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979A -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979A
KR20060033979A KR1020040083086A KR20040083086A KR20060033979A KR 20060033979 A KR20060033979 A KR 20060033979A KR 1020040083086 A KR1020040083086 A KR 1020040083086A KR 20040083086 A KR20040083086 A KR 20040083086A KR 20060033979 A KR20060033979 A KR 20060033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s
collector
electrospinning
continuous
nan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490B1 (ko
Inventor
김학용
박종철
이근형
김관우
이병민
Original Assignee
김학용
박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용, 박종철 filed Critical 김학용
Priority to KR1020040083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49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고분자 방사용액을 고전압이 걸려있는 노즐(5)을 통해 (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u)과 깊이(h)를 갖는 홈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앤드레스 벨트(Endless Belt) 형태의 비도전체판(7a)과 (ⅱ) 상기 비도전체판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도전체판(7b)으로 구성되며 고전압이 걸려있는 컬렉터(7)상에 전기방사하여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섬유 웹을 컬렉터(7)로 부터 이격(분리)시킨 후 집속, 연신 및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적공정 없이도 전기방사 방식으로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실)을 간단하고 연속적인 공정으로 대량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노섬유들을 섬유 축 방향으로 잘 배향시킬 수 있어서 집속성과 연신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기계적 물성이 보다 우수한 나노섬유의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 있다.
나노섬유, 필라멘트, 실, 전기방사, 컬렉터, 연신, 열처리, 리본형태, 비도전체판, 홈, 도전체판, 배향.

Description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A process of preparing continuous filament composed of nano fibers}
도 1은 상향방사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컬렉터(7) 부분에서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이 제조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컬렉터(7) 일부분의 확대 모식도.
도 4는 실시예 1로 제조한 연속상 필라멘트를 구성하고 있는 나노섬유가 섬유축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방사용액 저장 탱크 2 : 계량펌프 3 : 방사용액 드롭장치
4 : 노즐블록 5 : 노즐 6 : 나노섬유
7 : 컬렉터 7a : 컬렉터내 비도전체판
7b : 컬렉터내 도전체판 8a, 8b : 컬렉터 지지봉
9 : 고전압 발생장치 10a : 교반기 모터
10b : 부도체 봉 10c : 교반기
11 : 오버플로우 흡입장치 12 : 이송관
13 : 나노섬유 웹 분리용 용액 14 : 분리용 액체의 공급 탱크
15 : 웹 이송 로울러 16 :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
17 : 웹 이송 로울러 18 : 집속장치(유체 혹은 공기 이용)
19 : 제 1 로울러 20 : 제 2 로울러
21 : 열처리장치(용매 제거 장치) 22 : 제 3 로울러
23 : 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가 감긴 보빈
u : 컬렉터에 형성된 홈의 폭 h : 컬렉터에 형성된 홈의 깊이
본 발명은 나노섬유로 구성되는 연속상 필라멘트 또는 실(이하 "필라멘트"로 통칭한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방사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상 필라멘트를 연속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나노섬유란 섬유 직경이 1,000nm 이하인,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00nm 이하인 섬유를 의미한다.
나노섬유로 구성된 부직포 등은 인조피혁, 필터, 기저귀, 생리대, 봉합사, 유착방지제, 와이핑 클로스(Wiping cloth), 인조혈관, 뼈 고정용 기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며, 특히 인공피혁 제조에 매우 유용하다.
인공피혁 등의 제조에 적합한 극세섬유 또는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는 해도형 복합방사 방식, 분할형 복합방사 방식 및 블랜드 방사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해도형 복합방사 방식이나 블랜드 방사방식의 경우에는 섬유의 극세화를 위해 섬유를 구성하는 2개 고분자 성분 중 1개 고분자 성분을 용출, 제거해야 하며, 이들 방식으로 제조된 섬유로 인공피혁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융방사, 섬유 제조, 부직포 제조, 우레탄 함침, 1개 성분 용출과 같은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2개 방식으로는 직경 1,000nm 이하의 섬유를 제조할 수 없었다.
