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620A -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 Google Patents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620A
KR20060023620A KR1020040072389A KR20040072389A KR20060023620A KR 20060023620 A KR20060023620 A KR 20060023620A KR 1020040072389 A KR1020040072389 A KR 1020040072389A KR 20040072389 A KR20040072389 A KR 20040072389A KR 20060023620 A KR20060023620 A KR 20060023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fastening
work
screw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134B1 (ko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양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성 filed Critical 양희성
Priority to KR102004007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1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이선작업시 겹장주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연속적인 이선작업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무정전상태 하에서 이루어지는 전력선 교체작업 및 선로 개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일측단에 가완목이 연장형성되고 그 타측단에 겹장주를 구성하는 각 완금 단부가 삽입 내재되며 이선작업시 기존 전력선을 임시 붙들어 두기 위한 활선 바이스를 걸어 둘 수 있도록 고리형 체결구가 구비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저면과 그 일측단이 힌지결합되고 장주볼트의 후방 완금을 그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쌍의 측면판이 구비되며 측면판 상단을 결속하기 위한 체결나사가 구비된 체결부와, 가완목 외주면상에 끼움 결합되고 그 양측면에 기존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이선공이 천공된 한쌍의 날개편이 형성되며 조립나사에 의해 상기 가완목상에 고정 설치되는 삽입부와, 겹장주를 구성하는 각 완금에 설치된 삽입부의 날개편 사이에 그 양단이 내재되어 조립나사에 의해 삽입부와 일체로 결속되고 겹장주를 구성하는 각 완금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는 신장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선 이선기구, 무정전 작업, 겹장주, 신장봉

Description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wire-changing device of electric po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의 체결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겹장주
20: 몸체부
30: 체결부
40: 삽입부
50: 신장봉
60: 조임부
70: 가완목
본 발명은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선 이선작업시 겹장주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연속적인 이선작업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무정전상태 하에서 이루어지는 전력선 교체작업 및 선로 개보수 작업 등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교체작업 및 선로 개보수 작업시 기존 전력선을 이선하게된다. 이러한 전력선 이선작업은 작업구간 내의 선로를 정전상태로 만든 후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정전으로 인한 수용가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무정전상태에서 실시하고 있다.
종래 전력선 이선작업을 살펴보면, 겹장주 하단 전주상에 이선기구를 설치하고, 이 이선기구 상에 전력선을 이선시켰다.
이와 같은 이선작업은 전력선 교체작업 및 선로 개보수 작업시 선행되는 것으로 상기의 설치구조를 갖는 종래 전력선 이선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 전력선 이선기구는 전주상에 설치됨으로써 겹장주 하단 공간을 일정부분 차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공간이 협소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주상에 2단 완금이 설치된 경우 상단 완금과 하단 완금 사이에 전력선 이선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력선 교체작업시 전력선 이선작업이 선행되는 바, 종래 전력선 이선기구는 전주상에 설치되므로 하나의 전력선만을 이선시켜 둘 수 있고, 그에 따라 하나의 전력선에 대한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다시금 전력선 이선기구의 위치를 조 종하여 타 전력선을 이선시킨 후 전력선 교체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고비용 저효율의 공사를 실시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력선 이선작업시 겹장주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연속적인 이선작업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무정전상태 하에서 이루어지는 전력선 교체작업 및 선로 개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장주볼트가 체결된 겹장주와, 겹장주 상에 가설된 전력선을 이선시키기 위한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에 있어서, 그 일측단에 가완목이 연장형성되고 그 타측단에 겹장주를 구성하는 각 완금 단부가 삽입 내재되며 이선작업시 기존 전력선을 임시 붙들어 두기 위한 활선 바이스를 걸어 둘 수 있도록 고리형 체결구가 구비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저면과 그 일측단이 힌지결합되고 장주볼트의 후방 완금을 그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쌍의 측면판이 구비되며 측면판 