 디스플레이 한 후 사용자가 3차원 게임기를 통해 동일한 손 모양을 만드는 게임이나, 3차원 테트리스의 블록 회전 및 삽입을 사용자가 직접 블록을 잡고 수행하는 느낌이 들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가위, 바위, 보' 게임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는 도1에 도시된 3차원 게임기 내부에 손을 넣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지시어(가위, 바위, 보)의 타이밍에 맞추어 세 가지 모양 중 한가지 모양을 만든다.
상기 사용자가 만든 손 모양은 3차원 이미지 생성부(400)를 통해 3차원 이미지로 형상화되고, 그 손 모양과 동일한 형상을 이미지 데이터베이스(700)에서 탐색하여 해당 이미지의 데이터 값을 일정 주기로 단말기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는 상기 게임 타이밍에 맞추어 입력된 손 모양을, 게임 프로그램에서 출력한 손 모양(가위, 바위, 보 모양)과 비교하여, 게임의 승패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단말기의 화면이나 음성, 사운드, 진동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상기와 같이 선출원 발명은 기존의 단말기(컴퓨터)와의 게임 시, 각각의 상황에 대해 버튼을 지정하여 수행해야만 했던 게임을, 실제 사람과 사람이 게임을 하듯이 보다 현실적이고 실감나는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3차원 게임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게임 장치는 거리 센서를 3축의 격자 구조 어레이로 배열하여 3차원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인식장치를 구성하고, 그 인식장치 내에 있는 사용자의 손동작이나 모양을 인식하여 가위, 바위, 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동적 이미지 게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3차원 게임의 창출로 인하여 관련 업계의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거리 센서가 내측의 적어도 3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3차원 입력기를 홀더의 수용홈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각종 동적 이미지 게임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3차원 입력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는 수용홈이 구비되는 홀더와; 사각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의 적어도 XY평면, XZ평면, YZ평면에 거리 센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거리 센서부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의 수용홈에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3차원 입력기와; 상기 3차원 입력기를 홀더에서 개폐시켜 개,폐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의 개폐부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의 개폐부 확대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홈(810)이 구비되는 홀더(800)와; 사각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의 적어도 XY평면, XZ평면, YZ평면에 거리 센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거리 센서부(101, 201, 301)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800)의 수용홈(810)에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3차원 입력기(820)와; 상기 3차원 입력기(820)를 홀더(800)에서 개폐시켜 개,폐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개폐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3차원 입력기(820)의 거리 센서부(101, 201, 301)가 설치된 각 평판은 상술한 거리 인식 평판(100 ~ 300)과 같이 상기 거리 센서부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처리하여 그 평판 위에 있는 사물의 모양 및 움직임을 형상화하여 출력하는 거리 신호 처리부(102, 202, 3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거리 센서부(101, 201, 301)만 설치되고, 거리 신호 처리부(102, 202, 302)는 홀더(800)의 내측에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900)는 홀더(800)의 수용홈(810)에 3차원 입력기(820)를 위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930)이 결합되어 있으며, 3차원 입력기(820)의 주벽에 형성된 삽입홈(821)에 걸림구(910)가 스프링(911)을 개재하여 스토퍼(912)로 고정되고, 상기 홀더(800)의 주벽에 형성된 삽입공(801)에는 누름구(920)가 스프링(921)를 개재하여 스토퍼(922)로 고정되며, 상기 걸림구(910)가 상기 홀더(800) 주벽의 삽입공(801)과 수용홈(810)의 내주면 상측부에 형성된 걸림홈(802)에 선택적으로 걸리 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는 예를 들어 손을 이용한 각종 게임이나, 3차원 테트리스 게임 등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3 및 도 5의 상태에서 홀더(800)의 누름구(920)를 누르면 3차원 입력기(820)에 구비된 걸림구(910)가 홀더(800)의 삽입공(801)에서 빠지면서 3차원 입력기(820)가 도 4 및 도 6과 같이 스프링(830)의 복원탄력에 의해 위로 돌출되고 3차원 입력기(820)의 걸림구(910)가 홀더(800)의 상측 걸림홈(802)에 걸려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3차원 입력기(820)가 돌출된 상태에서 위에 설명한 선출원과 같은 방법으로 각종 게임을 행한 후에는 3차원 입력기(820)를 아래로 눌러 도 3 및 도 5와 같이 홀더(800)의 수용홈(810)으로 삽입시키면 3차원 입력기(820)에 구비된 걸림구(910)가 홀더(800)의 삽입공(801)에 걸려 