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505A -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505A
KR20060029505A KR20040078486A KR20040078486A KR20060029505A KR 20060029505 A KR20060029505 A KR 20060029505A KR 20040078486 A KR20040078486 A KR 20040078486A KR 20040078486 A KR20040078486 A KR 20040078486A KR 20060029505 A KR20060029505 A KR 2006002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service providing
providing system
logi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635B1 (ko
Inventor
이주헌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7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63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635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여 로그인 상태를 주지시키는 한편, 불법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무선 인터넷 또는 단문 메시지로 강제 로그오프 요청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로그인 아이디를 강제 로그오프시키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로그인, 아이디

Description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A State Of Log-In Using A Short Message}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로 인증 번호 전송 후 로그인을 승인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상세흐름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왑 접속에 의한 강제 종료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왑 접속에 의한 강제 종료 서비스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 화면의 다양한 예시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및 MO(Mobile Originatio) 서비스에 의한 강제 종료 서비스 제공방법의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및 MO(Mobile Originatio) 서비스에 의한 강제 종료 서비스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 화면의 다양한 예시도.
본 발명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각 사용자별로 로그인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과학기술 및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에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거치지 않더라도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 주는 것들이 있으나, 현재에는 대부분 로그인 과정을 거쳐야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으로, 사용자들은 자신의 신상 정보들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제공한 후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특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 중에는 금융 시스템과 같이 사용자의 신상정보 뿐만 아니라, 금융 정보와 같은 중요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따라서, 불법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타인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접속한 후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면, 선의의 사용자에게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폐해가 속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금융 시스템의 경우에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 뿐만 아니 라, 인증서 및 보안카드 등을 사용자들에게 요구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보안을 유지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정보들이 모두 유출된 상태에서는 선의의 사용자는 피해를 보지 않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융 정보는 아니지만, 현재 수많은 유저들을 갖고 있는 게임 시스템의 경우에는 게임 머니, 게임 아이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시간 및 노력을 투자해야만 얻을 수 있는 각종 혜택을 부여하고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은 게임 머니 또는 게임 아이템 등은 현금화하거나 거래의 대상이 되는 것들로서 현금 못지않게 중요한 정보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게임 시스템의 경우에는 상기 금융 시스템에서 만큼의 보안 조차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타인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도용한 불법 사용자가 무단으로 상기 게임 시스템에 접속하여 타인의 게임 머니 또는 게임 아이템 등을 사용하거나 해킹함으로써, 선의의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여 로그인 상태를 주지시키는 한편, 불법 사용자에 의한 로그인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무선 인터넷 또는 단문 메시지로 강제 로그오프 요청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로그인 아이디를 강제 로그오프시키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회원가입을 원하는 사용자들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을 무선 단말기(50) 번호 및 아이디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아이디 입력을 통한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로그인을 허용하며, 상기 아이디와 링크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아이디에 대한 로그인 완료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단문 메시지에 무선 인터넷 주소(URL)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무선 단말기(50)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상기 무선 인터넷 주소(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상기 로그인에 대한 강제 로그오프 요청을 전송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로그인 아이디가 현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운영하고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디에 대하여 강제 로그오프를 수행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이하, 간단히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이라 함)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무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40),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가입한 사용자가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이 전송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무선으로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50)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으로부터 요청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사 시스템(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현재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들 중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으로서, 특히, 금융 시스템과 같이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이나 또는 각종 게임 머니나 게임 아이템 등과 같이 온라인 상에서 유통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불법 사용자가 타인의 아이디를 무단으로 도용하여 상기와 같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여 발생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금융 시스템이나 게임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로그인 정보를 요구하는 모든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이 각종 게임 머니 또는 게임 아이템 등 사용자에게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시스템인 것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11),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부(13),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부(14),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전송부(15),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서비스 제공부(16)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각 부(13 내지 1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는 하나의 제어부(12)가 상기 서비스 제공부(14) 및 무선 서비스 제공부(16)를 모두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비스 제공부(14) 및 무선 서비스 제공부(16)를 각각 관리하는 별도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제어부가 있는 경우, 상기 각각의 제어부는 필요한 경우 서로간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로그인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무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 템(1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정보(무선 단말기 정보)와 함께 로그인 정보를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로그인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자체적으로 단문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일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이동통신사 시스템(30)과 연계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이 될 것이다. 즉,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이 요구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이 무선망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독립된 시스템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나,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일부분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이하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이 다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업무제휴하여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이 본 발명의 일예로 설명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하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만을 위하여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자체적으로 단 문 메시지를 무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한 채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는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무선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40)가 유선 단말기인것을 주로 하여 설명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부(14)는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5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ort Message Service : SMS) 및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무선 단말기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이 단순히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부터 메시지를 전송받아 상기 이동통신사 시스템(30)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에 대하여만 설명되었으나,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상기 무선 단말기(50)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아 상기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2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은(이하, 간단히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이라 함),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가입된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시도가 있는 경우에 상기 로그인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50)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자신의 신상 정보, 예를 들어, 성명, 주민등록번호, 무선 단말기 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한다(100).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 중 상기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며, 이 경우 특히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무선 단말기(50)의 번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해야 하는 부가 서비스가 아니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모든 회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가입한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40)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한 후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요청하게 된다(200).
