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536A - 자동화 재처리기용 밸브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재처리기용 밸브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536A
KR20060023536A KR1020057022480A KR20057022480A KR20060023536A KR 20060023536 A KR20060023536 A KR 20060023536A KR 1020057022480 A KR1020057022480 A KR 1020057022480A KR 20057022480 A KR20057022480 A KR 20057022480A KR 20060023536 A KR20060023536 A KR 20060023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ction
valve assembly
fluid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0320B1 (ko
Inventor
할스테드 에릭
E. 맥도넬 제럴드
M. 프리스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2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66Proximal part of endoscope body, e.g. handles
    • A61B1/00068Valve switch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7End pieces at either end of the endoscope, e.g. caps, seals or forceps 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wash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 A61B1/12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post-use using flui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2Devices for holding articles durin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70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 A61B2090/701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instruments for flexible tubular instruments,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Endoscopes (AREA)
  • Valve Housing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자동화 세척 시스템에 밸브 조립체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개방 위치와 정상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고정 장치는 서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 섹션들은 상기 밸브 조립체를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는 치수를 갖는 내부 챔버를 규정한다. 유체 입구는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세척 시스템의 항균 유체 공급원에 부착 가능하다. 유체 출구는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여 상기 항균 유체가 상기 고정 장치를 빠져나가도록 한다.
세척, 밸브 조립체, 항균 유체

Description

자동화 재처리기용 밸브 고정 장치{Valve Holding Fixture for Automated Reprocessor}
본 발명은 의료, 치과, 약학 또는 영안실 물품 및 장치들의 소독 및 살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요성 내시경 및 부품과 그에 따른 부속 기구들의 소독 및 살균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장기 또는 체강의 내부를 육안으로 검사하기 위해 통상 내과 의사에 의해 사용되는 조명 및 렌즈 시스템을 구비한 의료기기이다. 내시경들은 상기 내시경의 공기/물 채널들 및 흡입/조직검사 채널들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의사에 의해 사용되는 밸브를 포함한다. 내시경 시술 도중, 의료장비는 혈액 및 기타 단백질이 풍부한 체액으로 덮이게 되며, 그에 따라 내시경은 각각의 사용 사이에 세척 및 미생물 불활성화 처리를 필요로 한다. 액체 미생물 불활성화 시스템들은 증기 살균 시스템의 고온을 견딜 수 없는 내시경과 같은 장비를 세척 및 소독하도록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체 미생물 불활성화 시스템들은 통상 상기 내시경의 표면을 과산 또는 기타 강산화제와 같은 액체 소독 또는 살균 조성물에 대해 노출함으로써 작동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그들이 상기 내시경 안에 사용되는 밸브들을 적절히 세척 및 불활성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여기서, 내시경 밸브들은 하나의 밸브 구성요소의 표면이 다른 밸브 구성요소의 표면에 대해 "안착"되는 제 1 정상 폐쇄 위치와 상기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표면들이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제 2 개방 위치 사이에서 통상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밸브가 내시경으로부터 제거되면, 이들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정상적으로 가압 접촉하게 되어 상기 액체 소독 또는 살균 조성물이 이러한 표면들과 접촉 및 불활성화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러한 밸브 조립체들을 세척하는 하나의 방법은 상기 접촉 표면들을 물리적으로 즉 손으로 분리하여 이를 소독 및 살균 조성물에 노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작업자가 상기 밸브 조립체를 물리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오염에 노출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게다가, 이러한 세척 과정은 사람의 실수로 인해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를 세척하는 다른 방법은 초음파 세척, 또는 가방, 바구니 또는 다중 처리 사이클을 사용하는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재처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 방법 중 어느 것도 밸브 조립체들의 접촉 표면들을 서로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및 소독 용액에 재처리 작업 동안 완전히 노출할 수 없다. 게다가, 특수 또는 반복 세척 및 소독 사이클을 필요로 하는 재처리는 고객에게는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화 재처리 시스템에 밸브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밸브 조립체는 재처리 작업 중에 소독 및 살균 용액에 대해 접촉 표면을 정상적으로 노출하는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세척 시스템에 밸브 구성요소를 고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 구성요소는 개방 위치 및 정상 폐쇄 위치를 갖는다. 상기 고정 장치는 제 1 하우징 섹션과 제 2 하우징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 해제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밸브 구성요소를 상기 고정 장치 안의 개방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 고정 장치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그 안의 제 1 개방공을 통해 상기 밸브 구성요소의 일부를 수용하는 치수의 내부 공동을 갖는다.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또한 상기 내부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개방공을 갖는다. 상기 유체 개방공은 그를 통해 항균 유체를 수용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상기 밸브 구성요소의 제 2 부분을 수용하는 치수의 제 2 공동을 갖는다.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개방공을 가지며,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제 2 하우징 섹션에 부착가능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의 제 1 공동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의 제 2 공동과 서로 통하여 상기 개방 위치에 상기 밸브 구성요소를 수용 및 지지하는 치수의 밸브 고정 장치 지지 챔버를 규정한다. 