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798A - Automobi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obi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798A
KR20060030798A KR1020040079666A KR20040079666A KR20060030798A KR 20060030798 A KR20060030798 A KR 20060030798A KR 1020040079666 A KR1020040079666 A KR 1020040079666A KR 20040079666 A KR20040079666 A KR 20040079666A KR 20060030798 A KR20060030798 A KR 20060030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vehicle
blocking film
ra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95843B1 (en
Inventor
이해동
Original Assignee
이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동 filed Critical 이해동
Priority to KR102004007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843B1/en
Publication of KR20060030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비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 도어의 상부와 인접된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상에서 비를 막기 위한 차단막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non-bl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vehicle rain-blocking device configured to draw out a shielding film for preventing rain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roof panel and the head lining adjacent to the upper part of various automobile doors to the outside. It is abou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는, 차단막을 자동차의 루프 패널 하부 공간으로부터 자동차 도어의 상부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서 비가 올 경우에 사람이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동안 비를 맞지 않게 하여 몸을 빠르게 움직일 수 없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노인이라 하더라도 상기 비 차단장치를 설치한 이상 비를 맞지 않고 여유롭게 자동차에 오르거나 내릴 수 있고, 자동차에 짐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자동차 옆에 짐을 놓아도 짐이 비에 적게 노출된다. 또한 우산에 묻은 빗물을 도어를 오픈한 상태에서 턴 후 소지할 수가 있어 자동차 내의 수분을 최대한 줄여 자동차 내부에 습도가 많아 자동차 전면 유리에 뿌옇게 흐려지는 수막을 방지하여 보다 나은 자동차 운행을 할 수 있다.The rain barrie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barrier film can be drawn out from the space below the roof panel of the vehicl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r door so that the body is prevented from hitting the rain while the person is in or out of the vehicle in the rain. Even if the disabled, the patient or the elderly who cannot move, they can easily climb or unload the car without hitting the rain as long as the non-blocking device is installed. . In addition, the rain water on the umbrella can be carried after turning the door open, thus reducing the moisture in the car as much as possible, thus preventing the water film that is blurred on the windshield of the car due to the high humidity inside the car.

자동차, 차양, 빗물 차단막, 우산, 비 차단장치.Automobiles, sunshades, rain barriers, umbrellas, rain shields.

Description

차량용 비 차단장치{automobi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Vehic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 차단장치를 가진 자동차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th a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정단면도.Figure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rain shiel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평단면도.Figure 3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rain shiel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정단면도.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rain shiel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평단면도.Figure 5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rain shiel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평단면도.Figure 6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rain shiel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제어원리를 나타낸 블록도.Figure 7 (a) (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principle of the vehicle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루프 패널 2 : 헤드 라이닝1: roof panel 2: head lining

3 : 공간부 4 : 가이드부3: space part 4: guide part

100 : 차량용 비 차단장치 110, 110a, 110b : 차단막 100: vehicle non-blocking device 110, 110a, 110b: blocking film

111 : 차단막의 중심축부 112 : 가드판 111: central axis of the blocking film 112: guard plate

113 : 스토퍼 114 : 스토퍼제어부 113: stopper 114: stopper control unit

116 : 힌지축 117 : 랙부 116: hinge shaft 117: rack portion

120 : 수직 제 1기어 130 : 수평 제 2기어120: first vertical gear 130: second horizontal gear

