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994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994B1
KR101555994B1 KR1020080080552A KR20080080552A KR101555994B1 KR 101555994 B1 KR101555994 B1 KR 101555994B1 KR 1020080080552 A KR1020080080552 A KR 1020080080552A KR 20080080552 A KR20080080552 A KR 20080080552A KR 101555994 B1 KR101555994 B1 KR 10155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load
load control
transmission
contro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893A (ko
Inventor
허행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9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제어기와 연관된 교환기 또는 SGSN에 발생하는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부하 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부하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을 확인할 경우, 해당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시킴으로써, 발생한 부하를 줄이도록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메시지 전송 요청시 최대 메시지 전송 갯 수를 나타내는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이 발생할 경우, 부하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판단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메시지 전송 갯 수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부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을 차단하는 부하 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부하 제어부를 포함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부하 증가로 인한 외부 시스템과 망 전체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보다 빠른 시간에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부하 제어, 메시지 전송, Load, 기지국 제어기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AD CONTROL OF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라 발생한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제어기와 연관된 교환기 또는 SGSN에 발생하는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부하 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부하 발생 유무를 판단하는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을 확인할 경우, 해당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시킴으로써, 발생한 부하를 줄이도록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 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는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시스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원접속) 시스템,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 가입자 망), CDMA2000-1x,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범세계 이동통신)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시스템 등이 있다.
그리고 제 3 세대 비동기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은 유럽식 표준인 GSM에서 진화한 제 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써, GSM 핵심을 기본으로 하여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에 WCDMA 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비동기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동되는 교환기 및 SGSN을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Node B)는 Uu 인터페이스 상에서 물리 계층의 역할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담당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서 전달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무선 물리 채널들을 설정하고,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UTRAN(UMTS Radio Access Network)의 무선 자원을 동 적을 할당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 내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상기 UTRAN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적절한 노드로 전달하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동되는 교환기는 물리적으로 같은 장비에 위치해 있을 수 있으며, 회선 교환 접속을 관리하고, 위치 정보 갱신(Location Update), 위치 정보 등록(Location Registration), 호출(Paging) 등의 이동성 관리와 더불어 데이터의 보안(Security)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동되는 SGSN은 UTRAN으로 향하는 패킷교환 서비스를 관리하고 지원한다. 그리고 패킷교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해 라우팅 영역 갱신(Routing Area Update), 위치 정보 등록, 호출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비동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과부하가 발생하면 WCDMA 교환 시스템에 과부하 정도를 통보하고 이를 수신한 MSC 와 SGSN은 해당 RNC에 부가되는 페이징(Paging) 요구 부하를 등급에 맞게 조정하는 기지국 제어기 연계 과부하 제어 기능과 지능망 서버로부터 호 차단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그 값에 따라 착신 주소별 지능망 호를 일정 시간 동안 정해진 수만큼 만 허용하는 지능망 Call Gapping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비동기 통신 시스템의 부하 제어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에 대한 페이징 요구 부하와 지능망 호 부하에 대한 제어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지능망 자동 호 차단 기능은 특정 지능망 서버로부터 수신한 값에 따라 제어 하기 때문에 특정 지능망 서버나 서비스에 대한 자동 차단은 가능하지만 이동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장애로 인해 비동기 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연동 시스템으로의 서비스 요구 메시지 부하의 신속한 감소가 필요한 경우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발생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여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허용 갯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을 확인할 경우, 부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제어 과정 수행을 위한 메시지 허용 갯수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메시지 전송 요청시 최대 메시지 전송 갯 수를 나타내는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이 발생할 경우, 부하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판단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메시지 전송 갯 수를 증가시키고, 반대로 부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을 차단하는 부하 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부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메시지 전송 요청시 최 대 메시지 전송 갯 수를 나타내는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부하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판단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메시지 전송 갯 수를 증가시키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이 발생할 경우, 상기 부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을 차단하는 부하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발생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여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메시지 허용 갯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을 확인할 경우, 상기 메시지 전송을 차단함으로써,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부하 증가로 인한 외부 시스템과 망 전체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보다 빠른 시간에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발생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여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으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허용 갯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을 확인할 경우, 부하 발생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부하 발생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여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 기지국(110), 기지국 제어기(RNC ; Radio Network Controller)(120),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30) 및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본 발명에 따라 부하 발생시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는 부하 제어부(1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기지국(Node B)(110)는 Uu 인터페이스 상에서 물리 계층의 역할을 수행하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담당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에서 전달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무선 물리 채널들을 설정하고, 상위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11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의 상 위 계층 프로토콜로 전달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UTRAN(UMTS Radio Access Network)의 무선 자원을 동적을 할당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 내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상기 UTRAN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적절한 노드로 전달하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핵심 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핵심 망을 통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의 접속점(Access Point)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와 연동되는 교환기(130) 또는 SGSN(140)으로의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 발생을 확인할 경우,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의 부하 제어부(122)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의 제어를 받아 상기 교환기(130) 또는 SSGN(140)의 부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부하 제어부(122)는 메시지 허용 갯 수 즉, 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값 이상의 메시지 전송 시도를 확인할 경우, 부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해당 부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부하 제어부(122)는 주기적인 부하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메시지 허용 갯 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와 연동되는 교환기(130)는 물리적으로 같은 장비에 위치해 있을 수 있으며, 회선 교환 접속을 관리하고, 위치 정보 갱신(Location Update), 위치 정보 등록(Location Registration), 호출(Paging) 등의 이동성 관리와 더불어 데이터의 보안(Security)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와 연동되는 SGSN(140)은 UTRAN으로 향하는 패킷교환 서비스를 관리하고 지원한다. 그리고 패킷교환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해 라우팅 영역 갱신(Routing Area Update), 위치 정보 등록, 호출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상기 부하 제어부(122)의 역할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발생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여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하 발생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여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허용 갯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을 확인할 경우, 부하 발생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기에서 부하 발생시 메시지를 차단하여 부하를 줄이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먼저 201단계에서 메시지 전송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이벤트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와 연동되는 교환기(130) 또는 SGSN(140)을 통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말한다.
