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299A -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299A
KR20060032299A KR1020040081193A KR20040081193A KR20060032299A KR 20060032299 A KR20060032299 A KR 20060032299A KR 1020040081193 A KR1020040081193 A KR 1020040081193A KR 20040081193 A KR20040081193 A KR 20040081193A KR 20060032299 A KR20060032299 A KR 20060032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esaw
rotating body
action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환
Original Assignee
박준희
조창환
이현우
박재술
조태규
조동규
조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희, 조창환, 이현우, 박재술, 조태규, 조동규, 조현경 filed Critical 박준희
Priority to KR102004008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2299A/ko
Priority to PCT/KR2004/002787 priority patent/WO2006041231A2/en
Publication of KR2006003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10Alleged perpetua mobilia
    • F03G7/104Alleged perpetua mobilia continuously converting gravity into usable power
    • F03G7/107Alleged perpetua mobilia continuously converting gravity into usable power using an unbalance for increasing torque or saving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6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cams or eccen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주(宇宙)의 태양계 운동(太陽系 運動)과 만물 생장(萬物 生長) 에너지는 태양(太陽)빛의 +,- 전자기력(電磁氣力)의 서로 밀고 당기는 데서 발생(發生)한 마찰열(摩擦熱)과 속도가 에너지의 원천(源泉)임을 입증한 것이다.
동양(東洋)에서는 우주(宇宙)를 사방상하(四方上下)라 하고 운동(運動)을 말하지 않는데는 이보다 먼저 우주(宇宙)를 취상(取象)한 것으로 태극팔괘(太極八卦)가 있었다.
태극(太極)은 태양(太陽)빛 +의 양극(陽極)과 -의 음극(陰極)의 상대적(相對的) 작용과 이 작용이 4차원(次元)으로 변화(變化)하는 과정(過程)을 팔괘(八卦)의 그림으로 표상(表象)해 놓는 것으로 상대법칙(相對法則)의 원전(原典)이라 할 수 있다.
태극팔괘(太極八卦)를 강태공의 점괘(占卦)라하여 정치(政治)에 오도(誤導)한 것을 시발(始發)로 공자(孔子)가 이를 우주(宇宙)와 인간관계(人間關係)로 개편(改編)하면서 인사(人事)의 길흉에 지나치게 결부(結付)시켜 운명론(運命論)의 원전(原典)이 되고 말았다.
지금 세상(世上)에서 전기(電氣)에너지를 얻는 방법으로 중력운동(重力運動) 즉, 물의 낙차(落差)(위치에너지)에 의한 증기폭발(蒸氣爆發) 속도(速度)를 이용한 수력방전이 있으나, 여기서 만유인력(萬有引力)으로 비롯된 중력속도(重力速度)는 빛의 속도(速度)와는 비교(比較)가 되지 않는다.
태양(太陽)빛의 전자기력(電磁氣力)을 중력법칙(重力法則)으로 재생(再生)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이는 전자기력(電磁氣力)이 무중력(無重力)이라는 본질적 근원(本質的 根源)을 미처 알지 못한데도 있지만 초기단계(初期段階)의 임시가차방법(臨時假借方法)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전기(電氣)로 전기(電氣)를 증폭(增幅)시키는 다시말하면 질량(質量)이 없는 전자기력(電磁氣力) 속도(速度)에너지를 질량(質量)으로 전환(轉換)하는 기술(技術)에 관한 양동력 발전(陽動力 發電) 시스템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요소로는
1. 시동구동부 2. 사방상하장치부(四方上下裝置部) 3.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圓形太極 相對回轉體部) 4. 시소작용 방·각 (作用 方·角) 지렛대부 5.전자 클러치부 6. 이동좌표(移動座標)전환부 7. 부가탄력장치부(附加彈力裝置部) 8. 탄력충돌장치부(彈力衝突裝置部)를 포함하며 시소와 지렛대의 원리(原理)를 구현하여 이용함으로써 발생한(發生)한 물리적(物理的) 힘을 전기적에너지로 변환(變換)시키는 양동력 발전(陽動力 發電)시스템인 것이다.
첫번째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圓形太極相對回轉體)는 중심축(中心軸) 양편에 장치(裝置)되고 또한 시소작용 방·각 (方·角)지렛대는 원형태극상대회전(圓形太極相對回轉體) 일정위치(一定位置) 양편으로 사방상하운동(四方上下運動)을 하도록 구성(構成)된다.