140 : 구동기어 150 : 토오션 스프링140: drive gear 150: torsion spring

160 : 후크 170 : 후크걸림부160: hook 170: hook hook

180 : 구동부180 drive unit

본 발명은 차량용 비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차 도어의 상부와 인접된 루프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에서 비를 막기 위한 차단막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용 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ain barri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vehicle rain barrier device configured to draw out a barrier for preventing rain in the space between the roof panel and the head lining adjacent to the upper part of various automobile doors to the outside. It is about.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동안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시간은 평상시에는 길어지더라도 별 문제가 없지만 비가 내릴 경우에는 소요되는 시간만큼 비를 맞게 되고, 탑승시 털지 않고 차안으로 반입된 우산에 묻은 빗물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가 빗물로 젖는 등 많은 불편함을 일으킨다. 또한 소나기와 같이 비가 강하게 내릴 경우 더구나 우산이 없을 때에는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동안 고스란히 비를 맞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은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몸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 또는 노인의 경우에 더하다. 또한, 무거운 짐을 자동차에 실으려 할 때에는 짐을 먼저 싣고 사람이 탑승하거나 사람이 먼저 차에 탑승한 후에 짐을 싣기 때문에 사람은 물론 짐이 비에 젖는다는 문제가 있었다.It takes some time to get in and out of the car. The time to get in or out of the car is not a problem even if it is usually long, but if it rains, it will be rained for as long as it takes, and the inside of the car may be rained on by rainwater on an umbrella brought into the car without shaking when boarding. Wetting causes a lot of discomfort. In addition, if there is a strong rain, such as showers, when there is no umbrella, you have no choice but to rain while riding or getting off the car. This discomfort is further in the case of an uncomfortable patient,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who takes a long time to get in and out of a car. In addition, when a heavy load is to be loaded into a c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uggage is wet as well as the person because the person loads the luggage first and then loads the luggage after the person rides the vehicle firs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비가 올 때 비를 차단하여 사람의 탑승을 좀 더 편하게 하기 위한 종래의 고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지붕에 고정되는 프레임박스와 프레임박스안에서 외부로 인출가능한 차양부재겸 비 차단막을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차단막은 일련의 제어과정을 거쳐 외부로 인출되고 비가 내릴 때 떨어지는 비를 차단한다. 따라서 사람의 탑승을 좀 더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안은 설치되었을 때 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자동차의 지붕으로 따로 제작 설치한 박스를 놓아야 한다. 자동차 본래의 외양에서 많은 부분을 장치 설치를 위해 개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ntional design for more comfortable riding of a person by blocking rain when it rains is as follows. A frame box fixed to the roof of the car and a sunshade member and a rain barrier that can be pulled out from the frame box are installed, and the barrier that is installe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series of control processes and blocks rain falling when it rains. Therefore, it is easier to board a person. This design, however, does not look good when installed, and requires a separate box to be built separately from the roof of the car. Inconvenient to modify a lot of parts in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car install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 차단장치를 자동차의 루프 패널 하부 공간으로부터 도어의 상부로 인출시켜 설치함에 따라, 비가 올 경우에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동안 비를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몸을 빠르게 움직일 수 없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노인이라 하더라도 상기 비 차단장치를 설치한 이상 비를 맞지 않고 여유롭게 자동차에 오르거나 내릴 수 있고, 자동차에 짐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자동차 옆에 짐을 놓아도 짐이 비에 적게 노출되며, 자동차 본래의 외양에 큰 변화를 주지 않도록 구성된 차량용 비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the non-blocking device is installed by withdrawing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from the lower space of the roof panel of the vehicle, it may not meet the rain while riding or falling in the car in the rain Even people with disabilities, patients or elderly people who cannot move quickly can easily get on and off the car without getting rained, even if they put their luggage next to the car to load or unload their ca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non-blocking device that is less exposed and configured not to make a major change in the original appearance of the vehicle.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상에 위치하며, 기본적으로 비를 차단하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로 구성된 차량용 비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roblems and object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head lining, and basically the barrier to block rain and the power so that the barrier can be drawn out It provides a vehicle non-blocking device composed of a drive unit for transmitting the.

제 1실시예로는, 상기 비 차단장치는,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받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수직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구동되는 수평 제2 기어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위측으로 중심축상이 상기 제 2기어와 단단히 고정결합되며 또한 중심축과 제 2기어는 공간부상에서 힌지축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2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회동 인출가능한 부채꼴 모양의 경질의 차단막으로 구성된다.In a first embodiment, the non-blocking device is driven by meshing with a drive motor that receives power from a battery of an automobile and generates power and a vertical first gear that is axi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rotates. A drive unit comprising a horizontal second gear that is rotated and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a central axis is firm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above the drive unit, and the central axis and the second gear are hinged to the hinge axis in the space portion. It is coupled to the fan-shaped hard barrier film that can be rotated out to the outsid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gear.

상기 차단막이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접촉되는 상기 공간부상의 입구측 끝부와 상기 차단막이 수납되었을 때 접촉되는 내측 끝부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차단막과 접촉할 시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제어부를 구성하며, 상기 차단막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거나 상기 공간부상에 다시 수납되어질 때 상기 스토퍼제어부에 접촉되는 차단막의 끝부에는 스토퍼를 일체로 구성하여 상기 스토퍼제어부와 접촉할 시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의 인출부측 앞에는 상기 공간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가드판을 구성하여 수납되었을 때는 기존의 자동차 외양과 다름이 없도록 한다. The inlet side end on the space part contacted when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drawn out and the inner end contacting when the blocking film is accommodated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when contacting the blocking film. A stopper controller is formed and a stopper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barrier film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controller when the barrier film is completely drawn out or stored on the space part, thereby driving the driving motor when the stopper controller contacts the stopper controller. Allow it to stop. In addition, the guard plate is formed in front of the lead-out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to cover the space portion so that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vehicle appearance when it is stored.