한편, 분할형 복합방사 방식의 경우에는 염색특성이 상이한 2개 고분자 성분(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들이 섬유 내에 공존하기 때문에 염색반이 나타나고, 인공피혁 제조공정도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는 직경 2,000nm 이하의 섬유를 제조하기 어려웠다.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미국특허 제4,323,525호등 에서는 전기방사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전기방사 방식은 방사액 주탱크 내의 고분자 방사액을 계량펌프를 통해 높은 전압이 부여되는 다수의 노즐 내로 연속적으로 정량 공급하고, 계속해서 노즐에 공급된 방사액을 노즐을 통해 5kV 이상의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앤드레스(Endless) 벨트 타입의 집속장치 상으로 방사, 집속하여 섬유 웹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섬유 웹을 다음 공정에서 니들펀칭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제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방사 방식은 1,000nm 이하의 나노섬유로 구성된 웹(WEB)과 부직포만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전기방사 방식으로 연속상의 필라멘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조된 나노섬유 웹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단섬유를 제조하고, 이를 다시 혼타면하여 별도의 방적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나노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의 경우에는 부직포 고유의 물성상 한계로 인해 인조피혁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참고로 나노섬유로 구성된 부직포의 경우에서 10MPa 이상의 물성을 달성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출원특허 제 2004-6402호에서는 고분자 방사용액을 노즐을 통해 컬렉터로 전기방사하여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의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고, 계속해서 상기 나노섬유 웹을 공기꼬임장치내로 통과시키면서 꼬임을 부여하여 연속상 필라멘트 형태의 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계속해서 상기 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연신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방법은 전기방사되는 나노섬유들을 컬렉터 상에서 섬유 축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없어서 집속성 및 연신성이 저하되며, 그로인해 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방법은 리본상의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기 위해 소폭의 컬렉터를 사용하거나, 광폭의 컬렉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나노섬유 웹을 인정 폭으로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방적공정 없이도 전기방사된 나노섬유 웹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필라멘트(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므로서,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방사 공정에서 나노섬유들을 섬유 축 방향으로 잘 배향시켜 집속성과 연신성을 향상시키므로서 연속상 필라멘트의 기계적 물성을 크게 향상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물성이 우수하여, 인조피혁은 물론 필터, 기저귀, 생리대, 인조혈관 등의 다양한 산업소재에 적합한 나노섬유의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은, 고분자 방사용액을 고전압이 걸려있는 노즐(5)을 통해 (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u)과 깊이(h)를 갖는 홈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앤드레스 벨트(Endless Belt) 형태의 비도전체판(7a)과 (ⅱ) 상기 비도전체판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도전체판(7b)으로 구성되며 고전압이 걸려있는 컬렉터(7)상에 전기방사하여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섬유 웹을 컬렉터(7)로 부터 이격(분리)시킨 후 집속, 연신 및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용액 저장 탱크(1)내 고분자 방사용액을 고전압이 걸려 있는 노즐(5)을 통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7)로 전기방사하여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16)을 제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분자 방사용액은 계량펌프(2) 및 방사용액 드롭장치(3)를 통해 노즐블록(4)에 배열된 노즐(5)로 정량 공급된다.
이때, 본 발명은 나노섬유들이 집적되는 컬렉터(7)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u)과 깊이(h)를 갖는 홈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앤드레스 벨트(Endless Belt) 형태의 비도전체판(7a)과 (ⅱ) 상기 비도전체판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도전체판(7b)으로 구성된 컬렉터를 사용하여 컬렉터상에 집적되는 나노섬유들이 섬유 축 방향으로 잘 배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상향식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의 공정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컬렉터(7) 부분에서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이 제조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컬렉터(7) 일부분의 확대 모식도이다.
