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905A -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905A
KR20060027905A KR1020040076789A KR20040076789A KR20060027905A KR 20060027905 A KR20060027905 A KR 20060027905A KR 1020040076789 A KR1020040076789 A KR 1020040076789A KR 20040076789 A KR20040076789 A KR 20040076789A KR 20060027905 A KR20060027905 A KR 20060027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per
plate heater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웅재
이영준
홍정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7905A/ko
Publication of KR2006002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mode of operation, e.g. standby, warming-up, e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용지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전사유닛과 상기 정착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정착유닛에 진입되는 상기 용지를 예열하는 예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예열유닛은, 상기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용지를 예열하며,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히터부; 상기 플레이트히터부에 용지를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용지에 공기를 불어주는 에어블로워부; 및 상기 에어블로워부의 반대쪽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석션부;를 포함한다.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예열유닛, 플레이트히터부, 슬릿, V자형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A WET-TYP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예열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플레이트히터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히터부에 용지가 놓여진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00. 예열유닛
210. 에어블로워부 220. 에어석션부
230. 플레이트히터부 232. 슬릿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정착유닛에 용지가 진입되기 전 미리 용지를 예열시켜주는 예열유닛을 포함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액을 부착하여 형성된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특히,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분말 토너(고체현상제)를 사용하는 건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보다 액체 현상제(이하 `현상액`이라 함)를 사용하므로, 더 선명한 화상 출력물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고품질의 컬러 인쇄에 적합하다.
이 때, 현상액은 화상을 현상하는 토너와 노파(Norpar)와 같은 액상의 캐리어로 이루어지는데 노파는 C10H22, C11H24, C12 H26, C13H28의 혼합물인 탄화수소(Hydrocarbon) 계통의 용제이다.
상기 현상액을 전사받은 용지는 정착유닛으로 이동되며, 용지가 정착유닛을 통과할 때 현상액의 성분 중에서 토너는 용지 상에 고착되고, 노파(Norpar)와 같은 액상의 캐리어는 고열에 의해 메탄(CH4)과 같은 가연성의 탄화수소가스로 증발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정착유닛에 용지가 진입되기 전 미리 용지를 예열시켜준다. 이렇게 용지를 예열시켜주는 이유는 용지에 남아 있는 캐리어를 증발시키고, 토너가 용지에 충분히 스며들도록 하여 정착유닛에서 토너의 고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용지가 정착유닛에 진입되기 전 용지에 열풍을 불어주거나, 용지가 가열된 히터판을 지나도록 하였다.
그러나, 열풍을 불어주는 방식은 짧은 시간에 용지를 충분히 예열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가열된 히터판을 지나도록 하는 방식은 용지와 히터판의 접촉이 불규칙하여 용지를 충분히 밀착시켜 예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충분히 예열되지 못한 용지가 정착유닛으로 진입되어, 정착유닛에서 토너의 고착효율이 떨어져 인쇄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착유닛으로 진입되는 용지의 예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용지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전사유닛과 상기 정착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정착유닛에 진입되는 상기 용지를 예열하는 예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열유닛은, 상기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용지를 예열하며,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히터부; 상기 플레이트히터부에 용지를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용지에 공기를 불어주는 에어블로워부; 및 상기 에어블로워부의 반대쪽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석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들은, 상기 플레이트히터부에 V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릿들은, 상기 플레이트히터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4개씩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블로워부는, 150℃ 내지 200℃의 온도를 가진 공기를 불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100)는, 노광유닛(111)(112)(113)(114)과, 감광매체(121)(122)(123)(124)와, 대전유닛(126)(127)(128)(129)과, 현상유닛(131)(132)(133)(134)과, 전사유닛(140)과, 정착유닛(150)과, 산화촉매유닛(160)과, 예열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노광유닛(111)(112)(113)(114)은, 대전유닛(126)(127)(128)(129)에 의해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 레이저빔을 주사한다.
