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004A -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004A
KR20060028004A KR1020040076979A KR20040076979A KR20060028004A KR 20060028004 A KR20060028004 A KR 20060028004A KR 1020040076979 A KR1020040076979 A KR 1020040076979A KR 20040076979 A KR20040076979 A KR 20040076979A KR 20060028004 A KR20060028004 A KR 20060028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attached
side seal
boarding
rea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4941B1 (en
Inventor
김정오
김연훈
왕광식
서희주
이수철
전현재
박선용
유병삼
신영식
브루스 훕스
리치 페루지
레스 왓슨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4007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4941B1/en
Priority to PCT/KR2005/003152 priority patent/WO2006080633A1/en
Publication of KR2006002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0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9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할 경우에 승장(elevator hall)의 바닥부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고,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및 승장에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는,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accurately match the bottom of the elevator hall and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stops, and in a simpler way It relates to a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car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grasp the alignment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side seal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room seal by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for detecting the reaction member,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arding side door. One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cabin side seal, and the other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chamber that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car side door.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Position detection device of elevator car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할 경우에 승장(elevator hall)의 바닥부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고,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 및 승장에 설치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accurately match the bottom of the elevator hall and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stops, and in a simpler way It relates to a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car that can be installed in.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상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해 승객을 건물의 소정의 층으로 수송하는 수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가 소정 층에 정지하는 경우에 승객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승장으로, 또는 승장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카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승객의 이동의 편의를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시 승장의 바닥부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는 나란히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장치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발생한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지 또는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가 소정의 승장에 도달하면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승장측의 도어와 엘리베이터 카측의 도어와의 정확한 착상 위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킨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 means of transporting passengers to a predetermined floor of a building using an elevator car that moves the hoistway up and down, where the passenger moves from the elevator car to the platform or from the platform to the elevator car when the elevator car stops on the predetermined floor. do. For the convenience of such a passenger's move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of the boarding point and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are aligned side by side when the elevator car is stopped. To this end, the elevator generally includes a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for adjusting, stopping or moving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a signal generated from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When the elevator car reaches the predetermined boarding point, the elevator control unit detects the exact landing position between the door on the boarding side and the door on the elevator car side by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to stop the elevator car.

주행중 또는 정지 및 기동중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은 정확하고 안전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기동 및 제동 중 우수한 승차감을 확보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천공된 금속 테이프(steel tape)를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카와 함께 이동시키며 구멍의 이동 개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 종래 기술의 하나이며, 승강로 최하부와 최상부에는 추가로 리미트 스위치와 경사형 캠 플레이트 등이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안전한 운행 구간을 확보 한다. 이에 추가로 구동 모터에 연결된 엔코더를 통하여 카의 위치를 추정하는 보조 수단이 병행으로 사용된다.The techniqu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while driving or stopping and maneuvering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accurate and safe transportation service and also to ensure a good ride comfort during starting and braking, and various techniques are used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by moving a steel tape punched at regular intervals with a car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hoistway and detect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holes, Limit switches and inclined cam plates ar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bottom and top of the hoistway to ensure safe operation of the elevator. In addition to this, auxiliary means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car via an encoder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is used in parallel.

위와 같은 천공 금속 테이프 대신에 최근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유도 센서를 카에 부착하고, 철제형 베인 브라켓(vane bracket), 즉, 차폐판을 매 층마다 승강로의 가이드 레일의 특정 위치에 부착하여, 차폐판과 상호 작용하여 형성되는 유도 센서의 신호로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차폐판이 가이드레일에 부착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유도 센서는 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차폐판 및 유도 센서를 포함한 위치 검출 장치 관련 부품들을 각 층마다 설치하는데 요구되는 작업 시간 및 오차의 조정 시간 단축과, 설치 품질의 향상, 그리고 재료비의 절감을 위한 노력이 엘리베이터 업계에서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Instead of the above perforated metal tape, the most recent and most commonly used method is to attach an inductive sensor to the car and to attach a steel vane bracket, ie a shield plate at each location, to a specific location on the guide rail of the hoistway. Thus, the position of the car is detected by the signal of the inductive sensor formed by interacting with the shield plate. Since the shield plate is attached to the guide rail, the corresponding inductive sensor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r. In this regard, efforts to reduce the working time and error adjustment time required to install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related components including the shielding plate and the induction sensor on each floor, to improve the installation quality and to reduce the material cost have been made in the elevator industry. It's going competitive.