원형태극상대회전체(圓形太極相對回轉體)둘레부분의 기어와 치합하게 장치된 전동모터 감속기(減速器) 변속기어 치합기어순으로 회전(回轉)하는 원형태극상대회 전체(圓形太極相對回轉體)와,
두번째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圓形太極相對回轉體部) 중심축(中心軸) 양편 일정 거리 지점에 결속된 일편의 전자 클러치부와 시소작용 방·각(作用 方·角)지렛대부 힘점에 장치된 일편의 전자 클러치부와 가변적(可變的)으로 단속됨이 반복작용으로 시소운동을 하는 시소작용 방·각(作用 方·角)지렛대부와,
세번째 시소작용 방·각(方·角)지렛대부의 양편 작용점(作用點)에 로드로 연결된 이동좌표(移動座標)는 속도변환(速度變換)과 증폭(增幅)된 힘을 내각운동(內角運動)과 외각운동(外角運動)을 통해 중심기어축에 힘이 관통(貫通)되어 삼위일체(三位一體)로 통합(統合)되는 본 시스템의 중추기능(中樞機能)을 하고,
네번째 시소작용 방·각(作用 方·角) 지렛대부와 왕복운동(往復運動)에서 필연적(必然的)으로 발생(發生)하는 힘의 공백을 극복하기 위해 부가탄력체(附加彈力體)(중심축, 증속기, 변속기어, 전자클러치)를 중심기어축과, 연결(連結)하여 초기 회전력을 중심축(中心軸)으로부터 얻은 다음 증속된 회전탄력을 같은 경로를 통해 환원(還元)하는 장치(裝置)이며,
다섯 번째, 시소작용 방·각(作用 方·角)지렛대부의 반복작용(作用)의 신속을 돕기위해 항타와 같은 충돌장치(衝突裝置)를 별도로 구비(具備)하여 이를 신속히 반복시킴으로써 반복운동(運動)을 수행하게 하는 장치(裝置)를 구비한 양동력 발전(陽動力 發電)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발전산업상 매우 뛰어난 발명인 것이다.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 이동좌표전환부, 부가탄력회전체, 증폭발전장치,

Description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AMPLIFIED ELECTRIC ENERGY PRODUCE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도1의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원형태극상대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2b는 도1의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음양태극 원리를 도시한 도면.
도2c는 도1의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4차원변화도를 도시한 도면.
도2d는 도1의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원방·각육극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揚動力)발전시스템의 도2에 대한 A-A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揚動力)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좌표전환부와 부가탄력회전체, 발전기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揚動力)발전시스템의 도2에 대한 B-B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 발전시스템의 이동좌표캠의 길이와 속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부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좌표전환부의 내외각운동 작용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시동구동부 6: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
6a:양극선상하를 표시한 부호 6b:음극선사방을 표시한 부호
6c:음양선각을 표시한 부호 6d:원방·각통합을 표시한 부호
8: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 10:이동좌표전환부
12:증폭발전장치 14:작동스위치
16:전자제어장치 18:구동기어
20,22:제1,2시동모타군 24:탄력충돌장치부
28:축지지대 30:충돌부
32,34:탄력충돌부 36:축받침대
38: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 40:볼조인트 축
42:회전 중심축 44:연결로드부
46,48:제1,2연결로드 52,54:제1,2이동좌표캠
56:출력기어 58:부가탄력회전체
60:출력축 64:발전기
본 발명은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기 입력 전원에 의해 원형태극의 음극회전체와 양극회전체의 상대적 회전작동을 하는 양동력부의 원리로 작동하는 양동력부에 의한 기계적 에너지를 초기 입력된 전원보다 증폭된 전기에너지로 발생시켜 저렴하게 산업현장에 공급하므로써 친환경적인 전력설비를 갖출 수 있도록 한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력발전소는 석탄 또는 석유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증기터빈을 가동시킴으로서 전기에너지를 얻고 있으며, 원자력발전소는 우라늄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증기터빈을 가동하여 전기에너지를 얻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력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의 발전시설을 갖추는데에는, 고비용이 투입되어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추진하지 않으면 않되는 실정이며, 산업설비의 증가와 생활환경이 윤택해짐에 따라 많은 가전 제품이 쓰이고 있어 해마다 발전설비의 증설이 요구되고 있으나 경제적인 이유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발전소 건설에 따른 적당한 장소 물색 등이 기존 설비를 피해 건설하 여야 함에 따라 여의치 않으며, 특히 원자력 발전소나 화력발전소등은 대기오염과 수질의 오염 그리고 방사선 오염 우려로 현지 주민들의 민원발생 원인이 되는 등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1998-54443호와 제1999-55000호, 제2002-8637호, 제2002-82174호, 제2002-82175호에 양동력부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장치를 제안하여 이미 출원한 바 있으며, 이밖에도 본 발명자는 특허 제2002-82174호, 제2002-82175호, 그리고 제2002-60825호를 기초로 하여 특허출원 제2003-64853호, 제2004-24321호에 적용된 양동력을 이용한 발전장치보다 더 우수한 전기의 효율적 생산방법을 위하여 개선한 바 이를 신규로 출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된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 되었으며 초기 입력 전원에 의해 시소 방·각(方·角)작용의 지렛대의 원리로 작동하는 양동력부에 의한 기계적 에너지를 초기 입력된 전원보다 증폭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값싸게 산업현장에 공급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전력설비를 구비한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
