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886A -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886A
KR20060032886A KR1020040081888A KR20040081888A KR20060032886A KR 20060032886 A KR20060032886 A KR 20060032886A KR 1020040081888 A KR1020040081888 A KR 1020040081888A KR 20040081888 A KR20040081888 A KR 20040081888A KR 20060032886 A KR20060032886 A KR 20060032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ingerprint
information
client
digita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1740B1 (ko
Inventor
김진호
유원영
서용석
이선화
서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8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740B1/ko
Priority to PCT/KR2004/003035 priority patent/WO2006041233A1/en
Priority to US11/575,884 priority patent/US20080256647A1/en
Publication of KR2006003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핑거프린트(fingerprint)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image),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또는 구매 등의 유통과정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판매될 때, 핑거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해당 구매자의 정보를 삽입한다. 해당 콘텐츠 구매자가 불법복제를 한 후, 인터넷이나 파일 공유 서버인 P2P(Peer to Peer) 서버 등에서 무단으로 배포하는 경우, 검색기를 이용하여 불법복제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콘텐츠에 삽입된 핑거프린트 정보로부터 불법복제한 구매자를 추적할 수 있다.
불법복제, 무단배포, 구매자 추적, 핑거프린트(fingerprint), 핑거프린트 삽입, 핑거프린트 추출, DRM, 암호화

Description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ILLEGALLY COPIED CONTENTS ON THE BASIS OF FINGERPRI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클라이언트,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 및 콘텐츠 검색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방법의 처리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클라이언트 13 : DRM 서버
14 : 콘텐츠 매매정보 DB 15 :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
16 : 인터넷/P2P 17 : 콘텐츠 검색기
18 : 불법복제 판단부 19 : 불법복제 신고센터
본 발명은 핑거프린트(fingerprint)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지(image),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 또는 구매 등의 유통과정에서 디지털 콘텐츠가 판매될 때, 핑거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해당 구매자의 정보를 삽입하고, 해당 콘텐츠 구매자가 불법복제를 한 후 인터넷이나 파일 공유 서버인 P2P(Peer to Peer) 서버 등에서 무단으로 배포하는 경우, 검색기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를 찾아내어 콘텐츠에 삽입된 핑거프린트 정보로부터 불법복제한 구매자를 추적할 수 있는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는 손쉽게 복제되어 인터넷이나 P2P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불법적으로 배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를 가공 및 판매하는 사람에게는 불법복제가 자신의 사업을 가장 위협하는 행위가 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막기 위하여, 콘텐츠 판매 또는 구매시 인증된 환경하에서 콘텐츠 구매행위가 일어나도록 콘텐츠를 패키징 및 암호화하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 콘텐츠가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지 않도록 하거나 프린트되지 않도록 제한을 두는 DPP(Digital Property Protection) 기술, 콘텐츠 내에 판매자 또는 콘텐츠 저작권자의 정보를 눈에 띄지 않게 삽입하는 워터 마킹(watermarking) 기술 등이 기존에 개발되어 왔다.
상기 기술들 중에서 DRM 기술이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DRM의 하드웨어 환경은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를 지원하는 DRM 서버와,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며, 라이센스에 의한 구매자 인증, 콘텐츠 구매시 저작권과 구매승인 내역 관리, 콘텐츠 구매시 사용권리와 방법 설정, 클리어링 하우스에 의한 구매 결재, 콘텐츠의 패키징과 암호화 및, 콘텐츠 재배포(superdistribution) 허용 등의 기능이 수행된다. 이러한 DRM 인증 환경에서는 모든 디지털 콘텐츠가 패키징 및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불법복제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들 사이에서 재배포되는 디지털 콘텐츠도 암호화된 상태이므로, 불법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해당 DRM 서버에 접속하여 구매 인증절차를 수행한 다음, 적법한 구매를 하여야만 암호를 풀 수 있는 키(key)와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RM 기술의 대표적인 특징은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구매자에게 전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구매자가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DRM 서버로부터 암호를 풀 수 있는 키와 사용허가(license)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에도 구매자가 콘텐츠를 사용하는 순간에는 암호가 풀린 상태로 된다. 이 때, 이미지,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capture)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면,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 콘텐츠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사운드 콘텐츠가 원본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캡처를 방지하기 위하여, DRM 업체는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항상 기존의 캡처 방지 방식에 대응하여 새로운 캡처 기술이 개발되므로, 콘텐츠 캡처를 방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불법복제자들이 캡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DRM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기술을 해킹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캡처 도구를 사용하여 불법복제를 하는 이유는 DRM 에서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을 해킹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존에 암호화된 콘텐츠가 해킹당한 사례는 암호화되기 전의 콘텐츠가 저장된 서버에 침입하여 콘텐츠를 훔치거나, 암호가 풀려 모니터 혹은 스피커로 출력되는 콘텐츠를 캡처 도구를 이용하여 저장한 경우에 발생하였다.
암호가 해독된 콘텐츠를 캡처 도구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상에서 쉽게 입수할 수 있는 오디오 콘텐츠 캡처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적법한 구매자가 오디오 콘텐츠를 구매하면 암호를 풀 수 있는 키(key)도 함께 수령한다. 콘텐츠 판매업자는 일반적으로 이미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각각 jpeg, mp3 또는 mpeg 등의 압축된 파일 형태로 서비스한다. 콘텐츠를 압축하는 이유는 압축되기 전보다 파일 크기가 수십분의 일로 감소되어 한정된 하드디스크 공간에 보다 많은 콘텐츠가 저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콘텐츠의 서비스에 필요한 네트워크의 부하 즉, 전송속도 및 용량도 압축율만큼 줄 어드는 잇점이 있다. 구매자는 코덱(codec)으로 불리우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용 압축복원기를 PC에 미리 내장하여 이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압축을 해제한 후, 그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코덱은 DRM의 인증 영역 밖에 있으므로 DRM에서 제어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암호화된 콘텐츠는 코덱에서 처리되기 전에 암호가 풀려야 한다. 이 때, 캡처 도구를 사용하면, 코덱으로 들어가는 암호가 해제된 콘텐츠가 캡처되어 복사본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얻어지는 콘텐츠는 암호가 해제된 압축 콘텐츠이다. 그리고, 코덱의 출력은 오디오나 비디오 플레이어로 들어가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며, 이 때에도 캡처 도구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캡처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콘텐츠는 코덱의 출력이므로 복원된 콘텐츠이다.
