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978A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978A
KR20060023978A KR1020057022872A KR20057022872A KR20060023978A KR 20060023978 A KR20060023978 A KR 20060023978A KR 1020057022872 A KR1020057022872 A KR 1020057022872A KR 20057022872 A KR20057022872 A KR 20057022872A KR 20060023978 A KR20060023978 A KR 20060023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keys
assig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캬츄야수 오노
Original Assignee
캬츄야수 오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캬츄야수 오노 filed Critical 캬츄야수 오노
Priority to KR102005702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3978A/ko
Publication of KR2006002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키보드(100)는, 6개의 키를 구비한다. 문자의 입력은 2스트로크로 행해진다. 즉, 사용자는, 1회째의 터치로 원하는 문자가 포함되는 그룹을 선택하고, 2회째의 터치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한다. 각 키의 키 톱에는, 그룹을 선택한 경우에, 각 키에 할당되는 문자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키의 배치에 대응하여 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키보드에 의해, 적은 키 수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 터치에 의한 키 입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키보드, 입력, 장치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
본 발명은 문자 입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 소정의 지시를 부여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의 하나로 키보드가 있다. 일반적으로, 키보드에는 복수의 키가 형성되어 있고, 개개의 키에 각각 1개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키보드는, 타이프라이터의 연장으로서 발달한 것으로 생각되고, 예를 들면 알파벳 26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적어도 26개의 키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개의 키에 1개의 문자를 할당하면, 키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키의 배치를 쉽게 기억하기가 어려워, 블라인드 터치를 습득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을 요하고 있었다. 또한, 키보드는 대형으로 되어 휴대하기에는 불편하다. 그래서, 적은 키 수로 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키보드가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7-2001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0-231253호 공보).
최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예를 들면 전자 메일이나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지금까지 키보드와는 인연이 없었던 사용자에게도, 키보드를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정보화 사회에서 키보드의 사용은 필수로 되고 있어, 만인에게 용이 한 입력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은 키 수의 키보드로 효율적인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태양은, 입력 장치이다. 이 장치는, 6개의 키와, 6개의 키가 눌림으로써 소정의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소정의 문자 세트를 6개 이하의 문자씩 6개 이하의 그룹으로 나누고, 6개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그룹을 할당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그룹이 할당된 키가 눌린 후, 눌린 키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를, 어느 하나의 키에 할당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문자가 할당된 키가 눌린 경우에, 그 문자의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현한다. 이에 따라, 6개의 키를 이용하여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소정의 문자 세트」는, 예를 들면 알파벳, 한글 문자 등 소정의 언어로 이용되는 문자의 세트여도 된다.
입력 장치가 구비하는 어느 하나의 키에는, 그룹을 선택한 후에, 그 그룹에 포함되는 개개의 문자가 할당되는 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가 소정의 규칙에 준하여 표기되어 있어도 된다.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는, 해당 키의 배치를 모사하여 표기되어 있어도 된다. 「소정의 규칙」이란, 예를 들면 키의 배치를 모사하여 표기되거나,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를 일렬로 나란히 표기하고, 그 문자열의 좌단부터 우단까지가, 각각 키의 상단의 우단에서 좌단, 그리고 하단의 우단에서 좌단에 대응하도록 표기되거나 하는 등, 표기된 문자 열로부터 각각의 문자가 할당된 키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는 표기상의 규칙이다.
입력 장치가 구비하는 6개의 키는, 2행 3열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별도의 태양도, 입력 장치이다. 이 장치는, 2행 3열로 배치된 6개의 키에 각각 할당된 6종류의 제 1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받아들이는 입력부와,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과, 소정의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식별 정보를 대응 지어 유지하는 저장부와, 입력부가 받아들인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 2 식별 정보를, 입력부가 받아들인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을 검색 키로 하여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제어부와, 검색한 제 2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입력부는, 외부의 키보드로부터 받아들인 문자 코드를 제 1 식별 정보로 변환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별도의 태양은 입력 장치이다. 이 장치는, 복수의 키와, 키가 눌림으로써 소정의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소정의 문자 세트를 소정의 개수 이하의 문자씩,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그룹을 할당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그룹이 할당된 키가 눌린 후, 눌린 키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를, 어느 하나의 키에 할당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문자가 할당된 키가 눌린 경우에, 그 문자의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실현한다.
