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312A -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312A
KR20060031312A KR1020040080282A KR20040080282A KR20060031312A KR 20060031312 A KR20060031312 A KR 20060031312A KR 1020040080282 A KR1020040080282 A KR 1020040080282A KR 20040080282 A KR20040080282 A KR 20040080282A KR 20060031312 A KR20060031312 A KR 20060031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asket
washing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5634B1 (ko
Inventor
김창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8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6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05B1/162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with a selecting mechanism compris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Abstract

본 발명에서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둘 이상의 바스켓을 구비하고, 각 바스켓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각 노즐이 장착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각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으로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의 공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각의 밸브; 상기 각 바스켓의 하중을 인지하기 위한 하중감지 부재; 상기 각각의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밸브 드라이버; 상기 하중감지 부재로부터 검출되는 부하량 신호를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각 하중감지 부재 별로 접속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 바스켓의 부하를 인지하고, 인지 결과에 따라 각 바스켓 별로 세척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밸브 드라이버를 각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바스켓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의 각 바스켓으로 발생되는 부하량에 따라 세척물이 탑재된 바스켓을 인지함에 따라, 세척물이 탑재된 바스켓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불필요한 세척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식기, 세척기, 바스켓, 로드센서, 밸브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CONTROLLER FOR SPRAYING WATER OF VESSEL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스켓의 레일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를 나타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제 1 밸브 203 : 제 2 밸브
205 : 제 1 급수관 207 : 제 2 급수관
209 : 제 1 노즐 211 : 제 2 노즐
303 : 바스켓 롤러 305 : 하측 레일롤러
307 : 상측 레일롤러 309 : 레일
313 : 롤러 힌지 315 : 로드센서
401 : 마이컴 403 : 에이디 컨버터
405 : 신호 처리부 407 : 제 1 밸브 드라이버
409 : 제 2 밸브 드라이버 411 : 급수펌프 드라이버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 용량에 따라 식기 세척기의 세척 알고리즘을 변형하여 세척수의 급수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tub) 내부의 선반에 놓인 식기에 냉수 또는 온수를 분사하여 식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분사하기 위한 펌프 및 노즐이 필요하고,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히터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 본체(102) 내부에는 전면이 개구된 세척조(104)가 마련되고, 세척조(104)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06)가 본체(102)의 전면에 힌지 결합된다. 세척조(104)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된 바스켓(104a)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각 바스켓(104a)의 하부에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분사 노즐(104c)이 설치된다.
세척조(104) 내의 하부에 설치된 바스켓(104a) 아래에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가열하여 온수가 생성되도록 하는 히터(150)가 설치된다.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공급되어 히터(150)가 물에 잠기면 공급된 물과 히터(150) 사이의 열 교환을 통해 온수가 만들어진다. 만들어진 온수는 세척 행정에서 식기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제거하거나, 말라버린 음식물 찌꺼기를 불려서 떨어뜨리는데 사용된다. 헹굼 행정에서 온수는 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는데, 전체 헹굼 행정의 마지막 헹굼 단계에서 식기를 온수로 가열하면 건조 행정에서는 식기의 잠열에 의해 수분이 보다 빠르게 증발하게 된다.