만일, 상기 메시지 전송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2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메시지 전송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분석한 후, 205단계로 진행하여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는 메시지 전송시 시스템 부하에 따라 메시지 유실이 발생할 경우, 시스템에 악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메시지를 말한다. 또한,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와 연동되는 교환기(130) 또는 SGSN(140)를 통해 처리되는 메시지로 상기 교환기(130) 또는 SGSN(140)의 부하가 발생하여 메시지 처리가 지연될 수 있는 메시지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는 도 3과 같이 부하 제어 모드(301), 메시지 허용 갯 수(303), 복구 임계값(30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의 부하 제어 모드(301)는 상기 부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ACT정보, 상기 부하 제어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DACT정보, 부하가 발생함을 알리는 ALAM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303)는 제어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 한 기준 값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복구 임계값(305)은 상기 발생한 부하가 복구되는 시기를 판단하는 기준 값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에서, 상기 복구 임계값은 정상 복구 시간 및 정상 복구 전송 시도 수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 임계값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할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만약,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가 아님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 후, 225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임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증가시킨 후, 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07단계에서 증가한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가 미리 정한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인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는 부하 제어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으로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확인할 경우, 상기 교환기(130) 또는 SGSN(140)의 부하가 발생하여 부하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 미만의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확인할 경우, 상기 교환기(130) 또는 SGSN(140)의 부하가 발생하지 않아 부하 제어가 필요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 미만의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확인할 경우, 즉, 상기 교환기(130) 또는 SGSN(140)의 부하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23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전송을 처 리한 후,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2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확인할 경우, 즉, 상기 교환기(130) 또는 SGSN(140)의 부하가 발생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부하 제어 모드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부하 제어 모드는 상기 발생한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메시지 전송을 차단시키는 부하 제어 활성화 모드와 상기 발생한 부하를 줄이지 않고 부하 발생을 알리는 부하 알림 모드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부하 제어 모드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213단계에서 부하 제어 기능 활성화를 확인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메시지 전송을 차단한 후, 217단계로 진행하여 부하 제어 정보를 갱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부하 제어 정보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에서 부하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인 메시지 허용 갯 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동안 확인한 부하 정보를 말한다. 즉,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도 4와 같이 도시한 일정 시간동안 발생한 부하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메시지 허용 갯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13단계에서 부하 제어 기능 활성화 모드가 아님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부하 제어 알림 기능이 활성화되었 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219단계에서 부하 제어 알림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다시 말해서 부하 제어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223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를 전송한 후, 225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2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219단계에서 부하 제어 알림 기능이 활성화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221단계로 진행하여 부하 상태 알림 즉, 부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217단계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는 메시지 전송시 시스템 부하에 따라 메시지 유실이 발생할 경우, 시스템에 악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메시지 또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동되는 교환기 또는 SGSN를 통해 처리되는 메시지로 상기 교환기 또는 SGSN의 부하가 발생하여 메시지 처리가 지연될 수 있는 메시지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는 부하 제어 모드(301), 메시지 허용 갯 수(303), 복구 임계값(30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의 부하 제어 모드(301)는 상기 부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하는 ACT정보, 상기 부하 제어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하는 DACT정보, 부하가 발생함을 알리는 ALAM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부하 제어 기능을 활성화하는 ACT 모드는 부하가 발생한 시점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모드이고, 상기 부하 제어 기능을 비활성하도록 하는 DACT 모드는 상기 부하가 발생하더라도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모드이고, 상기 ALAM 모드는 부하 발생시 실질적인 부하 제어를 위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지는 않지만 부하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여 수동적으로 부하 제어 기능의 필요함을 알리는 모드를 말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303)는 제어 기능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복구 임계값은 상기 발생한 부하가 복구되는 시기를 판단하는 기준 값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여기에서,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303)는 일정 시간동안 발생한 부하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구 임계값(305)은 정상 복구 시간 및 정상 복구 전송 시도 수를 포함하며 상기 부하 제어에 따라 정상 모드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부하 발생 시점에서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가 감소한 시점이 아니라 일정 갯 수 이상 즉, 정상 복구 시도 수 미만의 메시지 전송 시도 갯 수를 확인할 때까지 기다려야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제어 정보를 도시한 도 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부하 제어 정보는 메시지 허용 갯 수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즉, 기지국 제어기(120)는 주기적으로 상기 부하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메시지 허용 갯 수를 설정한다.