소정의 개수는, 해당 입력 장치가 구비하는 복수의 키의 개수 이하이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태양으로서 유효하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그에 부수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된다.
도 1a는, 실시 형태에 따른 키보드의 키 톱(key top)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제 2 그룹의 문자가 각 키에 할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알파벳의 입력을 키보드의 종류에 맞게 행한 경우의 조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를 사용하여 설명한 키보드를 실현하는 입력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에서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제 1 버퍼와 제 2 버퍼에 유지된 키 코드에 기초하여, 문자를 특정하기 위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3회째의 키가 눌림으로써 특정되는 문자를 선택할 때에 제어부가 참조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입력 문자마다의 키 시퀀스를 정의한 해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풀 키보드나 텐 키 등의 일부인 4행 3열의 키 군을 이용하여, 각 키에 문자 코드를 할당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통상의 텐 키의 배열로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키보드(100)의 키 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특수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실시 형태에 따른 키보드(100)의 키 톱(key top)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키보드(100)는, 제 1 키(101), 제 2 키(102), 제 3 키(103), 제 4 키(104), 제 5 키(105), 및 제 6 키(106)의 합계 6개의 키를 세로 방향에 3열, 가로 방향에 2행으로 나란히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키는, 직선상으로 배열되고, 격자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손가락의 이동의 궤선에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집게 손가락, 가운데 손가락, 약 손가락의 3개의 손가락으로 무리 없이 누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3개의 손가락은, 엄지 손가락이나 새끼 손가락과 비교하면 누구나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래서, 손목을 거의 고정한 상태에서, 이 3개의 손가락으로 무리 없이 칠 수 있는 키 수와 키 배치로서, 본 실시 형태의 키보드(100)는 2행 3열로 키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알파벳의 입력을 키보드의 종류에 맞게 행한 경우의 조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자는, 블라인드 터치를 행하는 경우의 적절한 키 수를, 이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이 조사는, 초등학생부터 노인까지를 대상으로, 27키, 3키, 6키 및 9키의 키보드를 조작하게 하여, 「키의 개수」, 「블라인드 터치의 용이성」, 「기억의 용이성」, 「표시의 간이성」, 「1문자당 키 터치의 수 」, 「조작의 익숙성」 및 「마우스와의 조작성」에 대하여, 각각을 5단계로 평가하였다. 도 2는, 각각의 평균 값과 그 합계 값을 정리한 도면이다.
「기억의 용이성」은, 각 키에 할당된 문자의 기억의 용이함이다. 「표시의 간이성」은, 각 키에 할당한 문자의 보기의 용이함이다. 「1문자당 키 터치의 수」는,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때까지 필요한 키 터치의 수이다. 일반적으로 문자의 입력은 1개의 키라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키의 접촉 시간의 장단을 구별함으로써 모스 부호로 되어 모든 문자의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적 요인을 제거하면, 2개의 키로 모든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방식을 크게 나누면 N터치 방식과 확장 키 방식으로 된다. N터치 방식에서는, 5터치로 1문자가 결정되면 2의 5승, 즉, 32로 되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확장 키 방식으로서는, R을 확장 키로 하고, L을 종료 키로 하면, 예를 들면, 오른쪽의 키를 R, 왼쪽의 키를 L로 하여, 키 입력은, L, RL, RRL, RRRL, …, RRR, …, RRRL로 된다. 즉, R의 출현 회수에 따라 임의의 문자를 대응시킬 수 있게 된다. 적은 수의 키로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는데, 모두 이들의 조합이나 변형이 중심이다.
일반적으로, 키의 수가 적을수록, 1문자당의 키 터치의 수가 많아진다. 「조작의 익숙성」은, 블라인드 터치에 익숙해지기 쉬운지 어려운지의 정도이다. 이들 요인을 세대마다 조사함으로써, 키보드의 평가를 행한 결과, 6키의 키보드의 합계가 가장 높게 되었다. 이 조사 결과로부터도, 발명자는, 6키의 키보드가 블라인드 터치에는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자는, 6키로 알파벳의 입력이 가능한 도 1a의 키보드를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키보드(100)는, 6키로 모든 알파벳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2스트로크로 1개의 문자를 입력한다. 2스트로크로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각 키에는 알파벳을 6개 이하의 문자씩, 6개 이하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키에는 각 그룹이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키 터치로, 그룹이 선택된다. 그룹이 선택되면, 선택된 그룹에 포함되는 각 문자가, 6개의 키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된다. 그리고, 제 2 키 터치로, 각 키에 할당된 문자가 선택된다.