제 2실시예로는, 상기 비 차단장치는,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상에 삽입되며 하측으로 외부에서 공간부 방향으로 직선의 랙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부채꼴 혹은 사각모양으로 된 경질의 차단막과,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상에 위치되며 자동차 배터리의 전력으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에 축연결되어 상기 차단막의 랙과 치합하여 상기 차단막을 전후이동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로 이루어진 구동부로 구성된다.In a second embodiment, the non-blocking device has a fan or square shape which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head lining and has at least one linear rack portion formed downward from the outside to the space portion. A hard barrier film, which is located o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head lining, and is axially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driven by the power of the vehicle battery to engage with the rack of the barrier film so as to move the barrier film back and forth. It consists of the drive part which consists of the above-mentioned drive gear.

상기 공간부의 측면에는 인출되는 차단막의 인출부 길이와 동일하도록 가이드부를 설치하여 상기 차단막이 구동부에 의해 전·후이동이 쉽도록 한다. 또한,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막이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접촉되는 상기 공간부상의 입구측 일정위치와 상기 차단막이 수납되었을 때 접촉되는 내측 일정위치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차단막과 접촉할 시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제어부를 구성하며, 상기 차단막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거나 상기 공간부상에 다시 수납되어질 때 상기 스토퍼제어부에 접촉되는 차단막의 끝부에는 스토퍼를 상기 차단막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제어부와 접촉할 시 구동모터의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의 인출부 앞에는 상기 공간부의 입구측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형태의 가드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수납되었을 때는 기존의 자동차 외양과 다름이 없도록 한다. A guide par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pace part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lead part of the blocking film to be drawn out so that the blocking film is easi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ing part. In addi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a circu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the inlet side on the space portion contacted when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drawn out and at an inner predetermined position contacting when the blocking film is accommodated to contact the blocking film. And a stoppe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and a stopper integrally with the blocking film at the end of the blocking film contacting the stopper control unit when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pulled out or stored in the space part. It is configured to stop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when the contact with the stopper control unit. In addition, the guard plate of the shape that can completely cover the inlet side of the space portion in front of the lead-out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is formed so as not to b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vehicle appearance when received.

제 3실시예로, 상기 비 차단장치는,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되며, 차단막은 내측끝부가 상기 차단막의 회동 중심축부와 수평선상으로 상기 공간부상의 일정 위치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부는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공간부에 힌지결합하며 힌지축에는 회동력을 주는 토오션 스프링을 구동부로서 가지는 접혀진 부채 형태이다. 상기 차단막의 인출부 앞에는 공간부상의 입구측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형태의 가드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가드판의 일측 안쪽으로 상기 차단막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상의 외측 걸림부와 후크걸림 가능한 후크를 이용한 온,오프버튼을 일체로 형성시켜 구성한다. 상기 차단막은 후크가 풀리면서 접혀진 차단막의 인출부가 토오션 스프링의 회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펼쳐지면서 인출된다.In a third embodiment, the non-blocking device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head lining, and the blocking film has an inner end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pace portion on a horizontal line with the rotational central axis of the blocking film. The central shaft portion is fixedly coupled, and is hinged to the space portion so as to be pulled out, and the hinge shaft has a folded fan shape having a torsion spring as a driving portion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In front of the lead-out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is formed integrally formed guard plate that can completely cover the inlet side on the space portion, and the outer engaging portion and the hook is caught on the space portion so that the blocking film can be drawn out to one side of the guard plate It is configured by integrally forming an on, off button using a hook possible. The blocking film is drawn out while the hook is pulled out and the lead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folded out to the outside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rsion spring.

