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166A -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166A
KR20060033166A KR1020040082133A KR20040082133A KR20060033166A KR 20060033166 A KR20060033166 A KR 20060033166A KR 1020040082133 A KR1020040082133 A KR 1020040082133A KR 20040082133 A KR20040082133 A KR 20040082133A KR 20060033166 A KR20060033166 A KR 2006003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pc
call processing
control stat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3166A/ko
Publication of KR2006003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제어국과 상기 기지국간의 IPC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비정상적인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들에게 SRM을 송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2G와 1X 오버레이 두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특정 세대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단절 또는 제어국의 호처리 프로세서의 비정상으로 인해 해당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에서 SRM을 자동 송출하여 다른 세대 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of overhead channel betwee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base transceiver station}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시 오버헤드 채널 차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 3은 종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시 오버헤드 채널 복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시 오버헤드 채널 차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시 오버헤드 채널 복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교환기 20 : 제어국
21 : 호처리 프로세서 30 : 기지국
40 : 이동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2G(Two Generation)와 1x 오버레이(Overlay) 두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특정 세대의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 BSC)과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간의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단절 또는 제어국의 호처리 프로세서(Call Control Processor, CCP)의 비정상으로 인해 해당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에서 SRM(Service Redirection Message)을 자동 송출하여 다른 세대 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시스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원접속) 시스템,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 가입자 망), CDMA2000-1x,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범세계 이동통신)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이고, 20은 상기 교환기(10)와 연결되고 기지국의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국이며, 21은 상기 제어국(20) 내에서 호처리를 수행하는 호처리 프로세서이며, 30은 상기 제어국(20)의 제어를 받고,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는 기지국이고, 40은 상기 기지국(3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증, 보안 처리와 신호 처리 및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그래서 MSC(10)는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모든 통신 선로의 도로 및 교차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교환기(10)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가장 중요한 망 구성 장치로서, 유선통신 기능과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국(20)은 교환기(10)와 기지국(30)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 관리 및 제어를 담당한다. No.7 신호방식을 이용하여 각종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국(20)에서 호처리 프로세서(21)는 제어국(20) 내의 최상위 프로세서로서 시스템 가동시 호처리 서비스 기능을 담당한다. 호처리 제어 기능은 호 설정시 보코딩 채널을 할당하고, 핸드오프 처리를 위해 트랜스 코더와 기지국(30) 사이의 통신경로 설정을 지원한다.
또한 기지국(30)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이다. 그리고 기지국(30)은 RF(Radio Frequency) 무선 처리부와 CDMA 신호를 처리하는 채널 및 제어기로 이루어진 기저대역 처리부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40)는 사용자의 인증, 보안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가입자 식별부와 신호처리 및 무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부로 나누어져 기능한다. 그래서 이동통신 단말기(40)는 무선채널 신호세기 및 품질측정 기능, 무선신호의 변복조 및 송수신 기능,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기능, 페이징 및 시스템 방송신호 수신 기능,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종래에는 2G와 1X 오버레이 두 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이 혼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특정 세대의 제어국(20)과 기지국(30)간의 IPC가 단절되었거나 제어국(20) 내의 호처리 프로세서(21)가 비정상일 경우, 일정시간 후에 오버헤드 채널(Overhead Channel)을 자동 차단(Block)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특정 세대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40)들은 현재 가지고 있는 단말정보 범위 내에서는 특정 세대 시스템에만 액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오버헤드 채널이 차단(Block)으로 천이되면 해당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제어국(20)과 기지국(30)간의 IPC가 정상화되어 오버헤드 채널이 정상적으로 동작한 후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종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시 오버헤드 채널 차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국(20)과 기지국(30) 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단계(ST11)와; 상기 감시에서 수신(Receive, Rx) IPC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여 3초 주기로 10회 연속 응답 백 시그널이 미수신되는지 판별하는 단계(ST12)와; 상기 감시에서 송신(Transmit, Tx) IPC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여 5회 연속 상기 제어국(20) 내의 호처리 프로세서(21)의 비정상 정보를 수신하는지 판별하는 단계(ST13)와; 상기 수신 IPC에서 응답 백 시그널이 미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송신 IPC에서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의 비정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IPC가 배드(Bad)인지 판별하는 단계(ST14)(ST15)와;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IPC가 배드(Bad)이면, 오버헤드 채널을 차단시키는 단계(ST16)를 수행한다.