상단을 결속하기 위한 체결나사가 구비된 체결부와, 가완목 외주면상에 끼움 결합되고 그 양측면에 기존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이선공이 천공된 한쌍의 날개편이 형성되며 조립나사에 의해 가완목상에 고정 설치되는 삽입부와, 겹장주를 구성하는 각 완금에 설치된 삽입부의 날개편 사이에 그 양단이 내재되어 조립나사에 의해 삽입부와 일체로 결속되고 겹장주를 구성 하는 각 완금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는 신장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체결부는 완금에 체결된 볼쇄클 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측면판 전단에 하향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완금과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측면판 중 어느 일측이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부와 체결부 간 상측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몸체부 상면에 결속되는 조임부와, 조임부에 내재되고 그 일측단이 체결부의 체결나사에 걸림 설치되고 그 타측단이 외부로 돌출된 채 나사산이 형성된 고리부재와, 고리부재의 타측단에 체결되며 나사산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고리부재를 조이기 위한 조임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신장봉은 삽입부 날개편 사이에 위치되어 조립나사에 의해 삽입부와 함께 가완목상에 고정 설치되는 길이조절용 볼트와, 길이조절용 볼트와 나사결합되어 그 회동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회동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의 체결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는 겹장주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인접한 전력선을 이선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3상 선로의 경우 양측 전력선은 본 발명에 따른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에 의해 이선된다(3상 선로 중 가운데 전력선은 별도의 전력선 이선기구에 의해 이선되므로 본원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겹장주(10) 양단에 전력선 이선기구가 각 설치됨으로써 이선단계에서 선로상의 전력선을 모두 이선시킬 수 있고, 이선완료 후 새 전력선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교체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각 전력선에 대해 이선 및 교체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이선기구는 겹장주(10) 일측단에 연장형성됨으로써 겹장주(10) 하단 공간부를 작업공간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전주(1)상에 2단 완금이 설치된 경우에도 상단 완금과 하단 완금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이선기구의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이선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겹장주(10)는 완금밴드(미도시)에 의해 전주(미도시)상에 설치되고, 장주볼트(11)의 체결로 인하여 버팀력이 증대되는 한편 그 간격이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조를 갖는 겹장주(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몸체부(20), 체결부(30), 삽입부(40), 신장봉(50) 및 조임부(60)로 구성된다.
몸체부(20)는 겹장주(10)를 구성하는 완금(10') 단부를 그 내측에 수용하고 타단에 가완목(70)을 연장형성시킬 수 있도록 대략 관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몸체부(20)는 이선이 용이하도록 기존 전력선을 임시 붙들어 두기 위한 활선 바이스(미도시)를 걸어 둘 수 있도록 고리형 체결구(22)가 구비된다.
이 고리형 체결구(22)는 고리가 형성된 볼트(22')와 너트(22")로 구성되어 몸체부(20)에 천공된 관통공(21)에 삽입 체결된다.
한편, 가완목(70)은 몸체부(20)와 일체로 제작가능하며,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리형 체결구(22)에 의해 몸체부(20)에 결속되는 구조로도 제작가능하다. 이 경우 가완목(7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미부호)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미부호)과 몸체부(20)의 관통공(21)이 일치된 상태에서 고리형 체결구(22)가 삽입 체결됨으로써 가완목(70)은 몸체부(20)에 견고히 결속된다.
그리고 몸체부(20)는 볼트-너트 체결구조에 의해 조임부(6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한쌍의 플랜지(23)가 형성된다. 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체결부(30)는 그 일측단이 몸체부(20)와 힌지(31)결합되고, 그 타측단이 장주볼트(11)에 의해 걸려 설치됨으로써 몸체부(20)가 완금(10') 단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체결부(30)는 그 일측단이 몸체부(20) 저면 일측단과 힌지(31) 결합되고 그 타측단이 장주볼트(11) 후방까지 연장형성되되 완금(10')을 그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쌍의 측면판(3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20)를 완금(10') 단부에 끼워 설치한 다음 힌지(31)를 중심으로 체결부(30)를 회동시켜 완금(10') 저면에 위치시키면 체결부(30)의 측면판 (32)이 장주볼트(11) 후방에 위치된 채 완금(10')을 감싸게된다. 이후, 측면판(32) 상단에 천공된 나사공(33)에 체결나사(34)를 채우면 완금(10')상에 체결부(30)가 견고히 결속된다. 이때, 체결부(30)와 완금(10')과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측 측면판(32)은 힌지(32')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체결나사(30) 조임시 완금(10')과 더욱 밀착되게 된다.