본 발명에서 비 차단장치의 차단막은 얇고 가벼운 재료로 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얇고 가벼운 재료로서 천처럼 무게에 약하여 지탱이 어렵지 않고 단단하면서도 가벼운 것으로는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제품중 GE에서 개발한 렉산(LEXAN)은 강도가 유리의 250배 아크릴의 30배 이상으로 자기소화성과 난연성이 우수하여 화재에 강하고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며 산·알카리성등 약품에도 강하다. 또한 뛰어난 단열성을 가지며 표면에 자외선 변색방지처리로 황변화 및 노화현상을 지연시키고 뛰어난 내열성 (-40℃~135℃)으로 변형이 없이 항상 개끗한 모습을 유지할 수 있으며 광선투과율이 유리와 비슷하여 맑고 투명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rrier of the non-blocking device should be made of a thin and light material. In general, thin and light material is weak to weight, such as cloth is not difficult to support, hard and light, acrylic or polycarbonate products are used a lot. In particular, LEXAN, developed by GE among polycarbonate products, is more than 30 times stronger than 250 times acrylic and has excellent self-extinguishing and flame retardancy. It is resistant to fire, does not generate toxic gas, and is resistant to chemicals such as acid and alkali. In addition, it has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and retards yellowing and aging due to UV discolora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and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40 ℃ ~ 135 ℃) to maintain clean appearance without deformation and light transmittance is similar to glass. Transparent

상기 비 차단장치는 리모콘(키홀더에 기능첨가형태)이나 자동차 내부의 수동스위치를 통해 차단막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동일한 과정을 거쳐 다시 공간부상으로 수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 차단장치의 각 구동모터는 자동차 엔진룸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로 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에너지공급상태가 유지되어 작동가능하다. The non-blocking device may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through a remote controller (function added to the key holder) or a manual switch inside the vehicle, and may be stored in the space again through the same process. In addition, each driving motor of the non-block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engine room of the car and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Therefore, the minimum energy supply is maintained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 차단장치를 가진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 차단장치를 가진 자동차는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1)과 헤드라이닝(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공간부상(3)에 비 차단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비 차단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간부상(3)에 수납되도록 하여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더라도 운전상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게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th a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vehicle having a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non-blocking device in the space injury 3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1 and the headlining (not shown) of the vehicle and the non-blocking device. When the device is not in use, it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injury (3) so that even if the car travels at high speed, it does not feel inconvenience in driving.

기본적으로 상기 비 차단장치는 직접적으로 비를 차단하는 차단막(110)과 이를 상기 공간부(3)에서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기어와 구동모터등 차단막에 회동력을 주도록 구성된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공간부(3)의 입구측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형태의 가드판(112)으로 구성된다. Basically, the non-blocking device is a driving unit (not shown) configured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shielding film such as a gear and a driving motor so as to be able to directly pull out the shielding film 110 to block the rain to the outside from the space 3 and It is composed of a guard plate 112 of the form that can completely cover the inlet side of the space (3).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 차단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비 차단장치의 평단면도이다.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비 차단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해, 자동차의 루프 패널(1)과 헤드라이닝(2) 사이에 공간부(3)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상에 인출가능한 경질의 부채꼴 모양의 차단막(110)을 수납한다. 상기 공간부상(3)에는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수직 제1 기어(120)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구동되는 수평 제2 기어(130)로 구성된 구동부(180)가 있어 회동력을 전달하여 실제적으로 상기 차단막(110)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As shown, in order to implement the vehicle non-blocking device 100, a rigid fan shape which is formed between the roof panel 1 and the headlining 2 of the vehicle and draws out on the space part. The blocking film 110 is stored. The space floating part 3 meshes with a drive motor M for generating power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a battery of a vehicle, a vertical first gear 120 axi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first gear 120. There is a driving unit 180 consisting of a horizontal second gear 130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can actually take out the blocking film 110 to the outside.

상기 제2 기어의 위측으로 상기 차단막(110)의 중심축부(111)가 제2 기어 (130)와 단단히 고정결합되며 상기 차단막(110)이 상기 공간부(3)에서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회동하여 인출가능하도록 중심축부(111)는 또한 제 2기어와 함께 상기 공간부(3)상의 일정 위치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공간부(3)의 입구측 끝부와 상기 차단막(110)이 수납되었을 때 접촉되는 내측 끝부에는 상기 구동모터(M)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차단막(110)과 접촉할 시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제어부(114)를 구성하며, 상기 차단막의 내측 끝부분에는 차단막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거나 상기 공간부상에 다시 수납되어질 때 상기 스토퍼제어부(114)에 접촉되어 구동모터(M)의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 스토퍼(113)가 일체로 구성된다. The central shaft portion 111 of the blocking film 110 is firm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130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gear, and the blocking film 110 is rotated to the outside by the rotational force in the space 3. The central shaft portion 111 is also hing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pace portion 3 together with the second gear so as to be retractable. The inlet side end of the space part 3 and the inner end contacted when the blocking film 110 is accommodated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M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when contacting the blocking film 110. And a stopper control unit 114 capable of driving the driving motor M by contacting the stopper control unit 114 at the inner end of the blocking film when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drawn out or stored on the space part. Stopper 113 is integrally configured to stop.

