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475A - 주전자 - Google Patents
주전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3475A KR20060033475A KR1020040082610A KR20040082610A KR20060033475A KR 20060033475 A KR20060033475 A KR 20060033475A KR 1020040082610 A KR1020040082610 A KR 1020040082610A KR 20040082610 A KR20040082610 A KR 20040082610A KR 20060033475 A KR20060033475 A KR 200600334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ttle
- passage
- water
- outlet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나 술을 담아 따르는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
잔에 물이나 술을 따를 때 일정량(약 70%)으로 따르게 되어 잔에서 물이나 술이 넘치지 않도록 하고 적당히 따르도록 유도하여 예의바른 문화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주전자는, 손잡이(11), 뚜껑(12), 개구부(13)로 형성되어 물이나 술을 담아 따르는 통상의 주전자(10)에 있어서,
측벽의 일측에 흡입구(21)가 형성되고, 다른 측벽의 일측에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이때 측벽내에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호 연통되도록 통로(24)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24)의 하부에 마개(25)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4)내에 부력체(23)를 형성한 분리대(20)가 주전자(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수용부(30)와 제2수용부(31)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24)가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전자, 물통, 먹이통, 커피포트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주전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중 분리대를 나타낸 부분단면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중 통로를 파이프형상으로 나타낸 단면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주전자 사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전자 11: 손잡이
12: 뚜껑 13: 개구부
20: 분리대 21: 흡입구
22: 배출구 23: 부력체
24: 통로 25: 마개
30: 제1수용부 31: 제2수용부
40: 물
일반적으로 차나 술을 따름에 있어서 관습은 각 나라마다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예의를 존중하고 운치를 중요시 하는 보수적인 경향이 있으며,잔의 70%정도 따르는 것을 예의로 생각하고 있으며, 또한 잔에서 넘치는 것도 실례로 생각하고 있으나 잔에 70%정도로 적당량을 따른다는 것은 극히 어려우며 잔에서 넘치기도 하여 실례를 범할 수 있으므로 이것을 해결코져 따를시에 주전자의 정해진 량이 따라지며 다시 놓았다가 따르면 다시 정해진 량이 따라지도록 한 것으로 아직 이것에 대한 해결책은 없었다.
물이나 술을 담아 따르는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11), 뚜껑(12), 개구부(13)로 형성되어 물이나 술을 담아 따르는 통상의 주전자(10)에 있어서,
측벽의 일측에 흡입구(21)가 형성되고, 다른 측벽의 일측에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이때 측벽내에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호 연통되도록 통로(24)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24)의 하부에 마개(25)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4)내에 부력체(23)를 형성한 분리대(20)가 주전자(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수용부(30)와 제2수용부(31)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24)가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잔에 물이 나 술을 따를 때 일정량(약 70%)으로 따르게 되어 잔에 물이나 술이 넘치지 않도록 하고 적당히 따르도록 유도하도록 주전자의 정해진 량이 따라지며 다시 놓았다가 따르면 다시 정해진 량이 따라지도록 한 것으로 예의바른 문화에 기여하며 신비감도 함께 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주전자에 관한 것은,
손잡이(11), 뚜껑(12), 개구부(13)로 형성되어 물이나 술을 담아 따르는 통상의 주전자(10)에 있어서,
측벽의 일측에 흡입구(21)가 형성되고, 다른 측벽의 일측에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이때 측벽내에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호 연통되도록 통로(24)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24)의 하부에 마개(25)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4)내에 부력체(23)를 형성한 분리대(20)가 주전자(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수용부(30)와 제2수용부(31)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24)가 파이프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주전자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중 분리대를 나타낸 부분단면확대도이다.
도시한바와 같이 통상의 손잡이(11), 뚜껑(12), 개구부(13)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전자(10) 내부의 측벽의 일측에 흡입구(21)가 형성되고, 다른 측벽의 일측에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이때 측벽내에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호 연통되도록 통로(24)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24)의 하부에 마개(25)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4)내에 부력체(23)를 형성한 분리대(20)가 형성되어 제1수용부(30)와 제2수용부(31)가 형성되어있다.
이때 상기 주전자(10)의 재질은 도자기. 주석. 아연. 유리 및 합성수지재로, 통상의 손잡이(11), 뚜껑(12), 개구부(13)와 함께 사출과 형뜨기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 할 수 있으므로 물이나 술을 담아 따르는 것의 요지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제한하지 않으며, 또한 통상의 손잡이(11), 뚜껑(12), 개구부(13)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흡입구(21)는 제1수용부(30)의 물(40)이 흡입되어 흐르는 곳으로, 이때 다만 흡입구(21)의 출구는 부력체(23)에 의해 막힐 때 기밀이 유지되도록 부력체(23)의 상부와 밀착에 좋으며 내경을 적게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22)는 상기 흡입구(21)로 흡입된 물(40)이 통과 배출되는 곳으로, 이때 다만 상기 부력체(23)의 이탈 및 이동에 불편하지 않으며 물(40)이나 술을 잔에 따를때 제2수용부(31)의 잔존하는 적은 량의 물(40)로도 상기 통로(24)에 수압이 발생되어 부력체(23)가 부양되도록 하부에 위치하면 적당하다.