전원을 통전시키는 작동스위치와, 이 작동스위치의 온을 감지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이 전자제어장치에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기어를 작동하게 하는 전동모타, 감속기, 변속기, 구동기어순으로 구비되어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와 치합하게 양측에 다수 배치되는 제1,2시동모타군으로 구성된 시동구동부 와,
상기 시동구동부의 복수 구동기어에 의해 회동하게 일정 간격인 축지지대에 일정 길이의 중심축으로 연결 설치되면서 마주하는 면을 일정 각도로 분할한 위치에 부착판을 장착하여 시소작용 방·각지렛대의 전자클러치부 작동으로 이동좌표 삼위일체 전환부와 연동하게 설치되는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와,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의 회전각이 90°일때 2회전, 60°일때 3회전. 45°일때 4회전, 30°일때 6회전 등 양편의 두회전체는 위의 각도의 편차를 두고 전자클러치부와 접합되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와,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에서 전,후진하게 다겹 시소작용 방·각지렛대에 설치된 전,후진액츄에이터와, 이 전,후진액츄에이터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위치각도를 제어하는 좌,우변환액츄에이터와, 상기 전,후진액츄에이터의 전방에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의 부착판과 가변적으로 부착되게 전,후진 액츄에이터에 볼조인트 타입으로 설치한 전자석클러치를 구비한 전자클러치부와,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회전 중심축 양측으로 일정 간격의 작용점과 연결로드부의 하단측 기어박스내에 캠으로 편심 연결되어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180°의 내각운동과, 180°의 외각운동을 하여, 제1,2연결로드로 결속된 제1,2이동좌표캠을 상대적으로 밀고 당기는 2중외각운동을 수행하게 하여 양측 이동좌표의 힘 모멘트와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 작용점의 힘이 제1,2이동좌표캠사이의 출력기어와 힘이 관통하여 삼위일체로 통일되는 이동좌표전환부와,
상기 이동좌표전환부에 설치된 출력축에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에 탄력을 부가하게 부가탄력회전체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출력축상에 연결 설치되어 증폭된 회전탄력으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증폭된 회전력에 의해 발전하게 설치된 증폭발전장치와,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간의 사이 양측에 병렬로 연결 설치되며, 반복 회전운동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작동하게 축받침대에 의해 회동 설치되면서 다겹 시소작용 방·각지렛대의 회전 전환을 보조적으로 수행하게 일측에 설치된 탄력충돌장치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전원을 통전시키는 작동스위치와, 이 작동스위치의 온을 감지하는 전자제어장치와,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기어를 작동하는 모타, 감속기, 변속기, 기어순으로 장치하여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의 끝 둘레 부분의 기어와 치합하게 된다.
2개의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를 일정길이 중심축 양편에 장치하고 중심축 축대를 회전체 반지름의 1/3에 해당하는 높이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작용에 장애가 되지않도록 축대를 구축하여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를 설치한다.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의 일정지점에 전자석클러치를 일정각도 즉 90°=2회전, 60°=3회전, 45°=4회전, 30°=6회전등 각도 설정에 따라 회전수가 변하 고 전자클러치부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이것이 속도에너지증폭으로 이동좌표 삼위일체에서 원운동(에너지운동)으로 나타난다.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는 작용점에 결속된 양편의 로드는 로드끝에 이동좌표의 캠과 연결되어 있고, 지렛대의 힘점에 장치된 전자클러치부의 일편은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의 일정 지점 전자클러치 일편과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의 전자클러치부는 고정되어 있고, 이동좌표의 캠과 연결된 로드 역시 고정되어 있으므로 운동에 필요한 유동성은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작용으로 해결해야 한다.
첫째는 전자클러치 작용이다. 예를 들어 원형태극상대회전체가 60° 각도회전을 한다면 각각 30° 각도에 필요한 왕복작용이 필요하게 된다.
이의 작용을 하기 위하여 별도의 압력장치로 그 작용을 하도록 해야하고, 또한 전자클러치의 성능은 전자기력에 비례한다고 하지만 아직 큰힘의 작용에 검증된바 없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별도의 압력이 필요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두번째는 회전각 15°에서 오는 비틀림이다.
일편에서 전자클러치가 작용할때는 상대편은 허공에 있는 상태이므로 중심축의 일정각 유동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중심축의 일정각도 회전과작용점에 결속된 로드는 유동작용이 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
비클림에서 오는 유동거리는 힘점과 작용점의 거리 비례하므로, 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작용점의 유동장치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태극상대회전체 회전각도를 60°로 하고 시소작용 방·각지렛대 길이를 15m로 했을 때 아래 표1과 같이 된다.
표1. 유동장치의 구성요소.