도8a 내지 도8c는 엘리베이터 카측 및 승장측에 설치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8A to 8C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installed on the elevator car side and the boarding side.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 베인형 브라켓(130)은 각 층의 정지 위치마다 가이드 레일(140)에 특정한 형태로 설치되고, 철제 베인형 브라켓(130)에 대응되는 "ㄷ"자형의 유도 센서(125)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던 중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브라켓(130)이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설치된 유도 센서(125)의 중앙부를 통과하게 되면 유도 센서(125)는 이를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신호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부(도시 안됨)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줄여서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가 승장의 바닥부와 일치되도록, 즉, 승장측 도어와 엘리케이터 카측 도어가 정확히 착상되도록 제어한다.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iron vane bracket 130 is installed in a specific shape on the guide rail 140 at each stop position of each layer, and corresponds to the iron vane bracket 130. The magnetic induction sensor 125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As shown in FIG. 8C, when the bracket 130 installed on the guide rail passes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induction sensor 125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while the elevator car moves, the induction sensor 125 detects the predetermined signal. And this signal is sent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elevator.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based on the signal so as to control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to coincide with the bottom of the board, i.e., the boarding side door and the alligator car side door are correctly implanted.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차폐판은 철제판으로 취부용 브라켓과 볼트 등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데, 승장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의 정확한 착상을 위하여 차폐판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관리 항목이 된다.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shield plate is fixed to the guide rail by a mounting bracket and bolts, such as steel plate, it is very important management item to determin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hield plate for the accurate idea of the elevator car to the boarding.

차폐판 부착 위치의 결정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중 작업자는 2인 1조로 구성되어, 1인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탑승하여 차폐판의 위치를 가조립한 후 엘리베이터를 저속 주행 운전하고, 다른 한 사람은 카 내에 탑승하거나 승장에 위치하여 엘리베이터 카측 실(sill)과 승장측 실의 일치 여부를 관찰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 정밀도 기준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카 상부 작업자가 차폐판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얼마만큼 수정 이동하여야 하는지 알려준다. 실(sill)이란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와 승장 바닥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도어와 승장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소정의 홈(groove)을 가지는 부재로서, 엘리베이터 카측의 실과 승장측의 실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가 정확히 착상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설치시 차폐판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있어 기준점으로 작용한다.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hielding plate, the worker consists of two sets of workers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elevator, one person boards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pre-assembles the position of the shielding plate, and drives the elevator at low speed. Is in the car or is located in the boarding area and observes whether the elevator car side seal and the boarding room seal are matched to determine whether the elevator car meets the criteria for the concept of precision. Informs you if the correction should be moved. A seal is a member which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and the bottom of the boarding point and has a predetermined groove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f the elevator and the boarding door. Si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elevator car has been accurately implan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serves as a reference point i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hield plate when installing the elevator.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엘리베이터의 카 위치를 검출하는 차폐판 및 유도 센서가 각각 부착되는 위치인 가이드 레일 및 엘리베이터의 카 상부가 착상 정밀도를 확인하는 기준이 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과 승장측 실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기 때문에, 항상 작업자 2인이 필요하여 1인만으로는 설치 작업이 불가능하며 착상 정밀도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폐판을 미리 가조립 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 상부에 있는 작업자가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면서 차폐판 위치를 재조정하는 시행착오 방식으로 위치 검출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엘리베이터를 계속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본체를 구성하는 측판, 천장판 등 관련 부품들에 변형이 발생하거나 정렬 위치에 변화 등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오차가 필연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후 차폐판의 위치를 재조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because the guide rail and the upper part of the car, which are the positions where the shield plate and the inductive sensor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detect the car position of the elevator, are largely separated from the elevator car side seal and the boarding side seal, which are the criteria for confirming the accuracy of implanta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stallation work is impossible with only one worker because two workers are required at all times, and errors in conception accuracy are likely to occur.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a trial-and-error manner in which the operator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in the state where the shield plate has been pre-assembled in advance while driving the elevator, the operation efficiency is inevitably low. As the elevator is continuously used, the shielding plate is us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ecause deformation of the related parts such as the side plate and the ceiling plate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elevator car occurs or a change in the alignment position is inevitably caused. There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repositioned.