또한 상기 통로(24)는 상기 부력체(23)의 이송이 자유로우며 상기 흡입구(21)와 상기 배출구(22)가 연통되는 곳으로, 상기 주전자(10)의 재질이 도자기등과 같이 상 온에서 가공하여 고온(약 1200℃) 처리시에는 일반적으로 연소되거나 열처리전에 녹아 흘러내리는 소재인 실 또는 환봉등을 이용해 도자기로 주전자을 빚을 시에 분리대(20)의 측벽에 위치를 결정 삽입시킨 후 고온가열하면 연소되거나 녹아 흘러내림으로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스스로 형성되므로 단순한 공정으로 상기 통로(24)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도자기나 작업공정상 상기 주전자(10)의 재질이 주석. 아연. 유리 및 합성수지재의 사출 및 형뜨기는 도 3과 같이 주전자(10) 재질의 융점보다 융점 및 변형온도가 높은 재질로 상기 통로(24)를 파이프형상으로 만들어 위치 결정 후 주전자(10)의 재질을 형뜨기 또는 사출 또는 열처리하여 냉각시키면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형성되며, 이때 다만 상기 통로(24)의 상기 부력체(23)로 인해 물(40)의 흡입이 차단되는 높이는 제2수용부(31)의 물(40)의 부피 즉 정하고자 하는 물(40)의 부피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상기 부력체(23)는 적은 량의 물(40)로도 수압이 발생되어 흡입구(21)의 출구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긴원통형으로 열에 의한 변형이 없고 무해하며 상기 주전자(10)에 사용되는 물(40)이나 술보다 비중이 가볍거나 발포하여 가볍게 한것의 고무재나 실리콘등으로 통상 상기 통로(24)보다 직경이 0.3~0.5정도 적게하여 이동이 편리하게 한다.
또한 상기 마개(25)는 상기 부력체(23)를 삽입한 후 상기 통로(24)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주전자(10) 재질과 같은 재질로 접착이나 삽입으로 외형상 잘나타나지 않게 하면 더욱 신비로움을 가져올 수도 있으므로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와 부력체(23)와 통로(24)와 마개(25)를 형성한 상기 분리대(20)는 상기 주전자(10)의 제작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하여 상기 주전자(10)의 내면에 기밀을 유지토록 부착할 수 도 있으며, 또한 재질과 형상은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으로 요지의 범주이면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제1수용부(30)는 물(40)이나 술을 1차로 저장하는 곳으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2수용부(31)는 도 4와 같이 상기 통로(24)를 통해 일정량의 물(40)이나 술이 저장되며 상기 개구부(13)와 함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다만 구배가 형성되어 물(40)이나 술을 따랐을때 소량이 물(40)이나 술이 잔존되어 상기 통로(24)의 수압을 유지함으로 부력체(23)가 흡입구(21)의 출구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특히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와 부력체(23)와 통로(24)와 마개(25)를 형성한 상기 분리대(20)와 제1수용부(30)와 제2수용부(31)를 형성한 것은, 제1수용부(30)의 물(40)이나 액체가 일정량만 제2수용부(31)로 흐르게 한 것으로, 상기 주전자(10)외에 커피포트, 먹이통, 물통, 일정량을 공급코져하는 것등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요지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제한하지 않는다.
이제 작동의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통상의 관습에 따라 주전자(10)의 뚜껑(12)을 열고 상기 물(40)이나 술을 제1수용부(30)에 점차 부으면, 도 1과 같이 상기 물(40)이나 술은 상기 흡입구(21)를 통해 통로(24)로 들어가서 제2수용부(31)로 수용되며 이때 제1수용부(30)에 물(40)이나 술이 없었을 때 자체무게로 상기 통로(24)의 하부에 위치하였던 부력체(23)가 비중에 의한 부력으로 점차적으로 상승되어 결국 상기 흡입구(21)의 출구를 막게되어 제2수용부(31)로는 일정량 이상 상기 물(40)이나 술은 전달되지 않으며, 제1수용부(30)에만 물(40)이나 술이 수용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손잡이(11)를 잡고 상대편에게 권하거나 또는 잔에 개구부(13)를 통해 따르게 되면 관습에 의해 구배로 인한 따르던 물(40)이나 술의 줄기가 끝나면 더 이상 따르지 않게 되어 제2수용부(31)에 수용되었던 물(40)이나 술 중에 소량이 남은채 잔에 따라지게 되며, 이때 또한 제2수용부(31)의 잔존하는 소량의 물(40)이나 술이 통로(24)의 수압을 유지하여 부력체(23)가 흡입구(21)의 출구의 기밀을 유지함으로 제1수용부(30)의 물(40)이나 술은 제2수용부(31)로 흐르지 않게 되어 결국 일정량만 잔에 따르게 된다.
