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899A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9899A KR20060029899A KR20040078762A KR20040078762A KR20060029899A KR 20060029899 A KR20060029899 A KR 20060029899A KR 20040078762 A KR20040078762 A KR 20040078762A KR 20040078762 A KR20040078762 A KR 20040078762A KR 20060029899 A KR20060029899 A KR 200600298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transmission
- signal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ID 및 상기 ID의 발신주기가 저장 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 된 상기 발신주기에 맞추어 상기 ID를 무선신호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송신유니트와; 상기 각 송신유니트가 송신하는 ID신호를 수신하는 RF송수신부와,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수신 된 상기 ID신호의 출력레벨을 감지하는 레벨감지부와, 상기 레벨감지부를 통해 감지 된 상기 ID신호의 출력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베이스밴드모뎀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각 장치 간 이격거리 감지를 위한 무선네트워크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복수개의 송신유니트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하여 소지품의 분실이나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송신유니트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 또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블럭도,
도 3은 도 1의 각 물품에 장착 된 송신유니트의 제어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단말기 12 : MSM
14 : 스피커 16 : 디스플레이부
18 : 키입력부 20 : ID저장부
22 : ADC 24 : 레벨감지부
26 : RF송수신부 50 : 송신유니트
52 : RF송수신제어부 54 : RF송수신부
56 : 송신ID저장부 58 : 경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각 장치 간 이격거리 감지를 위한 무선네트워크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복수개의 송신유니트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하여 소지품의 분실이나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송신유니트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물품의 분실이나 미아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선신호를 이용한 이격거리 감지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이격거리 감지시스템은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송신유니트와 송신유니트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 처리하여 송신유니트가 소정 간격 이상 이격 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메인유니트로 구성된다. 이에, 송신유니트를 유아 내지는 분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물품에 부착하고 메인유니트를 통해 송신유니트의 이격거리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미아발생을 방지하거나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격거리 감지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메인유니트와 송신유니트를 모두 구비하여야 함으로 시스템 구축을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이격거리 감지시스템은 메인유니트가 고유한 ID를 갖는 특정 송수신유니트만을 모니터링 하므로, 여러 가지 물품의 분실 방지하기위해 여러 개의 메인유니트를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 사용빈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무선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나, 이동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용도로만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각 장치 간 이격거리 감지를 위한 무선네트워크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복수개의 송신유니트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하여 소지품의 분실이나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송신유니트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 또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은, ID 및 상기 ID의 발신주기가 저장 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 된 상기 발신주기에 맞추어 상기 ID를 무선신호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송신유니트와; 상기 각 송신유니트가 송신하는 ID신호를 수신하는 RF송수신부와,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수신 된 상기 ID신호의 출력레벨을 감지하는 레벨감지부와, 상기 레벨감지부를 통해 감지 된 상기 ID신호의 출력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베이스밴드모뎀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각 송신유니트의 ID 및 해당 ID의 발신주기가 저장되는 ID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밴드모뎀은 상기 ID정보저장부에 저장 된 상기 발신주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주기 내에 해당 ID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모뎀은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수신 된 상기 ID신호를 재송신하여 해당 송수신유니트에 응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송신유니트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ID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무선송수신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소정의 물품(A, B, C)에 장착되어 각기 부여 된 고유의 ID를 일정 주기로 무선 송신하는 복수개의 송신유니트(50A, 50B, 50C)와, 각 송신유니트(50A, 50B, 50C)가 송신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송신유니트(50A, 50B, 50C)와의 이격거리를 모니터링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로 구성된다.
