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770A -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770A
KR20060023770A KR1020040072624A KR20040072624A KR20060023770A KR 20060023770 A KR20060023770 A KR 20060023770A KR 1020040072624 A KR1020040072624 A KR 1020040072624A KR 20040072624 A KR20040072624 A KR 20040072624A KR 20060023770 A KR20060023770 A KR 20060023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ed
call
terminal
party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관영
김성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4007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3770A/ko
Publication of KR2006002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인식을 통해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여 통화로를 연결시킴으로써, 보호 대상자가 적은 비용으로 쉽고 간편하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 대상자의 개인정보 및 보호 대상자별 통화 대상자에 상응하는 단말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을 입력받음에 따라 음성인식 처리 수단을 통해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며,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을 통해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한 후 전화망과 연동하여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과 통화를 연결시키기 위한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 및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로부터 음성을 전달받아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음성인식 처리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보호 대상자, 음성인식, 통화 서비스 보호 대상자 정보

Description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tege-configuable call ser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음성인식 처리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호 대상자 단말 11 : 이동 전화망 교환국
12 : 공중 전화망 교환기 13 : 통화 대상자 단말
20 :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 :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
22 : 음성인식 처리부 23 :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
24 :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을 입력받음에 따라 음성인식을 통해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를 통해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한 후 전화망과 연동하여 통화 대상자 단말과 통화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호 대상자는 노약자, 장애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되는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 즉 통화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통화 대상자의 단말이 유선 단말인지, 이동 단말인지 확인한 후 상대 단말이 유선 단말일 경우는 공중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의 연동을 통해 통화를 연결하고, 이동 단말일 경우에는 이동 전화망을 통해 통화를 연결한다.
이동 단말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성이라는 장점이외에 좀 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출시되고 있는 이동 단말은 대부분 카메라 기능은 물론,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 티브이(TV) 방송 수신 기능, 음악(일예로, MP3 : MPEG layer 3) 재생 기능, 지압 기능, 혈당량 감지 기능, 초음파 촬영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 단말은 빅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창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그 처리 속도에 있어서도 고속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 단말의 하드웨어적 및 소프트웨어적 발전은, 결국 이동 단말의 단가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현재 대부분의 이동 단말 사용자들은 자신의 이동 단말이 가지고 있는 기능들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 많은 기능을 알 수도 없을 뿐더러,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 다만, 자신이 자주 쓰는 기능에 대해서만 인지하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단말 조작 능력이 떨어지는 보호 대상자(노약자, 장애인 등)들이 이동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통화를 위한 최소한의 기능을 가지는 저가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인식을 통해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여 통화로를 연결시킴으로써, 보호 대상자가 적은 비용으로 쉽고 간편하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 1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 대상자의 개인정보 및 보호 대상자별 통화 대상자에 상응하는 단말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을 입력받음에 따라 음성인식 처리 수단을 통해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며,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을 통해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한 후 전화망과 연동하여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과 통화를 연결시키기 위한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 및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로부터 음성을 전달받아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음성인식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원의 제 2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보호 대상자 개인정보 및 상기 보호 대상자별 통화 대상자 단말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단계;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을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 메시지 전송 단계;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 단계; 상기 음성을 입력받음에 따라 특징을 추출하여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단계; 상기 음성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에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하는 단말번호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해당 전화망의 교환기로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시키는 통화 연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보호 대상자 단말(10)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예: 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입력받음에 따라 음성인식 처리부(22)를 통해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를 통해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한 후 이동 전화망 또는 공중 전화망과 연동하여 통화 대상자 단말(13)과 통화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를 통해 보호 대상자 단말(10)로부터 음성(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전달받음에 따라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기 위한 음성인식 처리부(22), 보호 대상자의 개인정보 및 보호 대상자별 통화 대상자에 상응하는 단말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부터 전달받은 보호 대상자 단말번호(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하여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 전달하기 위한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안내 메시지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소정 회수만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대상자 중 장애인은 크게 언어 장애인과 비언어 장애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때 언어 장애인은 언어 