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875A - The 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 - Google Patents

The 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875A
KR20060030875A KR1020060025933A KR20060025933A KR20060030875A KR 20060030875 A KR20060030875 A KR 20060030875A KR 1020060025933 A KR1020060025933 A KR 1020060025933A KR 20060025933 A KR20060025933 A KR 20060025933A KR 20060030875 A KR20060030875 A KR 2006003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brake
monorail
mov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모노레일
Priority to KR102006002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875A/en
Publication of KR2006003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8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61B13/06Saddle or like balance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의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원이나 논과 밭 등의 작업장에서 중량의 과일상자나 비료포대 등을 신속 편리하고 운반하기 위해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일정궤도로 이동하는 운반대차가 안내레일 상에서 중량의 운반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안내레일 상에서의 이동과 정지를 위한 조작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운반물의 하중이 편중되어 발생하는 운반대차와 안내레일의 변형과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작업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type carriage for carrying a heavy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according to a guide rail installed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arry a fruit box or a fertilizer bag of heavy weight in a workplace such as an orchard or paddy field and a field. As the transport trolley moving in a constant track not only stably supports the weight of the package on the guide rail but also facilitates the operation and movement on the guide rail, the load of the package is bia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carriage that not only prevents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carriage and guide rails, but also enables smooth movement,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operation. .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레일을 따라 일정궤도로 이동하여 중량의 운반물을 운반하는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에 있어서, 안내레일의 상측면부와 접하여 회전하는 상부구동롤러가 일정거리를 두고 전후에 각각 수평설치되고, 안내레일의 하측 양모리서부와 접하는 한 쌍의 하부구동롤러가 일정거리를 두고 상부구동롤러의 하측 전후에 각각 수직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안내레일의 양측면부를 압지하는 브레이크페드가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암이 브레이크켐의 움직임에 의해 안내레일에서 동시에 이격가능하게 설치된 제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고, 운반물을 적재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가진 상판이 구비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구동부 와 일체된 적재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손잡이가 설치되며, 상기 제동부의 브레이크켐을 움직여 구동부의 제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손잡이가 이동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모노레일식 운반대차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onorail transport trolley for moving heavy loads by moving along a guide rail along a guide rail, the upper driving rollers which rot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are horizontally installed at a front and rea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pair of lower driving roller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lower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vertically installed at lower and rear sides of the upper driving roller; A braking par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part and having a brake pad at the end of which brake pads hold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 by tension of the coil spring ar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ail at the same time by the movement of the brake chem; ; A loading part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driving part, and having a top plate having a wide space for loading a package; An operation unit fix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unit and provided with a moving handle for moving the loading unit integrated with the driving unit, and a brake knob for controlling the braking of the driving unit by moving the brake cab of the brake unit; A monorail carriage is provided, which is configured.

모노레일, 운반대차, 안내레일 Monorail, Cart, Guide Rail

Description

모노레일식 운반대차{The 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 따른 일부 분리 사시도1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 따른 일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선 수직 단면도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2의 "B-B"선 수직 단면도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 상부구동롤러 2: 하부구동롤러 3: 구동부1: upper drive roller 2: lower drive roller 3: drive part

4: 코일스프링 5: 브레이크페드 6: 브레이크암4: coil spring 5: brake ped 6: brake arm

7: 브레이크켐 8: 제동부 9: 상판7: Break Chem 8: Braking Unit 9: Top

10: 적재부 11: 이동손잡이 12: 브레이크손잡이10: loading part 11: moving handle 12: brake handle

13: 조작부 14: 관통공 15: 체결볼트13: Operation section 14: Through hole 15: Fastening bolt

16: 체결너트 17: 고정와셔 18: 브레이크와어이어16: tightening nut 17: fixing washer 18: brake wire

100: 모노레일식 운반대차 200: 안내레일 300: 지주프레임100: monorail carrier trolley 200: guide rail 300: holding frame

본 발명은 중량의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원이나 논과 밭 등의 작업장에서 중량의 과일상자나 비료포대 등을 신속 편리하고 운반하기 위해 설치된 안내레일을 따라 일정궤도로 이동하는 운반대차가 안내레일 상에서 중량의 운반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안내레일 상에서의 이동과 정지를 위한 조작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운반물의 하중이 편중되어 발생하는 운반대차와 안내레일의 변형과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작업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노레일식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type carriage for carrying a heavy object, and more particularly, according to a guide rail installed to quickly and conveniently carry a fruit box or a fertilizer bag of heavy weight in a workplace such as an orchard or paddy field and a field. As the transport trolley moving in a constant track not only stably supports the weight of the package on the guide rail but also facilitates the operation and movement on the guide rail, the load of the package is bia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carriage that not only prevents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carriage and guide rails, but also enables smooth movement,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ation operation. .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논과 밭 등에서 과일상자나 비료포대 등은 중량이 많이 나감으로 인해 인력으로 직접 운반하는 것은 작업상 매우 비능률적이다. In general, fruit boxes or fertilizer bags are heavy in orchards, rice fields, and fields, and thus, transporting them directly to human resources is very inefficient in terms of work.

