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125A -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125A
KR20060024125A KR1020040073004A KR20040073004A KR20060024125A KR 20060024125 A KR20060024125 A KR 20060024125A KR 1020040073004 A KR1020040073004 A KR 1020040073004A KR 20040073004 A KR20040073004 A KR 20040073004A KR 20060024125 A KR20060024125 A KR 2006002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voltage supply
driving
line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회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125A/ko
Publication of KR2006002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09G3/367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을, TFT 기판에 형성된 구동 전압 공급선 및 게이트 구동 IC가 실장된 가요성 회로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구동 전압 공급 패턴을 통하여 병렬 방식으로 각 게이트 구동 회로에 인가하기 위한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및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210)에 관한 것으로, 전단의 게이트 구동 회로내부를 거쳐 다음 게이트선 그룹의 게이트 구동 회로로 공급되던 직렬 전압 공급 방식의 종래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의 문제점이었던 전원 전압의 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thin film transistor panel for display apparatus}
도 1은 게이트 구동 PCB가 부착된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게이트 구동 PCB가 없는 개선된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의 게이트 구동 전압 공급 배선을 간략화한 도면.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게이트선(도시하지 않음)과 복수의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0), 게이트선에 접속된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0) 및 데이터선에 접속된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0), 각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0, 40)에 접속된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50) 및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60)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표시 장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표시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게이트 구동용 통합 인쇄 회로 기판을 없애는 대신,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0) 상에 신호 전송선(25, 26)을 직접 형성하고, 신호 전송 리드선(35)이 형성된 가요성 회로 기판(31) 상에 게이트 구동 IC(integrated circuit)(32)를 실장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0)를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에 부착하여 패널의 신호 전송선(25)과 게이트선 그룹에 접속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도 2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에서는 게이트 구동 IC(32)의 구동을 위한 모든 전기적 신호와 전원 전압을 인접 구동 IC(32)를 거쳐오도록 하는 직렬 신호 전송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구동 전압 전달에 필요한 전류가 IC의 숫자만큼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패널(20) 상에 형성된 신호 전송선(25)의 저항 및 IC 내부의 저항에 의해 강하되는 전압의 폭이 IC 숫자가 많아질수록 커지는 문제가 있다.
게이트 구동 IC가 3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보자.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0)에는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40)와 첫 번째 게이트 구동 IC(32) 사이의 구동 전압 전송을 위한 구동 전압 공급선(25)과 첫째, 둘째 IC(32)간 및 둘째, 셋째 IC간 구동 전압 전송을 위한 구동 전압 전송선(26)이 형성된다. 구동 전압 공급선(25)의 저항을 R1, IC간 구동 전압 전송선(26)의 저항을 각각 R12, R23라하고, 구체적으로 전압 강하를 계산해 보면, 제1 게이트 구동 IC(32)까지 이르는 동 안의 전압 강하는 3IG×R1이지만, 제2 게이트 구동 IC(32)까지 이르는 동안의 전압 강하분은, R1×3×IG + R12×2×IG가 되며, 제3 게이트 구동 IC(32)에 이르는 동안의 전압 강하분은 R1×3×IG + R2×2IG + R3×IG 가 된다.
특히, 게이트 구동 IC(32)의 내부 로직 회로의 구동 전압으로 사용되는 전압(Vdd)은 대부분의 신호의 레벨을 가늠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 전압으로 작용하는데, 이러한 전압 강하는 게이트 구동 IC(32)의 오작동 가능성을 높여준다. 예를 들어, 전압 강하가 임계치 이상이 되는 지점의 게이트선에서는 플리커나 화면 분할 현상 등 많은 화질 불량이 발생한다. 특히 대형 표시 패널의 경우 신호 전송선(25, 26)의 길이가 길어져 전압 강하가 더 커지므로 이러한 배선을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은, 복수의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IC,
상기 게이트 구동 IC의 구동에 필요한 신호를 상기 게이트 구동 IC에 전달하는 입력 신호 전송 패턴,
상기 게이트 구동 IC의 구동 전압 공급을 위한 복수의 전압 공급 패턴 및
상기 게이트 구동 IC로부터 생성된 입력 신호를 상기 게이트선으로 인가하는 입력 신호 출력 패턴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패널은, 행 방향으로 형성된 N개의 게이트선 그룹, 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데이터선 그룹,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 및 상기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교차하는 지점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게이트 구동IC에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 신호선 및 게이트 구동 IC 구동용 전압 공급을 위한 게이트 구동 전압 공급선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구동 IC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패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 복수의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 복수의 데이터 구동 IC 기판(220) 및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0)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은 소정 면적을 갖는 투명 유리 기판과 투명 유리 기판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도시하지 않음), 복수의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 복수의 게이트선(241) 및 복수의 데이터선(242)을 포함한다. 이들은 반도체 박막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며 행렬 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게이트선(241)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고 데이터선(242)은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교차한다. 한 쌍의 인접 게이트선(241)과 한 쌍의 인접 데이터선(242)으로 경계지어지는 영역을 화소 영역이라 하며, 예를 들어 비틀린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이 화소 영역에 화소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전극은 투명한 재질의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선(241)에 접속되어 있는 게이트 단자와 데이터선(242)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단자 및 화소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드레인 단자를 포함하며, 게이트선(241)과 데이터선(242)이 교차하는 지점 부근에 위치한다.