상기 도전체판(7b)은 비도전체판(7a)의 홈속에 고정되어 비도전체판(7a)과 일체로 회전할 수도 있고, 비도전체판(7a)의 홈속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어 비도전체판(7a)과는 상이한 회전 선속도로 회전운동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컬렉터(7)상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면 도전체판(7b)에만 나노섬유들이 집적되어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16)이 제조되며, 도전체판(7b)에 집적된 나노섬유들은 앞으로 진행하는 도전체판(7b)에 의해 섬유 축 방향으로 잘 배향되어 이후 공정에서 양호한 집속성과 연신성을 발현하게 된다.
한편, 비도전체판(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홈들의 폭 (u)과 깊이(h)는 제조하고자 하는 연속상 필라멘트의 굵기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홈의 폭(u)이 0.1~2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15㎜, 이고 상기 홈의 깊이(h)가 0.1~5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30㎜,인 것이 좋다.
상기 폭(u)이 0.1㎜ 미만인 경우에는 집적되는 나노섬유의 양이 너무 적어 취급하기 어렵고,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나노섬유들이 섬유 축 방향으로 잘 배열(배향)되지 않을 수 있어 연속상 필라멘트의 기계적 물성이 나빠지게 된다.
한편, 상기 깊이(h)가 0.1㎜ 미만이면 전기방사중 비산되는 나노섬유로 인해 나노섬유의 배향성이 나빠지고,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노즐(5)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져 용매의 휘발 공간이 너무 좁아서 나노섬유 형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비도전체판(7a)의 재질로는 석영, 유리, 고분자 필름, 고분자판 등이 사용되고, 도전체판(7b)의 재질로는 구리, 금 등의 무기재료나 전도성이 우수한 고분자 등이 사용된다. 단위 폭으로 나노섬유를 방사하기 위해서는 제조하고자 하는 필라멘트의 굵기에 적당하게 노즐블록(4) 상에 노즐(5)들을 섬유 진행방향으로 1열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2열 이상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전기방사 방식으로는 (ⅰ) 노즐블록이 컬렉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향식 전기방사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ⅱ) 노즐블록이 컬렉터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향식 전기방사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ⅲ) 노즐블록과 컬렉터가 수평 또는 수평과 비슷한 각도로 위치하는 수평식 전기방사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상향식 전기방사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 다.
전기방사시에 2종 이상의 고분자 방사용액을 각각의 노즐블록내에 배열된 노즐(5)들을 통해 동일한 컬렉터(7)로 전기방사하여 하이브리드 형태의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노즐블럭(4)은 나노섬유 형성능을 양호하기 위해서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시간 방사 혹은 무기산화물이 포함된 방사용액을 방사할 경우에 장시간 체류하면 겔(gel)화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반기 모터(10a)를 이용하여 중간에 부도체 봉(10b)으로 연결된 교반기(10c)를 이용하여 교반하여 주는 것이 양호하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컬렉터(7)상에 형성된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16)을 웹 이송 로울러(15, 17)를 이용하여 컬렉터(7)로 부터 이격(분리) 시킨 후, 계속해서 집속, 연신 및 열처리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한다.
컬렉터(7)로 부터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16)을 이격(분리) 시킬 때에는 도 1과 같이 나노섬유 웹 분리용 용액(12)을 컬렉터 상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코팅하거나 분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섬유 웹 분리용 용액(13)으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톨루엔, 메틸렌클로라이드,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중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한다.
계속해서, 컬렉터(7)로 부터 이격(분리)된 나노섬유 웹(16)을 유체 또는 공 기를 이용한 집속장치(18)내로 통과시켜 집속시킨 후 계속해서 제 1로울러(19)와 제 2로울러(20)를 통과시키면서 이들의 회전 선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연신시키고, 계속해서 열처리장치(21)를 통과시키면서 열처리 및 용매제거를 하고, 계속해서 제 3로울러(22)를 통과시킨 후, 연신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보빈(23)에 권취한다.