따라서 상기의 중량의 과일상자나 비료포대 등의 물건을 능률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안내레일을 따라 일정궤도를 이동하는 운반대차가 공지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운반대차는 안내레일에 연결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운반물이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부를 통해 적재부를 이동시키는 조작부로 구성되어 있다. Therefore, a transport trolley for moving a predetermined track along a guide rail for efficiently transporting an object such as a fruit box or a fertilizer bag of the weight is known. Such a conventional transport trolley is a drive unit connected to the guide rail and the drive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is loaded, and the operation por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portion to move the loading portion through the driving portion.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운반대차의 구동부는 안내레일의 상하측면부와 접하여 회전하는 두 개의 구동롤러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안내레일을 지지하는 지주프레 임을 안내레일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롤러가 접하지 않는 부분은 측면부 밖에 없어 상기 지주프레임이 측면부에 고정설치되었다. However, the drive unit of the conventional transport trolley is composed of two drive rollers which rot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 so that the driving roller is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order to fix the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guide rail to the guide rail. Since there is only a side part, the strut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ide part.

이로 인해 안내레일로 가해지는 운반물의 하중을 지주프레임이 안정되게 지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운반물의 하중에 의해 지주프레임은 물론 안내레일이 변형되거나 파손되고, 운반대차도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the support frame does not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package applied to the guide rail, so that the guide frame, as well as the guide rail, is deformed or damaged due to the load of the package, and the transport cart cannot move smoothly. There was a problem shorte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과수원이나 논과 밭 등에서 중량의 과일상자나 비료포대 등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운반하기 위해 안내레일을 따라 일정궤도로 이동하는 운반대차가 중량의 운반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프레임을 가장 이상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안내레일 상에서의 이동과 정지를 위한 조작도 아주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안내레일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운반작업의 효율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모노레일식 운반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weight of the transport vehicle to move in a constant orbit along the guide rail in order to conveniently and effectively transport the fruit box or fertilizer bag of weight in orchards or rice fields and fields, etc. In order to stably support and transport the rail, the strut frame for supporting the guide rail can be installed at the most ideal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for moving and stopping on the guide rail can be made very convenient. It is to provide a monorail transport trolley which can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guide rail and greatly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 oper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 따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 따른 일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수직 단면도이다. 1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one side view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ure 2, Figure 4 is a " BB "line is vertical section.

본 발명의 모노레일식 운반대차(100)는 안내레일(200)을 따라 일정궤도로 이동하여 중량의 운반물을 운반하는 모노레일식 운반대차(100)에 있어서, 안내레일(200)의 상측면부와 접하여 회전하는 상부구동롤러(1)가 일정거리를 두고 전후에 각각 수평설치되고, 안내레일(200)의 하측 양모리서부와 접하는 한 쌍의 하부구동롤러(2)가 일정거리를 두고 상부구동롤러(1)의 하측 전후에 각각 수직설치된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4)의 장력에 의해 안내레일(200)의 양측면부를 압지하는 브레이크페드(5)가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암(6)이 브레이크켐(7)의 움직임에 의해 안내레일(200)에서 동시에 이격가능하게 설치된 제동부(8)와; 상기 구동부(3)의 상측에 고정설치되고, 운반물을 적재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가진 상판(9)이 구비된 적재부(10)와;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구동부(3)와 일체된 적재부(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손잡이(11)가 설치되며, 상기 제동부(3)의 브레이크켐(7)을 움직여 구동부(3)의 제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손잡이(12)가 이동손잡이(11)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norail carriage trolle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norail carriage trolley 100 for carrying a package of weight by moving in a constant orbit along the guide rail 200, rotate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200 The upper drive rollers 1 are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air of lower drive rollers 2 contacting the lower both sides of the guide rails 200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driving unit 3 installed vertically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side; A pair of brake arms 6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3 and having brake pads 5 mounted at one end of the brake pad 5 for hold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s 200 by the tension of the coil spring 4 are brake chemistry. A braking part 8 installed at the same ti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ail 200 by the movement of (7); A mounting part 10 fixedly installed above the driving part 3 and having a top plate 9 having a wide space for loading a package; 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portion 10, the movement handle 11 for moving the loading portion 10 integrated with the driving unit 3 is installed, the brake chem (7) of the braking portion (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e handle 12 for controlling the braking of the drive unit 3 by moving the control unit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vement handle (11).