한편,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은 실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243)과 그 외의 주변 영역(244)으로 이루어지는데, 주변 영역(244)에는 게이트 구동 IC(212)를 장착하고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과 데이터 구동 IC(222)를 장착하고 있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 IC 기판(220)이 부착된다. 주변 영역(244)에는 또한 구동 IC 기판(210, 220)의 신호 및 전압 전송을 위한 신호 전송선(247) 및 전압 공급선(248)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241)들은 표시 영역(243)에서는 등간격을 이루고 있지만,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 영역(243)으로부터 주변 영역(244)으로 나오면서 복수의 게이트선(241)이 모여 게이트선 그룹(245)을 형성한다. 이와는 달리 게이트선(241)들이 모이지 않고 그대로 뻗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선(242) 또한 표시 영역(243)에서는 등간격을 이루고 있지만, 표시 영역(243)으로부터 주변 영역(244)으로 나오면서 복수의 데이터선(242)이 모여 하나의 데이터선 그룹(246)을 형성한다.
도 3에는 2개의 게이트선 그룹(245)과 2 개의 데이터선 그룹(246)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게이트선 그룹(245) 및 데이터선 그룹(246) 중 패널(240)의 모퉁이에 가장 가까우면서 상호 가장 가깝게 위치한 것을 각각 제1 게이트선 그룹 및 제1 데이터 그룹이라 하고, 제1 게이트선 그룹 및 제1 데이터선 그룹에 인접한 순서대로 제2, 제3 게이트선 그룹을 정의한다.
먼저, 제1 게이트선 그룹의 첫 번째 게이트선과 제1 데이터선 그룹의 첫 번째 데이터선 사이의 주변 영역에는 제1 신호 전송선 그룹(247) 및 제1 게이트 전압 공급선 그룹(248)이 형성된다.
이 제1 신호 전송선(247) 및 제1 게이트 전압 공급선 그룹(248)은 게이트선 그룹(245)의 단부가 형성된 일측면에서 데이터선 그룹(246)의 단부가 형성된 일측면으로 표시 영역(243)의 경계를 따라 뻗어 있다.
또한, 인접한 게이트선 그룹(245) 사이의 공간에도 신호 전송선(247) 및 게이트 전압 공급선 그룹(24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호 전송선 그룹(247) 및 게이트 전압 공급선 그룹(248)은 각 신호 전송선(247) 및 전압 공급선(248)은 패널(240)의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게이트선 그룹(245)과 평행하게 뻗다가 방향을 틀어 게이트선 그룹(245)과 수직하게 뻗으며, 다시 게이트선 그룹(245)과 평행하게 방향을 틀어 뻗어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의 가장자리에서 끝난다.
신호 전송선 그룹(247) 및 전압 공급선 그룹(248)은 게이트선(241)과 동일한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이 전달하는 신호 및 전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신호 및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각 게이트 구동 IC(212)에 대하여 별도의 신호선을 통하여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면 다른 게이트 구동 IC(212)를 거쳐서 공급받는 경우에 비하여 다른 게이트 구동 IC(212)를 거치는 동안 발생하는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통상 Vdd로 표기하는 전원 전압의 경우 전압 강하가 구동 IC(212)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신호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경우 각 게이트선 그룹(245)의 게이트 구동 IC(212)에 해당 신호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신호선이 하나씩 할당되고 이 신호선은 다음 게이트 구동 IC(212)로 연장될 필요가 없으므로,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을 하나 거칠 때마다 신호선의 수효가 하나씩 줄어든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으로 유입되는 신호선은 3개이지만, 이중 하나의 신호선은 첫 번째 게이트 구동 IC(212)로 신호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데에만 할당되어 다음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으로 연장될 필요가 없으므로 두 번째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으로 들어가는 신호선은 2개가 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에는 한 개의 신호선만이 들어간다.