서로 다른 고분자 용액 각각을 본 발명에 따라 전기방사하여 제조한 서로 다른 성분의 나노섬유 필라멘트를 합사하거나, 복합노즐로 구성된 노즐블록을 사용하여 복합방사하여 서로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고분자 용액을 코어/셀(core/shell) 형태로 복합방사한 후 이들중 코어성분을 용출하는 방식으로 중공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96% 황산용액에서 상대점도가 3.2인 나일론 수지를 개미산에 15중량% 농도로 용해하여 고분자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고분자 방사액의 표면장력은 49mN/m, 용액점도는 상온에서 40센티포아즈, 전기전도도는 420mS/m 였다.
상기 고분자 방사액을 계량펌프(2)를 통해 도 1과 같은 상향식 전기방사 장치의 노즐블록(4)내의 노즐(5)로 공급한 후, 상기 노즐(5)을 통해 (ⅰ) 길이방향을 따라 폭 7㎜ 길이 6㎜의 홈 8개가 형성된 강화유리 재질의 비도전체판(7a)과 (ⅱ) 상기 홈 각각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폭 6.9㎜의 도전체판(7b)으로 구성된 컬렉터 (7)에 전기방사 하였다.
이때, 노즐블록(4)으로는 직경이 1㎜인 노즐 2,000개가 일렬로 배열된 단위 노즐블록 8개로 이루어져 총 노즐수가 16,000개인 노즐블록을 사용하였고, 노즐 1개당 토출량은 1.2㎎/분으로 하였고, 전압은 28㎸로, 방사거리는 16㎝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회전 선속도가 80m/분인 웹 이송 로울러(15, 17)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컬렉터상에 리본 형태로 집속된 나노섬유 웹을 컬렉터(7)로 부터 분리(이격)하고, 계속해서 분리된 나노섬유 웹을 집속장치(18)내로 통과시켜 집속시킨 후 회전 선속도가 82m/분인 제 1로울러(19)와 회전 선속도가 285m/분인 제 2로울러(20)와 회전 선속도가 295m/분인 제 3로울러(22)를 차례로 통과시키면서 연신하였다.
또한 제 2로울러(20)와 제 3로울러(22) 사이에 설치된 열처리 장치(21)에서 170℃로 열고정 한 후 290m/분의 권취속도로 권취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섬도는 75데니어, 강력은 4.5g/데니어, 신도는 42%, 나노섬유의 직경은 186㎚ 이었다.
제조된 필라멘트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4와 같다.
도 4와 같이 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구성하는 나노섬유들은 섬유축 방향으로 잘 배열되어 있었다.
실시예 2
96% 황산용액에서 상대점도가 3.2인 나일론 수지를 개미산에 15중량% 농도로 용해하여 고분자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고분자 방사액의 표면장력은 49mN/m, 용액점도는 상온에서 40센티포아즈, 전기전도도는 420mS/m 였다.
상기 고분자 방사액을 계량펌프(2)를 통해 도 1과 같은 상향식 전기방사 장치의 노즐블록(4)내의 노즐(5)로 공급한 후, 상기 노즐(5)을 통해 (ⅰ) 길이방향을 따라 폭 7㎜ 길이 6㎜의 홈 8개가 형성된 강화유리 재질의 비도전체판(7a)과 (ⅱ) 상기 홈 각각에 삽입되어 자체적으로 회전하며, 폭이 6.8㎜인 도전체판(7b)으로 구성된 컬렉터(7)에 전기방사 하였다.
이때, 도전체판(7b)의 회전 선속도는 80m/분으로 하였다.
이때, 노즐블록(4)으로는 직경이 1㎜인 노즐 2,000개가 일렬로 배열된 단위 노즐블록 8개로 이루어져 총 노즐수가 16,000개인 노즐블록을 사용하였고, 노즐 1개당 토출량은 1.2㎎/분으로 하였고, 전압은 28㎸로, 방사거리는 16㎝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회전 선속도가 80m/분인 웹 이송 로울러(15, 17)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컬렉터상에 리본 형태로 집속된 나노섬유 웹을 컬렉터(7)로 부터 분리(이격)하고, 계속해서 분리된 나노섬유 웹을 집속장치(18)내로 통과시켜 집속시킨 후 회전 선속도가 82m/분인 제 1로울러(19)와 회전 선속도가 285m/분인 제 2로울러(20)와 회전 선속도가 295m/분인 제 3로울러(22)를 차례로 통과시키면서 연신하였다.