상기 제동부(8)의 코일스프링(4)은 브레이크페드(5)가 안내레일(200)의 양측면부를 압지하도록, 브레이크암(6)에 형성된 관통공(14)을 관통한 체결볼트(15)의 일측에 체결너트(16)와 고정와셔(17)에 의해 신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The coil spring 4 of the braking part 8 has a fastening bolt 15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4 formed in the brake arm 6 so that the brake pad 5 grips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 200.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ongated state by the fastening nut 16 and the fixing washer 17.

상기 구동부(3)는 적재부(10)의 크기에 따라 두 개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riving unit 3 may be configured in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ing unit (10).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8은 브레이크손잡이(12)와 브레이크켐(7)에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이고, 300은 지주프레임이며, 400은 지주받침대이다. Reference numeral 18 in the drawings is a brake wire connected to the brake handle 12 and the brake chem (7), 300 is a support frame, 400 is a support bas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노레일식 운반대차(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수원이나 논과 밭 등의 작업현장에 설치한 안내레일(200)을 따라 일정한 궤도로 이동하면서 수확한 과일이나 비료 등을 적재부(10)에 적재하여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한 장치이다. The monorail-type carriage trolle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harvested while moving in a constant orbit along the guide rails 200 installed in a work site such as an orchard or rice field and field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a device for convenient transport by loading the fertilizer and the like to the loading portion (10).

특히, 본 발명의 모노레일식 운반대차(100)는 안내레일(200)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300)을 운반대차(100)와 운반물의 하중을 가장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200)의 하측면부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운반대차(100)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여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대차(100)와 안내레일(200)의 사용수명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monorail carriage trolle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pport frame 200 of the guide rail 200 so as to support the load of the carriage trolley 100 and the package most stably supporting the guide rail 200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it is possible to smoothly drive the transport cart 100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 operation, as well as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transport cart 100 and the guide rail 200. It becomes possible.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3)의 상부구동롤러(1)가 안내레일(200)의 상측면부와 접하여 회전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부구동롤러(2)는 안내레일(200)로부터 구동부(3)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레일(200)의 하측 양모서리부와 접하여 회전되게 수직으로 설치됨에 의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3, the upper driving roller 1 of the driving unit 3 moving along the guide rail 200 is horizontally installed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ail 200, and the lower driving roller ( 2) is due to the vertical installation so as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lower both edges of the guide rail 200 so that the drive unit 3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200.

이에 따라 구동부(3)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200)의 하측면부가 자유롭게 되어 안내레일(20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주프레임(300)을 안내레일(200)의 하측면부에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반대차(100)와 상기 운반대차(100) 에 적재된 운반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ail 20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unit 3 is free, and the support frame 300 supporting the guide rail 200 from the ground can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ail 200. By doing so, it become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package loaded on the transport cart 100 and the transport cart 100.

그러므로 상기 안내레일(200)은 운반대차(100)와 운반물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전혀 없어 운반대차(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안내레일(200)과 운반대차(100)의 사용수명도 보다 연장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guide rail 200 has no fear of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the load of the transport cart 100 and the package, thereby smoothly moving the transport cart 100 and great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200 and the carriage 100 more.

그리고 상기 구동부(3)의 하부구동롤러(2)는 구동부(3)가 안내레일(20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함은 물론 안내레일(200)의 하측 양모서리부와 접하여 회전함으로 인해 구동부(3)를 이동되게 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3)는 안내레일을 따라 일정한 궤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lower driving roller 2 of the driving unit 3 does not allow the driving unit 3 to be detached from the guide rail 200, as well as the driving unit 3 by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both edges of the guide rail 200. As it moves, the drive unit 3 is able to move smoothly in a constant track along the guide rail.

또한, 본 발명의 모노레일식 운반대차(100)는 이동과 정지를 위한 조작이 아주 편리하여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norail carriage trolle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to move and stop the oper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 operation.

