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255A -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255A
KR20060034255A KR1020060020799A KR20060020799A KR20060034255A KR 20060034255 A KR20060034255 A KR 20060034255A KR 1020060020799 A KR1020060020799 A KR 1020060020799A KR 20060020799 A KR20060020799 A KR 20060020799A KR 20060034255 A KR20060034255 A KR 20060034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battery
data communication
station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499B1 (ko
Inventor
김양기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4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의 배터리 잔량 값을 체크함과 아울러, 상기 체크된 배터리 잔량 값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결정하거나, 또는 절전 모드 주기를 결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억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한 후, 상기 결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절전 모드 주기로 가변 설정함으로써, 무선 랜 사용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전원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억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통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무선 랜 카드, 휴대용 컴퓨터, 배터리 잔량, 전송 속도 정보, 절전 주기 정보, 비콘 프레임, 프로브 리퀴스트 프레임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BSS 망 내에 다수의 스테이션들이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일반적인 ESS 망 내에 다수의 스테이션들과 억세스 포인트들이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스테이션과 억세스 포인트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전송 속도 정보가 부가 기록된 비콘 프레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전송 속도 정보가 부가 기록된 프로브 리퀴스트 프레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가변 설정되는 절전 모드 주기 및 그에 상응하는 절전 주기 정보가 부가 기록된 비콘 프레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씨피유 11 :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2 : 브리지 칩 세트 13 : 메인 메모리
14 : 롬 15 : 랜 컨트롤러
16 : 엠비디드 컨트롤러 17 : 배터리
20 : 무선 랜 카드 30 : 억세스 포인트
200 : STA 맥 컨트롤러 201,301 : FEC
202,302 : OFDM 203,303 : RF 프론트 엔드
300 : AP 맥 컨트롤러 304 : AP 컨트롤러
305 : 브리지 칩 세트 306 : 이더넷 드라이버
본 발명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 접속된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에 따라, 억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통신을 적절하게 가변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컴퓨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는, 씨피유(CPU)(1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Display Controller)(11), 브리지 칩 세트(Bridge Chipset)(12), 메인 메모리(Main Memory)(13), 롬(ROM)(14), 랜 컨트롤러(LAN Controller)(15), 엠비디드 컨트롤러(Embeded Controller)(16), 그리고 배터리(17) 등이 포함 구성된다.
한편, 상기 씨피유(10)와 브리지 칩 세트(12)는, HOST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 칩 세트(11),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2), 그리고 메인 메모리(13)는, AGP 버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롬(14), 랜 컨트롤러(15), 그리고 엠비디드 컨트롤러(16)는, System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비디드 컨트롤러(15)와 배터리(17)는, SM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엠비디드 컨트롤러(15)에서는, 상기 배터리(17)의 잔량 값을 체크하게 되며, 상기 랜 컨트롤러(15)에서는, 예를 들어 PCMCIA 카드와 같은 무선 랜 카드(20) 와 연결되어, 무선 랜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 접속된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STA: Station)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BSS(Basic Service Set) 망 내에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게 되는 데, 상기 스테이션들은, 사전에 정의된 프로브 리퀴스트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BSS 망들(BSS1, BSS2)은, 억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의해 DS(Distribution System) 망과 연결되어, ESS (Extended Service Set) 망을 구성하게 되는 데, 상기 억세스 포인트(AP)와 스테이션(STA)간에는, 사전에 정의된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 접속된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STA)에서는, 상기 BSS 망 내에 포함된 다른 스테이션(STA)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직접 송수신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DS 망을 거쳐 ESS 망 내에 포함된 다른 BSS 망의 스테이션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휴대용 컴퓨터에 연결 접속된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에서는, 다른 스테이션(STA) 또는 억세스 포인트(AP)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초기 셋업(Initial Set-up)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고속의 전송 속도(Transfer Speed)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전원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데이터 통신 가능 시간은 물론, 휴대용 컴퓨터의 사용 가능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데, 이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 방안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 접속된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에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에 상응하는 전송 속도(Transfer Speed) 또는 절전(Power Save) 주기 등을 결정하여, 억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통신을 적절하게 가변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은, 배터리 잔량에 근거하여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1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특성에 따라, 통신을 제어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은,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에 근거하여, 절전 주기를 결정하는 1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절전 주기에 따라, 통신을 제어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은,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배터 리 잔량 값에 상응하는 절전 주기를 결정하는 1단계; 및 상기 절전 주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은,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에 근거하여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1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특성에 해당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 접속된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STA)과, 억세스 포인트(AP)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는, 스테이션 맥 컨트롤러(STA MAC)(200), FEC(Forward Error Correction)(201), OFDM(Orthogonality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202), 그리고 RF 프론트 엔드(RF Front End)(203)가 포함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션 맥 컨트롤러(200)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에 연결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억세스 포인트(30)에는, 억세스 포인트 맥 컨트롤러(AP MAC)(300), FEC(301), OFDM(302), 그리고 RF 프론트 엔드(RF Front End)(303)이 포함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억세스 포인트 맥 컨트롤러(300)는, 브리지 칩 세트(305)를 통해 AP 컨트롤러(304) 및 이더넷 드라이버(Ethernet Driver)(306)와 연결 접속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도 