이보다 개선된 기술로서 차폐판을 가이드 레일이 아닌 승장측 도어 상부에 부착하는 위치 검출 장치가 있다.(GB 2 166 711 A) 도9를 참조하면, 차폐판(130)은 승장측 도어(110) 상부에 부착되고 유도 센서(125)는 엘리베이터 카(101)측 도어(105)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엘리케이터 카(101) 내에 있는 작업자와 카 상부에 있는 작업자의 밀접한 업무 협조가 가능하지만, 여전히 2인 1 조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차폐판(130)과 유도 센서(125)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101)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위에 언급한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없다.An improved technique is a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attaching the shield plate to the upper part of the boarding side door instead of the guide rail. (GB 2 166 711 A) Referring to FIG. 9, the shielding plate 130 is the boarding side door 110. It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and the induction sensor 125 is located above the door 105 of the elevator car 101, so that the worker in the elevator car 101 and the worker at the upper part of the car can cooperate closely, but still One pair work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shielding plate 130 and the induction sensor 125 ar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101 as in the prior ar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not be solved.

이에 대하여 종전의 차폐판과 유도 센서 방식이 아니라 근접 센서 원리를 이용하여 문설주(jamb) 프레임에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를 부착하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즉,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를 종래 기술과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승장측 도어와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문설주 프레임 사이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문설주 프레임에 충분한 부착 공간이 허용되는 측방 개방 도어식(side open) 엘리베이터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문설주 프레임에 반응 부재 및 감지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허용되지 않는 중앙 개방식(center open door) 엘리베이터에는 사용될 수 없다. 또한, 여전히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 정밀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실(sill)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문설주 프레임에 위치 검출 장치를 구성하는 반응 부재 및 감지 부재가 부착되기 때문에, 설치 작업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문설주 프레임 등 관련 부품의 변동 및 변형으로 인한 위치 검출 장치의 위치 재조정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On the contrary, a method of attaching 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to a jamb frame has been devised using a proximity sensor principle rather than a conventional shielding plate and an inductive sensor method. That is,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use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are no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as in the prior art, but are disposed between the door frame of the boarding side door and the elevator car side door. However, this technique can be applied to side open elevators where sufficient attachment space is allowed in the door frames, but center open where sufficient space for placing the reaction and sensing elements in the door frames is not permitted. door) It cannot be used in elevators. In addition, since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constituting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are attached to the door frame which is still spaced apart from the sil, which is still a criterion for judging the accuracy of conception of the elevator car, an error may occur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It is necessary to reposition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due to the variation and deformation of the related parts such as door frames.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상 정밀도가 확보되어야 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승장측의 실로부터 가장 인접한 위치에 위치 검출 장치가 부착됨으로써 위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인 작업자만으로도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현장에서 위치 검출 장치의 조정 작업을 생략하여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구성 장치에 큰 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ar in which a position detecting device is attached to a position closest to an elevator car to which landing accuracy should be secured, and a seal on the boarding side, thereby improving the position detecting performance. It is to provide a position detection devic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capable of installing 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by only one worker, and to improve the installation workability by omitting the adjustment work of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at the installation site.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causing a large deformation in an existing component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는 반응 부재와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한다.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된다.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alignment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side seal with respect to the cabin side seal by the sensing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for detecting the reaction member. One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cabin-side seal that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n the elevator side, and the other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detec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elevator car-side seal that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car side do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응 부재는 승장측 실에 부착되고,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부착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ac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cabin side seal,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응 부재 및 감지 부재는 실 하면에 부착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반응 부재 및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의 에이프런 및 승장의 토가드의 측방에 설치된다.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are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apron of the elevator car and the toguard of the boarding point.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반응 부재는 마그네트 부재이고, 감지 부재는 홀 센서이다.In addition, the reaction member of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the elevator car is a magnet member, and the detection member is a hall sensor.

마그네트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The magnet member includes a bracke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magne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tached to the bracket.