상기 현상유닛(131)(132)(133)(134)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현상액을 저장하고 있다가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면, 현상액을 감광매체(121)(122)(123)(124)에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각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는 현상액에 의한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전사유닛(140)은, 감광매체(121)(122)(123)(124)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용지(P)로 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사벨트(141), 제1 전사롤러(142)(143)(144)(145) 및 제 2 전사롤러(14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사롤러(142)(143)(144)(145)는, 감광매체(121)(122)(123)(124)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전사벨트(141)로 전사시킨다.
상기 제 2 전사롤러(146)는, 전사벨트(141)에 형성된 컬러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상기 정착유닛(150)는,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로 전사된 컬러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킨다. 이러한 정착과정 중에 액상의 캐리어가 증발하면서 현상액 증기가 발생된다.
상기 산화촉매유닛(160)은 상기 정착유닛(150)에서 발생된 캐리어 증기를 무해한 물과 이산화탄소로 산화분해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예열유닛(200)은, 전사유닛(140)과 정착유닛(150)사이에 위치하여 정착유닛(150)에 진입하는 용지를 예열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예열유닛(200)은 에어블로워부(210)와, 에어석션부(220)와, 플레이트히터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블로워부(210)는,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앞쪽에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설치되며 용지의 상면에 150℃ 내지 200℃의 온도를 가진 공기를 화살표 A방향으로 대략 6m/sec로 불어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지에 남아 있는 캐리어를 증발시키고, 용지를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에 밀착시킨다.
상기 에어석션부(220)는, 플레이트히터부(230)의 뒤쪽에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설치되며, 플레이트히터부(230)의 후술되는 슬릿(232)을 통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공기를 빨아들여,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에 용지를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히터부(230)를 중심으로 에어블로워부(210)와 에어석션부(220)가 상호 반대방향에 배치되면, 용지가 플레이트히터부(230)에 놓여지지 않은 경우에는, 에어블로워부(210)에서 배출된 공기가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슬릿(232)을 화살표 A1방향으로 통과하여 에어석션부(220)로 자연스럽게 빨려들어갈 수 있어, 공기의 벡터변화량(공기의 운동량의 방향변화량)이 최소가 된다. 다시 말해 공기흐름이 자주 바뀜으로써 오는 운동량의 손실이 최소가 되어 전력손실이나 소음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용지가 플레이트히터부(230)에 놓여진 경우에는, 에어블로워부(210)에서 불어주는 공기의 운동력과 에어석션부(220)의 흡입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용지의 플레이트히터부(230)의 밀착효율이 높아진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플레이트히터부(230)는 에어블로워부(210)와, 에어석션부(220)의 사이에서 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설치되며, 정착유닛(150, 도1참조)에 진입되는 용지를 대략 180℃ 정도의 온도로 예열시켜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히터부(230)에는 복수개의 슬릿(232)이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4개씩, 길이(L)를 달리하여 형성되며, 플레이트히터부(230)상에 V자형으로 배치된다. 물론 V자형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으나, V자형이 용지가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에 놓여졌 을 때 압력구배가 크게 형성되어 밀착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릿(232)의 폭(W1)과 슬릿(232)사이의 폭(W2)은 용지의 잼 발생을 방지하고, 용지와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예열을 위한 접촉면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결정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유닛(126)(127)(128)(129)이 광도전성 감광층이 코팅되어 있는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면, 노광유닛(111)(112)(113)(114)이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된다.
현상유닛(131)(132)(133)(134)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현상액을 저장하고 있다가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면, 현상액을 감광매체(121)(122)(123)(124)에 이동시켜,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제 1전사롤러(142)(143)(144)(145)는 감광매체(121)(122)(123)(124)의 표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전사벨트(141)로 전사시킨다. 이때, 전사벨트(141)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네 가지 색상의 가시화상이 중첩된 컬러화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전사롤러(146)는 전사벨트(141)에 형성된 컬러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킨다. 컬러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예열유닛(200)을 지나 정착유닛(150)에 진입된 다.