상기 로그인 요청을 수시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에 링크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거나 또는 어떤 종류의 로그온 상태 관리 방법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3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은 다음의 세가지 방법으로 구분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가 어떠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서비스에 따른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첫째 방법은, 사용자가 로그인 요청시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50)로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를 통해 상기 인증번호를 재전송하는 경우에 한해 로그인을 허가하는 방법이다(400).
둘째 방법은,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허용한 후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 되어 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무선 단말기(50)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무선 서비스 제공부(16)에 접속하여 상기 로그인 상태를 강제 종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500).
셋째 방법은,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허용한 후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 되어 있음을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무선 단말기(50)의 MO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상기 로그인 상태를 강제 종료시킬 것을 요청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600).
한편,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상기 세가지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서비스만이 이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판단 과정(300)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전화번 호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로 인증 번호 전송 후 로그인을 승인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상세흐름도로서, 상기 첫번째 방법(400)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가 로그인을 요청하게 되면(20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에 매핑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번호를 상기 사용자 관리부(13)로부터 추출하게 된다(402).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는 로그인에 필요한 인증번호 및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으로 전송하게 되며,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인증 번호를 전송하게 된다(404).
한편, 상기 인증 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인증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를 통해 입력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가 전송한 인증번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인증번호가 동일한지를 판단하게 된다(406).
상기 판단결과, 상기 인증 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로그인을 허여하며,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한편 로그인을 허여하지 않게 된다(408).
즉,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타인의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사용자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왑 접속에 의한 강제 종료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상기 두번째 방법(500)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왑 접속에 의한 강제 종료 서비스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 화면의 다양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가 로그인을 요청하게 되면(20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상기 사용자 관리부(13)에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로그인을 허여한다(502)
이후,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에 매핑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번호를 상기 사용자 관리부(13)로부터 추출하게 된다(504).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는 로그인과 관련된 안내 메시지 및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506).
한편,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는 상기 안내 메시지 및 무선 단말기 번호 외에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의 무선 인터넷 주소(URL)를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사용자가 상기 단문 메시지 상에서 상기 무선 인터넷 주소(URL)로 WAP 서비스를 이용하여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단문 메시지에 상기 무선 인터넷 주소(URL)를 포함시켜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무선 서비스 제공부(16)의 무선 인터넷 주소(URL)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로부터 상기 무선 인터넷 주소(URL)가 전송되지 않더라도 이미 알고 있는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의 무선 인터넷 주소(URL)를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전송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도 4b 에 도시된 첫번째 화면(62)과 같은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기(50)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부(14)에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타인이 자신의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14)에 로그인한 것임을 알 수 있음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운영하는 무선 서비스 제공부(즉, 무선 인터넷 사이트)(이하, 동일)(16)에 접속하게 된다. 그러나, 자신이 상기 서비스 제공부(14)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를 무시하더라도 상관없다.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무선 서비스 제공부(16)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 저장된 무선 단 말기 번호를 이용하여 바로 로그인을 허여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인증 과정을 통해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로의 로그인을 허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b 에 도시된 두번째 화면(64)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5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무선 서비스 제공부(16)에 접속한 경우에 출력될 수 있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는 상기 화면(64)을 통해 강제 종료를 요청할 수 있다(508).