mp3 등의 오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암호가 해제된 오디오 콘텐츠가 오디오 코덱으로 입력되기 직전에 적절한 캡처 도구를 이용하여 원본과 동일한 오디오 콘텐츠의 복사본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어 스피커로 입력되기 직전의 오디오 콘텐츠는 압축 원본과 비교해 볼때 파일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지만, 압축 오디오 파일 형식인 mp3 파일로 변환할 수 있는 여러가지 압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재압축하면, 상기 오디오 콘텐츠는 원본과 동일한 mp3 타입의 파일로 변환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mp3 타입이라고 하더라도 원본과 동일한 파일은 아니며, 음질은 거의 비슷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암호가 해제된 오디오 콘텐츠가 오디오 코덱으로 입력되기 직전에 캡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콘텐츠의 복사본을 저장할 수 있거나, 코덱에서 출력되어 스피커로 입력되기 직전에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여 원 본과 유사한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mpeg 등의 비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는 과정도 상기 오디오 콘텐츠를 캡처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디오 콘텐츠를 정당하게 구매하고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키를 수령한다. 암호가 풀린 비디오 콘텐츠가 비디오 코덱으로 입력되기 직전에, 적절한 비디오용 캡처 도구를 이용하면 원본과 동일한 비디오 콘텐츠의 복사본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코덱에서 출력되어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거쳐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기 바로 전의 비디오 데이터는 압축 원본과 비교해 볼 때, 파일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비디오 파일 형태의 mpeg 파일로 변환할 수 있는 여러가지 압축기를 이용하여 재압축하면, 원본과 동일한 mpeg 타입의 파일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동일한 mpeg 타입이라고 해서 원본과 동일한 파일은 아니지만, 화질은 거의 비슷한 파일이 얻어진다. 이렇게 캡처된 이미지,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는 음질 혹은 화질이 원본 데이터와 거의 유사하므로, 불법복제자가 캡처한 데이터를 인터넷 또는 P2P 서버로 배포하면, 사람들이 해당 콘텐츠를 유료로 구매하지 않고 복사본을 사용하게 된다.
현재의 DRM 방식에는 이미 알려진 캡처 도구에 대응하는 기법을 도입하여 이와 같은 불법복제를 최대한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압축을 해제하기 위해 코덱으로 입력되는 압축 콘텐츠를 중간에서 가로채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캡처 도구에 관한 기술도 DRM에서의 불법복제 방지 기술을 회피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나 모니터로 출력되기 바로 전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DRM에서 복사방지를 위한 제어가 어려우므로, 비록 파일 크기는 크지만, 스피커나 모니터로 출력되기 바로 전의 데이터를 캡처하여 재압축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이것은 암호화된 콘텐츠라 하더라도 구매자가 사용할 때는 암호가 해제되어야만 한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즉, DRM 방식의 장점은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것이지만, 콘텐츠 구매자가 구입하여 사용할 때에는 최종적으로 암호가 풀려야 하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콘텐츠 구매자가 암호를 해제한 취약한 순간에 캡처 도구에 의한 콘텐츠의 불법복제가 가능하며, DRM 방식은 이러한 불법복제까지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는 않다.
상기 설명된 DRM 방식의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워터마킹(watermarking)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워터마킹 방식은 저작권 정보를 눈에 띄지 않게 또는 귀에 들리지 않게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는 기술이다. 워터마크의 삽입은 원본 콘텐츠에 미미한 수정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미지 콘텐츠의 경우, 화면의 복잡한 부분을 약간 수정하더라도 인간은 원본 이미지와 변경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쉽게 구별할 수 없다. 오디오 콘텐츠의 경우, 소리의 변화가 큰 부분을 약간 수정하더라도 인간은 원본 오디오와 수정된 오디오를 청각적으로 쉽게 구별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원본 콘텐츠를 미세하게 수정하여 저작권 정보를 콘텐츠에 삽입하는 워터마킹 방법은 콘텐츠의 데이터를 직접 조작하는 공간영역(spatial domain) 워터마킹 방식과, 콘텐츠 데이터를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나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등의 주파수영역(frequency domain)으로 변환시켜 변환된 영역의 계수값을 수정하는 주파수영역 워터마킹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최근에는 주파수영역 워터마킹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된 워터마크 정보는 압축, 신호처리, 기하학적 변환 등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캡처 도구에 의해 압축이 해제된 콘텐츠가 복제되어 다시 압축되더라도, 상기 삽입된 워터마크 정보는 압축 과정을 견디어 콘텐츠에 남아 있다. 따라서, 저작권자는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를 추출하여 자신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증거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워터마킹 방식의 단점은 콘텐츠에 삽입되는 워터마크 정보가 저작권 정보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만약,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자가 자신의 저작권 정보를 워터마크를 통해 콘텐츠에 삽입하여 판매하고 여러 구매자 중 일부가 이 콘텐츠를 불법복제한 경우, 콘텐츠 판매자가 상기 콘텐츠가 불법복제 되었음을 나중에 알게 되더라도 많은 구매자 중에서 누가 콘텐츠를 불법적으로 복제하였는지를 추적할 수가 없다. 저작권자는 불법복제된 콘텐츠로부터 저작권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복제된 콘텐츠가 자신의 것임을 주장할 수 있을 뿐이다. 즉, 워터마킹 방식은 불법복제자를 추적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저작권의 보호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않다.