원형시소작용지렛대부 회전각도 원둘레 직선작용거리 수축작용거리 상대각도
15m 60° 7.85m 7.5m 1m 15°

위의 도표에서 힘점과 작용점 거리 비례를 1/5로 했을 때 1m×1/5= 0.2m 작용점의 유동성 거리가 된다.
작용점 결속을 메달식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지렛대와 로드 결속점 지름을 1m로 했을 때 지렛대 중심을 한편으로 옮겨 지름의 3/4지점에 연결하게 되면 유동성거리가 0.25m가 된다.
이렇게 했을 때 비틀림에서 오는 유동성은 흡수되고 로드는 정위치에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탄력충돌장치는 반복작용에서 멈칫거리는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한 장치로 항타와 같은 충격장치로 신속히 역전시켜 힘을 통합하는 장치로 시소작용 방·각지렛대 회전체 부분에 장치되어 반복회전을 보조하는 장치다.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회전 중심축 일정 간격의 작용점과 연결로드부의 하단측에 캠으로 편심 연결되어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제1,2이동좌표 캠사이에 출력기어를 배치한 기어박스를 구비한 이동좌표전환부와,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회전중심축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 연결로드부의 하단측에 이동좌표의 캠으로 연결되어 180°의 내각운동과 180°의 외각운동을 하며, 작용점 양측편에 제1,2연결로드로 결된 제1,2이동좌표캠은 상태적으로 밀고 당기는 2중 외각운동 양편 이동좌표의 힘의 모멘트가 중심축으로 집합되어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작용점의 힘이 그대로 전해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2중 내각운동은 힘의 모멘트가 중심축과 제1,2이동좌표캠의 중간지점에 도달하므로 양측편힘이 2중으로 전달되게 되며, 이 힘이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 양측편에서 연속 발생하므로 여분의 힘의 자동적으로 부가탄력체 회전력으로 충당되게 되며, 부가탄력회전체는 회전에 필용한 힘을 기본장치인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 작용점과 결속된 제1,2연결로드를 통해 제1,2이동좌표캠과 중심축으로부터 공급받고 그 탄력은 같은 경로를 통해 환원되게 이루어진다.
참고적으로 용어를 정의하면,
원(圓)= + 양극선상하 회전운동을 표시한 것으로, 이는 태양을 표시한 것이나 태양빛도 상대적 강약과 상,하가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방(方)= - 음극선사방 회전운동을 표시한 것으로, 이는 동서남북을 상징하나 상대적 경계가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각(角)= +,- 음양선각도 회전운동을 표시한 것으로, 이는 일정 각도에서 +, -는 서로 위치가 바뀌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합(合)= 원방각집합 회전운동을 중앙에 집합됨을 표시한 것으로, 이는 서로 밀고 당기며 바뀌는 과정에서 혼합의 순간을 표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a는 도1의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원형태극상대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b는 도1의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음양태극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2c는 도1의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4차원변화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d는 도1의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원방·각육극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 발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발전시스템의 도2에 대한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揚動力)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좌표전환부와 부가탄력회전체, 발전기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揚動力)발전시스템의 도2에 대한 B-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동력 발전시스템의 이동좌표캠의 길이와 속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부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좌표전환부의 내외각운동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양동력(揚動力)발전시스템(2)은 크게 시동구동부(4),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 전자클러치부(40), 이동좌표전환부(10), 증폭발전장치(12), 탄력충돌장치부(24)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시동구동부(4)는 작동스위치(14)의 조작을 감지하는 전자제어장치(16)의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회전으로 연동하여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를 작동하게 하고 있다.
시동구동부(4)는 전원을 통전시키는 작동스위치(14)와, 이 작동스위치(14)의 온(on)을 감지하는 전자제어장치(16)와, 이 전자제어장치(16)에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하는 구동기어(18)를 구비하면서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의 양측에 다수 배치되는 제1,2시동모타군(20)(22)과, 이 제1,2시동모타군(20)(22)으로 구성되며, 상호 연동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제1,2시동모타군(20)(22) 구체적으로 도시생략하고 있지만 통상의 기술에 의해 모타 → 감속기 → 전자클러치→ 기어 순으로 연결되고 있다.
상기 시동구동부(4)의 구동기어(18)는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26)와 일정 회전력을 발휘하게 치합되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는 회전체로, 상기 시동구동부(4)의 구동기어(18)와 기어(26)로 치합되어 이격된 축지지대(28)간에 한조를 이루어 설치되어 회전운동을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는 축지지대(28)에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설 치되고 있으며, 이 사이에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를 상호 연결 설치하여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반복회전 작용을 하게 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하고 있다.
또,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는 외주면에 기어(26)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호 마주하는 측면 각각에 120° 간격을 두고 부착판(7)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양동력발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도면인 도2a, 도2b, 도2c, 도2d를 좀더 설명하면,
도2a는 원형태극상대도로 원형태극은 우주는 태양을 중심축으로 회전하고 있으나 본원발명은 원형태극 모양의 외부로부터 회전하여 힘을 중심으로 집합하는 형상을 말한 것이며, 그것이 모두 상대적 작용에 의한 것이란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 도2b는 음양태극도로, 원형태극 +,- 분게선의 끝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을 하고 있으므로 그 작용이 끝없이 연결된다 라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표시된 건·곤·감·리의 원형내에 ∼표시함은 원운동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건·감은 +이고, 곤·리는 -이다.