또한 제 2로울러(20)와 제 3로울러(22) 사이에 설치된 열처리장치(21)에서 170℃로 열고정 한 후 290m/분의 권취속도로 권취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섬도는 75데니어, 강력은 5.1g/데니어, 신도는 35%, 나노섬유의 직경은 176㎚ 이었다.
실시예 3
분자량이 80,000인 폴리우레탄 수지와 중합도가 800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70 : 30 중량비로 디메틸포름아마이드/테트라하이드로퓨란(체적비 : 5/5)의 혼합용매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사용액의 점도는 450센티포아즈 였다.
상기 고분자 방사액을 계량펌프(2)를 통해 도 1과 같은 상향식 전기방사 장치의 노즐블록(4)내의 노즐(5)로 공급한 후, 상기 노즐(5)을 통해 (ⅰ) 길이방향을 따라 폭 7㎜ 길이 6㎜의 홈 8개가 형성된 강화유리 재질의 비도전체판(7a)과 (ⅱ) 상기 홈 각각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폭 6.9㎜의 도전체판(7b)으로 구성된 컬렉터(7)에 전기방사 하였다.
이때, 노즐블록(4)으로는 직경이 1㎜인 노즐 2,000개가 일렬로 배열된 단위 노즐블록 8개로 이루어져 총 노즐수가 16,000개인 노즐블록을 사용하였고, 노즐 1개당 토출량은 2.0㎎/분으로 하였고, 전압은 35㎸로, 방사거리는 20㎝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회전 선속도가 145m/분인 웹 이송 로울러(15, 17)을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컬렉터상에 리본 형태로 집속된 나노섬유 웹을 컬렉터(7)로 부터 분리(이격)하고, 계속해서 분리된 나노섬유 웹을 집속장치(18)내로 통과시켜 집속시킨 후 회전 선속도가 149m/분인 제 1로울러(19)와 회전 선속도가 484m/분인 제 2로울 러(20)와 회전 선속도가 490m/분인 제 3로울러(22)를 차례로 통과시키면서 연신하였다.
또한 제 2로울러(20)와 제 3로울러(22) 사이에 설치된 열처리장치(21)에서 110℃로 열고정 한 후 486m/분의 권취속도로 권취하여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섬도는 75데니어, 강력은 3.4g/데니어, 신도는 45%, 나노섬유의 직경은 480㎚ 이었다.
본 발명은 섬유 축방향으로 섬유가 잘 배열되어 연신성이 우수한 나노 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를 보다 간단한 연속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제조된 상기 연속상 필라멘트는 물성이 크게 향상되어 인조피혁, 공기청정용 필터, 와이핑 클로스, 골프장갑, 가발 등의 일상용품은 물론 인공투석용 필터, 인조혈관, 유착방지제, 인공뼈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 소재로 유용하다.