송신유니트(50A, 50B, 50C)는 분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각종 물품(A, B, C)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각기 부여 된 주기에 따라 고유ID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송신한 무선신호에 대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무선신호를 송신한 후 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아니하면 송신유니트(50)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이에 사용자는 송신유니트(50)의 경보음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의 소재를 확인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10)에는 각 송신유니트(50A, 50B, 50C)에 대응되는 ID 및 해당 ID의 전송주기 정보가 저장되어 수신 된 무선신호의 ID 및 전송주기를 저장 된 정보와 확인함으로써 복수개의 송신유니트(50)가 발신하는 각 무선신호를 식별해낸다. 이동통신단말기(10)는 수신 된 무선신호의 출력레벨을 확인하여 해당 송신유니트(50)까지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이격거리가 설정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 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한편, 현재 설정영역을 이탈한 송신유니트(50A, 50B, 50C)및 해당 송신유니트(50A, 50B, 50C)의 이격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관리하고자 하는 물품(A, B, C)에 각각 송신유니트(50A, 50B, 50C)를 부착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를 소지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를 통해 각 물품(A, B, C)의 소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송신유니트(50A, 50B, 50C)가 부착 된 물품 중 어느 하나라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의 소재를 확인함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10)의 분실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물품들의 소지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 (10)는,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RF송수신부(26)와, RF송수신부(26)로 수신 된 무선신호의 출력레벨을 감지하는 레벨감지부(24)와, 레벨감지부(24)가 감지한 출력레벨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C(22)와, 경보발생을 위한 스피커(14)와, 디스플레이부(16)와, 키입력부(18)와, 각 송신유니트(50)의 고유ID 및 송신 주기가 저장되는 ID저장부(20)와,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여 RF송수신부(26)를 통해 수신 된 무선신호를 통해 해당 송신유니트(50)를 식별하고 무선신호의 출력레벨에 따라 거리이격을 감시하는 MSM(12)을 포함한다.
MSM(12)은 RF송수신부(26)로 수신 된 무선신호의 ID와 출력을 판정하여 ID저장부(20)에 저장하고 해당 송신유니트(50)가 송신한 신호를 응답신호(ACK)로서 그대로 재전송 한다.
레벨감지부(24)는 RF송수신부(26)로 수신 된 무선신호의 출력레벨을 감지하고, 감지 된 출력레벨은 ADC(22)를 통해 디지털값으로 환산되어 MSM(12)으로 입력된다. 이에, MSM(12)은 수신 된 송신유니트(50)의 출력레벨에 따른 이격거리를 산출하여 기준 영역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스피커(14)로 경고음을 제공하는 한편, 산출 된 이격거리를 디스플레이부(16)에 표시함으로써 기준 영역을 이탈한 송신유니트(50)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MSM(12)은 ID저장부(20)에 저장 된 송신유니트(50)의 ID 및 ID 송신주기에 따라, 정해진 주기에 각 송신유니트(50A, 50B, 50C)로부터 ID신호가 수신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소정 송신유니트(50)로부터 ID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해당 송신유니트(50)의 분실을 방지 한다.
한편, 특정 송신유니트(50)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키입력부(18)를 통해 송신유니트(50)의 위치탐색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위치탐색 메뉴가 선택 된 경우, MSM(12)은 해당 송신유니트(50)가 ID신호를 발신하도록 전송요청신호를 발신하여 해당 송신유니트(50)로부터 수신 된 신호의 출력레벨을 감지함으로써 해당 송신유니트(50)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각 물품에 장착되어 이동통신단말기(10)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유니트(5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다. 송신유니트(50)는 경고음 발생을 위한 경보부(58)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송수신부(54)와, 고유하게 부여 된 ID 및 ID의 무선 송신주기가 저장되는 송신ID저장부(56)와, 이들을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ID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RF송수신제어부(52)를 포함한다.
RF송수신제어부(52)는 송신ID저장부(56)에 저장 된 정보에 따라 RF송수신부(54)를 제어하여 주기적으로 ID가 포함 된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송신신호에 대한 응답신호 응답신호(ACK)를 수신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 경보부(58)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응답신호(ACK)는 이동통신단말기(10)가 송신유니트(50)로부터 ID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ID신호를 그대로 재전송한 신호로서, 이동통신단말기(10) 측에서 송신유니트(50)의 무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여 재전송한 경우 코릴레이션(correlation)값은 "1"이 된다. 이에, RF송수신제어부(52)는 수신된 신호의 코릴레이션을 확인하여 "1"인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응답신호(ACK)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0"인 경우 ID신호를 재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에 응답신호(ACK)의 전송을 요청한다. 소정 횟수 재전송 후에도 코릴레이션이 "1"인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RF송수신제어부(52)는 경보부(58)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의 분실을 경고한다.