도 3은 종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시 오버헤드 채널 복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국(20)과 기지국(30)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제어국(20)간의 IPC가 정상이고 오버헤드 채널이 차단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T21)(ST22)와;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제어국(20)간의 IPC가 정상이고 오버헤드 채널이 차단되었으면, 오버헤드 채널을 복구하는 단계(ST23)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30)과 제어국(20)의 호처리 프로세서(21)와의 IPC 상태 처리 절차를 수신 IPC 및 송신 IPC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신(Rx) IPC - 송신 IPC 배드 상태 천이 및 오버헤드 채널 차단
첫째 차단(Block) 동작은 다음과 같다.
호처리 프로세서(21)와 IPC 정상(Normal) 상태에서 3초 주기로 10회 연속 호처리 프로세서(21)에서 송신하는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기지국(30)과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수신 경로 배트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호처리 프로세서(21)에서 수신 경로 배드(Rx Path Bad)가 발생하면, 기지국(30)과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상태 점검을 수행하여 호처리 프로세서(21)와의 IPC 상태가 배드(Bad)일 경우에 오버헤드 채널 차단(Overhead Channel Block)을 수행한다.
둘째 복구(Unblock) 동작은 다음과 같다.
호처리 프로세서(21)가 기지국(30)으로부터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을 수신하게 되면 호처리 프로세서(21)와 기지국(30)간의 IPC 상태를 정상(Normal)으로 천이시키고 오버헤드 채널 복구(Overhead Channel Unblock)를 수행한다.
2) 송신(Tx) IPC - 수신(Rx) IPC 배드 상태 천이 및 오버헤드 채널 차단
첫째 차단(Block) 동작은 다음과 같다.
호처리 프로세서(21)에서 송신한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에 대한 수신은 되지만, 시그널에 대해 기지국(3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5회 연속 비정 상(Abnormal)이면, 기지국(30)과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송신 경로 배드(Tx Path Bad)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호처리 프로세서(21)에서 송신 경로 배드(Tx Path Bad)가 발생하면, 기지국(30)과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상태를 점검하여 호처리 프로세서(21)와의 IPC 상태가 배드(Bad)일 경우에 오버헤드 채널 차단(Overhead Channel Block)을 수행한다.
둘째 복구(Unblock) 동작은 다음과 같다.
호처리 프로세서(21)가 기지국(30) 내의 프로세서로부터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을 수신하게 되면, 호처리 프로세서(21)와 기지국(30) 내의 프로세서간의 IPC 상태를 정상(Normal)으로 천이시키고 오버헤드 채널 복구(Overhead Channel Unblock)를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2G와 1X 오버레이 두 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이 혼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특정 세대의 제어국(20)과 기지국(30)간의 IPC가 단절되었거나 제어국(20) 내의 호처리 프로세서(21)가 비정상일 경우 일정시간 후에 오버헤드 채널(Overhead Channel)을 자동 차단(Block) 기능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오버헤드 채널이 차단되면, 해당 세대의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40)들은 제어국(20)과 기지국(30)간의 IPC가 정상화되어 오버헤드 채널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전까지는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G와 1X 오버레이 두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특정 세대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단절 또는 제어국의 호처리 프로세서의 비정상으로 인해 해당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에서 SRM을 자동 송출하여 다른 세대 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은,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제어국과 상기 기지국간의 IPC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비정상적인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들에게 SRM을 송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시 오버헤드 채널 차단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국(20)과 기지국(30) 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단계(ST31)와;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제어국(20)과 상기 기지국(30) 간의 IPC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제 2 단계(ST32 ~ ST35)와; 상기 제 2 단계 후 비정상적인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40)들에게 SRM(Service Redirection Message)을 송신하는 제 3 단계(ST3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 2 단계는, 제 1 단계 