도 1a의 제 1 키(101)에는, 제 1 그룹으로서 「A, B, H, I」가 할당되고, 제 2 키(102)에는, 제 2 그룹으로서 「C, D, E, J, K, L」이 할당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3 키(103), 제 4 키(104), 제 5 키(105) 및 제 6 키(106)에는, 「F, G, M, N」, 「O, P, V, W」, 「Q, R, S, X, Y, Z」, 및 「T, U」가 그룹으로서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J」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우선 제 2 그룹이 할당되어 있는 제 2 키(102)를 누르고, 다음으로, 제 4 키(104)를 누른다. 내부적으로는, 제 2 키(102)가 눌리면, 제 2 그룹 「C, D, E, J, K, L」이 선택되고, 도 1b와 같이 제 2 그룹의 문자가, 각 키에 할당된다. 요컨대, 「C」가 제 2 키(102)의 왼쪽 옆의 제 1 키(101)에 할당되고, 「D」가 제 2 키(102)에 할당되고, 「E」가 제 2 키(102)의 오른쪽 옆의 제 3 키(103)에 할당되고, 「J」가 제 2 키(102)의 왼쪽 비스듬하게 아래의 제 4 키(104)에 할당되고, 「K」가 제 2 키(102)의 아래의 제 5 키(105)에 할당되고, 「L」이 제 2 키(102)의 오른쪽 아래의 제 6 키(106)에 할당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 4 키(104)를 누르면, 제 4 키(104)에 할당되어 있는 「J」가 출력된다.
각 키에는,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와, 그룹 선택 후에 그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가 할당되는 키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문자가 표기된다. 본 도면에서는, 키보드(100)에서의 키의 배치를 모사하여, 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누름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 1 키(101) 등의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가 6개 미만인 경우, 문자가 할당되지 않은 키에 대응하는 부분은, 공백으로서 표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필요한, 눌러야 할 키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공백을 형성하여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왼쪽 위에 표기된 문자가 제 1 키(101)에 대응하는 등의 규칙에 준하여 문자가 키에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키에 할당하는 문자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서 할당함으로써, 키 배열의 기억을 쉽게 하여, 블라인드 터치에 익숙해질 때까지의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본 도면에서는, 알파벳을 1열에 7개씩 배열하고, 이것을 2개의 세로선과 1개의 가로선으로, 1개의 그룹에 최대 6개의 문자가 포함되도록 6개의 그룹으로 분할한 것이다. 다른 예에서는, 제 1 키(101)에, 「A, B, C, D」를 할당하고, 제 2 키(102)에, 「E, F, G, H, I, J」를 할당하고, 제 3 키(103)에 「K, L, M, N」을 할당하고, 제 4 키(104)에 「O, P, Q, R」을 할당하고, 제 5 키(105)에 「S, T, U, V, W, X」를 할당하고, 제 6 키(106)에 「Y, Z」를 할당하여도 된다.