따라서, 상기 차량용 비 차단장치(100)의 일련의 구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리모콘과 수동스위치등 일련의 제어신호방법에 의해 상기 구동부(180)의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모터(M)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은 수직 제 1기어(120)와 수평 제 2기어(130)를 통해 차단막(110)으로 이동하며 상기 차단막(110)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3)에서 외부로 회동 인출된다. 상기 차단막(110)의 인출부가 외부로 인출이 다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차단막(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13)가 상기 공간부(3)상의 일측에 구성된 스토퍼제어부(114)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제어부(114)에서는 일련의 전기적 신호를 구동모터로 보내어 모터를 중지시킴으로 상기 차단막(110)이 완전히 인출된 후에는 구동모터(M)가 회전하지 않게 한다.Therefore, looking at a series of driving process of the vehicle non-blocking device 100 as follows. The motor of the driving unit 180 is driven by a series of control signal method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nd a manual switch, and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motor M is transmitted through the vertical first gear 120 and the horizontal second gear 130. Moving to the blocking film 110, the blocking film 110 is pivotally drawn outward from the space 3 using a driving force. When the withdrawal part of the blocking film 110 is withdrawn to the outside, the stopper 113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ing film 110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control part 114 formed on one side of the space part 3. The stopper controller 114 sends a series of electrical signals to the driving motor to stop the motor so that the driving motor M does not rotate after the blocking film 110 is completely drawn ou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평단면도이다.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rain b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 차단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해, 차단막(110a)의 하측으로 외부에서 공간부 방향으로 직선의 랙부(117)를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차단막(110a)의 하부에는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상기 차단막(110a)의 랙과 치합하여 상기 차단막을 전·후이동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140)를 두었으며, 상기 랙부(117)의 끝부에는 상기 차단막(110a)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구동모터와 회로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의 스토퍼제어부(114)에 접촉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을 멈출 수 있도록 스토퍼(113)를 일체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110a)이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3)상에는 상기 차단막의 측면을 지지해줄 수 있는 가이드부(4)를 상기 차단막(110a)의 외부로 인출되는 길이와 동일하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order to implement the non-blocking device 100, at least one linear rack portion 117 is formed below the blocking film 110a in the direction of the space from the outside, and below the blocking film 110a. One or more drive gears 140 are rotatably driven by a driving motor M and engaged with the rack of the blocking film 110a to move the blocking film forward and backward, and at the end of the rack 117. The stopper 113 is integrally form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by contacting the stopper control unit 114 of the vehicl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when the blocking film 110a is completely drawn out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4 which can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ing film on the space portion 3 so that the blocking film 110a can be drawn out smoothly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length to be drawn out of the blocking film 110a. do.

상기 차단막(110a)은 부채꼴 혹은 사각의 형태이며 인출부 앞에는 상기 공간부(3)의 입구측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가드판(112)을 일체로 형성한다.The blocking film 110a is in the form of a fan or a square and forms a guard plate 112 integrally covering the inlet side of the space 3 in front of the lead por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 차단장치의 평단면도이다. 6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 차단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해, 차단막(110b)은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1)과 헤드 라이닝 사이(도시되지 않음)의 공간부(3)상에 위치되며, 상기 차단막(110b)의 내측끝부는 차단막의 회동 중심축부와 상기 공간부(3)의 일정 위치에 서로 수평위치로 공간부(3)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부는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공간부(3)에 힌지결합되며 힌지축에는 회동력을 주는 토오션 스프링(150)을 구동부(180)로서 가지는 접혀진 부채형태이다.As shown, in order to implement the non-blocking device 100, the blocking film 110b is positioned on the space 3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1 of the vehicle and the head lining (not shown),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110b is fixedly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3 in a horizontal position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tational central axis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and the space portion 3, and the space portion is retractable to the outside. It is hinged to (3) and is a folded fan shape having a torsion spring 150 as a driving unit 180 to give a rotational force to the hinge axis.