한편,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추적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15742호(공개일 : 2003년 2월 25일)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복제 및 무단배포 추적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 특허 1에 따르면, 불법저작물 추적 프로그램인 클라이언트 에이전트가 클라이언트의 PC에 인스톨되고, 상기 클라이언트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불법복제된 저작물을 액세스하는 것을 감시 또는 추적한다. 상기 선행 특허 1의 기술은 클라이언트 에이전트의 사용자 PC로의 인스톨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51376호(공개일 : 2003년 6월 25일)에는 "적응형 에이전트 기반의 디지털지적재산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 특허 2에 따르면, 저작권자로부터 위임받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장 및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가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에는 적응형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적법한 불법복제를 감시한다. 따라서, 상기 선행 특허 2의 기술에서도 사용자 단말기에 적응형 에이전트를 설치해야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 과정에 있어서, 정당하게 판매된 디지털 콘텐츠를 최초로 불법복제한 사람이 가장 잘못이 크며, 일반적으로 최초의 불법복제자는 복제한 디지털 콘텐츠를 인터넷 또는 P2P 서버를 통해 다수의 사람에게 배포시킨다.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 1 및 2의 기술은 단지 현재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감시하거나,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가 인터넷 또는 P2P 서버를 통해 배포되는 것을 감시할 뿐이다. 즉, 가장 처벌받아야 할 최초의 불법복제자를 추적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책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매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 데이터로서 변환된 구매자 정보를 삽입하고, 인터넷 또는 P2P 서버에서 유포되는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 핑거프린트를 추출하여 구매자 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요청을 전송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핑거프린트 생성을 위한 고유의 구매정보를 제공하여 핑거프린트를 수신하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에 상기 수신된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는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의 구매요청에 따라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의 판매 및 구매와 관련된 매매정보를 출력시키는 DRM 서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콘텐츠 매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로부터 핑거프린트 생성을 위한 판매자 고유의 정보를 판매정보로서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콘텐츠 매매정보 DB;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로부터 수신된 판매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
인터넷의 각종 사이트 및 P2P 서버를 검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 이를 추출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검색정보와 함께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에 출력하는 콘텐츠 검색기; 및,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매매정보와 불법복제의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판매업자가 해당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매자의 불법복제를 허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해당 콘텐츠의 검색정보, 판매자 및 구매자 정보를 불법복제의 증거로서 소정의 불법복제 신고센터에 전송하는 불법복제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는 상기 콘텐츠 검색기로부터 수신된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의 판매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판매정보를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에 전송하고, 상기 불법복제된 콘텐츠의 검색정보를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는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로부터 수신된 판매정보로부터 상기 불법복제된 콘텐츠의 매매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매매정보에 부가된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검색된 매매정보와 함께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방법은,
(a)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콘텐츠의 판매 및 구매에 관련된 매매정보를 판매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매매된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고유 구매정보를 수신하여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상기 판매된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d) 인터넷의 각종 사이트 또는 P2P 서버를 검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추출된 핑거프린트에 대응하는 매매정보를 상기 판매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검색된 매매정보와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불법복제 처벌 여부를 판단하고, 처벌이 필요할 경우, 불법복제된 콘텐츠의 검색정보, 상기 매매정보를 소정의 행정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 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은, 인터넷 또는 P2P 서버(16)에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클라이언트(11, 12),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서버(13), 콘텐츠 매매정보 DB(14),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 콘텐츠 검색기(17) 및 불법복제 판단부(18)를 포함하며,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18)는 불법복제 신고센터(19)에 복법복제와 관련된 판매자/구매자/검색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에는 다수의 클라이언트(client)(11, 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11, 12)는 DRM 서버(13)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전송하며, DRM 서버(13)는 상기 구매 요청에 대응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해당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어느 한 클라이언트(11)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를 다른 클라이언트(12)에 전송할 수 있으며, 다른 클라이언트(12)로부터 그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각 클라이언트(11, 12)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하여 DRM 서버(13)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여 암호를 해제할 수 있는 키(key)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DRM 환경에서는 재배포(superdistribution)라고 일컬어지며, 재배포는 콘텐츠 판매를 촉진시키는데 기여한다.
상기 DRM 서버(13)는 클라이언트(11, 12)의 구매 요청에 따라 암호화된 콘텐 츠를 해당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DRM 서버(13)는 콘텐츠의 판매 및 구매와 관련된 매매정보를 콘텐츠 매매정보 DB(14)에 전송한다. 상기 매매정보는 DRM 서버(13)를 운영하는 콘텐츠 판매자의 판매 관리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판매자명, 구매자명, 콘텐츠명, 콘텐츠 사용권한 정보,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한 클라이언트의 인터넷 주소, 판매날짜, 판매금액 등을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는 DRM 서버(13)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매매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로부터 핑거프린트 생성을 위한 판매자 고유의 정보를 판매정보로서 추출하여 이를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에 전송한다.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에서의 구매시, 판매자는 구매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구매자 개인 및 판매자 정보를 외부에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만약, 판매자가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를 보유하지 않고 외부 전문기관에 의해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가 운용될 경우에는,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가 콘텐츠 매매정보를 모두 알 수 없도록 핑거프린트 생성에 필요한 일부의 콘텐츠 매매정보만 판매정보로서 제공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로 전송되는 판매정보, 이 판매정보에 해당하는 매매정보 및, 이 판매정보에 해당하는 핑거프린트는 서로 대응관계에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11, 12)가 상기 DRM 서버(13)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제하고 핑거프린트가 삽입되도록 해야 한다. 클라이언트(11, 12)는 이러한 핑거프린트의 생성을 위해 각 클라이언트 고유의 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에 전송한다.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는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로부터 판매정보를 수신하고 각 클라이언트(11, 12)로부터 구매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판매정보와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핑거프린트는 판매정보 및 구매정보와 함께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 내부의 DB에 저장됨과 동시에, 구매정보를 보낸 클라이언트에 전송된다.