이와 같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게이트 구동 IC(212)를 장착하고 있는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에는 신호 전송 입력 리드선(213), 신호 전송 출력 리드선(214), 구동 전압 공급 리드선(215) 및 게이트 신호 출력 리드선(216)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은 굴절이 자유로운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으로 이루어지며 구동 IC(212)는 기판(210)의 뒷면에 플립 칩 방식(flip chip type)으로 실장되어 있다. 각종 리드선(213-216)은 게이트 구동 IC(212)가 실장된 면에 형성되어 있다.
구동 전압 리드선(215)은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에 형성된 전압 공급선(248)으로부터 전압을 받으며, 게이트 구동 IC(212)에 접속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제1 리드선(215a)과 게이트 구동 IC(212)를 우회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제2 리드선(215b)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이와 같은 제2 리드선(215b)은 이후의 게이트 구동 IC(212)로 전압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목표 게이트 구동 IC(212)가 아닌 다른 게이트 구동 IC(212)는 거치지 않고 우회하여 전압 공급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직접 목표 게이트 구동 IC(212)로 전압을 전달함으로써, 게이트 구동 IC(212) 내부의 저항으로 인한 신호 왜곡이나 전압 강하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신호 전송 입력 리드선(213)은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에 형성된 신호 전송선(247)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게이트 구동 IC(21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반대로 신호 전송 출력 리드선(214)은 게이트 구동 IC(212)로부터의 신호를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의 신호 전송선(247)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 전송 입력 리드선(213)과 신호 전송 출력 리드선(214)은 게이트 구동 IC(212)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두 신호 전송 리드선(213, 214)은 게이트 구동 IC(212)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신호 출력 리드선(216)은 게이트 구동 IC(212)에서 생성한 게이트 신호를 각 게이트선(24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각종 리드선(213-216)과 게이트 구동 IC(212)의 연결은 게이트 구동 IC(212)의 범프에 리드선(213-216)을 납땜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리드선(213-216)과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의 신호 전송선(247), 전압 공급선(248), 게이트선(241) 등과의 연결은 이방성 도전 필름(270)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데이터 구동 IC(222)를 장착하고 있는 복수의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기판(220)은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신호 겸용 테이프 캐리어 기판(231)과 데이터 구동 신호 전용 테이프 캐리어 기판(232)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 및 데이터 구동 신호 겸용 테이프 캐리어 기판(231)은 가요성 베이스 기판인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221)과 그 위에 장착되어 있는 데이터 구동 IC(222)를 포함하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221) 위에는 신호 전송 리드선(223), 데이터 구동 신호 입력 리드선(224) 및 데이터 구동 신호 출력 리드선(225)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221)의 뒷면에는 데이터 구동 IC(222)가 플립 칩 방식으로 실장되어 있고 각종 리드선(223-225)은 데이 터 구동 IC(222)가 실장된 면에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 신호 입력 리드선(224)의 한쪽 끝은 데이터 구동 IC(222)와 접속되고, 다른 쪽 끝은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0)에 접속되며, 데이터 구동 신호 출력 리드선(225)의 한쪽 끝은 데이터 구동 IC(222)에 접속되고 다른 쪽 끝은 앞서 설명한 데이터선 그룹(242)에 이방성 도전 필름(270)을 매개로 접속된다.
신호 전송 리드선(223)의 한쪽 끝은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0)에 납땜 등에 의하여 접속되고, 다른 쪽 끝은 이방성 도전 필름(270) 등에 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에 형성된 제1 신호 전송선(247)에 접속된다.
한편, 데이터 구동 신호 전용 테이프 캐리어 기판(232) 역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227)과 그 위에 장착되어 있는 데이터 구동 IC(222)를 포함하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227)에는 데이터 구동 신호 입력 리드선(228), 데이터 구동 신호 출력 패턴(229)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 신호 입력 리드선(228)의 한쪽 끝은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0)에 납땜 등의 방법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 끝은 데이터 구동 IC(222)에 접속되며, 데이터 구동 신호 출력 리드선(229)의 한쪽 끝은 데이터 구동 IC(222)에 접속되고 다른 쪽 끝은 이방성 도전 필름(270)을 매개로 데이터선 그룹(246)에 접속된다.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0)에는 구동 IC(212, 222)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등의 회로 요소가 구비되어 있다.