또한, 체결부(30)는 전력선을 지지하기 위한 볼쇄클(미도시)이나 핀애자(미도시)의 돌출된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힌지(31)결합부와 측면판(32) 사이에 하향 절곡된 절곡부(35)가 더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핀애자의 볼트부분이 삽입되도록 하여 간섭을 피하기 위한 회피공(36)이 더 천공된다.
삽입부(40)는 가완목(70)상에 삽입 설치되며 기존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이선공(42)이 천공된 날개편(41)이 구비된다.
즉, 삽입부(40)는 그 내측에 가완목(70)이 끼움 결합되고 전력선 가설방향으로 한쌍의 날개편(41)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40)가 가완목(70)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완목(70) 상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부(40) 측벽에 조립공(43)이 천공되고, 이에 대응하여 가완목(70) 상에 체결공(71)이 천공되며, 이 조립공(43)과 체결공(71)이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되는 조립나사(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삽입부(40)는 그 하단에 이선 또는 기타 작업시 활용할 수 있도록 걸이공(45')이 천공된 플랜지부(45)가 더 구비된다.
신장봉(50)은 가완목(70) 간에 설치되며, 가완목(70) 간 이격거리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삽입부(40) 설치시 함께 설치된다.
즉, 신장봉(50)은 날개편(41) 사이에 위치되어 삽입부(40)를 관통하여서 돌출되는 조립나사(44)와 체결되는 길이조절용 볼트(51)와 길이조절용 볼트(51)의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회동봉(53)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길이조절용 볼트(51)는 볼트 머리부가 날개편(41)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회동 불가능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조립나사(44)와 체결되는 암나사공(52)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봉(53) 양단에 길이조절용 볼트(51)가 각각 나사결합된 경우 회동봉(5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길이조절용 볼트(51)가 풀리거나 죄어져 전체적으로 그 길이가 가변된다. 물론 길이조절용 볼트(51)는 조립나사(44)에 의해 삽입부(40) 및 가완목(70)과 일체로 결속된 상태이므로 가완목(70)간 이격거리에 따라 신장봉(50)을 신장시킬 수 있게된다. 그리고 신장봉(50)의 외주면에는 회동시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장홈이 형성된다.
조임부(60)는 몸체부와 체결부 간의 상측 결속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부의 체결나사와 일측단이 걸림상태를 유지하고 그 타측단을 조이기 위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조임부(60)는 몸체부(20) 상면에 형성된 플랜지(23)에 그 하단부가 볼트-너트 체결구조에 의해 결속되고, 일측단이 조임부(6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측단이 체결부(30)의 체결나사(34)와 걸림상태를 유지하는 고리부재(61) 및 이 고리부재(61)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나사선을 따라 회전하여 고리부재(61)를 진퇴시킴으로써 조이기 위한 조임편(62)이 구비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선기구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동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0) 일측단에 가완목(70)이 연장형성된 경우 이를 겹장주(10)를 이루는 완금(10') 단부에 삽입 설치한다. 이후 몸체부(20)와 힌지결합된 체결부(30)를 힌지(31)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켜 측면판(32)이 장주볼트(11)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힌지(32')결합된 일측 측면판(32)을 회동시켜 완금(10')을 감싸도록 하고 이어서 체결나사(34)로 양 측면판(32)을 죄어 완금(10')상에 결속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조임부(60)를 이용하여 몸체(20)와 체결부(30) 간의 상측을 결속시킨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기술적 구성 및 첨부도면 1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이선기구는 겹장주에 사용된 것을 예시한 것으로 겹장주(10)를 이루는 각 완금(10') 단부에 삽입부(40), 가완목(70), 몸체부(20), 체결부(30), 조임부(60)가 설치되고, 마주보는 삽입부(40)의 날개편(41)에 신장봉(50)이 설치된다. 이들 구성요소의 설치과정은 각 도면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이선기구가 겹장주(10)에 설치되고, 기존 전력선을 이선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고리형 체결구(22)에 활선 바이스(일례로 캄아롱, 핫스틱 텐션 풀러, 활선장선기, 로우프 등을 포함하는 것임)를 걸어 이선하고자 하는 전력선을 임시 붙들어 둔다. 이 상태에서 기존 전력선의 볼쇄클(2) 또는 현수애자(3)와의 결속을 풀어 삽입부(40)의 날개편(41)에 형성된 이선공(42) 측으로 기존 전력선을 이선시킨다. 이때, 삽입부(40)의 날개편(41)에 볼쇄클(2)을 직접 결속시 킬 수도 있고, 삽입부(40)의 날개편(41)에 볼쇄클을 미리 설치하여 현수애자(3)만을 직접 결속시킬 수도 있다.