홀 센서에는 복수의 유도 코일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마그네트 부재에 의해 홀 센서 내의 유도 코일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유도 신호가 발생한다.A plurality of induction coils are arranged in the hall sens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when the elevator car is raised or lowered, an induction signal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in the induction coil in the hall sensor is generated by the magnet member.

또한, 승장측 실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 중 하나 이상에 홈이 형성되고,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가 상기 홈에 부착되며, 상기 반응 부재나 감지 부재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에 의해 실에 부착된다.Further, a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cabin side seal and the elevator car side seal, a positioning fix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groove, and the reaction member or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chamber by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는 볼트로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ing device is composed of bolts.

또한,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의 길이는 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에 대응 높이의 승장로 벽면에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that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car side door, and the boarding of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boarding side seal which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n the boarding side door. The other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furnace wal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위치 검출 장치가 부착된 엘리베이터 카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도1에 도시된 위치 검출 장치의 확대 측면도 및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 elevator car with an elevato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nlarged side and enlarged perspective views of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shown in FIG.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승장측 도어(10)는 승장측 바닥부에 배치된 승장측 실(20)의 홈(20')을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엘리베이터 카(1)측 도어(5)는 카(1)측 바닥부에 배치된 카측 실(15)의 홈(15')을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엘리베이터 카(1)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있는 지 여부는 승장측 실(20)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지 여부에 의해 판단된다.1 to 3, the boarding-side door 10 is opened or closed along the groove 20 'of the boarding-side chamber 20 disposed on the boarding-side bottom, and the door of the elevator car 1 side ( 5) is opened or closed along the groove 15 'of the car side seal 15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ar 1 side. Whether the elevator car 1 is in the correct landing position is judged by whether the boarding room side 20 and the elevator car side chamber 15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엘리베이터 카(1)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있는 지 여부를 검출하는 반응 부재(30), 예를 들어 마그네트 부재와, 감지 부재(25), 예를 들어 홀 센서는 각각 승장측 실(20) 및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부착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가 실 하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즉, 반응 부재(30) 와 감지 부재(25)는 실의 전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실 단부에 브라켓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는 마그네트 부재와 홀 센서로 제한되지 않는다.The reaction member 30 for detecting whether the elevator car 1 is in the correct conception position, for example the magnet member, and the detection member 25, for example the hall sensor,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boarding chamber 20 and the elevator. It is attached to the car side seal 15.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reaction member 30 and the sensing member 25 are shown to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but the position may be changed. That is, the reaction member 30 and the sensing member 25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al, or may be attached to the seal end using a bracket. In addition, the reaction member 30 and the sensing member 25 are not limited to the magnet member and the hall sensor.

도3을 참조하면,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는 토가드(27) 및 에이프런(26)의 측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에이프런(26) 및 토가드(27)는 각각 엘리베이터 카측 실(15) 하부 및 승장측 실(20) 하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엘리베이터 카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지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되었을 경우에, 탑승자나 물건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안전 부재이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반응 부재(30)와 감지 부재(25)를 실에 부착하기 위해 토가드(27)와 에이프런(26)에 구멍을 뚫는 등의 가공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과 승장측 실에 설치된 에이프런과 토가드의 간섭이 없는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보다 자유로운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the reaction member 30 and the sensing member 25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o guard 27 and the apron 26. Here, the apron 26 and the toeguard 27 are members provided below the elevator car side seal 15 and the lower side of the elevator side seal 20, respectively, and the elevator door stops when the elevator car is not stopped at the correct landing position. When it is opened, it is a safety member provided to prevent the fall of occupants or objects. In such a case, it is not necessary to process a hole in the to guard 27 and the apron 26 to attach the reaction member 30 and the sensing member 25 to the seal. Moreover, since it is installed in the space where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apron and the toe guard installed in the elevator car side seal and the cabin side seal, more free space utilization is possible.

도4 및 도5는 엘리베이터 카(1)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마그네트 부재(30)와 홀 센서(25)의 작용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1 by the action of the magnet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when the elevator car 1 moves upward.