또한, 자주 나오는 문자를 집게 손가락, 가운데 손가락, 약 손가락 중 키를 누르기 쉬운 손가락으로 눌러야 할 키에 우선적으로 할당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집게 손가락이 가장 키를 누르기 쉽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제 1 키(101) 및 제 4 키(104)에 자주 나오는 문자를 할당하면 된다. 또한, 동일한 손가락을 연속해서 움직이는 것보다, 교대로 움직이는 쪽이 손가락을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자주 나오는 문자를 집게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이 각각 눌러야 할 제 1 키(101), 제 4 키(104), 제 2 키(102), 제 6 키(106)에 분산적으로 할당하여도 된다. 어떻든간에 문자의 할당은 임의이고, 입력하는 언어의 특성, 언어에서의 문자의 입력 빈도, 이용자의 운동 특성 등에 맞게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를 사용하여 설명한 키보드(100)를 실현하는 입력 장치(150)의 내부 구성도이다. 입력 장치(150)의 각 구성 요소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로 말하자면, 임의의 컴퓨터의 CPU, 메모리, 메모리에 로드된 본 도면의 구성 요소를 실현하는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유닛 등을 중심으로 실현되는데, 그 실현 방법, 장치에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되는 바이다. 지금부터 설명하는 각 도면은, 하드웨어 단위의 구성이 아니라,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키 입력부(158)는, 도 1a 및 도 1b를 사용하여 설명한 키보드(100)이다. 키 입력부(158)는, 가동식(可動式)의 키이어도 되고,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한 비가동식의 키이어도 된다. 키 입력부(158)는, 눌린 키에 할당된 키 코드를 제어부(152)에 출력한다. 「키 코드」는, 키에 할당된 식별 정보로서, 예를 들면 6개의 키를 각각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제어부(152)는, 눌린 키에 기초하여, 전술한 키보드(100)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동작을 실현하기 위 한 처리는, 여러 가지 생각할 수 있는데,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1회째와 2회째에 눌린 키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2회째의 누름을 계기로, 키의 조합으로부터 문자를 특정하는 수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제어부(152)에서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입력장치(150)가 기동하면, 우선 제어부(152)는, 후단의 처리에 이용하는 버퍼 등의 초기화를 행한다(S10). 예를 들면 제어부(152)는, 1회째에 눌린 키의 코드를 유지하는 버퍼(이하, 간단히 「제 1 버퍼」라 함)와, 2회째에 눌린 키의 코드를 유지하는 버퍼(이하, 간단히 「제 2 버퍼」라 함)의 초기화를 행한다. 키 입력부(158)로부터, 1회째의 누름에 의한 키 코드가 공급된 경우, 제어부(152)는 그것을 제 1 버퍼에 격납한다(S12). 다음으로, 키 입력부(158)로부터 2회째의 누름에 의한 키 코드가 공급된 경우, 제어부(152)는 그것을 제 2 버퍼에 격납한다(S14). 그 후, 제어부(152)는, 제 1 버퍼와 제 2 버퍼에 유지된 키 코드의 조합에 기초하여, 문자를 특정한다(S16).
도 5는, 제 1 버퍼와 제 2 버퍼에 유지된 키 코드에 기초하여, 문자를 특정하기 위한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테이블은, 도 3의 저장부(156)에 유지되어 있다. 이 테이블를 참조함으로써, 문자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버퍼에, 제 1 키(101)의 키 코드가 유지되고, 제 2 버퍼에 제 2 키(102)의 키 코드가 유지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52)는, 문자 「B」를 선택하여, 도 3의 출력부(154)를 통해 문자 「B」의 문자 코드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2스트로크로 알파벳의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6키의 키보드(100)를 통상의 키보드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백 스페이스, 행 바꿈, 스페이스, 기호, 소문자 등의 입력도 행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미설정 부분에, 이들에 해당하는 문자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백 스페이스는, 제 3 키(103)를 누른 후에, 제 1 키(101)를 누름으로써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case1」 내지 「case8」은, 확장 키의 역할을 갖고, 확장 키 뒤에 3회째의 키를 누름으로써 문자가 특정된다. 제 6 키(106)를 누른 후, 제 4 키(104)를 누름으로써 특정되는 「case8」을 「TSK(Two Stroke Key)」로서 정의한다. 또한, 「TSK+ex」라고 표기한 경우, 「TSK」의 뒤에 「E」, 「X」를 순차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고, 키의 배열로 표현하면 「제 6 키(106)」, 「제 4 키(104)」, 「제 2 키(102)」, 「제 3 키(103)」, 「제 5 키(105)」, 「제 4 키(104)」를 순차적으로 누르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3회째의 키가 눌림으로써 특정되는 문자를 선택할 때에 제어부(152)에 의해 참조되는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테이블은, 도 3의 저장부(156)에 보존되어 있다. 예를 들어, 「Enter」를 입력하는 경우, 제 1 키(101), 제 3 키(103), 및 제 1 키(101)를 순차적으로 누른다. 