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220A -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동작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동작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220A
KR20060026220A KR1020040075065A KR20040075065A KR20060026220A KR 20060026220 A KR20060026220 A KR 20060026220A KR 1020040075065 A KR1020040075065 A KR 1020040075065A KR 20040075065 A KR20040075065 A KR 20040075065A KR 20060026220 A KR20060026220 A KR 2006002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portable device
clock speed
cpu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6220A/ko
Publication of KR2006002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CPU 클럭속도에 따른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동작모드 선택부와,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는 CPU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CPU 클럭속도에 따른 동작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서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CPU 클럭 속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Portable device having operation-mode sel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드 상태 전환에 따른 클럭 속도 및 소모 전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동작모드 전환에 따른 클럭 속도 및 소모 전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동작모드 선택부 102: 스위칭부
104: 신호발생부 110: CPU
112: 인터럽트 핸들러 114: 클럭속도 제어부
116: 전원 제어부 120: 전원부
130: 검출부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CPU 클럭속도 범위를 갖는 동작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note 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셀룰러폰(cellular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서는 제한된 전력량을 갖는 배터리 등이 전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기기에서는 소모되는 전력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사용 가능 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기기의 전력소모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기기를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절전모드로 전환하도록 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거나,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휴대용 기기의 사용이 없는 경우 CPU의 클럭 속도를 단계별로 낮추는 대기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단계별로 CPU의 클럭 속도를 줄이는 휴대용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에 의하면, 휴대용 기기의 정상모드 상태(10)에서 일정시간 이상 외부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11), CPU의 클럭 속도를 정상 모드 동작시에 비하여 소정값으로 낮춘 대기모드 1로 전환하고(12), 상기 대기모드 1 상태에서 다시 일정시간 이상 외부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13), 상기 대기모드 1 상태보다 CPU 클럭 속도를 더 낮춘 대기모드 2로 전환하며(14), 상기 대기모드 2 상태에서도 일정시간 동안에 외부장치로부터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15), 휴대용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최대 절전 모드 상태인 슬리프 모드로 전환한다(16). 여기서, 상기 대기모드 상태의 수는 조절이 가능하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드 전환에 따른 클럭 속도 및 소모 전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가 계속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기기는 정상모드로부터 대기모드 i(i=1,2,3,4,5)로 전환되어 CPU의 클럭 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춘다. CPU의 클럭 속도가 낮아짐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서 소모되는 전력량도 차츰 낮아지게 된다. 임의의 대기모드 i 상태에서 휴대용 기기에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또는 외부 인터럽트(interrupt)가 발생한 경우에는 대기모드 i가 해제되고, 최대 클럭 속도를 갖는 정상모드로 복귀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휴대용 기기에서 어떤 CPU 클럭 속도를 갖는 모드로 동작시킬 것인지의 여부는 휴대용 기기 내부에서 판단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클럭 속도를 갖는 모드로 전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노트북에서 문서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처럼,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단순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높은 클럭 속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전력 제어 방법에 의하면, 대기모드 해제시에 항상 최대 클럭 속도를 갖는 정상모드로 복귀됨으로써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휴대용 기기를 좀 더 낮은 성능으로 동작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모드 해제시에 항상 최대 동작모드로 복귀되어 전력 소모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휴대용 기기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모드 해제시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모드로 복귀함으로써, 휴대용 기기의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CPU 클럭속도에 따른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동작모드 선택부; 및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는 CPU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PU는,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동작모드를 식별하는 인터럽트 핸들러와, 상기 인터럽트 핸들러에서 식별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최대 클럭속도를 제어하는 클럭속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의 기기 사용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기의 미사용으로 인해 상기 설정된 최대 클럭속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이 검출된 경우,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동작모드로 상기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CPU 클럭속도에 따른 동작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서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은 상기 휴대용 기기의 미사용으로 인해 상기 설정된 최대 클럭속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의 사용이 검출된 경우, 상기 선택된 동작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는 동작모드 선택부(100)와, CPU(110)와, 전원부(120) 및 검출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동작모드라 함은, 상기 CPU(110)가 동작할 수 있는 클럭속도에 따라서 휴대용 기기의 성능을 구별한 단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CPU(110)의 원래 최대 클럭속도가 500(MHz)라고 한다면, 동작모드 1은 상기 CPU(110)가 500(MHz) 이하의 클럭속도 범위, 동작모드 2는 400(MHz) 이하의 클럭속도 범위, 동작모드 3은 300(MHz) 이하의 클럭속도 범위, 동작모드 4는 200(MHz) 이하의 클럭속도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모드 단계의 갯수 및 각 동작모드에 따른 CPU의 최대 클럭속도의 범위는 필요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100)를 통해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작모드에 따라서 인터럽트 신호를 상기 CPU(110)로 출력한다.
