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441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441A
KR20060029441A KR1020040078381A KR20040078381A KR20060029441A KR 20060029441 A KR20060029441 A KR 20060029441A KR 1020040078381 A KR1020040078381 A KR 1020040078381A KR 20040078381 A KR20040078381 A KR 20040078381A KR 20060029441 A KR20060029441 A KR 2006002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source
input
sour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396B1 (ko
Inventor
박흥준
김영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396B1/ko
Priority to PCT/KR2005/003198 priority patent/WO2006038777A1/en
Priority to EP05792801A priority patent/EP1813097A4/en
Priority to CNA2005800335305A priority patent/CN101036382A/zh
Priority to US11/239,141 priority patent/US20060071921A1/en
Publication of KR2006002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4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storage capabilities, e.g.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소스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부와; 상기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선택입력부로부터 입력신호소스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신호소스를 입력신호소스로 전환하여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신호소스의 변환시 수행되는 동작시간의 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대략적인 제어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소스의 설정에 관한 제어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대략적인 제어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소스의 설정에 관한 제어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소스의 설정에 있어서의 상세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부 11a : 신호소스a
11b : 신호소스b 11c : 신호소스c
20 : 선택입력부 30 : 메모리
31 : 우선순위저장부 31 : 이력정보저장부
40 : 제어부 50 : 신호출력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소스로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어 영상신호 및/또는 음향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소스로는 방송, DVD, 컴포넌트, PC, 메모리카드, 기타 AV기기 등이 있다. 이들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신호, 디지털신호 등 다양한 형식을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입력신호의 종류 및 주파수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처리방법 등이 달라진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종래 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설정된 신호소스를 다른 신호소스로 전환하는 경우, 스케일러 또는 마이컴에서 새롭게 전환된 입력신호를 검출하고 이와 관련된 레지스터를 다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레지스터에 기초하여 새로운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신호소스의 전환과정은 입력신호소스가 다른 신호소스로 전환될 때마다 새롭게 신호설정을 위한 연산과 저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수행동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다른 신호소스가 입력신호소스로 전환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소스를 설정함으로써 신호소스의 전환에 필요한 수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소스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부와; 상기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선택입력부로부터 입력신호소스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신호소스를 입력신호소스로 전환하여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하여, 입력신호소스의 전환에 필요한 수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설정된 입력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SD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우선순위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입력신호소스로 설정된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우 선순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를 상기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의 우선순위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한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우선순위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에 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력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정해진 상기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우선순위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소스로 선택한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신호소스를 상기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현재 상기 설정된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검출된 경우 해당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신호소스를 상기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신호소소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현재 설정된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를 상기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에 있어서 외부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 신호소스(11a~11c..)가 접속되는 접속부(10)와, 접속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입력부(20)를 통해 복수의 외부 신호소스(11a~11c..)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메모리(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소스를 설정하는 제어부(40)와, 신호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50)를 포함한다.
접속부(10)는 복수의 외부 신호소스(11a~11c..)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로, 접속하는 신호소스(11a~11c..)에 따라 그 구체적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데, DVD, 컴포넌트 등의 경우 데이터통신을 위한 커넥터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단자 및 통신 컨트롤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지상파 방송의 경우 안테나, 도파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메모리카드의 경우 메모리카드 슬롯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C의 경우 D-Sub, DVI-I, DVI-D, HDMI커넥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입력부(20)는 사용자가 복수의 외부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리모콘, 제어용 전면패널, 키보드, 터치스크린, 음성인식수단, 마우스 등 보편적인 입력수단에 적용 가능하다.
메모리(30)는 외부 신호소스(11a~11c..)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RAM, EEPROM 이외에도 컨트롤러 내부의 레지스터가 이용될 수 있다. 메모리(30)에 저장되는 정보는 신호소스 또는 신호의 종류 및 주파수 특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레지스터를 이용하는 경우 입력소스별로 레지스터를 확보해 놓는다.
제어부(40)는 주기적으로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며, 선택입력부(20)로부터의 선택정보에 따라 메모리(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공급원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복수의 입력신호 중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먹스, 스위칭소자, 컨트롤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거쳐 신호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스케일러, 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의 상세한 제어흐름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신호출력부(50)는 제어부(40)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및/또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디오앰프, 스피커, LCD모듈, PDP모듈, CR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신호소스가 전환되는 경우, 이에 관한 메뉴를 OSD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상세한 제어흐름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장치(1)의 파워가 온 되면 미리 입력신호소스로 설정되어 있는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S1).
그리고, 제어부(40)는 주기적으로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한다(S2). 여기서, 주기는 제품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어느 신호소스부터 입력여부를 검출할 것인지에 관한 순서는 사용자가 정하거나 제품설계시에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입력신호의 검출결과, 현재 입력신호소스로 설정되어 있는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S3), 제어부(40)는 검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30)에 저장하게 된다.