도2c는 4차원변화도로 원형태극도의 +와, -극이 각기 4단계를 거쳐 원운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표시된 진·간은 +고, 태·손은 -이지만 상대개념으로 말하면 건·곤·감·리는 +(양극)이 되고, 진·간·태·손은 -(음극)이 된다.
도2d는 원방·각육극도로, 육극은 우주의 사방 상하와 같은 운동을 하면 태양에너지와 같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미설명 부호중 6a:양극선상하를 표시한 부호이고, 6b:음극선사방을 표시한 부호로 회전함을 의미하며, 6c:음양선각을 표시한 부호이며, 6d:원방·각집합을 표시한 부호이다.
그리고 진·간·태·손의 표시는 행성의 자전함을 표시하며, 그 외곽의 3선은 태양계의 공전을 표시함이다.
상기 부착판(7)은 상호 대응하지 않도록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에 부착시 엇갈리게 위치를 잡아 형성하므로서 결국 모두 60°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있다.
상기 부착판(7)은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에 부착되어 있음에 따라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의 회전에 따라 원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는 중심부는 두께폭을 크게 하고, 가장자리는 두께폭을 얇게 하여 내구성을 도모하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6)는 회전체로서 축받침대(36)와, 이 축받침대(36)에 의해 회동하게 설치되면서 회전 전환을 보조적으로 수행하는 탄력충돌장치부(24)를 구비한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와, 이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의 수평 선상 양단에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전,후진과 선단의 자세가 위치 변위가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이루어지게 설치된 전자클러치부(40)와, 상기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의 회전 중심축(42)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동좌표전환부(10)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로드부(44)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탄력충돌장치부(24)는 최대한 작동을 만족시킬 수 있는 위치에 적정자 세로 설치되며, 갯수나 형태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며, 여기서는 탄력충돌부(32)(34)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탄력충돌장치부(24)는 통상의 기술에 의해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 측면에 형성한 충돌부(30)와 이 충돌부(30)와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주기적으로 충돌하여 회전방향으로 신속하게 전환을 완충시키는 댐퍼로서, 예를 들어 항타와 같은 폭발장치등을 채용해 제작되고 있다.
상기 전자클러치부(40)는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에서 전,후진하게 설치된 전,후진액츄에이터(41)와, 이 전,후진액츄에이터(41)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위치각도를 제어하는 좌,우변환액츄에이터(43)와, 상기 전,후진액츄에이터(41)의 전방에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의 부착판(7)과 가변적으로 부착되게 설치한 전자석클러치(45)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전자석클러치(45)는 전,후진 액츄에이터(41)에 볼조인트 타입으로 설치되어 부착판(7)과의 기밀한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전,후진 액츄에이터(41)는 압력장치(47)로부터 공급받은 압력으로 제어되어 전,후진하게 되며, 좌,우변환액츄에이터(43)는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전,후진 액츄에이터(41)로 하여금 각도를 보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좌,우변환액츄에이터(43)는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이동을 하게 되어 있어 전자석클러치(45)와 부착판(7)에 의한 회전력 전달을 용이하게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작용을 정확하게 하고 있다.
상기 이동좌표전환부(10)는 축받침대(36)에 설치되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에 제1,2연결로드(46)(48)로 연결된 연결로드부(44)와, 이 연결로드부(44)의 제1,2연결로드(46)(48) 하단에 캠(50)으로 편심 연결되면서 축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2이동좌표캠(52)(54) 사이에 치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출력기어(56)를 설치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좌표전환부의 내외각운동 작용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회전 중심축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 제1,2연결로드(46,48) 하단측이 제1,2이동좌표캠(52,54)에 연결되어 180°의 내각운동과, 180°의 외각운동을 하며, 또 작용점 양측편에 제1,2연결로드로 결속된 제1,2이동좌표캠은 상대적으로 밀고 당기는 2중외각운동 양편 이동좌표캠의 힘 모멘트가 중심축으로 집합되어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 작용점의 힘이 그대로 전해지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2중내각운동은 힘의 모멘트가 중심축과 제1,2이동좌표캠(52,54)의 중간지점에 도달하므로 양측편힘이 2중으로 전달되며, 이 힘이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 양측편에서 연속 발생하므로 여분의 힘은 자동적으로 부가탄력회전체(58) 회전력으로 충당되게 되며, 부가탄력회전체(58)는 회전에 필요한 힘을 기본장치인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에서 얻는 힘을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 작용점과 결속된 제1,2연결로드(46)(48)를 통해 제1,2이동좌표캠(52)(54)과 중심축으로부터 공급받고 그 탄력은 같은 경로를 통해 환원되게 되어 있다.