세척조(104) 하부에 설치된 바스켓(104a) 아래쪽에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모이도록 형성된 집수통(108)이 설치되며, 이 집수통(108)에는 배수펌프(110) 및 급수 펌프(112)가 각각 배수관(110a) 및 순환관(112a)을 통해 연결된다. 순환관(112a)은 분사 노즐(104c)과 연결된 급수관(104b)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각 분사 노즐(104c)로부터 분사된 세척수 또는 헹굼수는 급수 펌프(112)의 펌핑 작용에 의해 집수통(108)과 순환관(112a)을 거쳐 급수관(104b)으로 보내진 후 다시 분사 노즐(104c)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세척조(104)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정해진 세척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이 경과하면 배수펌프(110)의 작용에 의해 식기 세척기(102)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내로 안착되는 세척물에 대한 용량에 관계 없이, 정해진 세척 시간 또는 헹굼 시간에 따라 운용되기 때문에, 적은 량의 세척물이 세척조내로 안착될 경우에는 식기 세척기의 운용자체가 낭비적 요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는 세척조내에 다수의 바스켓을 구비하고, 각 바스켓 상으로 급수관을 형성한 후 각 급수관을 일괄적으로 운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것으로, 세척물의 용량에 따라 세척 알고리즘을 달리해야 한다는 문제점 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스켓으로 탑재되는 식기의 유무를 인지하여, 인지결과에 따라 바스켓 별로 세정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스켓으로 탑재되는 식기의 양을 인지하여, 인지결과에 따라 세척 및 헹굼시 사용되는 급수량을 절감 제어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스켓을 구비하고, 각 바스켓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각 노즐이 장착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각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으로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의 공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각의 밸브; 상기 각 바스켓의 하중을 인지하기 위한 하중감지 부재; 상기 각각의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밸브 드라이버; 상기 하중감지 부재로부터 검출되는 부하량 신호를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각 하중감지 부재 별로 접속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 바스켓의 부하를 인지하고, 인지 결과에 따라 각 바스켓 별로 세척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밸브 드라이버를 각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중감지 부재는 접점 스위치이 거나, 상기 하중감지 부재는 로드센서이고, 상기 하중감지 부재가 로드센서일 경우, 상기 마이컴은 상기 각 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각각의 에이디 컨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에이디 컨버터로부터 인지되는 상기 로드센서의 부하량 에 비례하여 상기 밸브 드라이버를 시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간 제어는 상기 로드센서의 부하량과 비례관계를 갖는 선형 제어 또는 상기 로드센서의 부하량과 비례관계를 갖는 비선형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였다.
먼저, 식기 세척기 본체(102) 내부에는 세척조(104)가 마련되고, 세척조(104) 전면으로 도어(106)가 본체(102)의 전면에 힌지 결합된다. 세척조(104)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된 바스켓(104a)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각 바스켓(104a)의 하부에는 수납된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각 바스켓(104a) 별로 제 1 분사 노즐(209) 및 제 2 분사 노즐(211)이 설치된다. 상기 각 분사 노즐(209,211)은 각각으로 제 1 밸브(201) 및 제 2 밸브(203)를 거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밸브(201) 및 제 2 밸브(203)는 각각으로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또한, 상기 세척조(104) 내의 하부로는 히 터(150) 및 집수통(108)이 설치되며, 상기 집수통(108)에는 배수펌프(110), 급수 펌프(112)가 각각 배수관(110a) 및 순환관(112a)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급수 펌프(112)는 상기 제 1 밸브(201) 및 제 2 밸브(203)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각 분사 노즐(209,211)로부터 분사된 세척수 또는 헹굼수는 급수 펌프(112)의 펌핑 작용에 의해 집수통(108)과 순환관(112a)을 거쳐 제 1 급수관(205) 및 제 2 급수관(207)으로 보내진 후 다시 각각의 분사 노즐(209,211)을 통해 분사되어, 세척조(104)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정해진 세척 시간 또는 헹굼 시간이 경과하면 배수펌프(110)의 작용에 의해 식기 세척기(102)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세척조(104)의 측벽으로 상기 바스켓(104a)을 세척조(104)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롤러가 장착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되고 있으며, 세척조(104)의 측벽에 상하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레일롤러는 상측 레일롤러(307)와 하측 레일롤러(305)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레일롤러(307)와 하측 레일롤러(305)는 롤러 힌지(313)에 의해 레일롤러 베이스패널(317)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롤러 베이스패널(317)은 세척조(104)의 측벽으로 설치되어 상하 유동거리를 갖는다. 즉, 상기 레일롤러 베이스패널(317)은 상기 바스켓(104a)의 하중에 따라 하향(중력방향)으로 부하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롤러 힌지(313)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로드센서(315)에 의해 상기 바스켓(104a)의 부하량을 측정한다.