신호 제어부에서 생성한 게이트 제어 신호 및 전압은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기판(231)의 신호 전송 리드선(223)을 경유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의 신호 전송선(247) 및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의 신호 전송 리드선(213, 214)을 경유하여 게이트 구동 IC(212)로 제공된다. 게이트 구동 IC(212)는 이 제어 신호 및 전압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선 그룹(245)에 인가한다.
이때,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O)으로부터 신호 전송선(223, 247, 213, 214)을 통하여 게이트선 그룹(245)에 제공되는 신호 및 전압으로는 게이트 클록(gate clock), 출력 인에이블(OE, output enable) 신호, 박막 트랜지스터를 턴-온 및 턴-오프 시킬 수 있는 게이트-온 전압(Von) 및 게이트-오프 전압(Voff) 등이 있다. 이들 중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게이트 구동 IC(212)의 출력을 인에이블시키는 신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인쇄 회로 기판을 두지 않고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에 신호 전송선을 형성하면서도 각 게이트 구동 IC별로 별도의 전압 공급선을 할당하여 병렬 방식으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여 게이트 구동 IC의 구동 전압의 강하로 인한 신호 지연 및 게이트 전압의 변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 하나의 전압을 전달하며 각 게이트 구동 IC(212) 별로 따로 주어진 복수의 전압 공급선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전압 공급 리드선(215)을 연결한 신호 경로를 각각 도면 부호 281, 282, 283로 표기하고 이들을 각각 A 구동 전압 공급선(283), B 구동 전압 공급선(282), C 구동 전압 공급선(281)이라 한다. 이때,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0)에는 A, B, C 구동 전압 공급선(283, 282, 281)과 접속되는 별도의 출력 단자가 구비됨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A 구동 전압 공급선(283)은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O)을 기준으로 첫 번째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의 게이트 구동 IC(212)와 접속되고, B 구동 전압 공급선(282)은 첫 번째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과 인접한 두 번째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의 게이트 구동 IC(212)에 접속되며, C 구동 전압 공급선(281)은 두 번째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과 인접한 다음 게이트 구동 IC 기판(210)의 게이트 구동 IC(212)에 접속된다.
각 구동 전압 공급선(281-283)에 흐르는 전류를 IG라 하면, A 구동 전압 공급선(283)을 통해 첫 번째 게이트 구동 IC(212)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는,
△Vdd1 = R1 x IG가 된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게이트 구동 IC(212)에 공급되는 전압은 B 구동 전압 공급선(282)을 통해 전달되므로 전압 강하분은, △Vdd2 = (R1 + R2) x I G가 되며, 같은 방식으로 세 번째 게이트 구동 IC(212)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강하분은, △Vdd3 = (R1 + R2 + R3) x IG 이 된다. 단, 여기에서 R1, R2, R3은 해당 전압 공급선(283, 282, 281)의 저항이다.
마지막 게이트 구동 IC(212)에 입력되는 구동 전원 전압의 경우, 종래의 R1 x 3 x IG + R2 x 2 x IG + R3 x IG 이던 전압 강하에 비하여 R1 x 2 x IG + R2 x IG 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즉, 각 구동 전압 공급선(281, 282, 283)을 각 게이트 구동 IC에 병렬 방식으로 접속시켜 통합 인쇄 회로 기판(260)에서 생성한 구동 전압의 전압 강하를 최소화함으로써 입력 신호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전원 전압의 저하로 인하여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이나 지연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의 깜빡임 및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각 구동 전압 공급선(283, 282, 28l)의 길이를 살펴보면, A 구동 전압 공급선(283)이 가장 짧고 그 다음이 B 구동 전압 공급선(282), 그리고 C 구동 전압 공급선(283)의 길이가 가장 길다. 따라서 선폭이 동일한 경우, A 구동 전압 공급선(283)의 저항이 가장 작고 그 다음이 B 구동 전압 공급선(282), 그리고 C 구동 전압 공급선(283)의 저항이 가장 크다. 이들의 저항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구동 전압 공급선(283, 282, 281)의 길이에 비례하여 선폭을 늘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구동 전압 공급선(283, 282, 281)의 저항차로 인하여 생기는 액정 표시 패널의 깜빡임 및 화면이 분할되어 표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게이트 구동 회로가 IC 칩의 형태로 게이트 구동 IC 기판 위에 장착되어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에 부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게이트 구동 IC 칩을 패널의 주변 영역에 직접 장착하거나 표시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함께 패널의 주변 영역에 집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박막 트랜지스터를 패널에 형성하는 공정을 통하여 주변 영역 상에 게이트 구동 회로를 비정질 실리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형태로 집적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별도의 게이트 구동 IC 기판이 없으므로 신호 및 전압 전송을 위한 신호선(291-293)은 모두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240) 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신호선(291-293)은 구동 회로(312)의 바깥 쪽 즉 패널(240)의 가장자리 쪽으로만 뻗어 가면 되므로 게이트 구동 회로(312) 사이의 빈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단위 회로 하나가 하나의 게이트선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게이트선은 그룹별로 모일 필요가 없다. 기타의 연결 관계는 도 3 및 도 4의 경우와 유사하다.
