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582A -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582A
KR20060026582A KR1020040075379A KR20040075379A KR20060026582A KR 20060026582 A KR20060026582 A KR 20060026582A KR 1020040075379 A KR1020040075379 A KR 1020040075379A KR 20040075379 A KR20040075379 A KR 20040075379A KR 20060026582 A KR20060026582 A KR 20060026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attery
storage medium
memory
pers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6582A/ko
Publication of KR20060026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4Determination of programming status, e.g. threshold voltage, overprogramming or underprogramming, retention
    • G11C16/3436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erasure
    • G11C16/3454Arrangements for verifying correct programming or for detecting overprogrammed cells
    • G11C16/3459Circuits or methods to verify correct programming of nonvolatile memory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은, 휘발성 저장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매체가 포함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배터리를 사용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 경우 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에 대한 보존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보존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데이터가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일정 공간에 복사되어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의 백업을 통해 개인 정보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후에 이를 복원하여 사용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시 작업을 재개하고자 할 경우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data storage method for PD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래쉬 메모리와 램 메모리의 구조 및 그에 따른 백업 과정과 복원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저전압 상태 시에 데이터 보존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존된 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의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제어부 114 : 전원 감지부
115 : 메모리부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인 정보 단말(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개인 정보 단말기는 많은 확장성으로 인하여 점차로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개인 정보 단말기는 휴대용 컴퓨터라고도 불리울 정도로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컴퓨터와 달리 매우 작은 크기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이동하면서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미리 원하는 정보들을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에 원하는 데이터를 찾거나 또는 원하는 계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한 데이터를 즉시 저장할 수 있어 데이터의 처리 등을 신속하게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개인 정보 단말기는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 큰 메모리를 요구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의 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하면서도 빠른 처리를 위해 서로 상반되는 특성을 가지는 메모리들을 구비한다.
즉,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는 플래쉬(Flash) 메모리를 사용하고, 빠른 데이터 처리가 요구될 시 사용되는 램(RAM)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프로그램 데이터와 장기간 보존이 필요한 데이터들은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는 램으로 데이터를 읽어와 빠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개인 정보 단말기는 이동성을 필요로 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소형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 배터리의 부족이 발생하는 경우 가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개인 정보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할 때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램으로 읽어옴으로써 진행되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진행한 데이터는 배터리의 잔류 전하가 없으면, 수행되었던 모든 데이터를 유실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배터리를 교체한 이후 진행했던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개인 정보 단말기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는 방법으로 Active Sync 또는 Hot Sync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개인 정보 단말기와 컴퓨터간 연결된 경우에만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 개인 정보 단말기에서의 환경과 컴퓨터에서의 환경이 서로 상이하다.
즉, 컴퓨터에서는 개인 정보 단말기와 호환을 위한 소정 프로그램을 통해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각 개인마다 자신의 원하는 바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컴퓨터에서는 개인 정보 단말기와 같은 환경을 조성할 수 없다.
따라서 만일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기 전에 컴퓨터를 통해 데이터를 백업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작업하던 바와 동일하게 데이터를 백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컴퓨터의 환경에서 미리 정해진 즉, 정형화된 바에 따라 데이터를 백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행중인 데이터가 백업되었다 할지라도 다시 이를 복구하면 이전에 사용자가 사용하던 작업환경과 다른 환경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와 같이 작업환경이 변경되면 사용자는 곤 란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개인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가 낮은 전원을 갖는 경우 현재 처리 수행 중인 데이터가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차후 복구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전원 부족으로 인한 정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개인 정보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보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은, 휘발성 저장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매체가 포함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배터리를 사용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 경우 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에 대한 보존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보존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데이터가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일정 공간에 복사되어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전원 감지부에서 배터리의 전압 상태를 검사하여 저전압 상태 시 저전압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는 플래시 메모리, CF 메모리, SD 메모리, USB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가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일정 공간에 복사되어 저장된 후 시스템의 파워 다운 모드가 수행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파워 다 운 모드 상태의 시스템에 새로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램 데이터가 복원되는 단계와; 상기 복원된 데이터의 작업 모드가 수행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작업 모드는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하던 화면을 그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단,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내부 구성으로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제어부(111), 전원 감지부(114), 메모리부(115) 등이 구성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1)는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개인 정보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11)는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의 보존을 위한 동작의 제어 및 이를 복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112)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무선으로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또는 음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신할 신호를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망(Network)으로 전송하고, 망(Network)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하강 변환하여 제어부(111) 또는 음성 신호 처리부(113)로 출력한다.