이때,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강제 종료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강제 종료 화면(64)을 바로 출력해 줄 수도 있으며,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의 메인 화면에서 강제 종료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강제 종료 화면(64)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강제 종료 화면(64)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함께 전송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강제 종료 화면(64)에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강제 종료 화면(514)으로부터 강제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는 상기 강제 종료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제공부(14)를 관리하는 제어부(12)로 전송하게 된다(510). 이때, 도 1a 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가 상기 서비스 제공부(14)와 무선 서비스 제공부(16)를 모두 제어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으로, 무선 서비스 제공부(16)가 수신한 상기 강제종료 요청 신호는 바로 상기 제어부(12)가 수신한 것이라 할 수 있으나, 상기 서비스 제공부(14)와 무선 서비스 제공부(16)가 하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상에서 운영되는 경우라도 각기 다른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음으로 이 경우에는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는 상기 요청 신호를 상기 서비스 제공부(14)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무선 서비스 제공부(16)가 수신한 상기 강제 로그 오프 요청 신호가 상기 서비스 제공부(14)를 제어하는 신호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동일하다 하겠다.
한편,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로부터 전송된 상기 강제 로그오프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12)(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부(14)만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가 전송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아이디가 로그인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하는 한편, 상기 아이디로 로그인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디를 강제 로그오프시키게 된다(512). 이때, 상기 제어부(12)는 상기와 같이 강제 로그오프를 수행한 후에는 도 4b 에 도시된 세번째 화면(66)과 같이 강제 로그오프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도 4b 에 도시된 세번째 화면(66)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무선 서비스 제공부(16)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단말기(5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화면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방법과 같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아이디에 대한 강제 로그오프 결과를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로그인되어 있음을 통지해 주는 한편, 자신이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사 용자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기 아이디를 상기 서비스 제공부(14)로부터 강제로그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또 다른 사용자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및 MO(Mobile Originatio) 서비스에 의한 강제 종료 서비스 제공방법의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상기 세번째 방법(600)의 상세한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중 단문 메시지 전송 및 MO(Mobile Originatio) 서비스에 의한 강제 종료 서비스에 적용되는 무선 단말기 화면의 다양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가 로그인을 요청하게 되면(200)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상기 사용자 관리부(13)에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로그인을 허여한다(602)
이후,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로그인 아이디에 매핑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번호를 상기 사용자 관리부(13)로부터 추출하게 된다(604).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는 로그인과 관련된 안내 메시지 및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606).
한편,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는 상기 안내 메시지 및 무선 단말기 번 호 외에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단문 메시지 수신 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으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사용자가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회신 단문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단문 메시지 수신 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MO(Mobile Origination)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MO서비스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등록받은 기술임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단문 메시지 수신 번호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부(15)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번호가 전송되지 않더라도 이미 알고 있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단문 메시지 수신 번호를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번호는 반드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것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단문 메시지 제공 시스템(20)의 것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단문 메시지 제공 시스템(20)의 단문 메시지 수신번호와 함께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식별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20)이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회신 메시지를 수신하는 한편, 상기 식별변호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두가지 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단문 메시지 수신 번호를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도 5b 에 도시된 첫번째 화면(72)과 같은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기(50)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부(14)에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은 경우, 타인이 자신의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부(14)에 로그인한 것임을 알 수 있음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단문 메시지 회신 기능(MO 서비스)을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자신의 아이디에 대한 강제 로그오프를 요청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5b 에 도시된 첫번째 화면(72) 상에서 강제 로그오프 요청 단문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게 되면, 도 5b 의 두번째 화면(74)과 같은 강제 로그오프 요청단문 메시지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된다. 즉,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전송되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는 상기 사용자 아이디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문 메시지에 대한 회신 단문 메시지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아이디에 대한 강제 로그오프 요청 메시지가 상기 두번째 화면(74)과 같은 형태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첫번째 화면(72)에서 상기 사용자가 강제 로그오프 요청 단문 메시지를 요청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문 메시지에 직접 자신의 아이디를 입력한 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자신이 상기 서비스 제공부(14)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를 무시하더라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강제 로그오프 요청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상기 강제 로그오프 요청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아이디를 추출하는 한편, 상기 아이디가 현재 상기 서비스 제공부(14)에 로그인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610).