여기서, 코릴레이션 방식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통신에 있어 여러 가지 디지털방식의 부호화(coding)를 이용하여 기저대역의 데이터를 ASK, FSK, PSK 등의 변조방식을 적용하여 고주파신호로 변환 후 전송한다. 미국의 경우 UHF 대역은 전자파의 인체 영향이나 다른 통신 시스템과의 간섭을 감소 시키기 위하여 주파수 확산(SS)방식을 채용하며 이중DS(Direct Sequence, DS) 방식과 FS(Frequency Hopping)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이때 송신장치는 확산방식의 전체 주파수를 수용하여 ASK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며, 고유의 코드(code)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경우에만 동작한다. 이에, 본 발명은 코릴레이션 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와 각각의 송신유니트(50) 간에 약속 된 고유 ID를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의 신호 흐름은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다.
먼저, 관리하고자 하는 인원이나 물품, 귀중품 또는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품의 내, 외부에 송신유니트(50)를 각기 부착하고 이동통신단말기(10)는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를 통해 각 송신유니트(50)의 이격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각 송신유니트(50)는 고유한 ID와 발신주기를 가지며, 이러한 송 신유니트(50)의 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ID저장부(20)에 저장된다.
이격거리의 모니터링을 위해 이동통신단말기(10)와 각 송신유니트(50A, 50B, 50C)는 먼저 시간을 동기화한다.
각 물품(A, B, C)에 장착 된 송신유니트(50A, 50B, 50C)는 각기 설정 된 주기에 따라 ID신호를 발신한다. 이 때, 각 송신유니트(50A, 50B, 50C)의 발신시간 간에도 일정 주기(tA)가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장치A의 발신주기가 TA인 경우 장치A의 송신유니트(50A)가 ID신호(ID_A)를 발신하고 일정 주기(tA)가 경과한 후 장치B의 송신유니트(50B)가 ID신호(ID_B)를 발신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송신유니트(50A, 50B, 50C)가 정해진 주기에 자신의 ID신호(ID_A, ID_B, ID_C)를 발신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는 수신 된 ID신호(ID_A, ID_B, ID_C)와 동일한 신호를 응답신호(ACK_A, ACK_B, ACK_C)로서 발신한다.
장치A의 송신유니트(50A)가 ID신호(ID_A)를 송신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는 장치A의 송신유니트(50A)가 송신한 IF신호를 응답신호(ACK_A)로서 그대로 재전송하는 한편, 수신 된 신호(ID_A)의 레벨에 따라 가장 최근의 신호를 기준으로 장치A와의 이격거리를 산출한다. 산출 된 이격거리가 기준 이격거리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스피커(14) 혹은 디스플레이부(16)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장치A의 분실을 경고한다.
여기서, 장치A의 송신유니트(50A)가 TA를 주기로 ID신호(ID_A)를 송신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정해진 발신 시간에 ID_A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ID_A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장치A의 송신유니트(50A)로 ID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 장치A의 송신유니트(50A)의 ID신호 송신주기(TA) 내에 ID_A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는 장치A의 분실상태로 판단하여 스피커(14)를 통해 경고한다.