음성신호 처리부(113)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무선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코딩된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방 식에 의해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방식에 의해 코딩하여 무선부(112)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신호 처리부(113)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부(115)로부터 독취된 소정 데이터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전원 감지부(114)는 배터리의 전압 상태를 검사하며, 저전압 상태 시 저전압 감지 신호를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또한, 메모리부(115)는 일반적으로 롬(ROM)과 휘발성 저장매체로서의 램(RAM) 및 비휘발성 저장매체로서의 플래쉬 메모리로 구분할 수 있으며, 롬 메모리에는 초기 구동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이외에도 CF 메모리, SD 메모리, USB 메모리가 될 수 있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에는 고속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후술될 도 2 및 도 3과 같이 데이터의 보존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와 보존된 데이터의 백업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 메모리는 롬 메모리 또는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고, 이를 고속 처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메모리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외부 통신부(116)는 컴퓨터 등과 USB 포트 등을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하며, USB 포트 등을 통해 접속된 경우 충전용 배터리가 접속된 경우 이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와 외부 장치간 동기를 맞춘후 사용자 의 요구에 따라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입력부(117)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며,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표시부(118)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개인 정보 단말기의 현재 상태 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동작 과정 및 사용자의 입력 상태 등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래쉬 메모리와 램 메모리의 구조 및 그에 따른 백업 과정과 복원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플래쉬 메모리(410)는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OS의 시작 주소 영역(411)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던 데이터가 램 메모리(420)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에 저장된 경우 이를 백업하는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413)에 저장되는 경우 상기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의 시작 주소를 저장한다. 이를 통해 개인 정보 단말기에 배터리의 전원이 소모된 경우 또는 사용자에 의해 백업된 후에 복원이 요구될 경우 상기 보존된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413)의 데이터를 다시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으로 옮겨 복원하여 사용할 수 있다.다음으로 상기 플래쉬 메모리(410)의 OS 영역(412)을 살펴본다. 상기 OS 영역(412)은 개인 정보 단말기에 저장되는 OS들과 기본 소프트웨어(S/W) 및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 된다.
또한 복원 데이터 영역(4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램 메모리(420)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하여 저장한다. 이 때 메모리의 크기에 따라 백업 방식을 달리 가져갈 수 있으나, 데이터를 압축하여 백업할 경우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413)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의 압축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개인 정보 단말기를 초기 제품 출시 때와 동일한 조건으로 모든 프로그램들을 되돌리기 위한 초기 데이터 영역(4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초기 데이터 영역에는 공장에서 출시될 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S/W)와 특정 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번들 소프트웨어(S/W) 및 램에 저장되어 사용되는 이미지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저장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지정 데이터 영역(4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램 메모리(420)에 대하여 살펴본다. 램 메모리(420)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과 동적 저장 영역(42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은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일 예로 만일 사용자가 개인 정보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문서 데이터를 읽고 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11)는 메모리부(115)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예를 들어, 상기 플래쉬 메모리(410)의 사용자 지정 데이터 영역(415)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를 읽어온다.
즉, 램 메모리(420)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으로 이를 읽어온다. 그런 후 최초 데이터 내용부터 표시부(118)에 표시할 수 있는 양만큼 이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에는 상기 읽어온 데이터 중 표시부(118)에 표시되고 있는 부분을 함께 저장한다. 그러므로 개인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가 되어 이를 백업한 후 다시 리스토어(restore) 되는 경우에 이전 작업 상태와 동일하게 표시부(118)에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램 메모리(420)의 동적 저장 영역(422)은 OS가 구동되면서 필요한 계산 영역으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저전압 상태 시에 데이터 보존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중 하나인 배터리 저전압 상태 시의 데이터 보존을 위한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개인 정보 단말기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 경우 동작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동작상태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작업을 요구를 대기하거나 무선 통신을 대기하는 대기상태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특정 프로그램을 통한 연산 또는 데이터를 독취하여 표시하는 동작 등을 모두 포함한다. (ST 300)
다음으로 개인 정보 단말기의 제어부(111)는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가를 검사한다. (ST 210) 상기 배터리의 저전압 상태는 전원 감지부(114)로부터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가의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검사를 통해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개인 정보 단말기 시스템이 파워 다운(power down) 상태인지 확인한다. (ST 320)
상기 파워 다운 상태는 개인 정보 단말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시스템이 파워 다운 상태인 경우에는 이를 웨이크 업(wake-up) 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ST 330)
이와 같이 배터리 저전압 상태이고 시스템이 웨이크 업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저전압 상태에서 특정 작업이 수행되어 램 메모리에 소정의 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램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ST 340)