이와 같이, 확장 키를 정의함으로써, 6키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수를 늘릴 수 있게 되고, 예를 들면 109 일본어 키보드 등의 풀 키보드로 입력 가능한 문자의 모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4로 되돌아가서, 제어부(152)는, 확장 키가 눌렸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3회째의 키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8). 3회째의 키의 누름이 없는 경우(S18의 N), 제어부(152)는 제 1 버퍼 및 제 2 버퍼를 리셋하여(S22), 다음 문자 의 입력를 위해서 키가 눌릴 때까지 대기한다(A). 3회째의 키의 누름이 있는 경우(S18의 Y), 제어부(152)는 3회째의 키 코드를 기다리고, 1회째, 2회째, 3회째의 키 코드의 조합으로 문자 코드를 특정한다(S20). 이와 같이, 입력하는 문자마다 키 코드의 시퀀스를 일대일로 대응짓게 하여 많은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단계 20에서는, 일련의 키의 누름이 완료될 때까지, 제어부(152)는 키 입력부(158)로부터 공급되는 키 코드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 이 대기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해시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해시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위한 해당 키 시퀀스와, 잘못 친 등의 비해당 키 시퀀스를 효율적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7은, 입력 문자마다의 키 시퀀스를 정의한 해시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 「101」은 제 1 키(101)의 키 코드를 나타내고, 「101, 102」는, 제 1 키(101)를 누른 후, 제 2 키(102)를 누르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TSK+e」까지 입력된 경우, 도 3의 제어부(152)는, 다음 키 입력을 기다릴지의 여부를 판정할 필요가 있다. 도 7의 해시 테이블에는 「TSK+ex」가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152)는 다음 키 입력을 기다린다. 또한, 「TSK+e」에 이어지는 시퀀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52)는 입력 에러로서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해시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제어부(152)는 다음 키 입력을 기다릴지의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변경부(160)는, 저장부(156)에 보존되어 있는 테이블의 내용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입력 장치(150)는, 사용자의 지시에 맞게 문자마 다의 키 시퀀스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경부(160)는, 변경하는 문자를 예를 들면 모니터 등의 표시부에 제시하고, 그 후에 사용자가 쳐넣은 키의 시퀀스를 테이블에 등록하여도 되고, 다른 방법에 의해 새로운 키 시퀀스를 등록하여도 된다. 다른 예에서는, 변경부(16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입력 장치(150)는, 키보드 드라이버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소정의 컴퓨터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키보드 드라이버에 의해 컴퓨터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 키 입력부(158)는, 예를 들면, 풀 키보드로부터 문자 코드를 접수하고, 그것을 제 1 키(101)부터 제 6 키(106)까지의 키 코드로 변환하여, 제어부(152)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풀 키보드에 포함되는 6개의 키를 이용하여, 전술한 문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 6개의 키를 임의로 할당할 수 있도록, 풀 키보드로부터의 문자 코드와 제어부(152)가 이용하는 키 코드의 맵핑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 입력부(158)는, 맵핑되어 있지 않은 문자 코드를 받아들인 경우, 제어부(152)에는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키 입력부(158)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화면에 그 취지를 표시하기도 하는 등을 통하여 입력 실수를 사용자에게 통지해도 된다.
도 8a는, 풀 키보드나 텐 키 등의 일부인 4행 3열의 키 군을 이용하여, 각 키에 문자 코드를 할당한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4행 3열의 키 군의 상측에 도 1a를 사용하여 설명한 키보드(100)가 배치되고, 하측에, 「TSK」, 「SFT」, 「CAP」, 「BAK」, 「NUM」 등의 이용 빈도가 높은 키가 1스트로크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할당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요한 문자의 입력에 사용하는 6개의 키 이외에, 이용 빈도가 높은 키를 설치함으로써, 키 터치의 회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입력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SFT」는 「Shift」키로서, 다음으로 입력된 알파벳 1문자를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시프트한다. 「CAP」은, 「Caps Lock」키로서, 눌릴 때마다 온·오프를 전환한다. 「BAK」은 「Back Space」이고, 「NUM」은 「Num Lock」키이다. 「Num Lock」키를 ON으로 함으로써, 풀 키보드의 텐 키 부분이 도 8a의 배열로 전환되고, OFF로 함으로써 도 8b의 통상의 텐 키의 배열로 전환된다.