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의 일측에 코일스프링(4)의 장력에 의해 안내레일(200)의 양측면부를 압지하는 브레이크페드(5)가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암(6)이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암(6)의 작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켐(7)을 움직이는 브레이크손잡이(12)가 상판(9)의 일측에 설치된 이동손잡이(11)의 일측에 설치됨에 의한 것이다. As shown in FIGS. 1 to 4, a pair of brakes having brake pads 5 mounted on one end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 200 by the tension of the coil spring 4 on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3 is provided. The arm 6 is installed, the brake knob 12 for moving the brake cab 7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 arm 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handle 1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late (9) Is due.

이때 코일스프링(4)은 브레이크암(6)에 형성된 관통공(13)을 관통한 체결볼트(15)의 일측에 체결너트(16)와 고정와셔(17)에 의해 신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브레이크페드(5)가 안내레일(200)의 양측면부를 압지함에 따라, 브레이크손잡이(12)를 이동손잡이(11)와 동시에 잡지 않으면 구동부(3)가 안내레일(200) 상에서 움직 이지 않게 됨으로써 운반대차(100)는 정지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il spring 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bolt 15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13 formed in the brake arm 6 by the fastening nut 16 and the fixing washer 17, and is braked. As the pedal 5 grips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 200, the driving unit 3 does not move on the guide rail 200 unless the brake knob 12 is gripped at the same time as the movement knob 11. 100) will continue to be stopped.

이에 반하여 브레이크손잡이(12)를 이동손잡이(11)와 동시에 잡게 되면, 브레이크손잡이(12)와 연결된 브레이크와이어(18)가 브레이크켐(7)을 당기게 되고, 상기 브레이크켐(7)의 단부가 확대되면서 브레이크암(6)의 하단부가 좌우로 벌어짐에 따라, 브레이크페드(5)는 안내레일(200)의 양측면부와 이격되면서 구동부(3)는 안내레일(200)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brake knob 12 is gripped with the movable knob 11 at the same time, the brake wire 18 connected to the brake knob 12 pulls the brake chem 7, and the end of the brake cab 7 is enlarged. As the lower end of the brake arm 6 opens to the left and right, the brake pad 5 is spaced apart from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 200, and the driving unit 3 is free to move on the guide rail 200. .

따라서 사용자는 운반대차(10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브레이크손잡이(12)를 이동손잡이(11)와 동시에 잡으면 되고, 운반대차(100)를 정지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브레이크손잡이(12)를 놓게 되면 됨으로써, 운반대차(100)의 이동과 정지를 위한 조작이 아주 간편하여 운반물의 운반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he carriage cart 100, the brake handle 12 should be grasped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handle 11, and when the vehicle carrier 100 is to be stopped, the brake knob 12 is released. By doing so, the operation for the movement and stop of the transport cart 100 is very simple to facilitate the transport operation of the package easily and quick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동부(3)를 일정한 궤도로 안내하고 지지하면서 적재부(10)에 적재된 운반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안내레일(200)의 지주프레임(300)을 가장 안정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편중된 운반물의 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내레일(200)과 구동부(3)의 변형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구동부(3)의 이동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반대차(100)와 안내레일(20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운반작업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부(3)의 이동과 정지를 위한 조작을 조작부 (13)의 이동손잡이(11)와 그 일측에 설치된 브레이크손잡이(12)를 통해 아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most stable position of the support frame 300 of the guide rail 200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package loaded on the loading portion 10 while guiding and supporting the drive unit 3 in a constant track. B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the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guide rail 200 and the drive unit 3 caused by the load of the unbalanced pack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drive unit 3 smoothly.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transport trolley 100 and the guide rail 2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transport oper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for moving and stopping the driving unit 3 can be operated very conveniently through the movement knob 11 of the operation unit 13 and the brake knob 12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and thus, due to the ease of operation. Anyone can use it conveniently.