물론 겹장주(10)의 타측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이선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상별로 이선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기존 전력선 위치에 새 전력선들을 모두 가설하고 각 상별로 기존 전력선과 새 전력선을 병렬운전시킨 다음 새 전력선과 부하단(예컨대, COS, 변압기 등)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되면 이선된 기존 전력선의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철거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전력선에 대하여 이선과 교체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력선 이선작업 및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 이선작업시 이선기구를 겹장주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연속적인 이선작업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무정전상태 하에서 이루어지는 전력선 교체작업 및 선로 개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장주볼트가 체결된 겹장주와, 상기 겹장주 상에 가설된 전력선을 이선시키기 위한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에 있어서,
    그 일측단에 가완목이 연장형성되고 그 타측단에 상기 겹장주를 구성하는 각 완금 단부가 삽입 내재되며 이선작업시 기존 전력선을 임시 붙들어 두기 위한 활선 바이스를 걸어 둘 수 있도록 고리형 체결구가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과 그 일측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장주볼트의 후방 완금을 그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쌍의 측면판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판 상단을 결속하기 위한 체결나사가 구비된 체결부와,
    상기 가완목 외주면상에 끼움 결합되고 그 양측면에 기존 전력선을 이선시켜 둘 수 있도록 이선공이 천공된 한쌍의 날개편이 형성되며 조립나사에 의해 상기 가완목상에 고정 설치되는 삽입부와,
    상기 겹장주를 구성하는 각 완금에 설치된 상기 삽입부의 날개편 사이에 그 양단이 내재되어 상기 조립나사에 의해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결속되고 상기 겹장주를 구성하는 각 완금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그 길이가 가변되는 신장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완금에 체결된 볼쇄클 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측면판 전단에 하향 절곡된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금과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측면판 중 어느 일측이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체결부 간 상측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몸체부 상면에 결속되는 조임부와, 상기 조임부에 내재되고 그 일측단이 상기 체결부의 체결나사에 걸림 설치되고 그 타측단이 외부로 돌출된 채 나사산이 형성된 고리부재와, 상기 고리부재의 타측단에 체결되며 상기 나사산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리부재를 조이기 위한 조임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봉은 상기 삽입부 날개편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립나사에 의해 상기 삽입부와 함께 상기 가완목상에 고정 설치되는 길이조절용 볼트와, 상기 길이조절용 볼트와 나사결합되어 그 회동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회동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KR1020040072389A 2004-09-10 2004-09-10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KR10065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389A KR100655134B1 (ko) 2004-09-10 2004-09-10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389A KR100655134B1 (ko) 2004-09-10 2004-09-10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620A true KR20060023620A (ko) 2006-03-15
KR100655134B1 KR100655134B1 (ko) 2006-12-08

Family

ID=3712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389A KR100655134B1 (ko) 2004-09-10 2004-09-10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13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784B1 (ko) * 2005-09-13 2007-03-16 양희성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KR100719289B1 (ko) * 2005-11-14 2007-05-18 대원전기 주식회사 기존 경완금 및 내장주용 단완금 겸용 전선 이선용연장아암