또한, 비표시의 제어 코드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Ctrl」키는, 이 예에서의 입력의 일례로서, 「TSK+ct」를 입력한 후의 1문자에 대하여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a」(Ctr1+a)를 입력하는 경우, 본 예에서는 「TSK+ct+A」, 즉 제 6 키(106), 제 4 키(104), 제 2 키(102), 제 1 키(101), 제 6 키(106), 제 2 키(102), 제 1키(101), 제 1 키(101)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와의 협조 작업으로서도 사용되는데, 2번 계속해서 누르면 온·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키 톱의 표기는 임의이고, 입력하는 언어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도 된다. 도 9는, 키 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키 톱은, 알파벳 외에 추가로, 일부의 특수 문자가 부 문자군(120)으로서 표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키(101)에는, 부 문자군(120)으로서 「(enter), !, ", #, $, %」 및 「(Caps), &, ', (, ), *」가, 주 문자군(124) 「A, B, H, I」의 상방에 표기되어 있다. 이 부 문자군(120)은, 확장 키를 이용함으로써 입력 가능하게 된다. 이들 문 자는, 도 6의 「case1」 및 「case2」의 키 시퀀스에 의해 입력된다. 부 문자군(120)은, 주 문자군(124)의 표기와 구별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기된다. 예를 들면, 부 문자군(120)은, 주 문자군(124)보다 작은 사이즈로 표기되어도 되고, 주 문자군(124)보다 눈에 띄지 않는 포인트로 표기되어도 된다. 또한, 부 문자군(120)은, 주 문자군(124)의 상방, 하방, 오른쪽, 왼쪽 등 주 문자군(124)의 시인성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표기된다.
단락 마크(122)는, 부 문자군(120)을 선택한 후, 각 키에 할당되는 문자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왼쪽부터 3개째 문자와, 4개째 문자의 사이에 표기되어 있다. 요컨대, 본 도면에서는, 「(enter), !, "」가 각각, 제 1 키(101), 제 2 키(102), 제 3 키(103)에 할당되고,「#, $, %」가 각각, 제 4 키(104), 제 5 키(105), 제 6 키(106)에 각각 할당된다. 단락 마크(122)의 형상은 임의이고, 다른 예에서는 「!」 이외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단락 마크(122)는 표기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특수 문자 및 특수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 시퀀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를 입력하는 경우, 키 시퀀스는 「TSK+ex」로 된다. 요컨대,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 6 키(106), 제 4 키(104), 제 2 키(102), 제 3 키(103), 제 5 키(105), 제 6 키(106)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된다. 이들 특수 문자 및 특수 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 시퀀스는, 중복하지 않도록 정의되어 있고, 도 3의 저장부(156)에 보존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문자의, 키 시퀀스는, 문자의 명칭의 선두 부분이나 약칭 등, 명칭을 단축한 이름을 「TSK」에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는 「exclamation mark」라고 부르는데, 그 키 시퀀스는 선두 2문자 「ex」를 「TSK」의 뒤에 계속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각각의 문자의 키 시퀀스를 기억하기 쉽게 된다. 이상 설명한 키 시퀀스에 의해, 알파벳, 특수 문자, 특수 키의 모두를 6개의 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키보드에 의하면, 사용자는 손목을 거의 고정한 상태로, 한쪽 손의 손가락의 가동 범위 내에서 키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신체에 장애가 있어, 손끝만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사람 등의 입력 장치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용하는 키의 수가 6개이기 때문에, 키의 사이즈를 크게 하더라도, 키보드 전체의 크기가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그래서, 예를 들면 개개의 키의 사이즈를 20㎝×20㎝ 정도로 하여, 발을 사용하여 조작하기 위한 키보드나, 머리, 턱, 입에 문 펜 등을 이용하여 조작하기 위한 키보드 등, 입력에 사용하는 신체의 특성에 따라, 키의 사이즈를 적절한 크기로 할 수도 있다. 물론, 키의 사이즈는 통일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서로 다른 사이즈의 키로 키보드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키의 수를 줄임으로써, 개개의 키의 사이즈에 여유가 생겨, 키보드의 설계에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를 바탕으로 설명하였다. 실시 형태는 예시이고, 이들의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점,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키 수의 키보드로 효율적으로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6개의 키와,