상기 차단막(110b)의 인출부 앞에는 상기 공간부(3)의 입구측을 완전히 커버 할 수 있는 가드판(112)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차단막(110b)이 수납되었을 때 중심축부의 반대편 상에는 후크걸림부(170)를 구성하고, 상기 차단막(110b)의 중심축과 반대쪽의 상기 가드판(112)의 안쪽으로는 상기 차단막(110b)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걸림부(170)와 후크걸림 가능한 후크(160)를 이용한 온·오프버튼을 일체로 형성시켜 구성한다.In front of the lead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110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guard plate 112 that can completely cover the inlet side of the space (3), the hook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entral shaft when the blocking film (110b) is accommodated The hook catching part 170 and the hook catching part may be configured, and the hook catching part 170 may be pulled out to the inside of the guard plate 112 opposite to the central axis of the blocking film 110b. The on / off button using the possible hook 160 is integrally formed.

상기 후크(160)를 이용한 온·오프버튼은 전기적 신호감지를 할 수 있어 리모콘(13)이나 수동스위치(12)에서 오는 신호를 감지하여 후크를 오픈시키며 상기 토오션 스프링(150)의 회전력에 의해 자동으로 부채 형태의 차단막(110b)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On / off button using the hook 160 can detect the electrical signal to detect the signal coming from the remote control 13 or the manual switch 12 to open the hook an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50 The fan-shaped blocking film 110b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도 7(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 차단장치를 가진 자동차의 제어원리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7 (a) and 7 (b)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illustrating, for example, a control principle of a vehicle having a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M)는 자동차 엔진룸의 배터리(10)와 각각 연결되어 배터리(10)의 전기로 작동한다. 근래에 많이 사용되는 자동차 원격시동장치는 자동차내에 콘트롤박스(11)를 설치하고 외부로부터 리모콘(13)으로 상기 콘트롤박스(11)에 원격신호를 보내어 배터리의 전기를 엔진으로 전달하는 원리를 갖는데, 상기 콘트롤박스(11)내에 본 발명의 각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회로를 첨가 구성하여 원격에서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제어방식은 공지의 원격시동장치의 원리와 동일하다. 상기 원격제어와 더불어 운전석 앞에 통상 마련되어 있는 조작스위치판넬에 상기 각 구동모터(M)를 움직이는 수동스위치(12)를 설치함이 좋다. 상기 수동스위치(12)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로서 운전자가 자 동차내에 앉아있는 상태로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있게 한다. As shown, the driving motor M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0 of the vehicle engine room, respectively, and operates as electricity of the battery 10. Recently used remote control device for cars have a principle of installing the control box 11 in the car and transmits the electricity of the battery to the engine by sending a remote signal to the control box 11 from the outside to the remote control 13, The control box 11 is configured to add a circuit connected to each drive mo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motor remotely. This control method is the same as that of the known remote starter. In addition to the remote control,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manual switch 12 for moving the respective driving motors M to the operation switch panel normally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The manual switch 12 is a switch operated by the driver to allow the driver to selectively control the vehicle while sitting in the vehicle.

차단막의 인출부가 외부로 인출이 다 되었을 경우에는 스토퍼(113)가 스토퍼제어부(114)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제어부(114)에서는 일련의 전기적 신호를 구동모터(M)로 보내어 모터를 중지시킴으로 상기 차단막이 완전히 인출된 후에는 구동모터(M)가 회전하지 않게 한다.When the lead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is drawn out to the outside, the stopper 1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controller 114, and the stopper controller 114 sends a series of electrical signals to the driving motor M to stop the motor. After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pulled out, the driving motor M is not rota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운전석측 도어에 채용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도어와 인접된 부분에 모두 적용 가능한 것은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for being employed in the driver's side doo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ll of the doors and adjacent portions. A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substitution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비 차단장치는, 비 차단장치를 자동차의 지붕으로부터 도어의 상부로 인출시켜 설치할 수 있어서, 비가 올 경우에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동안 비를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몸을 빠르게 움직일 수 없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노인이라 하더라도 상기 비 차단장치를 설치한 이상 비를 맞지 않고 여유롭게 자동차에 오르거나 내릴 수 있고, 자동차에 짐을 싣거나 내리기 위해 자동차 옆에 짐을 놓아도 짐이 비에 덜 노출된다. 또한 우산에 묻은 빗물을 도어를 오픈한 상태에서 턴 후 소지할 수가 있어 자동차 내의 수분을 최대한 줄여 자동차 내부에 습도가 많아 자동차 전면 유리에 뿌옇게 흐려지는 수막을 방지 하여 보다 나은 자동차 운행을 할 수 있다.In the vehicle rain b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rain blocking device can be installed by withdrawing from the roof of the car to the upper part of the door, so if the rain may not hit the rain while riding or getting off the car quickly Even if the disabled, the patient or the elderly who cannot move, they can get on and off the car easily without rain, and the luggage is less exposed to the rain to load or unload the car. . In addition, the rain water on the umbrella can be held after turning the door open, thus reducing the moisture in the car as much as possible, thus preventing the film from blurring on the windshield of the car due to the high humidity inside the car.