상기 로드센서(315)는 상기 바스켓(104a)으로 세척물이 안착될 때 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소정의 스위칭 소자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로드센서(315)는 롤러 힌지(313)의 후방에 설치됨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 레일롤러 베이스패널(317)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바스켓(104a)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레일롤러(307)와 하측 레일롤러(305) 사이에는 레일(309)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309)은 상기 레일롤러(305,307)를 따라 전후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309)은 상기 바스켓(104a)과 연동되며, 상기 바스켓(104a)은 상기 레일롤러(305,307)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소정 거리 이격된 바스켓 롤러(303)를 장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바스켓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는 각 바스켓의 부하량에 따른 세척수 분사제어를 수행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스켓을 사용함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이해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바스켓은 두개의 바스켓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된 바스켓(104a)의 부하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로드센서(315), 상기 제 1 밸브(20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밸브 드라이버(407), 상기 제 2 밸브(203)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밸브 드라이버(409), 상기 급수펌프(1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급수펌프 드라이버(411), 상기 로드센서(315)로부터 검출되는 부하량 신호를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각 로드센서(315) 별로 접속되는 신호 처리부(405), 상기 각 신호 처리부(405)의 아날 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각각의 에이디 컨버터(403), 상기 각 에이디 컨버터(403)로부터 검출되는 각 로드센서(315) 별 부하량 정보를 토대로 각 바스켓(104a)의 부하량을 인지하고, 인지 결과에 따라 각 바스켓(104a) 별로 세척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급수펌프 드라이버(411)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제 1 밸브 드라이버(407) 또는 제 2 밸브 드라이버(409)를 인에이블시키거나, 상기 급수펌프 드라이버(411)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제 1 밸브 드라이버(407) 및 제 2 밸브 드라이버(409)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마이컴(401)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식기 세척을 위해 상기 본체(102)의 도어(106)를 개폐하여 세척물을 상기 바스켓(104a)으로 투입한다. 식기 세척기는 상기 바스켓(104a)을 적어도 둘 이상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세척물을 어느 하나의 바스켓(104a)으로 투입한 후, 소정의 제어 버튼을 동작시킨다.
어느 하나 또는 둘의 바스켓(104a)은 상기 세척물에 의해 하중이 발생하며, 바스켓(104a)의 하중은 상기 바스켓 롤러(303)를 통해 하측 레일롤러(305)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롤러 베이스패널(317)은 바스켓(104a)의 하중에 비례하여 중력 방향으로 부하가 발생된다. 상기 레일롤러 베이스패널(317)은 하향 즉, 중력방향으로 소정 거리 유동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해당 바스켓(104a)은 상기 레일롤러 베이스패널(317)을 중력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레일롤러 베이스패널(317)은 상기 하측 레일롤러(305)의 하부로 체결되는 로드센서(315)를 가압한다.
상기 로드센서(315)는 상기 바스켓(104a)의 하중에 비례한 주파수 신호를 발생며, 상기 주파수 신호는 신호 처리부(405)를 거쳐 소정의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 된다. 정형화된 신호는 에이디 컨버터(40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마이컴(401)으로 제공된다,
상기 마이컴(401)은 본체(102)내로 구비되는 둘 이상의 바스켓(104a)중 어느 하나의 바스켓(104a)에 하중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 물론, 둘 이상의 바스켓(104a) 모두에 하중이 발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바스켓(104a)의 하중은 바스켓(104a)으로 세척물이 탑재되는 것으로, 마이컴(401)은 상기 바스켓(104a) 상으로 세척물의 탑재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스켓(104a)의 하중을 감지함에 있어, 상기 로드센서(315)를 스위칭 소자로 이용하거나 로드센서(315) 대신 스위칭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로드센서(315)로부터 바스켓(104a)의 하중을 감지할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401)은 로드센서(315)의 출력 주파수를 검출할 것이며, 상기 로드센서(315)를 스위칭 소자로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마이컴(401)은 로드센서(315)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신호의 유무만을 검출할 것이다.