한편, 각 송신유니트(50A, 50B, 50C)는 ID신호(ID_A, ID_B, ID_C)의 발신 후,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응답신호(ACK_A, ACK_B, ACK_C)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로 자신의 ID신호(ID_A, ID_B, ID_C)를 소정 횟수 재전송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10)의 응답신호(ACK_A, ACK_B, ACK_C)가 수신되지 아니할 경우 송신유니트(50)는 경보부(58)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의 분실을 경고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송신유니트(50A, 50B, 50C)가 장착 된 장치(A, B, C)의 소재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는 해당 송신유니트(50)로 ID신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 된 ID신호(ID_A, ID_B, ID_C)의 출력레벨을 확인함으로써 이격거리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기능은 이동통신단말기(10)나 송신유니트(50)의 전원절약을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온/오프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며, 송수신의 주파수대역은 125KHz, 135KHz, 13.56MHz, 433MHz, 860~930MHz, 2.45GHz, 5.8GHz 정도를 사용하고 가급적 작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전원절약에 유 리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인영역 안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송신유니트가 장착된 물품의 이격거리를 모니터링 하여 기준 영역 이탈 시 이동통신단말기가 물품분실을 경고하도록 할 뿐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송신유니트 측에서도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개인의 물품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복수개의 송신유니트가 송신하는 무선신호를 감지하여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송신유니트가 부착 된 물품의 이격거리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이동통신단말기의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송신유니트 측에서도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각 장치 간 이격거리 감지를 위한 무선네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각 송신유니트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하여 소지품의 분실이나 미아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송신유니트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분실 또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 ID 및 상기 ID의 발신주기가 저장 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 된 상기 발신주기에 맞추어 상기 ID를 무선신호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송신유니트와;상기 각 송신유니트가 송신하는 ID신호를 수신하는 RF송수신부와,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수신 된 상기 ID신호의 출력레벨을 감지하는 레벨감지부와, 상기 레벨감지부를 통해 감지 된 상기 ID신호의 출력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베이스밴드모뎀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각 송신유니트의 ID 및 해당 ID의 발신주기가 저장되는 ID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베이스밴드모뎀은 상기 ID정보저장부에 저장 된 상기 발신주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주기 내에 해당 ID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베이스밴드모뎀은 상기 RF송수신부를 통해 수신 된 상기 ID신호를 재송신하여 해당 송수신유니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송신유니트는,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ID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무선송수신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78762A KR20060029899A (ko) | 2004-10-04 | 2004-10-04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78762A KR20060029899A (ko) | 2004-10-04 | 2004-10-04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9899A true KR20060029899A (ko) | 2006-04-07 |
Family
ID=3714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40078762A KR20060029899A (ko) | 2004-10-04 | 2004-10-04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2989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502B1 (ko) * | 2006-03-09 | 2007-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개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 및 그 장치와분실방지 기능을 갖춘 신발 |
-
2004
- 2004-10-04 KR KR20040078762A patent/KR2006002989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502B1 (ko) * | 2006-03-09 | 2007-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개인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 및 그 장치와분실방지 기능을 갖춘 신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17955C (en) |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ng subjects and providing event notification within a tracking environment and badge for use therein | |
US7944369B2 (en) | Wireless sensing device, system and method | |
US8334765B2 (en) | Wireless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 indication | |
US6497656B1 (en) | Integrated wireless broadband communications network | |
AU2006294990B2 (en) | Spread spectrum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arrangement and method | |
EP2876579B1 (en) | Identification tag and location system | |
US10182400B2 (en) | Low-power wake-up mechanism for wireless devices | |
EP3087410B1 (en) | Localisation system | |
EP195799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d/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receiver of a tracking system | |
KR20040099475A (ko) | 마스터 스테이션과, 2차 스테이션과, 그를 포함하는 무선시스템과, 무선 시스템에서 2차 스테이션의 상대적 위치를결정하는 방법 | |
GB2246891A (en) | Alarm system | |
EP1461972B1 (en) | Mobile device power saving | |
JPH0535935B2 (ko) | ||
RU2470372C2 (ru) | Способ охран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на основе мониторинга близости приемно-передающих радиоустройств | |
KR20060029899A (ko)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분실 방지시스템 | |
JP2001160188A (ja) | 外出設定装置 | |
JP4705396B2 (ja) |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 |
JPH11283170A (ja) | 無線エリアを利用した存在確認システム | |
JP3261898B2 (ja) | ホームセキュリティ装置 | |
KR100620555B1 (ko) | 미아 위치 확인 및 검색 방법과 그 시스템 | |
KR200234833Y1 (ko) | 미아방지용 휴대 무선장치 | |
JP2007093354A (ja) | 位置検出無線システム | |
TW495619B (en) | Emergency position detection system | |
JPH0654385A (ja) | データ送受信装置 | |
JPH05143883A (ja) | ワイヤレスセキユリテイー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