제어부(40)는 주기적으로 전술한 검출과 저장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40)는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3), 해당 메시지를 신호출력부(50) 즉,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SD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 화면에 표시되는 해당 메시지는 신호가 입력된 신호소스명과 입력신호소스를 전환할 것인지에 관한 메뉴가 될 것이다. 이밖에도 각 신호소스에 대응하는 핫키(hotkey)의 조작을 통해 입력신호소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입력부(20)를 통해 다른 신호소스를 입력신호소스로 선택한 경우(S5), 제어부(4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입력된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소스를 전환하여 설정하게 된다(S6).
여기서, 검출된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로 레지스터값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40)는 검출된 신호관련 레지스터값을 연산하여 저장하고, 선택입력부(20)로부터 입력신호소스 전환명령이 있는 경우 해당 레지스터값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신호소스를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미리 저장된 입력신호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소스를 전환할 수 있어 입력소스를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스케일러 및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케일러가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검출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레지스터값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마이컴은 선택입력부(20)로부터의 신호소스 전환명령에 따라 스케일러에 해당 명령신호를 송신하며, 스케일러는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명령신호에 따라 저장된 레지스터값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소스를 전환하여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된 레지스터값에 따라 스케일러가 입력된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물론, 여기서 스케일러가 아닌 마이컴이 입력신호소스를 전환하여 설정할 수 도 있으며, 저장수단은 스케일러 또는 마이컴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에 있어서 외부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제어블록도 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 신호소스(11a~11c..)와 접속되는 접속부(10), 선택입력부(20), 메모리(30), 우선순위저장부(31), 이력정보저장부(33), 제어부(40), 신호출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순위저장부(31)는 외부 신호소스간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력정보저장부(33)는 외부 신호소스에 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우선순위저장부(31)와 이력정보저장부(33)는 RAM, EEPROM 이외에도 컨트롤러 내부의 레지스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신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우선순위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으며, 신호소스의 이력정보에 따라 제어부(40)의 연산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제어흐름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력정보는 외부 신호소스에 대한 이력정보로서 사용자가 신호소스 중 입력신호소스로 선택하여 사용한 횟수 및 시간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40)는 이력정보저장부(33)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연산하여 신호소스간의 우선순위를 정하며, 이를 우선순위저장부(31)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40)는 이력정보저장부(33)에 저장된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신호소스의 신호입력의 검출순서를 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흐름은 도 4를 참조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40)는 외부 신호소스간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우선순위저장부(31)에 저장한다(S10). 이는 사용자가 선택입력부(20)의 조작 및 디스플레이부의 OSD화면을 통한 선택에 대응하여 제어부(40)가 이를 우선순위저장부(31)에 저장하게 된다.
예컨데, 사용자가 리모콘의 특정 메뉴버튼을 누르면 외부 신호소스명이 화면에 표시되고, 다시 리모콘을 조작하여 우선순위를 선택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이력정보저장부(33)에 저장된 사용자의 외부소스 사용정보에 기초하여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이력정보를 화면을 통해 볼 수도 있다.
이후의 플로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현재 설정된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검출된 경우(S30), 제어부(40)는 검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30)에 저장하고(S50), 우선순위저장부(31)에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우선순위를 비교하여(S60), 검출된 신호의 신호소스가 우선순위가 높은지 판단한다(S70).
그리고, 제어부(40)는 입력된 신호가 검출된 신호소스가 우선순위가 높은 경우, 메모리(30)에 저장된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소스를 설정하게 된다(S80).
그리하여, 미리 저장된 검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소스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입력신호소스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외부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 제어흐름도이다.
외부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S100), 제어부(40)는 입력된 신호를 검출한다(S110).
그리고, 검출된 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처리가 가능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20). 만약 처리가 가능한 신호로 판단된 경우 검출된 신호의 범위를 체크한다(S130). 그러나, 처리가 불가능한 신호로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불가 비트를 세팅하게 된다(S140).
이후에 제어부(40)는 검출된 신호의 범위가 정상범위인지를 판단하여(S150), 정상범위인 경우 정상상태 비트를 세팅하고(S160), 신호범위가 정상범위를 초과 또는 미만이 되는 경우 비정상상태 비트를 세팅한다(S170).
그리고, 제어부(40)는 검출된 신호에 관한 신호소스, 종류 및 주파수 등에 관련한 정보 또는 레지스터를 저장 또는 세팅하게 된다(S180).