그러면 도 6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서는 모든 게이트 구동 IC(212)에 대하여 하나의 전압 공급선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두 개의 구동 IC(212)가 하나의 전압 공급선을 공유한다. 도 6에서 보면 게이트 구동 전압 공급선(280)은 분기점 a에서 분지(280a)를 내어 첫 번째 구동 IC에 전압을 전달하고 계속 연장되어 두 번째 게이트 구동 IC(212)까지 이르러 전압을 공급한다.
이 경우, 전원 전압의 강하분은 첫 번째 게이트 구동 IC에 대해서는 R1 x 2 x IG, 두 번째 게이트 구동 IC에 대해서는 R1 x 2 x IG + R2 x IG가 되어 앞의 실시예에 비하여 전압 강하 감소 효과는 작아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패널 크기가 증가되어 게이트 구동 IC의 숫자가 늘어나는 경우, 전압 공급을 위한 배선 수효를 줄여 배선이 차지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패널의 주변 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게이트 구동용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 경로와는 달리, 별도의 게이트 구동 전압 공급용 배선을 게이트 구동 IC기판과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상에 형성하여 각 게이트 구동 IC에 병렬로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와 동시에 게이트 전원 전압의 강하로 인한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3)

  1.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구동 전압 공급선
    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전극은 표시 영역을 이루고 상기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은 주변 영역을 이루며,
    상기 복수의 구동 전압 공급선은 상기 주변 영역 상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 전압 공급선은,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가장 가까운 데이터선에 인접한 상기 주변 영역의 일단으로부터 각 게이트 구동 회로의 전압 입력 단자 방향으로 뻗은 부분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3. 제2항에서,
    상기 구동 전압 공급선의 수효는 상기 구동 회로의 수효와 동일하며 상기 각 구동 전압 공급선은 하나의 구동 회로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4. 제3항에서,
    상기 각 구동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선에 상기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상기 주변 영역 상에 집적되거나 칩의 형태로 직접 장착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구동 전압 공급선은 상기 게이트선과 동일한 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구동 전압 공급선 중 적어도 하나는 두 개 이상의 게이트 구동 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8.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 전극, 그리고 상기 게이트선 및 상기 데이터선과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구동 전압 공급선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그리고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전압 공급선은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구동 전압을 전달하고,
    상기 복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동 전압 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전압 공급 리드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압 공급 리드선 중 하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게이트 구동 회로와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는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와 연결되지 않고 우회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조립체.
  9. 제8항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선을 포함하는 하나의 게이트선 그룹과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조립체.
  10. 제9항에서,
    상기 구동 전압 공급선과 상기 전압 공급 리드선을 연결하는 신호 경로의 수효는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을 하나 지날 때마다 하나씩 줄어드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조립체.
  11. 제10항에서,
    상기 신호 경로의 길이가 길수록 해당하는 구동 전압 공급선의 선폭은 넓은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조립체.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 공급선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금속층과 동일한 층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 기판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인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KR1020040073004A 2004-09-13 2004-09-13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KR20060024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004A KR20060024125A (ko) 2004-09-13 2004-09-13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004A KR20060024125A (ko) 2004-09-13 2004-09-13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125A true KR20060024125A (ko) 2006-03-16

Family

ID=3713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004A KR20060024125A (ko) 2004-09-13 2004-09-13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4991A (zh) * 2022-06-20 2022-09-02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覆晶薄膜及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4991A (zh) * 2022-06-20 2022-09-02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覆晶薄膜及显示装置
CN114994991B (zh) * 2022-06-20 2023-08-22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覆晶薄膜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480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831301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JPH0954333A (ja) 表示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icチップ
JP2004361722A (ja) 表示装置
KR20030051010A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00318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47812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KR101298156B1 (ko)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
KR10083130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47817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65331B1 (ko) 티.에프.티. 표시장치
KR20060024125A (ko)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패널
KR100864981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61273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40682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55486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1174779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1389354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0697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269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855494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70075804A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1192747B1 (ko) 듀얼 라인 온 글래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84943A (ko) 표시 장치
KR100855493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