삽입위치에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는 거리 센서가 내측의 적어도 3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3차원 입력기를 홀더의 수용홈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하여 게임을 할 때에 3차원 입력기를 홀더의 수용홈으로부터 돌출시켜 사용하고 게임 후에는 홀더의 수용홈에 삽입하여 보관하도록 한 것이므로 각종 동적 이미지 게임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3차원 입력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수용홈(810)이 구비되는 홀더(800)와; 사각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면의 적어도 XY평면, XZ평면, YZ평면에 거리 센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거리 센서부(101, 201, 301)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800)의 수용홈(810)에 슬라이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3차원 입력기(820)와; 상기 3차원 입력기(820)를 상기 홀더(800)에서 개폐시켜 개,폐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개폐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900)는 상기 홀더(800)의 수용홈(810)에 상기 3차원 입력기(820)를 위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930)이 결합되며, 상기 3차원 입력기(820)의 주벽에 형성된 삽입홈(821)에 걸림구(910)가 스프링(911)을 개재하여 스토퍼(912)로 고정되고, 상기 홀더(800)의 주벽에 형성된 삽입공(801)에는 누름구(920)가 스프링(921)를 개재하여 스토퍼(922)로 고정되며, 상기 걸림구(910)가 상기 홀더(800) 주벽의 삽입공(801)과 수용홈(810)의 내주면 상측부에 형성된 걸림홈(802)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KR1020040083717A 2004-10-19 2004-10-19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KR10064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717A KR100641175B1 (ko) 2004-10-19 2004-10-19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717A KR100641175B1 (ko) 2004-10-19 2004-10-19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552A true KR20060034552A (ko) 2006-04-24
KR100641175B1 KR100641175B1 (ko) 2006-11-02

Family

ID=3714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717A KR100641175B1 (ko) 2004-10-19 2004-10-19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11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203B1 (ko) * 1997-08-01 2000-10-16 민남홍 인터랙티브 게임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게임방법
KR20010091815A (ko) * 2000-03-18 2001-10-23 조영선 게임기를 내장한 이동전화장치
KR200289497Y1 (ko) * 2002-06-21 2002-09-16 고광혁 휴대폰 안테나 겸용 조이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1175B1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298B2 (en) Boolean/float controller and gesture recognition system
US7934995B2 (en) Game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149718B2 (en)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and game apparatus
CN108700940A (zh) 体量虚拟现实键盘方法、用户接口和交互
CN105517641B (zh) 存储介质、游戏系统以及游戏控制方法
JP4895352B2 (ja) 対象選択プログラム、対象選択装置、対象選択システム、および対象選択方法
JP4863435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EP2161690A1 (e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8851986B2 (en) Game program and game apparatus
CN106061569A (zh) 游戏控制装置、游戏系统、程序及信息存储介质
EP3593406B1 (en) Interactive digital platform device and method
JP5988549B2 (ja) 位置算出システム、位置算出装置、位置算出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算出方法
JP523012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848520B2 (ja) 音楽演奏プログラム、音楽演奏装置、音楽演奏システム、および音楽演奏方法
JP6355081B2 (ja) 情報処理装置
US20100248839A1 (en) Wirelessly distributed electronic circle gaming
KR20060034552A (ko) 이동단말기의 3차원 입력장치
KR10055693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3차원 게임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이미지 게임 장치
KR100556930B1 (ko) 3차원 사물 인식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장치
KR100631616B1 (ko) 3차원 위치정보 입력장치
US20140035815A1 (en) 3d pointing device
JP201815667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CN117919685A (zh) 基于按键和姿态的体感游戏操作方法
JP200819171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CN108464009A (zh) 音频装置、用于音频装置的驱动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