상기 마이컴(401)은 각 에이디 컨버터(403)로부터 제공되는 부하량 정보를 입력받아, 각 바스켓(104a)에 대한 각각의 부하량을 인지한다. 이와 같은 부하량은 일정 범위별로 구분하여 시스템 제어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부하량의 범위를 상, 중, 하로 구분할 경우, 세척물의 양이 소량, 중량 및 대량으로 탑재됨을 인지할 것이다. 상기 세척물의 탑재량에 대한 무게 중량은 보편적인 세척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실험적 결과에 따라 그 기준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세척물의 무게 중량이 500g 이상 1kg 이하일 경우, 세척물의 양이 소량임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7분의 세척시간을 부여하고, 세척물의 양이 1kg 초과 2.5kg 이하일 경우, 세척물의 양이 중량임으로 인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세척시간을 11분으로 설정하며, 세척물의 양이 2.5kg 초과일 경우, 상기 마이컴(401)은 세척물의 양을 대량으로 판단하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는 16분의 세척시간 동안 세척물을 세척하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데이터는 실험치에 근거함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 부하량의 범위별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선형적인 제어가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도 5는 이와 같은 실험치에 근거한 식기 세척기의 급수밸브 동작제어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104a)으로 탑재되는 식기 세척물의 양이 증가할 수록 급수관(104b)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 또는 세척수의 급수 시간이 증가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따라서, 마이컴(401)은 각각의 상기 에이디 컨버터(403)로부터 제공되는 부하량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물이 탑재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바스켓(104a)을 인지하고, 각 바스켓(104a)의 하중을 감지하는 각각의 로드센서(315)로부터 각 바스켓(104a)의 하중을 인지함에 따라, 각 바스켓(104a)으로 탑재되는 세척물의 양을 판단한다. 이 후, 마이컴(401)은 식기 세척기의 세정행정을 시작하기 위한 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급수펌프 드라이버(411)를 인에이블시킨다. 상기 급수펌프 드라이버(411)는 상기 급수펌프(112)로 정격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상기 급수펌프(112)는 제 2 밸브(203) 및 제 1 밸브(201)로 세척수를 소정 압력으로 공급한다.
이 때, 상기 마이컴(401)은 기준치 이상의 중량이 감지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바스켓(104a)을 추출하고, 해당 바스켓(104a)의 중량을 인지한다. 예컨대, 세척조 (104) 상단부로 구비되는 바스켓(104a)으로 하중이 발생되고, 상기 세척조(104) 하단부로 구비되는 바스켓(104a)으로는 하중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마이컴(401)은 상기 에이디 컨버터(403)를 통해 해당 바스켓(104a)의 부하량 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부하량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밸브의 선형적 제어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비선형적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마이컴(401)의 설정 프로그램이 비선형적 제어를 수행하도록 메모리되어 있을 경우, 상기 마이컴(401)은 해당 바스켓(104a)의 중량을 인지한 후, 중량 범위에 따른 급수 밸브의 제어 시간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밸브의 제어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밸브 드라이버(407)를 해당 시간동안 동작시키기 위한 인에이블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밸브 드라이버(407)는 상기 제 1 밸브(201)로 해당 시간동인 정격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급수펌프(112)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제 1 밸브(201)를 거쳐 상기 급수관(104b)을 거쳐 노즐(209)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세척조(104)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스켓(104a)은 하중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마이컴(401)은 제 2 밸브 드라이버(409)로 디스에이블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 2 밸브 드라이버(409)는 상기 제 2 밸브(203)를 오프 상태로 유지토록 제어한다.