도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부착된 홀 센서(25)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도 코일(25a, 25b, 25c)을 포함한다. 도4에는 홀 센서(25)가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유도 코일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만 배치되지 않고 좌우로도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1)가 착상 위치(정지 위치)에 가까워지게 되면 먼저 홀 센서(25)의 최상부에 배치된 유도 코일(25a)이 마그네트 부재(30)의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홀 센서(25)의 최상부에 배치된 유도 코일(25a)에서 유도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도 신호는 엘리베이터 카(1)의 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도시 안됨)로 전송되고, 급격한 제동에 의해 승객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제어부에서는 엘리베이터 카(1)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그 후, 승장측 실(20)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이 정렬되면, 즉, 엘리베이터 카(1)가 원하는 소정의 층에 정확히 착상하게 되면 홀 센서(25)에 배치된 유도 코일 전부(25a, 25b, 25c)에서 유도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유도 신호는 제어부로 전송되어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1)를 정지시킨다.Referring to Fig. 4, the hall sensor 25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15 includes a plurality of induction coils 25a, 25b, 25c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4, the hall sensor 25 includes three induction coil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ut the number of the induction coils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may be arranged not to be disposed on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ut overlapping from side to side. . In the case where the elevator car 1 moves upward, when the elevator car 1 comes close to the landing position (stop position), the induction coil 25a disposed at the top of the hall sensor 25 is first magnet member 30. Is affected by the magnetic field. That is, the indu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induction coil 25a disposed at the top of the hall sensor 25. This guidance signal is transmit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1, and the control unit gradually decreases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1 so as not to inconvenience passengers by sudden braking. After that, when the boarding side chamber 20 and the elevator car side chamber 15 are aligned, that is, when the elevator car 1 is correctly placed on a desired floor, all of the induction coils 25a disposed in the hall sensor 25 are provided. , 25b, 25c, the guidance signal is generated, the guidan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o stop the elevator car (1).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엘리베이터 카(1)가 상향으로 이동할 때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1)가 하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엘리베이터 카(1)가 소정의 원하는 층에 가까워지게 되면 먼저 홀 센서(25)의 최하부에 배치된 유도 코일(25c)이 마그네트 부재(30)의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아 유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1)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엘리베이터 카(1)가 정확한 착상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즉 홀 센서(25)의 모든 유도 코일(25a, 25b, 25c)이 마그네트 부재(30)에 의해 유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1)를 정지시킨다.Although not shown, in the case where the elevator car 1 moves downward as in the case where the elevator car 1 moves upwards, the hall sensor 25 is first moved when the elevator car 1 approaches a predetermined desired floor. The induction coil 25c disposed at the bottom is influenced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member 30 to generate an induction signal. The control unit gradually reduces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1 based on the signal. When the elevator car 1 reaches the correct conception position, i.e., when all the induction coils 25a, 25b, 25c of the hall sensor 25 generate an induction signal by the magnet member 30, the controller The car 1 is stopped.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 즉 마그네트 부재(30) 및 홀 센서(25)는 모두 엘리베이터 카(1)의 착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점인 실(15, 20)에 부착된다. 따라서, 승장측 실(20) 및 엘리베이터 카측 실(15)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하였던 종래 기술에 비해 실과 위치 검출 장치 간의 이격 거리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짧아지게 되기 때문에, 승장측 실(20)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의 정렬 여부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엘리베이터 착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실(15, 20)에 부착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장기간 사용으로 엘리베이터 카(1) 본체의 측판, 천장판 등 관련 부품들에 탄성 변형과 경년 변화 등이 발생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 검출에 있어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In this way,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1, that is, the magnet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are both the seals 15 and 20 which are reference point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vator car 1 is implanted. Is attached to. Accordingly,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al and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negligibly shorter than in the prior art in which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abin side seal 20 and the elevator car side seal 15, the ride side Whether the seal 20 and the elevator car side seal 15 are aligned can be detected accurately. Since the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seals 15 and 20, which are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elevator is implanted, the elastic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related parts such as the side plate and the ceiling plate of the main body of the elevator car 1 by using the elevator for a long time. Even if a secular variation occurs, an error does not occur in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elevator car 1.