이젠 다시 상기 주전자(10)를 바로하거나 바닥에 놓으면 유지되었던 통로(24)의 수압이 변형되어 부력체(23)가 하강을 하여 제1수용부(30)에 물(40)이나 술은 상기 흡입구(21)를 통해 통로(24)로 들어가서 일정량이 제2수용부(31)로 수용됨으로 이와같이 반복으로 일정량의 물(40)이나 술을 잔에 따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잔에 물이나 술을 따를 때 일정량(약 70%)으로 따르게 되어 잔에 물이나 술이 넘치지 않도록 하고 적당히 따르도록 유도하도록 정해진 량이 따라지며 놓았다가 따르면 다시 정해진 량이 따라지도록 한 것으로 예의바른 문화에 기여하며 신비감도 함께 한것으로 적은 원가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요지이다.
Claims (2)
- 손잡이(11), 뚜껑(12), 개구부(13)로 형성되어 물이나 술을 담아 따르는 통상의 주전자(10)에 있어서,측벽의 일측에 흡입구(21)가 형성되고, 다른 측벽의 일측에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이때 측벽내에 상기 흡입구(21)와 배출구(22)가 상호 연통되도록 통로(24)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24)의 하부에 마개(25)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4)내에 부력체(23)를 형성한 분리대(20)가 주전자(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수용부(30)와 제2수용부(31)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주전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통로(20)가 파이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2610A KR100614252B1 (ko) | 2004-10-15 | 2004-10-15 | 주전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82610A KR100614252B1 (ko) | 2004-10-15 | 2004-10-15 | 주전자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9224U Division KR200371952Y1 (ko) | 2004-10-15 | 2004-10-15 | 주전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3475A true KR20060033475A (ko) | 2006-04-19 |
KR100614252B1 KR100614252B1 (ko) | 2006-08-25 |
Family
ID=3714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2610A KR100614252B1 (ko) | 2004-10-15 | 2004-10-15 | 주전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425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85815A (zh) * | 2018-02-10 | 2018-06-22 | 金华市鸿讯机械工程技术有限公司 | 感应式电热水壶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6940B1 (ko) | 2019-05-02 | 2020-12-04 | 장재용 | 안전배출수단을 구비한 음료용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3255A (ko) * | 2003-06-02 | 2003-07-28 | (주) 삼안산업 | 부력을 이용한 정량 배출 용기 |
-
2004
- 2004-10-15 KR KR1020040082610A patent/KR10061425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85815A (zh) * | 2018-02-10 | 2018-06-22 | 金华市鸿讯机械工程技术有限公司 | 感应式电热水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14252B1 (ko) | 2006-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8277B1 (ko) |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 |
YU24104A (sh) | Sistem za prenošenje pojedinačnih pakovanja kafe iz jednog kontejnera u ekstakcionu komoru mašine za pravljenje espreso kafe | |
US531879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ld water infusion of beverage and sweetener | |
KR101972810B1 (ko) |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 |
KR100614252B1 (ko) | 주전자 | |
KR200371952Y1 (ko) | 주전자 | |
KR102419800B1 (ko) |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 |
AU3924799A (en) | Device for infusing drinks | |
CN102342711A (zh) | 自动止逆型泡茶壶 | |
JP3114418U (ja) | 漏斗受け具 | |
CN210185231U (zh) | 一种富氢水壶 | |
CN113116107B (zh) | 一种多段式水杯 | |
KR200422317Y1 (ko) | 일정량을 배출시키는 주전자 | |
KR200419642Y1 (ko) | 자동 주전자 | |
KR200489129Y1 (ko) |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 |
KR200376549Y1 (ko) | 주전자 | |
CN105725633A (zh) | 一种泡茶器 | |
CN215015859U (zh) | 一种倒流壶 | |
CN211632682U (zh) | 一种钛制杯盖及采用该杯盖的杯子 | |
CN212661543U (zh) | 一种能自动出茶水的虹吸式泡茶器 | |
CN217185573U (zh) | 一种水杯 | |
CN213721217U (zh) | 具有储存腔室的水杯 | |
CN213829504U (zh) | 一种新的模具套 | |
CN217852276U (zh) | 一种新型盖碗 | |
KR20060056491A (ko) | 주전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