Claims (4)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상에 위치되며,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수직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치합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구동되는 수평 제2 기어로 구성된 구동부와;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head lining, a drive motor for generating power by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and a vertical first gear and the first gear which is rotation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in rotation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be meshed with a horizontal second gear to be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상기 구동부의 위측으로 중심축부가 상기 제 2기어와 고정결합되며 또한 중심축부와 제 2기어는 상기 공간부상에서 힌지축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 2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회동 인출가능한 부채꼴 모양의 경질의 차단막과;A central shaft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above the drive portion, and the central shaft portion and the second gear are hinged to the hinge shaft on the space portion to have a fan-shaped shape which can be rotated to the outsid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gear. A hard barrier membrane; 상기 차단막이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접촉되는 상기 공간부상의 입구측부와 상기 차단막이 수납되었을 때 접촉되는 상기 공간부상의 내측 끝부에는 상기 구동모터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차단막과 접촉할 시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제어부를 구성하고;The inlet side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contacted when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drawn out and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contacting when the blocking film is received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in a circui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when contacting the blocking film. A stopper control unit capable of doing so; 상기 차단막의 내측 끝부에는 차단막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거나 상기 공간부상에 다시 수납되어질 때 상기 스토퍼제어부에 접촉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 차단장치.And a stopper integrally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blocking film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control par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when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drawn out or stored on the space part.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상에 삽입되며, 하측에 외부에서 공간부 방향으로 직선의 랙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경질의 부채꼴 혹은 사각모양의 차단막과;A hard fan or square shielding film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and the head lining of the vehicle and having at least one linear rack portion formed at the low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space;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상에 위치되며, 자동차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축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상기 차단막의 랙과 치합하여 상기 차단막을 전·후이동가능케 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기어로 구성된 구동부와;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roof panel of the vehicle and the head lining, the drive motor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of the vehicle and the shaft is driven in rotation to the drive motor and engaged with the rack of the barrier film to transfer the barrier film. A drive unit comprising one or more drive gears for post-movement; 상기 공간부의 측면에는 상기 차단막의 전후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 상기 차단막이 인출되는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가이드부와;A side portion of the space portion having a length equal to a length from which the barrier film is drawn to facilitat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barrier film; 상기 차단막이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접촉되는 상기 공간부상의 입구측과 상기 차단막이 수납되었을 때 접촉되는 내측 끝부에 상기 구동모터와 회로연결되어 상기 차단막과 접촉할 시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토퍼제어부를 구성하고;A stopp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when a circuit is connected with the driving motor at the inlet side of the space part contacted when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drawn out and the inner end contacting when the blocking film is received. Configure a control unit; 상기 차단막의 내측 끝부에는 차단막이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거나 상기 공간부상에 다시 수납되어질 때 상기 스토퍼제어부에 접촉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 차단장치.And a stopper integrally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blocking film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topper control part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when the blocking film is completely drawn out or stored on the space part. 제 1항과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의 인출부 앞에는 상기 공간부상의 입구측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형태의 가드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 차단장치.3. The vehicular non-b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guard plate of a type capable of completely covering the inlet side on the spac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lead-out portion of the blocking film. 자동차의 상부 루프 패널과 헤드 라이닝 사이의 공간부상에 위치되며, 내측끝부는 상기 공간부상에 고정결합되고 수평선상으로 중심축부가 상기 공간부상의 힌지축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접혀진 부채 형태의 차단막과;A folded fan-shaped barrier film positioned on a space portion between an upper roof panel of the vehicle and a head lining, the inner end portion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space portion and a central axis hinged to a hinge axis on the space portion on a horizontal line;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차단막이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회동력을 주는 토오션 스프링으로 구성된 구동부와;The hinge shaft has a drive unit consisting of a torsion spring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so that the blocking film can be pulled out; 상기 차단막의 외측으로 공간부상의 외부 측면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가드판과;A guard plate capable of completely cover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pace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barrier film; 상기 차단막이 수납되었을 때 접촉되는 상기 공간부에 후크걸림부를 두고 상기 가드판의 일측면으로 상기 공간부상의 외측 걸림부와 후크걸림 가능한 후크를 이용한 온,오프버튼을 일체로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 차단장치.When the blocking film is accommodated, the hook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pace, and the one side of the guard plate on the off side using the hook portion capable of hooking the hook portion and the outer hook portion on the spac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configured Non-blocking device for cars.
KR1020040079666A 2004-10-06 2004-10-06 automobi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KR100595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666A KR100595843B1 (en) 2004-10-06 2004-10-06 automobi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666A KR100595843B1 (en) 2004-10-06 2004-10-06 automobi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798A true KR20060030798A (en) 2006-04-11
KR100595843B1 KR100595843B1 (en) 2006-07-05