상기 부하 제어 정보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정보 수집 중인 부하 정보의 위치(예 ; 위치 2)를 갱신한 후, 다음 위치(예 ; 위치 3)에 부하 정보를 수집하여 입력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최대 위치(max)에 상기 부하 정보를 설정한 후, 최초 위치(위치 0)에 상기 부하 정보를 수집하여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일정 시간 동안 확인한 부하 제어 정보를 확인하여 메시지 허용 갯수를 설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기에서 부하 제어 기능을 해제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먼저 501단계에서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한 후, 503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 전송 갯 수가 복구 임계값 이하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복구 임계값 이상의 메시지 전송 갯 수를 확인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기(120)는 상기 5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복구 임계값 미만의 메시지 전송 갯 수를 확인할 경우, 즉, 교환기 또는 SGSN의 부하가 일정 양 만큼 줄어들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 기(120)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부하 제어 모드를 해제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부하 발생시 메시지 전송을 차단하여 해당 부하를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기에서 부하 발생시 메시지를 차단하여 부하를 줄이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하 제어 정보를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기에서 부하 제어 기능을 해제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13)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를 확인하고,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미리 정의된 전송 허용 개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한 후, 미리 정의된 시간동안 미리 정의된 개수 미만의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부하 제어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부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는 메시지 전송 시 시스템 부하에 따라 메시지 유실이 발생하는 것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부는,
    메시지 전송시마다 메시지 전송 시도 개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메시지 전송 시도 개수와 상기 미리 정의된 전송 허용 개수를 비교하여 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부는,
    전송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에 대한 부하 제어 모드를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부는,
    전송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미리 정의된 전송 허용 개수를 확인하도록 처리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부는,
    전송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부하 제어 모드 해제를 위한 메시지 개수를 확인하도록 처리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는,
    기지국 제어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부하 발생시 동작해야하는 제어 모드, 제어 모드의 동작 시점에 대한 정보, 제어 모드 해제 시점에 대한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부는,
    상기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한 동안 요청되는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미리 정의된 전송 허용 개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
    상기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한 후, 미리 정의된 시간동안 미리 정의된 개수 미만의 메시지 전송이 요청되면, 상기 부하 제어 모드를 해제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부하 제어가 필요한 메시지는 메시지 전송 시 시스템 부하에 따라 메시지 유실이 발생하는 것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시마다 메시지 전송 시도 개수를 증가시키는 과정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시도 개수와 상기 미리 정의된 전송 허용 개수를 비교하여 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부하 발생시 동작해야하는 제어 모드 정보, 메시지에 대한 전송 허용 개수 정보, 메시지에 대한 제어 모드 해제 정보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은,
    상기 부하 제어 모드가 해제되기 전까지 요청되는 메시지의 전송을 차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은,
    미리 정의된 전송 허용 개수 이상의 메시지 전송이 요청된 메시지를 분석하는 동작과,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하지 않도록 설정된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부하 제어 모드로 진입하지 않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80080552A 2008-08-18 2008-08-1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5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552A KR101555994B1 (ko) 2008-08-18 2008-08-1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552A KR101555994B1 (ko) 2008-08-18 2008-08-1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893A KR20100021893A (ko) 2010-02-26
KR101555994B1 true KR101555994B1 (ko) 2015-09-25

Family

ID=4209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552A KR101555994B1 (ko) 2008-08-18 2008-08-18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116B1 (ko) * 2010-07-28 2016-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과부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893A (ko)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836B1 (ko) 실시간 및 비-실시간 통신들을 지원하는 셀룰러 무선시스템에서의 접속 재-설정 최적화 방법 및 장치
US7925233B2 (en) Methods for handling measurement repor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887822B1 (en) A method for acquiring system information by a mobile station
US75585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etting physical channel
EP3562207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0681403B1 (ko)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동국
EP2009933B1 (en)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domain access restricting method
GB2431070A (en) Cell chang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CN104221423A (zh) 管理高网络负载情况的网络控制的自适应终端行为
KR10199227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 제어를 위한 rrc 연결 방법
US20080039106A1 (en) Re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Radio Access Network And A Mobile Station
CN101142766A (zh) 用于管理网络节点过载的方法和其系统
EP1993315B1 (en) Method of managing queuing oper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WO2004071121A2 (en)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network
KR10086066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절단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00060326A (ko) 이동통신단말의 접속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접속차단 제어장치 및 방법
EP1627495B1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for packet data communication
KR10155599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에 따른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581859A (zh) 无线通讯的业务处理方法及装置
EP1525487B1 (en) Method and system that improves interoperability of a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a base station in cellular system with downlink congestion control
US20120243401A1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2025245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ntroll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EP2442613A1 (en) Call control system and call control method
EP2426967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switch center for legal list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