본 실시예에서 반응 부재(30) 또는 감지 부재(25)는 승장측 실에 부착되지만, 승장측 실이 아니라 승장측 실과 대응되는 높이의 승장로 벽면에 브라켓 등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앞서 언급한 작용 효과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ction member 30 or the sensing member 25 is attached to the boarding chamber, but may b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boarding path of the height corresponding to the boarding chamber rather than the boarding chamber, using a bracket or the like. Even if it is understood that the above-mentioned effects can be provided equally.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of an elevator car is demonstr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먼저 작업자는 홀 센서(25)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부착한다. 그 후,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1)의 상부에서 엘리베이터 카(1)를 저속으로 운행한다. 엘리베이터 카(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중 엘리베이터 카(1)가 승장 하부에 가까워지게 되면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1)의 운행을 일시 정지시키고 승장측 실(20) 또는 승장측 실(20)과 동일한 높이의 승장로 벽면에 마그네트 부재(30)를 설치한다. 마그네트 부재(30)와 홀 센서(25)는 각각 승장측 실(20)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의 정해진 위치에 부착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마그네트 부재(30)와 홀 센서(25)의 부착을 위해 승장측 실(20)과 카측 실(15)을 서로 정렬시킬 필요가 없으며, 각 부재들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을 거칠 필요가 없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115)을 승장측 실(120)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차폐판(130)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했지만, 본원 발명에 따른 마그네트 부재(30) 및 홀 센서(25)를 설치할 때에는 실(20, 15)의 정렬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설치 작업시 엘리베이터 카(1)에는 승장측 실(20)과 카측 실(15)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자가 탑승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작업은 1인의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order to install th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first attaches the hall sensor 25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15. Thereafter, the worker runs the elevator car 1 at a low speed o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car 1. When the elevator car 1 approaches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area while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or car 1, the operator pause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1 and the boarding room 20 or the boarding room 20. The magnet member 30 is install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boarding path of the same height. Since the magnet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are attached at fixed positions of the cabin side seal 20 and the elevator car side seal 15, respectively, the operator can attach the magnet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to each other. It is not necessary to align the boarding-side seal 20 and the car-side seal 15 with each other, and it is not necessary to go through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each member. That is, in the prior art, the position of the shielding plate 130 has to be adjusted in a state where the elevator car side seal 115 is aligned with the boarding side seal 120, but the magnet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do not need to consider whether the alignment of the threads (20, 15).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elevator car 1 to check whether the passenger compartment 20 and the car-side seal 15 coincide with each other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performed by one worker. Can be performed by

또한, 위치 검출 장치의 초기 설치시 위치 검출 장치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저속 운행하며 실(20, 15)의 정렬에 따라 위치 검출 장치의 부착 위치를 재조정하며 위치 검출 장치를 부착하는 시행착오 방식을 거치지 않고 승장측 실(20) 및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마그네트 부재(30) 및 홀 센서(25)를 바로 부착하기 때문에 보다 간단히 위치 검출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initially installed, a trial-and-error method in which the elevator car is operated at a low speed while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is temporarily assembled, readjusts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seals 20 and 15, and attaches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Since the magnet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are directly attached to the boarding side chamber 20 and the elevator car side chamber 15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도6은 승장측 실(20)에 부착된 마그네트 부재(30)의 사시도이고, 도7은 마그네트 부재(30)를 구성하는 "L"자형 마그네트 브라켓(32)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gnet member 30 attached to the boarding side seal 20,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 shaped magnet bracket 32 constituting the magnet member 30. As shown in FIG.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마그네트 부재(30)는 중앙부에 홈(32')이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L"자형 브라켓(32)과 마그네트 브라켓(3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네트(31)로 구성된다. 마그네트(31)는 자성을 갖기 때문에 다른 고정 장치의 사용없이 브라켓(32)의 길이방향 홈(32')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승장측 실(20) 또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는 홈이 형성되고, 마그네트 부재(30) 또는 홀 센서(25)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가 상기 홈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를 이용하여 마그네트 부재(30) 또는 홀 센서(25)를 각각 승장측 실(20) 또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15)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도2 참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로는 주로 볼트가 사용되지만 그 외의 다른 고정 장치도 사용 가능하다. 마그네트 부재(30) 및 홀 센서(25)의 부착 위치는 실(20, 15)에 이미 고정되어 있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시 작업자는 마그네트 부재(30) 및 홀 센서(25)를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18)에 밀착시키고 단순 고정 작업만 하면 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트 부재(30) 및 홀 센서(25)를 별도의 위치 조정 작업에 의해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6 and 7, the magnet member 3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 shaped bracket 32 and the magnet bracket 3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groove 32 ′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t is composed of a magnet 31. Since the magnet 31 is magnetic,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longitudinal grooves 32 'of the bracket 32 without the use of other fastening devices. A groove is formed in the cabin side seal 20 or the elevator car side seal 15, and a positioning fixing device 18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 member 30 or the hall sensor 25 is fixed to the groove. Therefore, the worker can easily attach the magnet member 30 or the hall sensor 25 to the boarding chamber 20 or the elevator car chamber 15 using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18, respectively. 2) Bolts are mainly used as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18, but other fixing devices may be used. Sinc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agnet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18 which is already fixed to the seals 20 and 15, the operato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elevator position detecting device has a magnet. The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may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18, and only a simple fix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ereby, it is not necessary to attach the magnet member 30 and the hall sensor 25 by separate position adjustment work.