Claims (13)

  1. 고분자 방사용액을 고전압이 걸려있는 노즐(5)을 통해 (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u)과 깊이(h)를 갖는 홈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앤드레스 벨트(Endless Belt) 형태의 비도전체판(7a)과 (ⅱ) 상기 비도전체판의 홈에 삽입되어 있는 도전체판(7b)으로 구성되며 고전압이 걸려있는 컬렉터(7)상에 전기방사하여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 다음, 상기 나노섬유 웹을 컬렉터(7)로 부터 이격(분리)시킨 후 집속, 연신 및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2. 1항에 있어서, 도전체판(7b)이 비도전체판(7a)의 홈속에 고정되어 비도전체판(7a)과 일체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3. 1항에 있어서, 도전체판(7b)이 비도전체판(7a)의 홈속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되어 비도전체판(7a)과는 상이한 회전 선속도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4. 1항에 있어서, 비도전체판(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홈의 폭(u)이 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5. 1항에 있어서, 비도전체판(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홈의 깊이(h)가 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6. 1항에 있어서, 노즐(5)들이 노즐블록(4)상에 나노섬유의 진행방향으로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7. 1항에 있어서, 전기방사방식이 (ⅰ) 노즐블록이 컬렉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향식 전기방사 방식이거나, (ⅱ) 노즐블록이 컬렉터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향식 전기방사 방식이거나, (ⅲ) 노즐블록과 컬렉터가 수평 또는 수평과 비슷한 각도로 위치하는 수평식 전기방사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8. 1항에 있어서, 전기방사시에 2종 이상의 고분자 방사용액을 각각의 노즐블록내에 배열된 노즐(5)들을 통해 동일한 컬렉터(7)상에 전기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9. 1항에 있어서, 나노섬유가 전기방사되는 컬렉터(7)상에 나노섬유 웹 분리용 용액(13)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코팅 또는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10. 9항에 있어서, 나노섬유 웹 분리용 용액(13)이 물, 메탄올, 에탄올, 톨루엔, 메틸렌클로라이드,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중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11. 1항에 있어서, 컬렉터로 부터 이격된 리본 형태의 나노섬유 웹(16)을 유체 또는 공기를 이용한 집속장치(18)내로 통과시켜 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12. 1항에 있어서, 집속처리된 나노섬유 웹을 두 개의 로울러 사이에서 상기 로울러간의 회전속도 차이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13. 1항에 있어서, 연신된 나노섬유 필라멘트를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20040083086A 2004-10-18 2004-10-18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59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86A KR100595490B1 (ko) 2004-10-18 2004-10-18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86A KR100595490B1 (ko) 2004-10-18 2004-10-18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979A true KR20060033979A (ko) 2006-04-21
KR100595490B1 KR100595490B1 (ko) 2006-07-03

Family

ID=3714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086A KR100595490B1 (ko) 2004-10-18 2004-10-18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4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91B1 (ko) * 2004-10-29 2006-07-03 김학용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160108727A (ko) * 2015-03-05 2016-09-20 울산과학기술원 전기 방사 장치
CN107245776A (zh) * 2017-07-19 2017-10-13 东华大学 一种适用于产业化生产纳米纤维纱线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52640B1 (ko) * 2018-08-10 2019-12-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 섬유 수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010B1 (ko) * 2004-01-31 2006-03-22 김학용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91B1 (ko) * 2004-10-29 2006-07-03 김학용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160108727A (ko) * 2015-03-05 2016-09-20 울산과학기술원 전기 방사 장치
CN107245776A (zh) * 2017-07-19 2017-10-13 东华大学 一种适用于产业化生产纳米纤维纱线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245776B (zh) * 2017-07-19 2019-11-08 东华大学 一种适用于产业化生产纳米纤维纱线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52640B1 (ko) * 2018-08-10 2019-12-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방사 섬유 수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490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4430B2 (ja) ナノ繊維からなる連続状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KR100621428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
KR100491228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JP4346647B2 (ja) ナノ繊維からなる連続状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US779926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inuous filament by electrospinning
JP4769871B2 (ja) 複合電気紡糸装置、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複合ナノ繊維不織布及び複合ナノ繊維フィラメント
US4361609A (en) Fiber structures of split multicomponent fibers and process therefor
KR100665608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매트
KR100607416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
KR100696285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이로 제조된 필라멘트
KR100629107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595489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고강력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595486B1 (ko) 상향식 다성분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다성분 나노섬유
KR100595490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562010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595485B1 (ko) 복합 전기방사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나노섬유부직포 및 복합 나노섬유 필라멘트
KR100595491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0702870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매트
KR100607415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제조된 연속상 필라멘트
KR100763872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매트
KR100702868B1 (ko) 나노섬유로 구성된 연속상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050107075A (ko) 중공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0763873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연속상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