Family

ID=3714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666A KR100595843B1 (en) 2004-10-06 2004-10-06 automobi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843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83B1 (en) * 2010-12-02 2013-01-17 신대성 The rain intercept apparatus for a car
CN106915226A (en) * 2017-04-20 2017-07-04 广东东箭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A kind of Vehicular electric rainproof device
JP2017144815A (en) * 2016-02-16 2017-08-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Rainproof plate device of vehicle
CN111186279A (en) * 2020-01-21 2020-05-22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Sun-shading device for front windshield
CN111361399A (en) * 2020-03-20 2020-07-03 芜湖职业技术学院 Automatic rain shielding device for automobile
KR20210050749A (en)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rain block devic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980B1 (en) 2018-10-17 2020-07-07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al rainfall interception device installed on door of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0125U (en) 1983-12-29 1985-07-26 内田 昇 Rain protection equipment for large vehicles
JPH01126816U (en) * 1988-02-24 1989-08-30
JPH05310044A (en) * 1991-04-12 1993-11-22 Tamotsu Tsuji Automobile
KR200177925Y1 (en) 1996-12-30 2000-04-15 정몽규 Leisure tent for an automobile
JP2952415B1 (en) 1998-09-29 1999-09-27 政幸 中田 Rain guards for car doors
JP2001047863A (en) 1999-08-11 2001-02-20 Techno Life Japan:Kk Rain shelter device for automobi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583B1 (en) * 2010-12-02 2013-01-17 신대성 The rain intercept apparatus for a car
JP2017144815A (en) * 2016-02-16 2017-08-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Rainproof plate device of vehicle
CN106915226A (en) * 2017-04-20 2017-07-04 广东东箭汽车用品制造有限公司 A kind of Vehicular electric rainproof device
KR20210050749A (en) *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rain block device for vehicle
CN111186279A (en) * 2020-01-21 2020-05-22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Sun-shading device for front windshield
CN111361399A (en) * 2020-03-20 2020-07-03 芜湖职业技术学院 Automatic rain shielding device for automobile
CN111361399B (en) * 2020-03-20 2021-08-17 芜湖职业技术学院 Automatic rain shielding device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843B1 (en)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843B1 (en) automobile having a rain shutoff apparatus
KR20080108101A (en) Roofliner module for motor vehicles
CN202944185U (en) Air cascade type rain sheltering device
WO2012017217A1 (en) Vehicle window shutters
CN201320946Y (en) Sun shading device
JPH02200518A (en) Electrically sliding sunvisor
JPH0858367A (en) Sunshade for automobile
JPH0427686Y2 (en)
JPH035237A (en) Roof housing structure of opencar
JP2009234554A (en) Extensible rain hood preventing occupant from getting wet in getting in and out automobile
US7121610B2 (en) Combination shade and handle device
CN203211058U (en) Automobile sunshade curtain
KR101791510B1 (en) Vehicle door having rainwater shielding device
KR200217970Y1 (en) Screening device attachable on car
CN217124502U (en) Electric sunshade assembly and have its automotive interior assembly, car
CN216610825U (en) Electric sunshade assembly and automobile with same
CN210942130U (en) Open top formula sightseeing bus yacht convenient to sightseeing
JP3299533B2 (en) Automotive interior ventilation system
CN220865180U (en) Sun-shading device and vehicle
CN214523294U (en) Electric remote control sunshade curtain for automobile
KR100795254B1 (en) A rain blocking apparatus installed on the vehicle door
KR970004322Y1 (en) Remote controlled rear visor for a vehicle
KR200414708Y1 (en) Shading device of vehicles
JPH03153417A (en) Device for driving automobile sunshade curtain
JPH0939575A (en) Automobile canopy for use in getting on and off in the 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