후 수신(Rx) IPC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여 일정 주기 동안 일정 회수(예를 들면 3초 주기로 10회 연속)로 응답 백 시그널이 미수신 되는지 판별하는 단계(ST32)와; 상기 수신 IPC에서 응답 백 시그널이 미수신 되면,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IPC가 배드(Bad)인지 판별하는 단계(ST34)(ST35)와;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IPC가 배드(Bad)이면, 상기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 2 단계는, 제 1 단계 후 송신(Rx) IPC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여 일정 회수(에를 들면 5회 연속) 이상 연속적으로 호처리 프로세서(21)의 비정상 정보를 수신하는지 판별하는 단계(ST33)와; 상기 송신 IPC에서 일정 회수 이상 연속적으로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의 비정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IPC가 배드(Bad)인지 판별하는 단계(ST34)(ST35)와;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IPC가 배드(Bad)이면, 상기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시 오버헤드 채널 복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국(20)과 기지국(30)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제어국(20)간의 IPC가 정상이고 SRM 서비스가 수행되는지 판별하는 제 11 단계(ST41)(ST42)와; 상기 기지국(30)과 상기 제어국(20)간의 IPC가 정상이고 SRM 서비스가 수행되면, NDSS(Network Directed System Selection) 기능이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제 12 단계(ST43)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2G와 1X 오버레이 두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특정 세대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단절 또는 제어국의 호처리 프로세서의 비정상시 이를 처리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제어국(20)과 기지국(30)간 IPC 통신 상태 감시는 3초 주기로 호처리 프로세서(21)에서 송신하는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을 기지국(30)이 수신함으로써 IPC 통신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3초 주기로 10회 연속해서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기지국(30)의 프로세서와 제어국(20)의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수신 경로 배드(Rx Path Bad)가 발생한 것이다.
그러면 호처리 프로세서(21)에서 송신한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 내의 기지국(30)의 프로세서 상태가 5회 연속 비정상(Abnormal)이므로 기지국(30)과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송신 경로 배드(Tx Path Bad)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래서 호처리 프로세서(21)와 수신/송신 경로 배드(Rx/Tx Path Bad)가 발생하면 기지국(30)과 제어국(20)의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상태 점검을 수행한다.
기지국(30)과 제어국(20)의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상태가 배드(Bad)일 경우, 해당 비정상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40)들로부터 오리지네이션(Origination) 또는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정상적인 다른 세대 시스템으로 액세스(access)를 할 수 있도록 SRM(Service Redirection Message)를 송신한다.
또한 호처리 프로세서(21)가 기지국(30)으로부터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을 수신하게 되면, 호처리 프로세서(21)와 기지국(30) 내의 프로세서간의 IPC 상태를 정상(Normal)으로 천이시키고, NDSS(Network Directed System Selection) 기능을 자동 수행하여 기존 시스템으로 이동통신 단말기(40)에 대한 서비스를 되돌리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어국(20)과 기지국(30)간 IPC 통신 상태 감시는 3초 주기로 호처리 프로세서(21)에서 송신하는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을 기지국(30)이 수신함으로써 IPC 통신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2) 3초 주기로 10회 연속해서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기지국(30) 내의 프로세서와 제어국(20) 내의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수신 경로 배드(Rx Path Bad)가 발생한 것이고, 호처리 프로세서(21)에서 송 신한 응답 백 시그널(ANSWER BACK Signal) 내의 기지국 프로세서의 상태가 5회 연속 비정상이면, 기지국(30)의 프로세서와 호처리 프로세서(21) 간의 송신 경로 배드(Tx Path Bad)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3) 호처리 프로세서(21)와 수신/송신 경로 배드(Rx/Tx Path Bad)가 발생하면, 기지국(30)과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상태 점검을 수행한다.
4) 기지국(30)과 호처리 프로세서(21)간의 IPC 상태가 배드(Bad)일 경우, 해당 비정상 시스템에 등록된 단말기들로부터 오리지네이션(Origination) 또는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SRM을 자동 송신하여 정상적인 다른 세대 시스템으로 액세스를 할 수 있도록 한다.