앞서 설명된 절차에 따라, 상기 마이컴(401)은 상기 세척조(104)의 상부 및 하부로 구비되는 각각의 바스켓(104a)으로 부하량이 발생됨을 인지할 경우에는, 각 바스켓(104a)으로 발생되는 부하량에 비례한 각 밸브(201,203) 제어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스켓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의 각 바스켓으로 발생되는 부하량에 따라 세척물이 탑재된 바스켓을 인지함에 따라, 세척물이 탑재된 바스켓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불필요한 세척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의 바스켓으로 탑재되는 세척물의 양을 인지하고, 세척물의 양에 대응하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선형적으로 제어하도록 함에 따라, 불필요한 세척수 공급 행정을 억제함으로서, 과다한 세척수 낭비로 인한 급수펌프의 불필요한 동작과 과다 세척수를 히팅하기 위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세척물을 탑재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바스켓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각각의 노즐이 장착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으로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의 공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각각의 밸브;
    상기 둘 이상의 바스켓 하중을 인지하기 위해 각 바스켓 별로 구비되는 하중감지 부재;
    상기 각각의 밸브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밸브 드라이버;
    상기 하중감지 부재별로부터 검출되는 부하량 신호를 정형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각각의 신호 처리부; 및
    상기 각 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바스켓의 부하를 인지하고, 인지 결과에 따라 세척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밸브 드라이버를 각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감지 부재는 접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감지 부재는 로드센서이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신호 처리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에이디 컨버터를 더 포함 하며, 상기 각 에이디 컨버터로부터 인지되는 상기 로드센서의 부하량 에 비례하여 상기 밸브 드라이버를 시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는 상기 로드센서의 부하량과 비례관계를 갖는 선형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제어는 상기 로드센서의 부하량과 비례관계를 갖는 비선형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KR1020040080282A 2004-10-08 2004-10-08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KR100635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282A KR100635634B1 (ko) 2004-10-08 2004-10-08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282A KR100635634B1 (ko) 2004-10-08 2004-10-08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312A true KR20060031312A (ko) 2006-04-12
KR100635634B1 KR100635634B1 (ko) 2006-10-18

Family

ID=3714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282A KR100635634B1 (ko) 2004-10-08 2004-10-08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6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7833A1 (en) * 2016-12-16 2018-06-2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ock detection
US10342409B2 (en) 2016-12-16 2019-07-09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rinkware spray container
US10368718B2 (en) 2016-12-16 2019-08-06 Midea Group Co., Ltd. Dishwater with modular docking
US10517458B2 (en) 2016-12-16 2019-12-3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including silverware basket with integrated interior sprayer
US10849480B2 (en) 2016-12-16 2020-12-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including spray basket with integrated external spray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7833A1 (en) * 2016-12-16 2018-06-2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ock detection
US10342409B2 (en) 2016-12-16 2019-07-09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rinkware spray container
US10368718B2 (en) 2016-12-16 2019-08-06 Midea Group Co., Ltd. Dishwater with modular docking
US10517458B2 (en) 2016-12-16 2019-12-3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including silverware basket with integrated interior sprayer
US10561296B2 (en) 2016-12-16 2020-02-1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ock detection
US10849480B2 (en) 2016-12-16 2020-12-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including spray basket with integrated external sprayer
US11717134B2 (en) 2016-12-16 2023-08-0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ock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634B1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2551B2 (en) Obstacle sensing spray arm for a dishwashing machine
EP2081479B1 (en) Dish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7837802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540820B2 (en) Rinse aid release detection method
KR20090030902A (ko) 식기세척기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세탁장치의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8122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52208A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35634B1 (ko)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
KR20080089113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AU2010247621A1 (en) Dishwas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odules
KR101156715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80992A1 (en) System with a dishwash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06002332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15344B1 (ko) 식기세척기의 자동운전 장치 및 방법
KR20090118608A (ko) 식기세척기
JP4121812B2 (ja) 食器洗浄機
KR100859035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70078118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JPH01190328A (ja) 食器洗浄機
KR101054159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960010940B1 (ko) 식기세척/건조기의 식기량 판단방법
KR200332586Y1 (ko) 초음파 세척장치가 결합된 싱크대
KR10128642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50842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제어방법
KR101189370B1 (ko) 식기세척기의 배수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