또한,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과 승장측 실에 부착된 감지 부재 및 반응 부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에 오차가 발생하여 보정이 필요할 경우 감지 부재 및 반응 부재의 부착 위치에 있어서의 미세한 오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includes a sensing member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and the cabin side seal and an adjustment memb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eaction member, so that an error occurs on the elevator car and a correction is necessary. Fine errors i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reaction member can be easily correct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는 반응 부재와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를 각각 승장측 실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부착하여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 여부를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의 구성 요소들이 변형되거나 정렬 위치가 변하는 등의 변동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위치 검출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reaction member and a sensing member for detecting the reaction member to the cabin side seal and the elevator car side seal, respectively, to align the elevator car side seal with respect to the cabin side seal. By identifying the posi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ct whether the elevator car is implanted, and error in position detection even if variation factors such as deform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elevator car or change of alignment position occur due to long-term use of the elevator. Does not occur.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시 1인의 작업자에 의해서 설치가 가능하며, 반응 부재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시험 운행하면서 그 위치를 재조정하는 시행착오 방식을 거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위치 검출 장치를 보다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실에 형성된 홈에 부착된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에 의해 마그네트 부재 또는 홀 센서를 부착하기 때문에, 위치 검출 장치를 더욱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의 길이의 조정에 의해 위치 결정 장치의 미세한 오차 발생시 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When installing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it can be installed by a single worker, and the position detection device can be installed more simply because there is no need to go through a trial and error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while testing the elevator while the reaction member is pre-assembled. have. Moreover, since the magnet member or the hall sensor is attached by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attach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seal,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and the positioning devic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ositioning fixing device. When a small error of the can be easily correct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가 부착된 엘리베이터 카 및 승장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car and a board with a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확대 측면도,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의 확대 사시도,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승장측 실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마그네트 부재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gnet member of 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abin side seal;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마그네트 브라켓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gnet bracket of 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a는 엘리베이터 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에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차폐판이 부착된 도면,8A is a view showing a shield plate of a conventional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attached to a guide rail for guiding an elevator car;

도8b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부착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유도 센서의 사시도,8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uction sensor of a conventional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ng device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an elevator car;