5) 호처리 프로세서(21)가 기지국(30)으로부터 응답 백 시그널을 수신하게 되면 호처리 프로세서(21)와 기지국 프로세서간의 IPC 상태를 정상(Normal)으로 천이시키고 NDSS(Network Directed System Selection) 기능을 자동 수행하여 기존 시스템으로 단말 서비스를 되돌리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2G와 1X 오버레이 두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용되고 있는 환경에서 특정 세대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단절 또는 제어국의 호처리 프로세서의 비정상으로 인해 해당 시스템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에서 SRM을 자동 송출하여 다른 세대 시스템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은 특정 세대 시스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단절 또는 제어국의 프로세서가 비정상일 경우 SRM의 송/수신을 통하여 다른 세대 시스템으로의 액세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혼용중의 한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상기 제어국과 상기 기지국간의 IPC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비정상적인 시스템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들에게 SRM을 송신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제 1 단계 후 수신 IPC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여 일정 주기 동안 일정 회수로 응답 백 시그널이 미수신 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IPC에서 응답 백 시그널이 미수신 되면, 상기 기지국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간의 IPC가 배드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간의 IPC가 배드이면, 상기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제 1 단계 후 송신 IPC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여 일정 회수 이상 연속적으로 호처리 프로세서의 비정상 정보를 수신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IPC에서 일정 회수 이상 연속적으로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의 비정상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지국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간의 IPC가 배드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과 상기 호처리 프로세서간의 IPC가 배드이면, 상기 제 3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4.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IPC 통신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어국간의 IPC가 정상이고 SRM 서비스가 수행되는지 판별하는 제 11 단계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제어국간의 IPC가 정상이고 SRM 서비스가 수행되면, NDSS 기능이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제 12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KR1020040082133A 2004-10-14 2004-10-14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KR20060033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133A KR20060033166A (ko) 2004-10-14 2004-10-14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133A KR20060033166A (ko) 2004-10-14 2004-10-14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166A true KR20060033166A (ko) 2006-04-19

Family

ID=3714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133A KR20060033166A (ko) 2004-10-14 2004-10-14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31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93B1 (ko) * 2006-05-25 2007-09-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와 cdma-2000 간의 서비스모드 전환 방법 및시스템
KR101849670B1 (ko) * 2017-10-23 2018-04-17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유지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193B1 (ko) * 2006-05-25 2007-09-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와 cdma-2000 간의 서비스모드 전환 방법 및시스템
KR101849670B1 (ko) * 2017-10-23 2018-04-17 (주)경인씨엔에스 네트워크 감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의 유지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0733B2 (en) Method for improving handover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CA2247190C (en) Coexisting gsm and cdm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EP2512195B1 (en) Measurement gaps triggering for a multi SIM mobile device
EP1142407B1 (en) Broadcasting of two generation cellular system control channel information over a three generation control channel to support roaming and handover to two generation cellular networks
US62954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mmunicat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EP199725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2247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DMA soft handoff for dispatch group members
US68768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handover using location information
US8848652B2 (en) Method and multimode terminal for minimizing mute interval
US69903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necting a mobile station to an emergency operator
WO1997014261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hyperband cell interoperability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469687B1 (ko) 셀룰러 네트워크의 단말기에서 신호의 파워 레벨 측정을 개시하는 방법 및 단말기
KR10086066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절단 방지 장치 및 방법
EP1908321B1 (en) Method to detect a user equipment stuck on a dedicated channel
WO2008108696A1 (en) A mobile station with a semi-active mode
KR20060033166A (ko)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오버헤드 채널 처리 방법
CA2330509A1 (en) Use of immediate handover to achieve multi-head zones
JPH115574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US2010017891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Initiated Re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964658B1 (ko) Gp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모드 서비스처리방법
US6714786B2 (en) Method for preventing forward telecommunication distortion in soft handoff
KR2000000230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서비스의 동적제어 방법
EP431947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KR10155599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198149B1 (en) Method for preventing droppe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