Claims (2)

안내레일(200)을 따라 일정궤도로 이동하여 중량의 운반물을 운반하는 모노레일식 운반대차(100)에 있어서, 안내레일(200)의 상측면부와 접하여 회전하는 상부구동롤러(1)가 일정거리를 두고 전후에 각각 수평설치되고, 안내레일(200)의 하측 양모리서부와 접하는 한 쌍의 하부구동롤러(2)가 일정거리를 두고 상부구동롤러(1)의 하측 전후에 각각 수직설치된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의 일측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4)의 장력에 의해 안내레일(200)의 양측면부를 압지하는 브레이크페드(5)가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암(6)이 브레이크켐(7)의 움직임에 의해 안내레일(200)에서 동시에 이격가능하게 설치된 제동부(8)와; 상기 구동부(3)의 상측에 고정설치되고, 운반물을 적재하기 위한 넓은 공간을 가진 상판(9)이 구비된 적재부(10)와;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구동부(3)와 일체된 적재부(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손잡이(11)가 설치되며, 상기 제동부(3)의 브레이크켐(7)을 움직여 구동부(3)의 제동을 제어하는 브레이크손잡이(12)가 이동손잡이(11)의 일측에 설치된 조작부(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모노레일식 운반대차.In the monorail-type carriage trolley 100 which moves in a constant orbit along the guide rails 200 and carries a package of weight, the upper drive roller 1 which rotate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guide rails 200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rive unit 3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lower driving rollers 2 contacting the lower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200 are vertically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driving roller 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ow; A pair of brake arms 6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iving unit 3 and having brake pads 5 mounted at one end of the brake pad 5 for holding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s 200 by the tension of the coil spring 4 are brake chemistry. A braking part 8 installed at the same ti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rail 200 by the movement of (7); A mounting part 10 fixedly installed above the driving part 3 and having a top plate 9 having a wide space for loading a package; I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ading portion 10, the movement handle 11 for moving the loading portion 10 integrated with the driving unit 3 is installed, the brake chem (7) of the braking portion (3) The brake handle (12) for controlling the braking of the drive unit (3) by moving the operating unit (1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handle (11); monorail type carriage cart. 제1항에 있어서, 제동부(8)의 코일스프링(4)은 브레이크페드(5)가 안내레일(200)의 양측면부를 압지하도록, 브레이크암(6)에 형성된 관통공(14)을 관통한 체결볼트(15)의 일측에 체결너트(16)와 고정와셔(17)를 양측으로 밀어내는 신장된 상 태로 설치된 모노레일식 운반대차. The coil spring (4) of the brake unit (8) is formed by passing through holes (14) formed in the brake arm (6) so that the brake pad (5) presses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rail (200). Monorail-type trolley installed in the extended state to push the fastening nut 16 and the fixing washer 17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bolt (15).
KR1020060025933A 2006-03-22 2006-03-22 The 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 KR200600308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933A KR20060030875A (en) 2006-03-22 2006-03-22 The 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933A KR20060030875A (en) 2006-03-22 2006-03-22 The 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875A true KR20060030875A (en) 2006-04-11

Family

ID=3714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933A KR20060030875A (en) 2006-03-22 2006-03-22 The 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087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01B1 (en) * 2018-03-28 2018-08-03 디텍 주식회사 movable type console assembly for ship
KR101999173B1 (en) * 2018-05-14 2019-09-27 이해창 Monorail passenger trans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201B1 (en) * 2018-03-28 2018-08-03 디텍 주식회사 movable type console assembly for ship
KR101999173B1 (en) * 2018-05-14 2019-09-27 이해창 Monorail passenger trans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283B1 (en) Movable cargo tray apparatus
US8439371B1 (en) Dolly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up and down stairs
RU2748932C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acement of cargo units
KR20060030875A (en) The monorail type transportating cart
DK1558506T3 (en) Wagon
KR200492698Y1 (en) Handcart for farming
US3422930A (en) Hand truck with brake
CN111284523A (en) Safe rail flat car capable of being pushed by hand and braked by hand loosening and use method
JP2008273418A (en) Stopper of transportation carriage
KR20200056691A (en) Manual lifter of gravity carrier
JP2012001157A (en) Brake device of carrier
KR200438449Y1 (en) Carrier for the crops
JP3189269U (en) Bogie with fence
JP2007015512A (en) Movable truck
JP2014136523A (en) Fixing device, fixing device for moving apparatus, and moving apparatus
CN212125149U (en) Safe rail flat car capable of being pushed by hand and braked by hand loosening
KR200301702Y1 (en) Small-size high place works car
JP3208262U (en) Caster storage case caster device
DE602009000695D1 (en) straddle
KR102163682B1 (en) Trolley For Rail Having Manual Typed Brake Device
JP2011245980A (en) Roll box palette fixing device during container transportation
JP2008037429A (en) Carrier
CN209411371U (en) A kind of bank note promotion structure for conveying for financial system
JP6719777B2 (en) Carriage for rope-towed suspension transportation equipment
CN208360216U (en) Tray carriage assembly line circulation tro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