상기 출력기어(56)에는 출력기어(56)들간을 연결하면서 부가탄력회전체(58)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출력축(60)을 설치하여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나, 이동좌표전환부(10), 부가탄력회전체(58), 증폭발전장치(12), 전자클러치부(40) 등은 설계에 따라 다수 설치 가능하며, 특정 수의 수량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이동좌표전환부(10)의 제1,2이동좌표캠(52)(54), 출력기어(56)는 기어박스(62)내에 장착되어 고정되면서 캠(50)으로 연결로드부(44)와 연결 설치되고 있다.
상기 연결로드부(44)는 제1,2결로드(46)(48)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8)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시소작용 방·각 지렛대(8)의 운동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설치되고 있다.
상기 부가탄력회전체(58)는 이동좌표전환부(10)의 일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출력기어(56)의 축을 형성하는 출력축(60)으로 설치되어 시소작용 방·각지렛대(8)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부가탄력회전체(58)는 통상의 기어 조합에 의해 입력되는 회전력 보다 출력되는 회전력이 증속되어 출력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증폭발전장치부(12)는 이동좌표전환부(10)에 설치시 변속기(64-1)를 통해 연결되는 발전기(64), 증속기(R), 변속기(T), 전자클러치(C), 부가탄력회전체(58)순으로 출력축(60)에 연결 설치되고 있으며, 증속된 회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발전기(6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발전기(64)에서 발전된 전원은 통상의 송전장치(66)등을 통해 산업체등에 공급되며, 또 여기서 발전된 전기는 전자제어장치(16)에 의해 시동구동부(4)의 제1,2시동모타군(20)(22)과 기타 발전 전장부품(68)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게 연결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전자제어장치(16)는 제1,2시동모타군(20)(22), 전,후진 액츄에이터(41), 좌,우변환액츄에이터(43), 탄력충돌장치부(24), 압력장치(47),(49), 송전장치(66)를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2)의 작용을 설명하면 배터리나 기타 전원장치에 의한 초기 전원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작동스위치(14)를 온시키면 전자제어장치(16)가 이를 인식하여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시동구동부(4)의 제1,2시동모타군(20)(22)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제1,2시동모타군(20)(22)의 구동기어(18)는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범위내에서 회전 운동시킨다.
상기 제1,2시동모타군(20)(22)의 작동으로 구동기어(18)가 정회전하면 정위치한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전자제어장치(16)의 기 설정된 신호에 의해 전,후진액츄에이터(41)와, 좌,우변환액츄에이터(43)의 작동으로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양측 전자석클러치(45)를 상호 교대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는 탄력충돌장치부(24)의 제1,2탄력충돌부(32)(34)에 의해 측면에 형성된 충돌부(30)를 타격하여 회전력 전환에 따른 왕복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와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가 회전하게 됨을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전자제어장치(16)가 인식하게 되면 제1탄력충돌부(32)를 전진시켜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의 외주면에 돌출된 충돌부(30)를 쳐주게 되어 회전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여 왕복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는 계속 회전하고 부착판(7)이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의 전자석클러치(45)에 대해 60° 범위에 이르게 되면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전자제어장치(16)는 전,후진액츄에이터(41)를 전진시켜 전자석클러치(45)로 하여금 a위치에서 부착판(7)에 부착시켜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한다.
상기 전자석클러치(45)와 부착판(7)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는 회전하여 부착판(7)이 b위치에 왔을때는 전,후진액츄에이터(41)는 설정된 정보의 신호에 의해 후퇴함과 동시에 좌,우변환액츄에이터(43)가 작동하여 전,후진액츄에이터(41)의 각도를 b위치의 부착판(7)과 일직선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전자석클러치(45)는 전,후진액츄에이터(41)에 볼조인트타입으로 설치되고 있어 자세변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부착판(7)에 기밀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석클러치(45)와 부착판(7)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원형 운동회전체부(6)는 회전하여 부착판(7)이 c위치까지 이동한 후 c위치를 벗어나는 경우는 전,후진액츄에이터(41)와 좌,우변환액츄에이터(43)는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상기한 일련의 A부측 전자클러치부(40)의 작용을 설명하고 있지만 A부측과 C부측 작용이 동일하여 하강하는 자세이고, B,D부측은 상승하는 자세로 작용하며, 상세 작용은 상기 설명한 A부측 전자클러치부(40)의 작용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다겹 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는 A,B부측의 왕복운동과 반대로 C,D부측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는 설치 용도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전량 규모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에는 제1,2연결로드(46)(48)가 연결되어 승강운동을 반복하므로서 기어박스(62)내 캠(50)으로 연결되어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제1,2이동좌표캠(52)(54)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 사이에 배치된 출력기어(56)는 출력축(6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이동좌표캠(52,54)은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회전 중심축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된 연결로드부(44)의 하단측에 제1,2이동좌표캠(52,54)으로 연결되어 180°의 내각운동과, 180°의 외각운동을 하며, 작용점 양측편에 제1,2연결로드(46)(48)로 결속된 제1,2이동좌표캠(52)(54)은 상대적으로 밀고 당기는 2중외각운동 양편 이동좌표의 힘 모멘트가 중심축으로 집합되어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 작용점의 힘이 그대 로 전해지게 된다. (도8참조)
그리고 상기 2중내각운동은 힘의 모멘트가 중심축과 제1,2이동좌표캠(52,54)의 중간지점에 도달하므로 양측편힘이 2중으로 전달되며, 이 힘이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 양측편에서 연속 발생하고, 이때 발생한 여분의 힘은 자동적으로 부가탄력회전체(58) 회전력으로 충당되게 된다.