도8c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위치 검출 장치의 차폐판 및 유도 센서의 사시도, 그리고8C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eld plate and an induction sensor of a conventional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도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도이다.9 is a side view of an elevator car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Claims (11)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이며,It is a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car which can grasp | ascertain the alignment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side chamber with respect to a boarding side chamber by a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for detecting the said reaction member,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One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boarding side seal for guid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arding side door,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wherein the other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an elevator car side seal that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car side d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부재는 승장측 실에 부착되고, 상기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c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cabin side seal,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측 실 또는 승장측 실에 부착되는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는 실 하면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or the cabin side seal ar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측 실 또는 승장측 실에 부착되는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 하부에 부착되는 에이프런 및 승장측 실 하부에 부착되는 토가드의 측방에 위치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or the cabin side seal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apron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elevator car side seal and the toeguard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lift side seal. Device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부재는 마그네트 부재이고, 상기 감지 부재는 홀 센서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The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action member is a magnet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 hall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부착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magnet member comprises a bracke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magne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ttached to the brack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에는 복수의 유도 코일이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마그네트 부재에 의해 홀 센서 내의 유도 코일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유도 신호가 발생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lurality of induction coils are arranged in the hall sens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when the elevator car is raised or lowered, an induction signal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elevator car in the induction coil in the hall sensor by a magnet member is provided. 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장측 실과 엘리베이터 카측 실 중 하나 이상에 홈이 형성되고,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가 상기 홈에 부착되며, 상기 반응 부재나 감지 부재는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에 의해 실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The positio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cabin-side seal and the elevator car-side seal, a positioning fix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groove, and the reaction member or the sensing member is a positioning fixing device.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the elevator car attached to the seal by th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는 볼트인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9.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xing device for positioning is a bol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용 고정 장치는 반응 부재나 감지 부재의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9. The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n elevator ca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xing device for positioning includes an adjustin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an attachment position of a reaction member or a sensing member.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 부재에 의해 승장측 실에 대한 엘리베이터 카측 실의 정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이며,It is a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car which can grasp | ascertain the alignment position of the elevator car side chamber with respect to a boarding side chamber by a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for detecting the said reaction member, 엘리베이터 카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카측 실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하나가 부착되고,One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elevator car side seal that guid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car side door, 승장측 도어의 개폐를 안내하는 승장측 실에 대응되는 높이의 승장로 벽면에 상기 반응 부재와 감지 부재 중 다른 하나가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 검출 장치.An elevator 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wherein the other of the reaction member and the sensing member is attached to a wall of a boarding path having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boarding side seal for guid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arding side door.
KR1020040076979A 2004-09-24 2004-09-24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KR1007149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979A KR100714941B1 (en) 2004-09-24 2004-09-24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PCT/KR2005/003152 WO2006080633A1 (en) 2004-09-24 2005-09-23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979A KR100714941B1 (en) 2004-09-24 2004-09-24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004A true KR20060028004A (en) 2006-03-29
KR100714941B1 KR100714941B1 (en) 2007-05-07

Family

ID=3674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979A KR100714941B1 (en) 2004-09-24 2004-09-24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4941B1 (en)
WO (1) WO200608063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1113A4 (en) 2013-02-01 2016-11-02 Kone Corp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US9567188B2 (en) 2014-02-06 2017-02-14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Absolute position door zone device
US11535488B2 (en) 2017-08-28 2022-12-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osition detection systems
CN112566861B (en) * 2018-08-17 2022-04-29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with a movable elevator car
CN114590662B (en) * 2022-02-22 2024-05-03 中控技术股份有限公司 Reciprocating elevator control method and reciprocating elevator
CN116202398B (en) * 2023-05-06 2023-07-21 蒂升电梯(中国)有限公司成都分公司 Elevator installation clearance measu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30B1 (en) * 1990-07-31 1992-07-03 금성산전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s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JPH07157220A (en) * 1993-12-08 1995-06-20 Hitachi Ltd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FI111937B (en) * 1993-12-28 2003-10-15 Kone Corp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KR100302556B1 (en) * 1998-09-07 2001-09-22 니시무로 타이죠 Elevator landing apparatus
JP3744271B2 (en) * 1999-07-29 2006-02-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position det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0633A1 (en) 2006-08-03
KR100714941B1 (en) 2007-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5210B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EP3584208B1 (en) Position reference device for elevator
CN104828684B (en) Elevator equipment
KR20010023844A (en) Controller for elevator
JPH07115817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holdor
KR10071494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elevator car
CN112384462A (en) Elevator diagnosis system
JP5195766B2 (en) Elevator system and landing position detection device used therefor
EP1916214A1 (en) Elevator device
JP2008520517A (en) Installation of guide rails in elevator systems
US6230846B1 (en) Elevator apparatus with control panel located within elevator hoistway
WO2009081476A1 (en) Elevator position detector
JP2001039639A (en)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JP6157962B2 (en) Elevator equipment
CN113548559B (en) Elevator device
KR101914891B1 (en) Elevator device
KR900004973Y1 (en) Detection system of position of elevator
CN114599598B (en) Elevator device and door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device
JP4761879B2 (en) elevator
WO2014170964A1 (en) Elevator device
WO2022224405A1 (en) Hall-side landing device adjustment member, car-side landing device adjustment member, and car-side landing device
JP7471894B2 (en) Safety devices for construction elevators
KR20230170452A (en)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magnetic sensor
JP6294252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750010B1 (e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