즉, 상기 강제 로그오프 요청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상기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아이디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로그인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로그오프 시키게 된다(612).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상기 제어부(12)는 상기와 같이 강제 로그오프를 수행한 후에는 도 5b 에 도시된 세번째 화면(76)과 같이 강제 로그오프 완료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5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 5b 에 도시된 세번째 화면(76)은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50)로 전송한 강제 로그오프 완료 통지용 단문 메시지로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 수신을 통해 무단 사용자에 대한 강제 로그오프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로그인되어 있음을 통지해 주는 한편, 자신이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MO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전송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또 다른 사용자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로그인 요청시 인증 번호를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여 재입력을 요구함으로써, 타인의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고자 하는 불법 사용자들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로그인되어 있음을 단문 메시지로 통지해 주는 한편, 자신이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의 아이디를 상기 서비스 제공부(14)로부터 강제 로그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로그인하는 또 다른 사용자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로그인되어 있음을 단문 메시지로 통지해 주는 한편, 자신이 로그인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MO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아이디를 도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에 로그인하는 또 다른 사용자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회원가입을 원하는 사용자들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을 무선 단말기(50) 번호 및 아이디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아이디 입력을 통한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아이디와 링크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로 로그인에 필요한 인증번호를 단문 메시지(SMS)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3 단계에서 전송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디에 대하여 로그인을 허용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그인을 불허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2.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회원가입을 원하는 사용자들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을 무선 단말기(50) 번호 및 아이디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아이디 입력을 통한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로그인을 허용하며, 상기 아이디와 링크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아이디에 대한 로그인 완료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단문 메시지에 무선 인터넷 주소(URL)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무선 단말기(50)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상기 무선 인터넷 주소(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접속하여 상기 로그인에 대한 강제 로그오프 요청을 전송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로그인 아이디가 현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운영하고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디에 대하여 강제 로그오프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3.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회원가입을 원하는 사용자들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을 무선 단말기(50) 번호 및 아이디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제 1 단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아이디 입력을 통한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로그인을 허용하며, 상기 아이디와 링크되어 있는 무선 단말기 번호를 추출하는 제 2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무선 단말기 번호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아이디에 대한 로그인 완료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MO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상기 아이디에 대한 강제 로그오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단문 메시지에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무선 단말기(50)가 MO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로그인 아이디에 대한 강제 로그오프 요청 신호를 단문 메시지로 전송한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상기 로그인 아이디가 현재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운영하고 있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디에 대하여 강제 로그오프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및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상기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번호는,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번호이거나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20)의 번호에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대한 식별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강제 로그오프를 수행한 결과를 무선 인터넷 또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50)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KR20040078486A 2004-10-01 2004-10-01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KR100630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8486A KR100630635B1 (ko) 2004-10-01 2004-10-01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8486A KR100630635B1 (ko) 2004-10-01 2004-10-01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05A true KR20060029505A (ko) 2006-04-06
KR100630635B1 KR100630635B1 (ko) 2006-10-02

Family

ID=37139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8486A KR100630635B1 (ko) 2004-10-01 2004-10-01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6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635B1 (ko) 200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510B1 (ko) 이종 통신망을 이용한 인스턴트 로그인 사용자 인증 및결제 방법과 그 시스템
US8353002B2 (en) Chaining information card selectors
JP4301997B2 (ja) 携帯電話による情報家電向け認証方法
US74065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r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of users and computers over networks
CN100419736C (zh) 服务验证系统、认证要求终端、服务使用终端及提供方法
US200803014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Service Using Signed Callback Url Message
CN101485173A (zh) 远程更新存在服务器上的用户状态
CN104081714A (zh) 网络调解多装置共享认证
WO2011083867A1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51673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and data using method
KR101537097B1 (ko) 에스엠에스를 이용한 일회용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인증 시스템
KR101831381B1 (ko) 메신저서비스를 이용한 스마트 로그인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38744A (ko) 통합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3422A (ko) 인증 전화번호 관리 서버 및 인증 전화번호 관리 서버에 의한 인증 전화번호 관리 방법, 및 전자거래 서버 및 전자거래 서버에 의한 전자거래 인증 방법
KR101157876B1 (ko) 전자 계약 체결을 위한 전자적 장치
KR100630635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로그인 상태 관리 방법
JP4630187B2 (ja) 認証方法
JP3423921B2 (ja) 携帯端末の認証方法
KR20010067759A (ko) 일회용식별코드를 이용한 통합개인인증 방법
WO20070669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sharing service using signed callback url message
KR20060011752A (ko)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379551B1 (ko) Opmd 시스템에서의 배타적 인증을 위한 방법, 단말, 서버, 및 기록 매체
KR101405832B1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로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0367777B1 (ko) 인증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지원방법
TWI822568B (zh) 免帳戶名稱及密碼登入線上系統的方法及認證伺服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