상기 클라이언트(11, 12)는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로부터 수신한 핑거프린트를 미리 구매한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한다. 상기 핑거프린트가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되는 과정은 DRM 시스템에 의해 안전하게 보장되며, 구매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구매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핑거프린트가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11, 12)에서는 정상적으로 구매된 디지털 콘텐츠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재배포된 디지털 콘텐츠가 캡처 도구 등을 이용하여 불법적으로 복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불법적으로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는 P2P 사이트 등과 같은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검색기(17)는 인터넷의 각종 사이트 및 P2P 서버를 검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하며, 수집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콘텐츠 검색기(17)는 해당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한 인터넷 사이트 주소, P2P 서버 주소 등의 검색정보를 상기 추출된 핑거프린트와 함께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로 전송한다.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는 상기 콘텐츠 검색기(17)로부터 수신된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내부 DB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수신된 핑거프린트의 판매정보를 찾는다. 해당하는 판매정보가 발견되면,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는 발견된 판매정보를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에 전송한다.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는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로부터 수신된 판매정보에 해당하는 매매정보의 검색을 수행하며, 검색된 매매정보는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18)로 전송된다. 이 때, 매매정보로부터 해당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허가를 받지 않은 불법적으로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인 경우에도, 판매업자의 영업 전략에 따라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를 홍보 차원에서 허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서는 불법적으로 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정보가 판매업자에 의해 미리 콘텐츠 매매정보에 부가될 수 있다. 다만, 구매자에 의한 콘텐츠 불법복제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경고성 메일 등을 구매자에게 보내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는 검색된 매매정보와 함께 불법복제 허용 여부에 대한 판매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를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18)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18)는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로부터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매매정보와 불법복제의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콘텐츠가 불법복제된 것이라 하더라도 판매업자가 영업 전략상 해당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허용한다면, 해당 콘텐츠의 구매자 즉, 불법복제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에게는 어떠한 제재조치도 가해지지 않는다.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해 구매자에 대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18)는 해당 콘텐츠의 검색정보, 판매자 및 구매자 정보 등을 불법복제의 증거로서 불법복제 신고센터(19)에 전송하며, 상기 불법복제 신고센터(19)는 상기 증거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를 불법복제한 구매자를 추적하여 해당 불법복제 행위에 대한 적절한 처벌을 가하게 된다.
상기 불법복제 신고센터(19)는 본 발명에 속하는 직접적인 시스템 구성이 아니며, 경찰청의 사이버 수사대 등과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외부에 존재하는 행정기관 또는 그들이 운영하는 사이트가 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에서 클라이언트(11),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 및 콘텐츠 검색기(17)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11)는 DRM 보호영역(111), 압축복원기 및 플레이어(112), 콘텐츠 출력기(113)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도 3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상기 콘텐츠 검색기(17)는 인터넷이나 P2P 서버에 접속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하기 위한 콘텐츠 수집기(171)와, 수집된 콘텐츠로부터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핑거프린트 추출기(172)로 구성된다. 상기 콘텐츠 수집기(171)는 운용자의 운용 방식에 따라 임의의 인터넷 사이트나 P2P 서버에 접속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할 수도 있고, 콘텐츠의 특정 이름을 지정하여 상기 사이트나 서버 등에서 해당 콘텐 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불법복제된 콘텐츠는 원래의 파일명이 변경되었을 수도 있고,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파일 확장자가 변경되었을 수도 있다. 상기 콘텐츠 수집기(171)는 수집된 콘텐츠의 파일명이나 확장자와는 무관하게 파일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 별로 수집된 콘텐츠를 분류하며, 그 다음으로 상기 분류된 콘텐츠의 종류별로 해당 종류의 핑거프린트 추출기(172)로 보낸다. 즉, 수집된 모든 콘텐츠는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 별로 상기 핑거프린트 추출기(172)에 전송되어 해당 콘텐츠 내부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는지 검사된다. 만약,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콘텐츠가 발견되면, 상기 핑거프린트 추출기(172)는 추출된 핑거프린트, 콘텐츠 이름, 콘텐츠를 수집한 인터넷 상의 위치 혹은 P2P 서버주소, 검색 시각 등의 검색정보를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로 전송한다.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는 콘텐츠 매매정보 DB(14)로부터 판매정보를 수신하고 클라이언트(11)로부터 구매정보를 수신하여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기 위한 핑거프린트 생성기(151)와, 판매정보, 구매정보 및 핑거프린트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정보/구매정보/핑거프린트 DB(152)로 구성된다. 상기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하는 구매정보에는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기 위해 클라이언트(11)의 비밀키와 같은 클라이언트(11) 고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콘텐츠 검색기(17)로부터 추출된 핑거프린트와 검색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판매정보/구매정보/핑거프린트 DB(152)는 상기 입력된 핑거프린트의 판매정보와 구매정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며, 이와 같이 검색된 판매정보는 콘텐츠 매매정보 DB(14)로 전송되고, 상기 입력 된 콘텐츠 검색정보는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18)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서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클라이언트(11)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11)는 DRM 보호영역(111)과, 압축복원기 및 플레이어(112)와, 콘텐츠 출력기(1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라이언트(11)는 DRM 서버(13)에 구매요청을 전송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수신한다.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는 타 클라이언트로 복사할 수 있으며, 타 클라이언트로부터 그 클라이언트가 갖고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넘겨받을 수도 있다. 다만, 암호화된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11)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클라이언트(11)가 DRM 서버(13)에 구매요청을 전송하여 암호를 해제할 수 있는 키(key)를 수신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DRM 환경에서는 재배포(superdistribution)라고 일컬어지며, 이러한 재배포는 콘텐츠의 판매를 촉진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되는 콘텐츠마다 서로 다른 핑거프린트가 삽입되도록 하면서도 이러한 재배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설명된 클라이언트(11)의 DRM 보호영역(111)에서는 콘텐츠의 암호가 해제되더라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으므로 콘텐츠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DRM 보호영역(111)을 벗어나면, 암호가 해제된 콘텐츠는 캡처 도구 등에 의해 불법적으로 복제될 수 있다. 즉, 압축복원기 및 플레이어(112)와 콘텐츠 출력기(113)는 DRM 비보호 영역이며, 이러한 DRM 비보호 영역에서는 불법복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압축된 콘텐츠F" 및 "복원된 콘텐츠F"는 핑거프 린트가 삽입된 콘텐츠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DRM 보호영역(111)을 벗어난 곳에서만 콘텐츠의 불법복제가 발생한다는 점을 표현한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의 DRM 보호영역(111)은 콘텐츠의 재배포, 구매정보 생성, 콘텐츠 복호 및 핑거프린트 삽입의 동작을 수행한다. 구매정보 생성기(1111)는 콘텐츠 구매에 관련된 정보와,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고유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로 전송한다.