2를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BSS 망 내에 포함된 다른 스테이션(STA)들과 프로브 리퀴스트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통해 데이터를 무선으로 직접 송수신하거나, 또는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ESS 망 내에 포함된 억세스 포인트(AP)와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을 통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터리의 잔량 값을 체크한 후, 그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상기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적절하게 가변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적절하게 가변 제어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AP)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초기 셋업(Initial Set-up)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고속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터리 잔량 값을 체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된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결정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80%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를 초기 설정된 11 Mpbs로 유지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50% ∼ 79% 이내인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를 5.5 Mpbs,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30% ∼ 49% 이내인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를 2 MPbs로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29% 이하인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1 Mpbs로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다단계로 가변 결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억세스 포인트(AP)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전송 속도에 대응되는 고유의 코드 값을,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 내에 부가 기록하여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가 11 Mpbs인 경우,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성능 정보(Capability Information) 내의 2 비트(B5,B6)를,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정의된 전송 속도(Transfer Speed) 정보로 할당하여, 'B5B6= 00'을 부가 기록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5.5 Mpbs인 경우에는, 비콘 프레임 내의 성능 정보 내에, 'B5B6= 01'을 부가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2 Mpbs인 경우, 비콘 프레임 내의 성능 정보 내에, 'B5B6= 10'을 부가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11 Mpbs인 경우에는, 비콘 프레임 내의 성능 정보 내에, 'B5B6= 11'을 부가 기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는 억세스 포인트(AP)에서는, 상기 비톤 프레임의 성능 정보에 부가 기록된 전송 속도 정보(B5,B6)의 코드 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테이션(20)과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그에 상응하는 속도로 가변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이 수행된 이후, 억세스 포인트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상기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로 가변 조절함으로써,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배터리 사용 시간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다른 스테이션(STA)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초기 셋업(Initial Set-up)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고속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터리 잔량 값을 체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된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상기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결정하게 되는 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80% 이상인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를 초기 설정된 11 Mpbs로 유지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50% ∼ 79% 이내인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를 5.5 Mpbs,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30% ∼ 49% 이내인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를 2 MPbs로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29% 이하인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1 Mpbs로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다단계로 가변 결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다른 스테이션(STA)에서 인 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전송 속도에 대응되는 고유의 코드 값을, 상기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되는 프로브 리퀴스트 프레임(Probe Request Frame) 내에 부가 기록하여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가 11 Mpbs인 경우, 프로브 리퀴스트 프레임 내에,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정의된 2 비트(B01,B1)의 전송 속도(Transfer Speed) 정보를 'B0B1= 00'으로 부가 기록하게 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5.5 Mpbs인 경우에는, 2 비트(B01,B1)의 전송 속도 정보를 'B0B1= 01'을 부가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2 Mpbs인 경우, 2 비트(B01,B1)의 전송 속도 정보를 'B0B1= 10'을 부가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11 Mpbs인 경우에는, 2 비트(B01,B1)의 전송 속도 정보를 'B0B1= 11'을 부가 기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브 리퀴스트 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는 다른 스테이션(STA)에서는, 상기 프로브 리퀴스트 프레임에 부가 기록된 전송 속도 정보(B0,B1)의 코드 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테이션(20)과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그에 상응하는 속도로 가변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이 수행된 이후,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상기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결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로 가변 조절함으로써, 상기 다른 스테이션과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배터리 사용 시간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억세스 포인트(AP)로부터 전송되는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신호에 액티브되어, 소정 주기로 절전 모드(Power Save Mode)를 설정하거나 또는 해제(Wake-Up)하여,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억세스 포인트(AP)에서는, DTIM 신호를 100 msec 간격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스테이션에서는, 그 DTIM 신호에 근거하여, 약 300 msec 에 상응하는 주기로 절전 모드를 설정하게 되는 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배터리 잔량 값을 체크함과 아울러, 상기 체크된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상기 절전 모드 주기를 가변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80% 이상인 경우, 절전 모드 주기를 초기 설정된 300 msec로 유지 결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50% ∼ 79% 이내인 경우, 절전 모드 주기를 400 msec,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30% ∼ 49% 이내인 경우, 절전 모드 주기를 500 msec 로 결정하며, 상기 배터리의 잔량 값이 29% 이하인 경우에는, 절전 모드 주기를 650 msec로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다단계로 가변 결정된 절전 모드 주기를, 억세스 포인트(AP)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절전 모드 주기에 대응되는 고유의 코드 값을, 상기 억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비콘 프레임 내에 부가 기록하여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결정된 절전 모드 주기가 300 msec인 경우, 비콘 프레임에 포함된 비콘 인터벌 정보(Beacon Interval) 내의 2 