상기 CPU(110)는 입력된 인터럽트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동작모드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CPU의 동작가능한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며, 상기 전원부(120)를 제어하여 설정된 클럭속도에 따른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130)는 휴대용 기기의 사용상태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CPU(110)에 사용상태를 알림으로써,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상기 CPU(1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출부(130)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지 않 는 경우에는, 상기 CPU(110)는 휴대용 기기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클럭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추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100)는 스위칭부(102)와, 신호발생부(10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CPU(110)는 인터럽트 핸들러(112)와, 클럭속도 제어부(114)와, 전원 제어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해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102)는 휴대용 기기의 일측면에 버튼형태로 형성되거나, 휴대용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OSD(On Screen Display)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발생부(104)는 상기 스위칭부(102)에서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소정의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인터럽트 핸들러(112)는 상기 신호발생부(104)에서 출력된 인터럽트 신호를 처리하여 동작모드 설정상태를 식별한다.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는 상기 인터럽트 핸들러(112)에서 식별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CPU의 동작가능한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한다. 상기한 예를 다시 들면, 동작모드 1로 식별된 경우에는 CPU 클럭속도가 500MHz 이하, 동작모드 2인 경우에는 400MHz 이하, 동작모드 3인 경우에는 300MHz 이하, 동작모드 4인 경우에는 200MHz 이하에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는 상기 검출부(130)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휴대용 기기의 사용상태를 식별하여, CPU 클럭속도를 단계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검출부(130)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는 경우,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에서는 휴대용 기기가 미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보다 더 낮은 CPU 클럭속도를 갖는 동작모드로 전환되도록 CPU 클럭속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현재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해 설정된 동작모드가 1인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130)를 통해 일정시간 동안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는 CPU 클럭속도를 제어하여 휴대용 기기의 상태를 동작모드 2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도 계속하여 일정시간 동안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의 상태를 단계적으로 동작모드 3, 4 순서로 전환한다.
또한, CPU 클럭속도가 낮은 동작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인터럽트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검출부(130)는 이를 인식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인터럽트 핸들러(112)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를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에서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상태를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해 설정된 동작모드 상태로 복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해 동작모드가 2로 설정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상 휴대용 기기의 미사용으로 인해 휴대용 기기가 동작모드 4로 전환된 상태라고 가정해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 사용으로 인해 상기 검출부(130)를 통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에서는 휴대용 기기의 상태를 종래와 같이 동작모드 1로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모드 상태인 동작모드 2로 복귀시킨다.
상기 전원제어부(116)는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휴대용 기기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부(120)를 제어한다.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전원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기기의 각 구성요소가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압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에 있어서, 동작모드 전환에 따른 클럭 속도 및 소모 전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가 전원 온(On) 된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기기에 내장된 CPU의 클럭속도는 최대로 설정된다. 만약, t1이라는 시간에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한 동작모드가 2로 설정되어 있고, 일정시간 동안 휴대용 기기의 미사용으로 인해 CPU 클럭속도가 동작모드 4인 상태에서 동작하고 있을 때, 휴대용 기기의 사용 등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한다면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는 휴대용 기기를 동작모드 1로 복귀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해 설정된 동작모드 2로 복귀되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도시된 바와 같이 t2라는 시간에 동작모드 3으로 설정되어 있거나, t3라는 시간에 동작모드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으로 인한 동작모드 변경시에도 각각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문서작업과 같이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해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를 낮은 CPU 클럭속도를 갖는 모드로 설정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는 사용자가 동작 가능한 CPU 클럭속도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전 모드 상태인 낮은 CPU 클럭속도를 갖는 동작모드에서 해제되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모드 상태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휴대용 기기 전력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해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에서는 상기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CPU의 최대 클럭속도를 제어한다(200).