    상기 6개의 키가 눌림으로써 소정의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문자 세트를 6개 이하의 문자씩 6개 이하의 그룹으로 나누고, 6개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그룹을 할당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그룹이 할당된 키가 눌린 후, 눌린 키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를, 어느 하나의 키에 할당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문자가 할당된 키가 눌린 경우에, 그 문자의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키에는, 그룹을 선택한 후에, 그 그룹에 포함되는 개개의 문자가 할당되는 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가 소정의 규칙에 준하여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는, 해당 키의 배치를 모사하여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6개의 키는, 2행 3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2행 3열로 배치된 6개의 키에 각각 할당된 6종류의 제 1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받아들이는 입력부와,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과, 소정의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식별 정보를 대응 지어 보존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가 받아들인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 2 식별 정보를, 상기 입력부가 받아들인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을 검색 키로 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제어부와,
    검색한 제 2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외부의 키보드로부터 받아들인 문자 코드를 상기 제 1 식별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컴퓨터에,
    6개의 키에 각각 할당된 6종류의 제 1 식별 정보 중 어느 하나를 받아들이는 입력부와,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과, 소정의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식별 정보를 대응 지어 보존하는 저장부와,
    상기 입력부가 받아들인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 2 식별 정보를, 상기 입력부가 받아들인 제 1 식별 정보의 조합을 검색 키로 하여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색하는 제어부와,
    검색한 제 2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8. 복수의 키와,
    상기 키가 눌림으로써 소정의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문자 세트를 소정의 개수 이하의 문자씩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복수의 키 중 어느 하나의 키에 그룹을 할당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그룹이 할당된 키가 눌린 후, 눌린 키에 할당된 그룹에 포함되는 문자를, 어느 하나의 키에 할당하는 단계와,
    어느 하나의 문자가 할당된 키가 눌린 경우에, 그 문자의 문자 코드를 출력하는 단계
    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개수는, 해당 입력 장치가 구비하는 상기 복수의 키의 개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KR1020057022872A 2005-11-30 2003-06-12 입력 장치 KR20060023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2872A KR20060023978A (ko) 2005-11-30 2003-06-12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2872A KR20060023978A (ko) 2005-11-30 2003-06-12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978A true KR20060023978A (ko) 2006-03-15

Family

ID=3713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872A KR20060023978A (ko) 2005-11-30 2003-06-12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39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27B1 (ko) * 2006-08-04 2006-11-23 주식회사 모비스 터치식 문자입력장치
KR101391080B1 (ko) * 2007-04-30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27B1 (ko) * 2006-08-04 2006-11-23 주식회사 모비스 터치식 문자입력장치
KR101391080B1 (ko) * 2007-04-30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0607B2 (en) 6-key keyboard for touch typing
KR100913849B1 (ko) 문자 입력 장치
US7186041B2 (en) Keyboard layout for mouse or rocker switch text entry
JP3597060B2 (ja) 携帯端末用日本語文字入力装置と文字入力方法
US200801581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Through Direction Input Unit
JP2013515295A (ja) データ入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080008390A (ko) 작은 키패드에 키보드 문자들과 많은 알파벳을 입력하기위한 순차적인 두개의-키 시스템
JP3949120B2 (ja) 空間型情報入力装置及び方法、このためのソフトキーマッピング方法及びそれによる仮想キーボード
JP2009501963A (ja) 3列4行のキーパッドを利用して漢字を入力する方法
CN102650909B (zh) 字符输入装置及字符输入方法
KR20120055171A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4001899B2 (ja) 入力装置
JP4030575B2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タッチ式キー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23978A (ko) 입력 장치
KR20060097300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750634B1 (ko) 한자 입출력 장치
KR100538248B1 (ko) 한글 모음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790550B1 (ko) 터치패널의 문자입력장치
JP4659047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該文字入力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方法
JP2013219638A (ja) 文字入力方法と装置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WO2014072734A1 (en) Gesture input method and apparatus
EP41397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logograms into an electronic device
JP6605288B2 (ja) データ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