콘텐츠 복호기(1112)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암호를 상기 DRM 서버(13)로부터 수신한 키에 의해 해제시킨다. 암호가 해제된 콘텐츠는 DRM 서버(13)에서 암호화되기 이전의 콘텐츠와 동일하다.
한편, 콘텐츠 판매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DRM 서버(13)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콘텐츠는 대부분 압축된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이미지의 경우 JPEG, 오디오의 경우 MP3, 비디오의 경우 MPEG 등으로 압축된다. 압축되지 않은 콘텐츠에 비해 압축된 콘텐츠의 사이즈가 예를 들어, 수십분의 일에 불과하므로,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용량과 콘텐츠 전송시간을 고려해서 대부분의 콘텐츠 판매업자는 압축된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다. 상기 압축된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코덱(codec)과 같은 압축복원기와,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상표명)나 아드레날린(상표명) 등의 오디오 및 비디오 플레이어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상기 콘텐츠 복호기(1112)에 의해 암호가 해제된 콘텐츠는 핑거프린트 삽입 방식에 따라 3가지 경로 중에서 하나를 거치며, 이러한 경로 선택은 스위치(1113)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스위치(1113)에 의해 가장 위의 경로가 선택되면, 핑거프린트 삽입기(1116)는 압축된 콘텐츠의 압축스트림 상에 직접 핑거프린트를 삽입한다. 상기 스위치(1113)에 의해 가운데 경로가 선택되면, 압축 복원기(1114)는 상기 콘텐츠 복호기(1112)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의 압축 상태를 복원시키며, 그 다음 단의 핑거프린트 삽입기(1117)는 콘텐츠의 압축을 수행하면서 핑거프린트를 삽입한다. 상기 스위치(1113)에 의해 가장 아래 경로가 선택되면, 압축 복원기(1115)는 상기 콘텐츠 복호기(1112)로부터 전송된 콘텐츠의 압축 상태를 복원시키며, 그 다음 단의 핑거프린트 삽입기(1118)는 복원된 콘텐츠에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며, 그 다음 단의 압축기(1119)는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콘텐츠를 다시 압축시킨다. 이와 같이 3가지 경로 중 어느 경로를 거치더라도, 3가지 경로의 마지막에 설치된 스위치(1110)의 경로 합성에 의해, 핑거프린트가 삽입되고 압축된 콘텐츠가 얻어질 수 있다. 스위치(1113)과 스위치(1110)은 상/중/하 3개의 접점중 항상 동일한 접점이 선택되도록 동작되어야 한다.
상기 스위치(1110)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콘텐츠F"는 핑거프린트가 삽입되고 동시에 압축된 콘텐츠라는 의미이다.
위와 같이 DRM 보호영역(111)에서 안전하게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압축된 콘텐츠F"는 클라이언트(11)에서 구매자의 취향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된 콘텐츠를 복원시키기 위해, 코덱이라고 불리우는 압축복원기가 구매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 있고, 또한, 플레이어도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나 아드 레날린 등 여러 종류의 플레이어 중에서 구매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압축복원기 및 플레이어(112)로 입력되는 압축된 콘텐츠와, 모니터 또는 스피커 등의 콘텐츠 출력기(113)에 입력되는 복원된 콘텐츠는 DRM 비보호 영역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DRM 비보호 영역에 디지털 콘텐츠가 진입하기 이전에 안전하게 핑거프린트가 삽입되도록 한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11)에서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콘텐츠의 불법복제가 2가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첫번째 경우, "압축된 콘텐츠F"가 압축복원기 및 플레이어(112)에 입력되기 전에 캡처 도구 등에 의해 불법적으로 복제될 수 있으며, 이 때, 불법적으로 복제되는 콘텐츠는 "압축된 콘텐츠F"이다. 상기 압축복원기 및 플레이어(112)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에 대해 캡처 도구에 의해 불법복제가 발생하면, 불법적으로 복제되는 콘텐츠는 "복원된 콘텐츠F"이다. 핑거프린트의 특성으로 인해 압축으로부터 복원된 콘텐츠라 하더라도 이미 삽입된 핑거프린트가 남아 있으므로, 상기 "복원된 콘텐츠F"에도 핑거프린트가 발견된다. 또한, 상기 "복원된 콘텐츠F"를 재압축하더라도 핑거프린트는 남아 있다. 이러한 2가지 방법으로 불법복제된 콘텐츠를 "압축/복원된 콘텐츠F"라 부른다. 만약, 구매자가 상기 "압축/복원된 콘텐츠F"를 캡처 도구를 통해 불법적으로 저장하거나 재압축하여 복제본을 만든 후, 인터넷 사이트나 P2P 서버로 배포하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불법복제한 구매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인터넷 사이트나 P2P 서버로 배포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앞서 설명된 콘텐츠 검색기(17) 등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불법적으로 복제한 사람을 추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트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방법의 동작이 시작되면, 상기 클라이언트(11, 12)는 DRM 서버(13)에 임의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요청을 전송한다(S210). 상기 DRM 서버(13)는 해당 클라이언트(11, 12)의 구매요청에 응답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해당 클라이언트에 전송함과 동시에, 콘텐츠의 판매 및 구매와 관련된 매매정보를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에 전송한다(S220).