그리하여, 이렇게 정상상태 비트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를 비교하는 단계(S60)로 넘어가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해당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이후에 우선순위저장부(31)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입력신호소스를 전환하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신호소스의 전환의 수행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현재 설정된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가 입력신호소스로 선택된 경우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신호소스를 전환하여 설정함으로써, 입력신호소스의 변경수행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8)

  1.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소스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부와;
    상기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선택입력부로부터 입력신호소스가 선택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신호소스를 입력신호소스로 전환하여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설정된 입력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OSD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우선순위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입력신호소스로 설정된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우선순위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를 상기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의 우선순위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한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우선순위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에 대한 이력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력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정해진 상기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우선순위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검 출된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입력신호소스로 선택한 경우, 미리 저장된 상기 신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신호소스를 상기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현재 상기 설정된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검출된 경우 해당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신호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신호소스를 상기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소소의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현재 설정된 신호소스가 아닌 다른 신호소스로부터 신호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저장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를 상기 입력신호소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78381A 2004-10-01 2004-10-0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9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381A KR100598396B1 (ko) 2004-10-01 2004-10-0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05/003198 WO2006038777A1 (en) 2004-10-01 2005-09-27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5792801A EP1813097A4 (en) 2004-10-01 2005-09-27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A2005800335305A CN101036382A (zh) 2004-10-01 2005-09-27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1/239,141 US20060071921A1 (en) 2004-10-01 2005-09-3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381A KR100598396B1 (ko) 2004-10-01 2004-10-0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441A true KR20060029441A (ko) 2006-04-06
KR100598396B1 KR100598396B1 (ko) 2006-07-06

Family

ID=3612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381A KR100598396B1 (ko) 2004-10-01 2004-10-01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71921A1 (ko)
EP (1) EP1813097A4 (ko)
KR (1) KR100598396B1 (ko)
CN (1) CN101036382A (ko)
WO (1) WO20060387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28B1 (ko) * 2006-10-27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수신 장치 및 그의 입력 소스 전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798A (ko) * 2007-11-08 200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04842B1 (ko) * 2007-11-14 2014-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사용 제한 방법
US20090167962A1 (en) * 2008-01-02 2009-07-02 I/O Interconnect Inc. Computer Monitors
US8564530B2 (en) * 2008-04-09 2013-10-22 Seiko Epson Corporation Automatic configuration of update operations for a bistable, electro-optic display
TWI446176B (zh) * 2009-10-20 2014-07-21 Wistron Corp 偵測方法及偵測裝置及多媒體裝置
CN102843608B (zh) * 2012-08-03 2017-02-22 Tcl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的信源使用调查方法
KR102048991B1 (ko) * 2013-03-14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320701B (zh) * 2014-08-29 2018-03-0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信号源的切换方法及装置
CN110769308B (zh) * 2019-12-25 2021-03-3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信号通道切换方法、显示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874B1 (ko) * 1995-06-02 2001-11-30 모리시타 요이찌 다방식 텔레비전수상기
JP3196806B2 (ja) * 1995-09-07 2001-08-06 船井電機株式会社 映像機器の入力信号切換装置
TW373402B (en) * 1996-01-10 1999-1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elevision receiver
EP0939517A4 (en) * 1997-08-04 2006-0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WER CONTROL SYSTEM
KR100244227B1 (ko) * 1997-12-01 2000-02-01 구자홍 에이치디티브이의 디스플레이용 영상 처리장치
TW469737B (en) 2000-05-17 2001-12-21 Onemore Com Inc Automatic multimedia switching system
JP2002044612A (ja) * 2000-07-26 2002-02-08 Funai Electric Co Ltd 映像信号出力装置およびdvdとビデオカセットとの一体型再生装置
US7319992B2 (en) * 2000-09-25 2008-01-15 The Mis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KR100436767B1 (ko) * 2002-08-06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외부입력신호의 화이트밸런스 자동조정이 가능한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화이트밸런스 조정방법
FR2848367A1 (fr) * 2002-12-04 2004-06-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e et procede de decouverte de services pouvant etre fournis par au moins deux sources de services distinctes
KR100977044B1 (ko) * 2003-06-02 201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1659565A4 (en) * 2003-08-27 2007-11-28 Pioneer Corp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060007359A1 (en) * 2004-07-06 2006-01-12 Phanthavong Douangphachanh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video modes in consumer electronics
KR20060065956A (ko) * 2004-12-11 200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28B1 (ko) * 2006-10-27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수신 장치 및 그의 입력 소스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8777A1 (en) 2006-04-13
EP1813097A4 (en) 2011-03-23
US20060071921A1 (en) 2006-04-06
CN101036382A (zh) 2007-09-12
KR100598396B1 (ko) 2006-07-06
EP1813097A1 (en)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5447B1 (ko) 셋탑 박스를 가진 영상표시기기의 입력신호 처리방법 및장치
US200600719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093817A1 (en)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80066379A (ko)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외부기기 제어방법
US1026262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H1173290A (ja) メニュー表示装置
KR10071384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9827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input signals
US200800216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electronic devices
US6100886A (en) Help service function control device added to a multi-channel monitor of a personal computer
JP2008306255A (ja) 入力切換え装置
US2010011800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253857B2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EP1860874A2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source list and video apparatus
US7107529B2 (en) Method for displaying manual of video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JP4424371B2 (ja) 表示装置
KR100768806B1 (ko) 텔레비전 시스템의 리모컨 선택 설정 제어 방법
US20050174319A1 (en)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85964B1 (ko) 매뉴얼 표시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세트 및 매뉴얼 표시방법
KR20060006533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54907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332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04186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동기 신호 주파수 표시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6133976A (ja) 機器設定情報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
JP2008294886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