아울러 부가탄력회전체(58)는 회전에 필요한 힘을 기본장치인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에서 얻는 힘을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작용점과 결속된 제1,2연결로드(46)(48)를 통해 제1,2이동좌표캠(52)(54)과 중심축으로부터 공급받고 그 탄력은 같은 경로를 통해 환원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의 속도에너지에 의한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전자클러치부(40)의 전자석클러치(45)가 부착판(7)과 결합하여 회전력이 전달됨에 따라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38)의 작용점에 결속된 제1,2연결로드(46)(48)와 연결된 제1,2이동좌표캠(52)(54)의 길이와 속도가 변하여 속도에너지의 증폭량에 의해 구동하게 된다.
상기 출력축(60)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은 증폭발전장치(12)의 부가탄력회전체(58)를 거쳐 증속되어 출력되는 회전력은 결과적으로 발전기(64)에 가해져 발전량을 증폭시키게 된다.
상기한 부가탄력회전체(58)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8)의 상,하 회동시 방향 전환점에 작용력의 공백이 생기는 부분을 보상해주기 위한 것으로 보조적 기능 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 회동하는 시소작동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기어박스(62)의 출력기어(56)의 회전으로 출력축(60)을 통해 작동하는 부가탄력회전체(58)를 거쳐 증속된 회전력은 증폭발전장치(12)의 발전기(64)를 작동시켜 발전하므로서 제1,2시동모타군(20)(22)과 기타 전장부품(68)에 대해 충분량의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한 시동구동부(4)를 구성하는 제1,2시동모타군(20)(22)외에도 필요에 따라 좌,우 양측에 추가하여 허용하는 한 설치할 수 있으며, 수량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또,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도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사이에 설계 특성에 따라 적어도 한쌍 이상을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간의 회전이 동일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하여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를 교대로 왕복운동시킴에 따라 이동좌표전환부(10)를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게 에너지를 증폭하게 되며, 상기한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난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의 크기등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여기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6)나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8)등 적용되는 부품등은 비틀림이나 중량저감을 도모하는 재질로 제작가능하며, 다양한 재질이나 모양 등의 변경이 가능하며 여기에 도시한 도면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중추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이동좌표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의 이동좌표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 것은 아인슈타인이 의도한 이동좌표와 같은 성질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때문이다.
상기 이동좌표의 내각운동과 외각운동은 물체운동의 새로운 현상이라 할 수 있으며, 종전의 중력은 어떤힘이 중심에 모이는 과정에서 힘의 모멘트와 회전속도가 불변의 비례법칙이다.
본 시스템의 이동좌표는 같은 힘의 모멘트 같은 속도지만 2중작용을 하므로 힘이 관통하게 된다.