다음으로,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는 상기 DRM 서버(13)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매매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로부터 핑거프린트의 생성을 위한 판매자 고유의 정보를 판매정보로서 추출하여 이를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에 전송한다(S221). 또한, 상기 단계(S221)와 병렬적으로 암호화된 콘텐츠를 수신한 클라이언트(11, 12)는 핑거프린트의 생성을 위한 해당 클라이언트 고유의 구매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에 전송한다(S222).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는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로부터 판매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클라이언트(11, 12)로부터 구매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 신된 판매정보와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상기 구매정보를 보낸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S223). 상기 핑거프린트를 수신한 클라이언트는 상기 DRM 서버(13)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콘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를 삽입한다(S2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11, 12)에서는 정상적으로 구매된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재배포된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가 캡처 도구 등을 통해 불법적으로 복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불법적으로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는 인터넷 사이트 또는 P2P 서버 등을 통해 배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검색기(17)는 인터넷의 각종 사이트 및 P2P 서버를 검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하며, 수집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으면, 해당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핑거프린트를 추출한다(S240). 상기 추출된 핑거프린트는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에 전송되고,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15)는 해당 핑거프린트에 대응하는 판매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에 전송한다(S250).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14)는 상기 수신된 판매정보에 해당하는 매매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콘텐츠의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18)에 전송한다(S251).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18)는 해당 콘텐츠의 검색정보, 매매정보 및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불법복제 처벌 여부를 판단하며(S260), 해당 콘텐츠의 판매업자가 영업 전략상 해당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허용하는 경우에는 불법복제를 허용하도록 하고(S261), 해당 콘텐츠의 구매자에 대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콘텐츠의 검색정보, 판매자 및 구매자 정보를 불법복제의 증거로서 불법복제 신고센터(19)에 전송하여 불법복제 콘텐츠의 구매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S262).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서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씨디 롬, 플래쉬 메모리, 롬, 램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구매자의 정보가 핑거프린트로 변환되어 콘텐츠에 삽입되므로, 임의의 사용자가 콘텐츠를 구매한 후 불법복제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나 P2P 서버에 불법적으로 배포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핑거프린트의 삽입이 DRM 보호영역에서 안전하게 이루어지므로, 구매자가 캡처 도구 등을 통해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지 않은 디지털 콘텐츠에 원천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
또한, 구매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불법적으로 복제하여 인터넷이나 P2P 서버에 배포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핑거프린트 기반의 콘텐츠 검색기에 의해 불법복제된 콘텐츠를 검색하고 해당 콘텐츠에 삽입된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구매자가 콘텐츠의 파일명 또는 확장자를 변경하더라도 핑거프린트 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해당 콘텐츠의 검색정보와 추출된 핑거프린트로부터 매매정보를 역추적하여 어느 구매자가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불법복제하였는지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디지털 콘텐츠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가 핑거프린트의 형태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되고,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가 불법적으로 복제될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의 구매자를 용이하게 역추적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단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서술된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발명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서술된 모든 구성 요소에서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로 상이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적절하게 조합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구매요청을 전송하여 암호화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핑거프린트 생성을 위한 고유의 구매정보를 제공하여 핑거프린트를 수신하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에 상기 수신된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는 클라이언트;
    상기 클라이언트의 구매요청에 따라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의 판매 및 구매와 관련된 매매정보를 출력시키는 DRM 서버;
    상기 DRM 서버로부터 콘텐츠 매매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로부터 핑거프린트 생성을 위한 판매자 고유의 정보를 판매정보로서 추출하여 출력시키는 콘텐츠 매매정보 DB; 및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로부터 수신된 판매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인터넷의 각종 사이트 및 P2P 서버를 검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 이를 추출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검색정보와 함께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에 출력하는 콘텐츠 검색기; 및,
    불법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매매정보와 불법복제의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로부터 판매업자가 해당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매자의 불법복제를 허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해당 콘텐츠의 검색정보, 판매자 및 구매자 정보를 불법복제의 증거로서 소정의 불법복제 신고센터에 전송하는 불법복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는 상기 콘텐츠 검색기로부터 수신된 핑거프린트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의 판매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판매정보를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에 전송하고, 상기 불법복제된 콘텐츠의 검색정보를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는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로부터 수신된 판매정보로부터 상기 불법복제된 콘텐츠의 매매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매매정보에 부가된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검색된 매매정보와 함께 상기 불법복제 판단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는 판매업자에 의해 미리 콘텐츠 매 매정보에 부가되어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기는,
    인터넷 사이트나 P2P 서버에 접속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하기 위한 콘텐츠 수집기; 및
    상기 수집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핑거프린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핑거프린트를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검색정보와 함께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에 전송하는 콘텐츠 검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집기는 수집된 콘텐츠의 파일명이나 확장자와 관계없이 파일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콘텐츠 별로 수집된 콘텐츠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재배포에 의해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정보는 판매장명, 구매자명, 콘텐츠명, 콘텐츠 사용권한 정보,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한 클라이언트의 인터넷 주소, 판매날짜, 판매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는,
    상기 콘텐츠 매매정보 DB로부터 수신된 판매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구매정보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핑거프린트 생성기; 및