즉, 배터리 저전압 상태에서 시스템 동작 중에 사용자에 의해 특정 프로그램의 구동 또는 계산의 수행 또는 데이터를 독취하여 표시하는 동작 등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15)에 구비된 램 메모리에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데이터가 저장되는데, 이는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원이 소모될 경우 삭제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복사하여 보존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건은 도 2에서 플래시 메모리의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이 준비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확인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램 메모리(420)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의 데이터를 플래쉬 메모리(413)의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413)으로 옮겨 데이터의 복사 즉, 백업을 수행한다. 이때 백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압축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ST 350)
제어부(111)는 이와 같이 데이터의 복사 즉, 백업이 완료되면 시스템의 파워 다운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파워 다운 모드는 일반적으로 개인 정보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될 경우 수행되는 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T 3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보존된 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보존된 데이터를 복원할 경우의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개인 정보 단말기에 전원이 투입되면, 초기 OS를 구동에 의해 부팅이 수행된다. 상기 초기 OS는 개인 정보 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초기 동작 시스템을 구성한다. (ST 400)
이후 제어부(111)는 플래시 메모리 즉,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복원 데이터 영역(413)에 복원이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ST 410)
검사결과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413)에 복원이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일반적인 OS 로딩에 의한 작업이 수행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T 440)
반면 검사결과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413)에 복원이 필요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11)는 메모리부(115)의 플래쉬 메모리(410)의 복원 데이터 저장 영역(413)에 저장된 데이터를 램 메모리(420)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421)으로 복원한다. (ST 420) 이때 만일 복원 데이터 저장영역(413)에 데이터 저장 시에 압축하여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압축을 풀어 데이터의 복원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111)는 복원된 데이터의 작업 모드를 수행한다. (ST 430) 즉, 이전에 수행 중이던 작업을 재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작업모드는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하던 화면을 그대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의 백업을 통해 개인 정보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데이터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후에 이를 복원하여 사용함으로써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다시 작업을 재개하고자 할 경우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휘발성 저장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매체가 포함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배터리를 사용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 경우 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소정의 데이터에 대한 보존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보존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데이터가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일정 공간에 복사되어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전원 감지부에서 배터리의 전압 상태를 검사하여 저전압 상태 시 저전압 감지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함으로써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로는 플래시 메모리, CF 메모리, SD 메모리, USB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가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일정 공간에 복사되어 저장된 후 시스템의 파워 다운 모드가 수행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다운 모드 상태의 시스템에 새로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된 램 데이터가 복원되는 단계와;
    상기 복원된 데이터의 작업 모드가 수행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모드는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하던 화면을 그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KR1020040075379A 2004-09-21 2004-09-21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KR20060026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379A KR20060026582A (ko) 2004-09-21 2004-09-21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379A KR20060026582A (ko) 2004-09-21 2004-09-21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582A true KR20060026582A (ko) 2006-03-24

Family

ID=3713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379A KR20060026582A (ko) 2004-09-21 2004-09-21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65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06B1 (ko) * 2006-01-19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04733A (ko) * 2006-07-06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606B1 (ko) * 2006-01-19 2006-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04733A (ko) * 2006-07-06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2805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claiming memory after freezing program
KR101636870B1 (ko) 최소 부트 이미지의 생성 방법 및 장치
US9298444B2 (en) Software updating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EP2487583B1 (en) Boot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snapshot image
US93172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ld starting android mobile terminal
EP192602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memory use in portable terminal
US706260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 system of mobile terminal apparatus using flash memory
US10754567B2 (en) Partially deactivated application with termination protection
EP2715546A1 (en) Optimized hibernate mode for wireless device
US20090307409A1 (en) Device memory management
KR20200142219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저장 공간 이용 방법
CN103927196A (zh) 用于引导的装置和方法
CN115407943A (zh) 一种内存转储文件生成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480876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US20060206652A1 (en) Machine stat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CN103488586A (zh) 信息处理设备和方法以及程序
KR100797122B1 (ko) 휴대 단말기의 이동식 저장 매체를 이용한 파일 처리 장치및 방법
KR100605991B1 (ko) 휴대 단말의 사용자 데이터 보존 방법과 그 회로
KR20060026582A (ko) 개인 정보 단말기의 데이터 보존 방법
KR20140089744A (ko) 단말기의 메모리 주소 및 데이터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520172B1 (ko) 개인 정보 단말기에서 데이터 보존 장치 및 방법
JP4055386B2 (ja) 情報処理装置
CN103049457A (zh) 关联方法、电子设备和混合系统
JP2003131765A (ja) 携帯型端末装置と、その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20040205366A1 (en) Method for avoiding data loss in a P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