정착유닛(150)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로 전사된 컬러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킨다. 이러한 정착과정 중에 액상의 캐리어가 증발하면서 캐리어증기가 발생되고, 산화촉매유닛(160)은 이렇게 발생된 캐리어 증기를 무해한 물과 이산화탄소로 산화분해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예열유닛(2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용지가 제2전사롤러(146, 도1참조)에 의해 플레이트히터부(230)로 이송되지 않은 경우, 에어블로워부(210)에서 불어주는 공기(A)의 대부분은 화살표 A1방향으로 플레이트히터부(230)상에 형성된 V자 형태의 슬릿(232)을 통해 에어석션부(220)로 빨려 들어가며, 일부는 화살표 A2방향으로 플레이트히터부(230)에 의해 반사되거나, 화살표 A3방향으로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측면(233)을 돌아나가게 된다.
이후, 용지가 예열유닛(200)쪽으로 이송되어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에 놓이게 되면, 도 4와 같이 V자 형태의 슬릿(232)이 용지로 인해 막히게 되고, 이로 인해 용지의 앞,뒷면에는 압력구배가 크게 형성된다.
이때, 에어블로워부(210)에서 불어주는 공기의 대부분은 화살표 A 방향으로용지의 앞면을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으로 밀어준 후, 용지에 의해 화살표 B1방향으로 반사되며, 일부는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과 부딪쳐 화살 표 B2방향으로 반사되거나, 화살표 B3방향으로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측면(233)을 돌아나가게 된다.
따라서, 화살표 A방향으로 불어주는 공기가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운동력이 용지에 전달되어 용지가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쪽으로 밀리게 되며,
동시에, V자 형태의 슬릿(232)을 통하여 전달된 에어석션부(220)의 흡입력으로 인해 용지가 화살표 C방향(도 2참조)으로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쪽으로 잡아당겨지게 되어, 이 두 가지 힘에 의해 용지는 플레이트히터부(230)의 상면(231)에 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용지가 플레이트히터부(230)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면서 정착유닛(150, 도1참조)으로 이동하므로, 용지는 플레이트히터부(230)로부터 충분한 열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어 용지의 예열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지의 예열효율이 높아짐으로 인해 정착유닛에서 토너의 고착효율이 높아져 인쇄 품질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감광매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유닛;
    상기 용지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 및
    상기 전사유닛과 상기 정착유닛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정착유닛에 진입되는 상기 용지를 예열하는 예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유닛은,
    상기 용지와 접촉하여 상기 용지를 예열하며, 복수의 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히터부;
    상기 플레이트히터부에 용지를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용지에 공기를 불어주는 에어블로워부; 및
    상기 에어블로워부의 반대쪽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석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은,
    상기 플레이트히터부에 V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들은,
    상기 플레이트히터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에 4개씩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블로워부는,
    150℃ 내지 200℃의 온도를 가진 공기를 불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76789A 2004-09-24 2004-09-24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60027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89A KR20060027905A (ko) 2004-09-24 2004-09-24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789A KR20060027905A (ko) 2004-09-24 2004-09-24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05A true KR20060027905A (ko) 2006-03-29

Family

ID=3713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789A KR20060027905A (ko) 2004-09-24 2004-09-24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79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3023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389981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having double feed prevention unit
US20100098468A1 (en) Fu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7751767B2 (en) Rotatable air knife
JP2004109751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78528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27905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505722B2 (en) Convective hot air impingement device with localized return paths
JPH11246102A (ja) しわ防止定着器バッフルを有するプリンタ
KR100343177B1 (ko) 습식인쇄기용캐리어건조장치
JP4630698B2 (ja)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20287B1 (ko) 캐리어 제거장치 및 이를 가지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및습식 화상형성장치의 캐리어 제거방법
JP5063386B2 (ja) 加熱装置
JP4419783B2 (ja) 画像形成装置
KR19990074126A (ko) 습식인쇄기용 캐리어 건조장치
KR100343176B1 (ko) 인쇄기의용지말림방지장치
JPH0318867A (ja) 画像形成装置
JP3716065B2 (ja) 電子写真装置
JP2004109895A (ja) 画像形成装置
JP353706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544169B1 (ko)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JP3498536B2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転写装置
JP2000302325A (ja) 電子写真式プリンタの用紙冷却装置
JP2001159850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14059U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