    상기 판매정보, 구매정보 및 상기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저장하는 판매정보/구매정보/핑거프린트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재배포, 구매정보 생성, 암호화된 콘텐츠의 복호화 및 핑거프린트의 삽입 동작을 수행하는 DRM 보호영역;
    상기 DRM 보호영역으로부터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압축상태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압축복원기 및 플레이어; 및
    상기 압축복원기 및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되는 복원된 콘텐츠를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해 출력시키는 콘텐츠 출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RM 보호영역은,
    콘텐츠 구매에 관련된 정보와, 핑거프린트를 생성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고유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핑거프린트 생성/관리기로 전송하는 구매정보 생성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암호를 상기 DRM 서버로부터 키(key)를 수신하여 해제시키는 콘텐츠 복호기;
    상기 콘텐츠 복호기에 의해 암호가 해제된 디지털 콘텐츠를 핑거프린트 삽입 방식에 따라 분류된 3개의 경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경로를 통해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출력시키는 멀티플렉서;
    상기 멀티플렉서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콘텐츠를 압축된 콘텐츠의 스트림 상에서 직접 핑거프린트를 삽입하는 제1경로와, 상기 멀티플렉서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콘텐츠의 압축 상태를 복원한 후, 핑거프린트를 상기 복원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제2경로와, 상기 멀티플렉서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콘텐츠의 압축 상태를 복원하고, 핑거프린트를 상기 복원된 디지털 콘텐츠에 삽입한 후, 상기 콘텐츠의 압축을 수행하는 제3경로로 이루어지는 핑거프린트 삽입수단; 및
    상기 핑거프린트 삽입수단의 3가지 경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핑거프린트가 삽입된 디지털 콘텐츠를 출력시키는 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11. (a) 클라이언트의 콘텐츠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고, 콘텐츠의 판매 및 구매에 관련된 매매정보를 판매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b) 매매된 디지털 콘텐츠의 판매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고유 구매정보를 수신하여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생성된 핑거프린트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상기 판매된 디지털 콘텐츠에 상기 핑거프린트가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d) 인터넷의 각종 사이트 또는 P2P 서버를 검색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트가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핑거프린트를 추출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추출된 핑거프린트에 대응하는 매매정보를 상기 판매 자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검색된 매매정보와 불법복제 허용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불법복제 처벌 여부를 판단하고, 처벌이 필요할 경우, 불법복제된 콘텐츠의 검색정보, 상기 매매정보를 소정의 행정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방법.
KR1020040081888A 2004-10-13 2004-10-13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11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888A KR100611740B1 (ko) 2004-10-13 2004-10-13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04/003035 WO2006041233A1 (en) 2004-10-13 2004-11-24 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illegally copied contents on the basis of fingerprint
US11/575,884 US20080256647A1 (en) 2004-10-13 2004-11-24 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Illegally Copied Contents on the Basis of Fingerpr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888A KR100611740B1 (ko) 2004-10-13 2004-10-13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886A true KR20060032886A (ko) 2006-04-18
KR100611740B1 KR100611740B1 (ko) 2006-08-11

Family

ID=3614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888A KR100611740B1 (ko) 2004-10-13 2004-10-13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256647A1 (ko)
KR (1) KR100611740B1 (ko)
WO (1) WO2006041233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63B1 (ko) * 2005-10-31 2007-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핑거프린팅 관리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 코드 전달 방법
KR100790803B1 (ko) * 2006-12-18 2008-01-03 주식회사 모빌리언스 핑거프린팅 방식으로 고유정보를 실시간 삽입하는 오디오방송 시스템, 오디오 방송 방법 및 오디오 방송 수신단말기
KR100822790B1 (ko) * 2007-01-24 2008-04-17 조성진 위변조 방지를 위한 불법 복제물 증거자료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0835416B1 (ko) * 2006-07-25 2008-06-04 박해영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등의 불법이용방지방법 및그 시스템
KR100879230B1 (ko) * 2007-04-30 2009-01-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조합된 핑거프린팅 및 복호화 방법
WO2012050379A2 (ko) * 2010-10-14 2012-04-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출판물의 핑거프린트 추출 방법, 출판물의 핑거프린트 추출 장치,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출판물 식별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출판물 식별 방법
KR101352160B1 (ko) * 2011-12-20 2014-01-15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금칙어 검사 기능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및 금칙어 검사 방법
KR20140049696A (ko) * 2012-10-18 2014-04-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변조/복제 애플리케이션 판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824728B2 (en) 2010-12-22 2014-09-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illegal distributor and preventing illegal content distribution
KR102484657B1 (ko) * 2022-04-29 2023-01-04 커넥트포유 주식회사 이미지 기반 콘텐츠 저작권 보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448B1 (ko) * 2003-04-24 2010-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복사 방지 정보 관리방법
KR20040092649A (ko) * 2003-04-24 200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복사 방지 정보 관리방법
KR100972831B1 (ko) * 2003-04-24 201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엔크립트된 데이터의 보호방법 및 그 재생장치
KR100974449B1 (ko) * 2003-04-24 2010-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의 복사 방지 정보 관리방법
US20060242406A1 (en) 2005-04-22 2006-10-26 Microsoft Corporation Protected computing environment
US9436804B2 (en) 2005-04-22 2016-09-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stablishing a unique session key using a hardware functionality scan
US9363481B2 (en) * 2005-04-2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tected media pipeline
US8099343B1 (en) 2006-04-20 2012-01-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stribution schemes and related payment models for subscriber-created content
EP2011027A1 (en) * 2006-04-21 2009-01-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digital contents processed with drm tools
WO2007141835A1 (ja) * 2006-06-02 2007-12-13 Duaxes Corporation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KR20080063601A (ko) * 2007-01-02 2008-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통해 컨텐트권리를 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8312558B2 (en) 2007-01-03 2012-11-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rotected video content
US9984369B2 (en) 2007-12-19 2018-05-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identify target video content
WO2009095082A1 (en) * 2008-01-31 2009-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media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2216945B (zh) * 2008-08-21 2013-04-17 杜比实验室特许公司 通过媒体指纹进行联网
US8464357B2 (en) * 2009-06-24 2013-06-11 Tvu Network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fingerprint-based copyright protection of real-time content