만약,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휴대용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휴대용 기기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낮은 CPU 클럭속도를 갖는 동작모드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출부(130)를 통하여 인터럽트 신호가 일정시간 동안 입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202), 일정시간 동안 휴대용 기기의 사용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는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가 최소 CPU 클럭속도를 갖는 동작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204).
현재 설정된 동작모드가 최소 CPU 클럭속도를 갖음에도 불구하고, 휴대용 기기가 계속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원제어부(116)에서는 상기 전원부(120)를 제어하여 휴대용 기기의 파워를 오프시키거나 슬리프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단계(204)의 판단결과, 최소 CPU 클럭속도를 갖는 동작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현재의 동작모드를 더 낮은 CPU 클럭속도를 갖는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208).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휴대용 기기의 사용 또는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한 동작모드 전환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는(210),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114)는 상기 스위칭부(102)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모드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CPU 클럭 속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전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CPU 클럭속도에 따른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동작모드 선택부; 및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는 CPU를 포함하는 동작모드 선택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동작모드를 식별하는 인터럽트 핸들러와, 상기 인터럽트 핸들러에서 식별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최대 클럭속도를 제어하는 클럭속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기 사용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기의 미사용으로 인해 상기 설정된 최대 클럭속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상기 검출부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이 검출된 경우, 상기 클럭속도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 선택부에서 선택된 동작모드로 상기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모드 선택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4.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CPU 클럭속도에 따른 동작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서 최대 클럭속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의 미사용으로 인해 상기 설정된 최대 클럭속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휴대용 기기의 사용이 검출된 경우, 상기 선택된 동작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동작모드 제어방법.
KR1020040075065A 2004-09-20 2004-09-20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동작모드 제어 방법 KR20060026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065A KR20060026220A (ko) 2004-09-20 2004-09-20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동작모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065A KR20060026220A (ko) 2004-09-20 2004-09-20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동작모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220A true KR20060026220A (ko) 2006-03-23

Family

ID=3713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065A KR20060026220A (ko) 2004-09-20 2004-09-20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동작모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62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6730B2 (en) Adjusting voltage supplied to a processor in response to clock frequency
JP3691525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電源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450381B1 (ko) 전력 관리 장치, 전력 관리 방법 및 전압 변환기
US818104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frequency of a clock signal to control power consumption and a device having power consumption capabilities
JP200622145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70180282A1 (en) Power-sa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portable computer
JP2018517955A (ja) 高速のスタートアップのスタンドバイモードを有するクロック生成回路
US7260731B1 (en) Saving power when in or transitioning to a static mode of a processor
US2003021838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CN108227900B (zh) 电子设备、节能控制方法、节能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6933362B (zh) 一种鼠标的控制方法、鼠标控制器和电子设备
US20040158747A1 (en) Processor having high-speed control circuit and low-speed and low-power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075608B2 (en) Integrated circuit
WO2013170809A1 (zh) 降低移动终端功耗的方法、装置及其终端
KR20060026220A (ko) 동작모드 선택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휴대용 기기의동작모드 제어 방법
US8713337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for reducing power of host when turning off main monitor and computer system applying the same
KR101033944B1 (ko) 전원상태에 따른 시스템동작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67643B1 (ko) 퍼스널 컴퓨터의 인체 감지에 따른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13631A (ko)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70136650A1 (en) Low power multimedia playing method for portable computer
KR940006805B1 (ko) 퍼스널 컴퓨터의 키보드 스캔너를 이용한 전력차단 및 공급상태 선택방법
KR20010020022A (ko) 전원 관리모드 설정장치 및 설정방법
KR100776002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3315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전원 제어방법
KR20030048673A (ko)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