CN101789576B (zh) * 2009-01-22 2011-11-16 上海恒睿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带电调换闭合负荷杆刀的工具
CN108149998A (zh) * 2018-02-07 2018-06-12 福州万山电力咨询有限公司 一种新型三跨耐张塔单改双挂点结构及其制作方法
CN111636752A (zh) * 2020-07-20 2020-09-08 崔萍萍 一种电力横担
EP3706273A4 (en) * 2017-10-30 2021-08-04 Jiangsu Shemar Electric Co., Ltd. ELECTRICITY DISTRIBUTION AIR LINE
CN114039291A (zh) * 2021-11-08 2022-02-11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h型调节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492Y1 (ko) * 1987-04-24 1989-10-26 정화춘 완금 지지 장치
KR20000010292U (ko) * 1998-11-18 2000-06-15 김명제 단일형 내장완금
KR20000019379U (ko) * 1999-04-10 2000-11-15 김명제 전주의 까치집 방지용 t형 완금밴드
KR100355492B1 (ko) 2001-06-11 2002-10-14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407376B1 (ko) * 2002-01-10 2003-11-28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784B1 (ko) * 2005-09-13 2007-03-16 양희성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KR100719289B1 (ko) * 2005-11-14 2007-05-18 대원전기 주식회사 기존 경완금 및 내장주용 단완금 겸용 전선 이선용연장아암
CN101789576B (zh) * 2009-01-22 2011-11-16 上海恒睿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带电调换闭合负荷杆刀的工具
EP3706273A4 (en) * 2017-10-30 2021-08-04 Jiangsu Shemar Electric Co., Ltd. ELECTRICITY DISTRIBUTION AIR LINE
US11322923B2 (en) 2017-10-30 2022-05-03 Jiangsu Shemar Electric Co., Ltd.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CN108149998A (zh) * 2018-02-07 2018-06-12 福州万山电力咨询有限公司 一种新型三跨耐张塔单改双挂点结构及其制作方法
CN111636752A (zh) * 2020-07-20 2020-09-08 崔萍萍 一种电力横担
CN111636752B (zh) * 2020-07-20 2021-03-09 湖南畅能电力物资有限公司 一种电力横担
CN114039291A (zh) * 2021-11-08 2022-02-11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h型调节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5134B1 (ko) 200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8349B2 (ja) レール吊り下げ装置、特に高架コンベアのレールあるいは吊り上げ機のレール吊り下げ装置
KR100655134B1 (ko)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KR101848936B1 (ko)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US4749310A (en) Mine roof truss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200452827Y1 (ko) 전신주 고정밴드
KR101401582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KR200457922Y1 (ko) 케이블의 가설을 위한 전봇대용 고정밴드
CN104113014A (zh) 上扛提线滑车
KR100486894B1 (ko) 비계용 발판받침대
KR100873877B1 (ko) 배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N203406582U (zh) 快速安装悬垂线夹
DK3021440T3 (en) CONNECTOR FOR ELECTRICAL DEVICE
CN106871081A (zh) 抱箍
KR100558607B1 (ko) 단상 및 3상 배전선로용 무정전 선로공법 및 그전선이선기구
CN220108422U (zh) 一种挂杆式防雨电控箱
KR20050103700A (ko) 전력선 이선 및 완금 교체 기구
CN203983863U (zh) 上扛提线滑车
KR200364882Y1 (ko) 단상 및 3상 배전선로용 무정전 전선이선기구
KR100655142B1 (ko) 전력선 이선을 위한 내장주 완금 고정장치
CN216598880U (zh) 一种网络综合布线使用的固定装置
KR100625268B1 (ko) 전력선 이선을 위한 고정장치
KR100517886B1 (ko)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KR200355819Y1 (ko) 전력선 이선을 위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