이힘을 같은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부가탄력체 회전력으로 사용하므로 세가지 힘을 하나로 통합하는 이동좌표 삼위일체 물리법칙이 성립된 것이 본 발명의 효과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기본적인 원형태극의 음극회전체와 양극회전의 상대적 회전작동을 하는 양동력부의 원리에 따른 양동력을 응용하여 전기에너지 증폭장치를 구현하므로서 설비구조의 단순화와 발전용 에너지의 생산 극대화를 통해 산업현장에 값싸고 충분한 전기 공급을 가능하게 하며, 또는 저렴한 건설비용으로 발전소에 적용할 수 있는 등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설비를 이용 생산현장의 발전설비나, 기타 동력을 필요로 하는 곳에 저렴한 비용으로 발전설비를 제공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초기 전원을 사용하여 시동모터를 구동한 이후에는 증폭발전장치에 의해 생산된 전원을 이용하고, 기타 전장부품에도 충분한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발전시설의 건설비용 및 공기의 단축으로 건설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특히 자원소모 및 공해의 발생이 없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에너지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전원을 통전시키는 작동스위치와, 이 작동스위치의 온을 감지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원형태극의 음극회전체와 양극회전체의 상대적 회전으로 사방상하 운동을 하는 양동력부와, 이 전자제어장치에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기어를 작동하게 하는 전동모타, 감속기, 변속기, 구동기어순으로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와 치합하게 양측에 다수 배치되는 제1,2시동모타군로 구성된 시동구동부와,
    상기 시동구동부의 복수 구동기어에 의해 회동하게 일정 간격인 축지지대에 일정 길이의 중심축 양편의 원형태극회전체에 상대적으로 연결 설치되면서 마주하는 면을 일정 각도로 분할한 위치에 부착판을 장착하여 시소작용 방·각지렛대의 전자클러치부 작동으로 이동좌표전환부와 연동하게 설치되는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와,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의 회전각이 90°일때 2회전, 60°일때 3회전. 45°일때 4회전, 30°일때 6회전 등 양편의 두회전체는 위의 각도의 편차를 두고 작동하는 전자클러치부와 접합되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와,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에서 전,후진하게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에 설치된 전,후진액츄에이터와, 이 전,후진액츄에이터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좌,우 위치각도를 제어하는 좌,우변환액츄에이터와, 상기 전,후진액츄에이터의 전방에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의 부착판과 가변적으로 부착되 게 전,후진 액츄에이터에 볼조인트 타입으로 설치한 전자석클러치를 구비한 전자클러치부와,
    상기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회전 중심축 양측으로 일정 간격의 작용점과 연결로드부의 하단측 기어박스내에 캠으로 편심 연결되어 상,하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180°의 내각운동과, 180°의 외각운동을 하여, 제1,2연결로드로 결속된 제1,2이동좌표캠을 상대적으로 밀고 당기는 2중내외각운동을 수행하게 하여 양측 이동좌표의 힘 모멘트와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 작용점의 힘이 제1,2이동좌표캠사이의 출력기어와 삼위일체로 통합되도록 배치한 이동좌표전환부와,
    상기 이동좌표전환부에 설치된 출력축에는 시소작용 방·각지렛대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에 탄력을 부가하게 부가탄력회전체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출력축상에 연결 설치되어 증폭된 회전탄력으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증폭된 회전력에 의해 발전하게 설치된 증폭발전장치와,
    상기 원형태극상대회전체부간의 사이 양측에 병렬로 연결 설치되며, 반복 회전운동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작동하게 축받침대에 의해 회동 설치되면서 다겹시소작용 방·각지렛대의 회전 전환을 보조적으로 수행하게 일측에 설치된 탄력충돌장치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동력 발전시스템.
KR1020040081193A 2004-10-12 2004-10-12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KR20060032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93A KR20060032299A (ko) 2004-10-12 2004-10-12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PCT/KR2004/002787 WO2006041231A2 (en) 2004-10-12 2004-11-02 Amplified electric energy produc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93A KR20060032299A (ko) 2004-10-12 2004-10-12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299A true KR20060032299A (ko) 2006-04-17

Family

ID=3614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193A KR20060032299A (ko) 2004-10-12 2004-10-12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32299A (ko)
WO (1) WO200604123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872A (ko) * 2005-01-10 2006-07-13 조창환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이 탑재된 부양전기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3679A1 (fr) * 2012-07-20 2014-01-24 Elisee Evrard Diaphragme reacti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872A (ko) * 2005-01-10 2006-07-13 조창환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이 탑재된 부양전기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41231A2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4824A1 (en) Gyro wave-activated power generator and wave suppressor using the power generator
JP2021509457A (ja) カプセルブイ型波力発電機
JPH09184471A (ja) 方向変動エネルギー取出し装置
KR101687815B1 (ko) 파력 발전 장치 및 이 파력 발전 장치를 복수 개 연결한 파력 발전 시스템
KR20080025278A (ko) 파력 발전시스템
EP3130795A1 (en) Wave-driven power generation system
EP3042444B1 (en)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20060032299A (ko)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KR20060103761A (ko) 무중력 가속도 질량 증폭기
KR102196483B1 (ko) 로봇의 관절 구동모듈
EP2657522A2 (en) Power generator with a flywheel.
CN109951101B (zh) 压电驱动的超精密四自由度定位调姿机构及其激励方法
KR101287244B1 (ko) 파력 발전장치
CN108518323B (zh) 一种用于人体行走能量回收的机械传动发电装置
JPH08177710A (ja) 発電装置
KR102239379B1 (ko) 자력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CN109995267A (zh) 直线-剪切压电陶瓷配合驱动的步进旋转作动装置及方法
CN208596981U (zh) 一种伺服无刷电机用安装底座
KR20050105860A (ko)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WO2008156779A1 (en) Power generation device
CN107031749A (zh) 一种用于市政道路的太阳能机器人
KR20050099143A (ko)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
KR20220017796A (ko) 자성휠을 이용한 회전운동장치
KR20060081871A (ko) 양동력(揚動力) 발전시스템이 탑재된 자기부상 기관차
CN202602516U (zh) 径向磁场的少极差磁导谐波式磁性齿轮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