장애인, 언어 및 시각 장애인, 언어 및 청각 장애인, 언어 및 시/청각 장애인을 포함하며, 비언어 장애인은 시각 장애 인, 청각 장애인, 시/청각 장애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보호 대상자 단말(10)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 내에 음성(예: 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입력받지 못하거나(보호 대상자가 언어 장애인인 경우), 보호 대상자 단말(10)로부터의 통화 대상자 단말번호가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호 대상자(발신자) 단말번호를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 전송하여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부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은 교환원을 위한 단말로, 교환원은 항시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을 확인하여 통화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이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부터 보호 대상자(발신자)의 단말번호를 전달받으면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서 해당 보호 대상자(발신자)의 정보를 검색하여 교환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보호 대상자 단말과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은 통화가 연결된다. 여기서, 보호 대상자 정보는 이름, 주소, 나이, 장애정보, 보호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여기에 기재되는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교환원은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을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와 통화를 개시하여, 보호 대상자가 요구하는 통화 대상자(일예로, 이름, 호칭, 전화번호 등)를 직접 전달받아(비언어 장애인인 경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을 통해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 전달한다. 이 때, 보호 대상자 통 화 관리 서버(21)는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가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보호 대상자가 언어 및 시각 장애인인 경우에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을 통해 통화 대상자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통화 상대와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는 보호 대상자별로 정보(장애 정도)를 저장하고 있어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가 보호 대상자에 상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보호 대상자가 언어 및 청각 장애인인 경우에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을 통해 통화 상대자를 안내하는 문자 메시지를 전달하여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통화 상대와의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는 보호 대상자별로 정보(장애 정도)를 저장하고 있어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가 보호 대상자에 상응하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메시지 및 문자 메시지는 본 발명이 여기에 기재되는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예로 "첫째 아들과 통화를 원하면 키버튼을 한번 누르세요" 또는, 둘째 아들과 통화를 원하면 키버튼을 두번 연속으로 누르세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보호 대상자가 언어 및 시/청각 장애인인 경우에 보호 대상자 단말(10)로부터의 통화 요청신호를 전달받음에 따 라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즉시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10)은 다양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소정의 키(일예로, 통화키, 종료키 등)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보호 대상자는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입력할 수 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신 제한 기능을 가지는 저가의 단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대상자 단말(10)은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후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에서 통화 연결시 이용하는 통화 대상자에 해당하는 음성 및 그에 상응하는 단말번호(전화번호)를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 저장한다. 이 때,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은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부터 통화 대상자 및 그에 상응하는 단말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는 보호 대상자별로 통화 대상자 및 그에 상응하는 단말번호를 그룹별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음성인식 처리부(22)는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부터 음성(예: 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입력받음에 따라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여 음성을 인식한다.
이를 도 3 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처리부는, 음성의 시작과 끝에 존재하는 묵음 구간을 제외한 음성구간을 검출하기 위한 끝점 검출기(110), 상기 끝점 검출기(110)에서 검출한 음성 구간의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특징 추출기(120), 음소 단위로 구성된 HMM(Hidden Markov Model) 데이터베이스(150), 인식단어에 대하여 HMM을 구성하는 음소들로 구성한 발음사전 데이터베이스(160), 각 인식단어들이 출현할 수 있는 확률값을 가지고 있는 문법파일 데이터베이스(170), 원래의 HMM의 정의에 해당하는 각 음소들에 반(反)하는 의미로 생성한 안티HMM 데이터베이스(180), 상기 HMM 데이터베이스(150)과 발음사전 데이터베이스(160) 및 문법파일 데이터베이스(170)를 이용하여 인식단어들 중에서 유사도(Likelihood)가 가장 유사한 단어들을 검색하기 위한 비터비 검색기(130), 상기 안티HMM 데이터베이스(180)를 이용하여 상기 비터비 검색기(130)로부터의 검색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한 발화 검증기(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화 검증기(140)는 비터비 검색의 결과로 나온 인식결과가 얼마만큼의 신뢰성이 있는지를 검증한다. 이 때, 안티 HMM 데이터베이스(180)를 이용하는데 이 모델은 원래의 HMM의 정의에 해당하는 각 음소들에 반(反)하는 의미로 생성한 것으로 인식의 결과로 나온 인식단어에 해당하는 각 음소열들이 원래의 HMM에서 나왔을 확률과 안티HMM에서 나왔을 확률과의 비를 계산하여 그 값(신뢰도)이 시스템에서 정의하는 임계치보다 높으면 인식결과로서 인정하고, 낮으면 인식결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식의 결과로 나온 단어의 음소열이 'h a kk y o' 라고 하면 'h,a,kk,y,o'의 HMM을 생성할 때, 훈련 데이터에서 'h'에 해당하는 발화구간의 특징들은 'h'를 모델링할 때 사용하고, 'Anti h'를 생성할 때에는 'h'의 발화구간이 아닌 다른 음소들의 발화구간의 특징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즉, 인식결과로 나온 'h a kk y o' 음소열이 인식결과로서 신뢰할 수 있는지의 정도는 원래의 HMM 열에 서 발화되었을 확률과 안티 HMM의 열에서 발화되었을 확률을 비교하여 알아 볼 수 있다. 원래의 HMM 열에서 발화되었을 확률이 높을 수록(신뢰도가 1에 가까울수록) 인식결과의 신뢰도는 높은 것이다. 신뢰도의 임계치 값은 실험에 의한 값을 참조하여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서 '0'과 '1' 사이에서 적절하게 설정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는 보호 대상자 개인정보(보호 대상자 정보, 보호자 정보 등), 보호 대상자별로 통화 대상자 및 그에 상응하는 단말번호(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이후,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이동 전화망 교환국(11)을 통해 보호 대상자 단말(10)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통화 대상자를 음성으로 입력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10)로 전송한다(201, 202). 이 때,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소정 회수만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10)로부터 음성(예: 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입력받았는지 확인한다(203).
상기 확인 결과(203), 일정시간 내에 음성(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입력받지 못했으면 발신자 단말번호를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 전달한다(208). 이 때, 보호 대상자 단말(발신자 단말)은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과 통화가 연결된다.