US10289809B1 (en) 2010-05-17 2019-05-1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Transferring media files between users after encrypting with encryption key obtained from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erver
US9275199B2 (en) * 2011-06-28 2016-03-01 Link-Busters IP B.V.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viol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a digital file
GB2561177B (en) 2017-04-03 2021-06-30 Cyan Forensics Lt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digital content
CN107229875A (zh) * 2017-06-01 2017-10-03 深圳市伊特利网络科技有限公司 终端隐私保护方法及系统
US11636183B2 (en) * 2018-12-30 2023-04-25 DISH Technologies L.L.C. Automated piracy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8070B1 (en) * 1995-02-13 2005-09-20 Intertrust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6131162A (en) * 1997-06-05 2000-10-10 Hitachi Ltd. Digital data authentication method
US6611812B2 (en) * 1998-08-13 2003-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electronic content distribution on CDS and DVDs
US6865747B1 (en) * 1999-04-01 2005-03-08 Digital Video Express, L.P. High definition media storage structure and playback mechanism
US20040260657A1 (en) * 2000-07-18 2004-12-23 John Cockerham System and method for user-controlled on-line transactions
CA2416530C (en) * 2000-07-20 2008-10-21 Digimarc Corporation Using embedded data with file sharing
JP3615485B2 (ja) * 2000-11-29 2005-0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コンテンツ取引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EP1220173A1 (en) * 2000-12-29 2002-07-03 THOMSON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for the secur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in a sharing network
US6996248B2 (en) * 2001-06-13 2006-02-0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marking a digital image
KR20030041501A (ko) * 2001-11-20 2003-05-27 이윤호 워터마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및 인증 방법
US20050021398A1 (en) * 2001-11-21 2005-01-27 Webhound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digital content over a network
US7496540B2 (en) * 2002-03-27 2009-02-24 Convergys Cmg Utah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igital content
KR20030084172A (ko) * 2002-04-25 2003-11-01 이지훈 피2피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저작물의네트워크유통판매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33154B1 (ko) * 2002-06-27 2005-12-02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서의 대칭키를 이용한암호화/복호화 방법
KR100456633B1 (ko) * 2002-10-23 2004-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핑거프린팅 기법을 이용한 불법 유통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4227042A (ja) * 2003-01-20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イセンス配信サーバ、及びこれに接続されるライセンス再発行装置、並びに店頭サーバ
KR100507809B1 (ko) * 2003-03-19 2005-08-17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네트워크상에서의 겹선형쌍 디피-헬만 문제를 이용한 익명핑거프린팅 방법
KR100440037B1 (ko) * 2003-08-08 2004-07-14 주식회사 마크애니 문서보안 시스템
US7382905B2 (en) * 2004-02-11 2008-06-03 Microsoft Corporation Desynchronized fingerprinting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multimedia data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63B1 (ko) * 2005-10-31 2007-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핑거프린팅 관리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 코드 전달 방법
KR100835416B1 (ko) * 2006-07-25 2008-06-04 박해영 개인신상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등의 불법이용방지방법 및그 시스템
KR100790803B1 (ko) * 2006-12-18 2008-01-03 주식회사 모빌리언스 핑거프린팅 방식으로 고유정보를 실시간 삽입하는 오디오방송 시스템, 오디오 방송 방법 및 오디오 방송 수신단말기
KR100822790B1 (ko) * 2007-01-24 2008-04-17 조성진 위변조 방지를 위한 불법 복제물 증거자료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100879230B1 (ko) * 2007-04-30 2009-01-2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조합된 핑거프린팅 및 복호화 방법
WO2012050379A2 (ko) * 2010-10-14 2012-04-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출판물의 핑거프린트 추출 방법, 출판물의 핑거프린트 추출 장치,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출판물 식별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출판물 식별 방법
WO2012050379A3 (ko) * 2010-10-14 2012-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출판물의 핑거프린트 추출 방법, 출판물의 핑거프린트 추출 장치,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출판물 식별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를 이용한 출판물 식별 방법
US8824728B2 (en) 2010-12-22 2014-09-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illegal distributor and preventing illegal content distribution
KR101352160B1 (ko) * 2011-12-20 2014-01-15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금칙어 검사 기능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및 금칙어 검사 방법
KR20140049696A (ko) * 2012-10-18 2014-04-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변조/복제 애플리케이션 판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84657B1 (ko) * 2022-04-29 2023-01-04 커넥트포유 주식회사 이미지 기반 콘텐츠 저작권 보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56647A1 (en) 2008-10-16
WO2006041233A1 (en) 2006-04-20
KR100611740B1 (ko) 200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1740B1 (ko) 핑거프린트 기반 불법복제 콘텐츠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7929B1 (ko)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US6564253B1 (en) Content authorization system over networks including searching and reporting for unauthorized content locations
US8607354B2 (en) Deriving multiple fingerprints from audio or video content
US8934624B2 (en) Decoupling rights in a digital content unit from download
JP4562909B2 (ja) デジタル表現の安全な配信
US7266704B2 (en) User-friendly right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8739295B2 (en) Secure personal content server
US7350228B2 (en) Method for securing digital content
WO1998042098A1 (en) Digital product rights management technique
US20060149683A1 (en) User terminal for receiving license
US20050135613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encrypted data, for decrypting encrypted data and for generating re-signed data
KR20020083851A (ko) 디지털 컨텐츠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이용한 시스템
JP2002152490A (ja) データ運用方法
Haber et al. If piracy is the problem, is DRM the answer?
JP4987978B2 (ja) デジタルフィンガープリンティングを用い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
KR100773963B1 (ko) 핑거프린팅 관리 시스템 및 핑거프린트 코드 전달 방법
US20070220617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20050010795A (ko) 암호화 데이터 생성, 암호화 데이터 해독, 재서명된데이터 생성을 위한 장치와 방법
Xu et al. Content protection and usage control for digital music
Petrovic et al. Watermark screening in networked environment
CA2425936C (en) Content authorization system over networks including the interne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ame
JP2004139323A (ja) ライセンス管理方法および受信端末装置
Hundacker Forensic Digital Rights Management
AU2001210904A1 (en) Content authorization system over networks including the interne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