비트(B5,B6)를,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정의된 절전 주기 정보(Power Save Period)로 할당하여, 'B5B6= 00'을 부가 기록하게 되고, 상기 절전 모드 주기가 400 msec인 경우에는, 상기 절전 주기 정보를 'B5B6= 01'로 부가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전 모드 주기가 500 msec인 경우, 상기 절전 주기 정보를 'B5B6= 10'로 부가 기록하고, 상기 절전 모드 주기가 650 msec인 경우에는, 상기절전 주기 정보를 'B5B6= 11'을 부가 기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게 되는 억세스 포인트(AP)에서는, 상기 비톤 인터벌 정보에 부가 기록된 절전 주기 정보(B5,B6)의 코드 값을 확인하여, 상기 스테이션(20)으로 전송될 DTIM 신호의 전송 주기를, 그에 상응하는 주기로 가변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20)에서는,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이 수행된 이후, 상기 배터리 잔량 값에 따라 결정된 절전 모드 주기로 가변 조절함으로써,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 정상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배터리 사용 시간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은, 예를 들어 무선 랜 카드의 스테이션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의 배터리 잔량 값을 체크함과 아울러, 상기 체크된 배터리 잔량 값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결정하거나, 또는 절전 모드 주기를 결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정보를 억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스테이션으로 전송한 후, 상기 결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 또는 절전 모드 주기로 가변 설정함으로써, 무선 랜 사용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 전원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억세스 포인트 또는 다른 스테이션과의 데이터 통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배터리 잔량에 근거하여,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1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특성에 따라, 통신을 제어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특성은, 데이터 통신의 전송 속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특성은, 절전 주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4.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에 근거하여, 절전 주기를 결정하는 1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절전 주기에 따라, 통신을 제어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5.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 값에 상응하는 절전 주기를 결정하는 1단계; 및
    상기 절전 주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6.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에 근거하여, 전송 특성을 결정하는 1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특성에 해당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제어 방법.
KR1020060020799A 2006-03-06 2006-03-06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KR10093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799A KR100932499B1 (ko) 2006-03-06 2006-03-06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799A KR100932499B1 (ko) 2006-03-06 2006-03-06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985A Division KR100771715B1 (ko) 2003-09-02 2003-09-02 무선 랜의 데이터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255A true KR20060034255A (ko) 2006-04-21
KR100932499B1 KR100932499B1 (ko) 2009-12-17

Family

ID=3714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799A KR100932499B1 (ko) 2006-03-06 2006-03-06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4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31A2 (en) * 2009-05-24 2010-1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in a femto bas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a femto cell type
WO2013147563A1 (ko) * 2012-03-30 2013-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2567821A (zh) * 2018-06-22 2021-03-2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用于低功率事件监控的通信装置和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464B2 (ja) * 1991-12-27 1998-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00021530A (ko) * 1998-09-30 2000-04-25 전주범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이용한 교통정보단말기
JP3334753B2 (ja) * 1999-06-15 2002-10-1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の消費電力抑制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7831A2 (en) * 2009-05-24 2010-1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in a femto bas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a femto cell type
WO2010137831A3 (en) * 2009-05-24 2011-03-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in a femto bas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a femto cell type
CN102449931A (zh) * 2009-05-24 2012-05-09 Lg电子株式会社 考虑毫微微小区类型的毫微微基站中的低工作模式操作方法
US8538495B2 (en) 2009-05-24 2013-09-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low duty mode operation in a femto base station in consideration of a femto cell type
CN102449931B (zh) * 2009-05-24 2014-11-12 Lg电子株式会社 考虑毫微微小区类型的毫微微基站中的低工作模式操作方法
WO2013147563A1 (ko) * 2012-03-30 2013-10-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4247302A (zh) * 2012-03-30 2014-12-2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lan系统中收发信标的方法和设备
US9538552B2 (en) 2012-03-30 2017-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beacon in wireless LAN system
CN112567821A (zh) * 2018-06-22 2021-03-2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用于低功率事件监控的通信装置和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499B1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715B1 (ko) 무선 랜의 데이터 통신 제어장치 및 방법
EP3738384B1 (en) Mechanisms to support secondary channel operation
EP1639754B1 (en) Adaptive power save mode for short-range wireless terminals
US7933635B2 (en) Adjustment of parameters based upon battery status
US7817961B2 (en) Beacon transmission i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82511B2 (en) Method for managing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KR20170077125A (ko) 다중―사용자 비허가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3038578A (zh) 一种站点唤醒方法及站点
US881142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witching an operating bandwidth of a wireless transceiver
CN103684550A (zh) 一种蓝牙信号发射功率调整系统及移动终端
EP3531604B1 (en) Indication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AU2017292029B2 (en) Techniques for signaling a transmit power headroom in a control field
EP295473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saving for multicast and broadcast data
KR100932499B1 (ko) 데이터 통신 제어방법
US8730857B2 (en) Filtering group-addressed frames in Wi-Fi devices
KR20060025444A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EP228368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aving battery power in mobile stations
WO2005006659A1 (en)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termi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