이후,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부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전달받는다(209). 즉,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은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부터 전달받은 단말번호와 입력장치를 통해 교환원으로부터 입력받은 통화 대상자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하여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 전달한다.
이후,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해당 전화망의 교환기로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시킨다(207).
반면, 상기 확인 결과(203), 일정시간 내에 음성(예: 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입력받았으면 입력받은 음성에서 특징을 추출하여 음성을 인식한다(204).
이후, 상기 음성인식을 통해 확인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서 검색한다(205).
이후,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206).
상기 확인 결과(206),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검색한 단말번호를 해당 전화망의 교환기로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시킨다(207).
반면, 상기 확인 결과(206),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발신자 단말번호를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 전달한다(208). 이 때, 보호 대상자 단말(발신자 단말)은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과 통화가 연결된다.
이후,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부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전달받는다(209). 즉,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은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부터 전달받은 단말번호와 입력장치를 통해 교환원으로부터 입력받은 통화 대상자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하여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로 전달한다.
이후,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21)는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24)로부터 전달받은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해당 전화망의 교환기로 전송하여 통화를 연결시킨다(207). 이 때, 상기 통화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23)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보호 대상자 단말번호 수신)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예: 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입력받음에 따라 음성인식을 통해 보호 대상자(발신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를 통해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한 후 이동 전화망 또는 공중 전화망과 연동하여 통화 대상자 단말과 통화를 연결시킴시킴으로써, 보호 대상자가 적은 비용으로 쉽고 간편하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보호 대상자 단말번호 수신)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예: 통화 대상자의 호칭)을 입력받음에 따라 음성인식을 통해 보호 대상자(발신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부를 통해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한 후 이동 전화망 또는 공중 전화망과 연동하여 통화 대상자 단말과 통화를 연결시킴으로써, 보호 대상자가 소정의 키를 가진 보호 대상자 단말을 이용하여 다수의 통화 대상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키를 가진 최소한의 통화를 위한 기능을 가진 단말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 대상자의 개인정보 및 보호 대상자별 통화 대상자에 상응하는 단말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을 입력받음에 따라 음성인식 처리 수단을 통해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며,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을 통해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한 후 전화망과 연동하여 상기 통화 대상자의 단말과 통화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 및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로부터 음성을 전달받아 보호 대상자 및 통화 대상자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음성인식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보호 대상자 단말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에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하여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
    을 더 포함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 음성으로 통화 대상자를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보호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부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대상자 단말번호가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보호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부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서버는,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부터 획득한 통화 대상자 및 상기 통화 대상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보호 대상자 개인정보 및 상기 보호 대상자별 통화 대상자 단말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단계;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안내 메시지 전송 단계;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 단계;
    상기 음성을 입력받음에 따라 특징을 추출하여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인식 단계;
    상기 음성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에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검색하는 단말번호 검색 단계; 및
    상기 검색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해당 전화망의 교환기로 전송하여 통화로를 연결시키는 통화로 연결 단계
    를 포함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지 못한 경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 상기 보호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전송하는 단말번호 전송 단계;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부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획득하는 단말번호 획득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해당 전화망의 교환기로 전송하여 통화로를 연결시키는 통화로 연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 단말로부터의 통화 대상자 단말번호가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 상기 보호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전송하는 단말번호 전송 단계;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부터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획득하는 단말번호 획득 단계; 및
    상기 획득한 통화 대상자의 단말번호를 해당 전화망의 교환기로 전송하여 통화로를 연결시키는 통화로 연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대상자 통화 관리 단말로부터 획득한 통화 대상자 및 상기 통화 대상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보호 대상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통화 대상자 전화번호 저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40072624A 2004-09-10 2004-09-10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3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624A KR20060023770A (ko) 2004-09-10 2004-09-10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624A KR20060023770A (ko) 2004-09-10 2004-09-10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770A true KR20060023770A (ko) 2006-03-15

Family

ID=3712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624A KR20060023770A (ko) 2004-09-10 2004-09-10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37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92913B (zh) 在共用的启用语音的装置上处理呼叫
US20110228913A1 (en) Automatic extraction of information from ongoing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US20020077831A1 (en) Data input/output method and system without being notified
CA24165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peech-to-text encoding and telephony service
US9817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homonyms in a speech recognition system
CN106537494A (zh) 语音识别装置和语音识别方法
JP4852584B2 (ja) 禁止語発信防止方法、禁止語発信防止電話、禁止語発信防止サーバ
KR20130108173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인식 질의응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TW200304638A (en) Network-accessible speaker-dependent voice models of multiple persons
JP2016071068A (ja) 通話解析装置、通話解析方法および通話解析プログラム
KR20010100037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 전화번호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60023770A (ko) 보호 대상자 중심의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266100A1 (en) Constraine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for more reliable speech-to-text conversion
US8213966B1 (en) Text messages provided as a complement to a voice session
JP2005197775A (ja) 電話接続システム
KR20140123370A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인식 질의응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9130626A (ja) ユーザデータ管理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ユーザデータ管理方法
KR20060066764A (ko) 음성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JP2000069514A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
KR20050102743A (ko) 휴대폰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99115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 방법
JP2004096381A (ja) 音声応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