상기 지지 챔버는 항균 유체가 상기 밸브 고정 장치 지지 챔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의 개방공들을 통과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상기 밸브 구성요소 둘레 및 그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자동화 세척 시스템에 밸브 조립체를 고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개방 위치와 정상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고정 장치는 서로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하우징 섹션 및 제 2 하우징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상기 밸브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치수의 제 1 내부 공동과, 상기 내부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개방공을 갖는다.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과 함께 유체 기밀 부착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은 그들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밸브 조립체를 개방 위치에 수용하고 밸브 조립체 둘레에 공간을 한정하는 치수의 내부 챔버를 규정한다.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 내의 제 1 개방공은 항균 유체 공급원과 연결되어 상기 챔버가 상기 항균 유체로 채워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자동화 세척 시스템에 밸브 조립체를 고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개방 위치와 정상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고정 장치는 서로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하우징 섹션 및 제 2 하우징 섹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 섹션들은 상기 밸브 조립체를 개방 위치에 지지하는 치수의 내부 챔버를 규정한다. 유체 입구는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세척 시스템 내의 항균 유체 공급원에 부착 가능하다. 유체 출구는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여 상기 항균 유체가 상기 고정 장치를 빠져나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밸브 조립체를 의료 장비로부터 세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밸브 조립체는 정상 접촉 표면들이 분리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정상 접촉 표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정상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세척 방법은:
a) 밸브 조립체를 세척 시스템의 고정 장치 내로 삽입하되, 상기 고정 장치는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밸브 조립체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 단계; 및
b) 항균 유체를 상기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밸브 조립체의 둘레 및 그를 통과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세척 및 살균 과정 중에 작업자가 밸브 조립체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밸브 조립체를 세척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자동화 재처리 시스템 내의 내시경 등으로부터 밸브 조립체를 세척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내시경 등으로부터 밸브 조립체들을 세척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의 모든 표면을 상기 세척 및 소독 용액에 대해 노출하는 위치에 상기 밸브 조립체를 유지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내시경 등으로부터 밸브 조립체들을 세척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단일 정규 재처리 작업 중에 밸브 조립체의 완전한 재처리를 허용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 및 청구범위를 참조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료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부품들 및 그들의 배열을 물리적인 형태로서 취할 것이며,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재처리 시스템의 내시경 등으로부터 분해된 밸브 조립체 및 상기 밸브 조립체를 지지하는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장치의 분리 상태의 단면도로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장치를 형성하는 두 개의 하우징 섹션과 상기 하우징 섹션들 중 하나에 위치하는 정상 구조의 밸브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 장치의 단면도로서 밸브 조립체가 그 안에 배치된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4-4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 5로 표기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 6으로 표기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목적으로 도시되었을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자동화 재처리기 내의 내시경 등과 같은 의료 장비로부터 밸브 조립체(2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1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본 발명의 고정 장치(10) 및 그의 작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밸브 조립체(2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20)는 내시경 또는 기타 유사한 의료 장비에서 볼 수 있는 통상의 밸브 조립체이다. 밸브 조립체(20)는 기본적으로 그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밸브 작동 조립체(32)를 갖는 긴 밸브 스템(22)과, 타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격 O-링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작동 조립체(32)는 기본적으로 내시경(도시하지 않음)의 정합 표면에 밸브 조립체(20)를 부착하도록 적용되는 칼라(34)를 포함한다. 칼라(34)는 기본적으로 내부 금속 슬리브(36)와, 외부 플라스틱 재킷 또는 케이싱(38)으로 이루어진다. 금속 슬리브(36)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 연장 환형 벽(36c)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단부(36a) 및 제 2 단부(36b)를 갖는다. 금속 슬리브(36)의 제 1 단부(36a)는 칼라(34)가 상기 내시경의 기둥 또는 어깨부의 대응 나선에 부착되도록 하는 내부 나선을 포함한다. 제 2 단부(36b)는 도 2 및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스템(22)의 단부에 부착되는 캡 또는 버튼(44)을 수용하는 치수의 원통형 공동(42)을 규정한다. 헬리컬 스프링 형태의 가압 요소(46)는 캡(44)과 환형 벽(36c) 사이에 배치된다. 도 5 및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스템(22)은 환형 표면(28)을 규정하는 확대 중앙부(22a)를 포함한다. 도 2 및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표면(28)은 환형 벽(36c)과 접하여 칼라(34)에 대한 밸브 스템(22)의 이동을 제한한다.
긴 통로 또는 루멘(52)은 밸브 스템(22) 및 캡(44)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루멘(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방향 연장 브랜치들(52a)을 포함한다.
스프링(46)은 도 2 및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스템(22)을 제 1 위치 로 가압하는바, 중앙부(22a)의 환형 표면(28)은 환형 벽(36c)의 표면과 접한다.
밸브 조립체(20)는 내시경(도시하지 않음)의 부품으로서 그에 부착되며, 밸브 스템(22)은 내시경 안의 원통형 구멍 안에 위치된다. 내시경 안의 유체 포트들은 원통형 구멍과 교차하여 내시경 내의 공기 및 유체 유동을 제어한다. 밸브 스템(22)의 O-링들(24)은 상기 포트들에 대한 밸브 스템(22)의 이동이 내시경 안의 선택 포트들을 종래의 공지된 방식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포트들에 대해 배치된다.
고정 장치(10)는 자동화 재처리기의 세척 사이클 동안 밸브 조립체(20)를 지지하도록 적용된다. 고정 장치(10)는 제 1 하우징 섹션(60)과 제 2 하우징 섹션(100)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섹션(60)은 일반적으로 튜브형 형상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튜브식 끼워 맞춤 되도록 작은 단부(64)를 향해 테이퍼지는 원통형 바디부(62)를 포함한다. 바디부(62)는 외부 원통형 표면(62a)를 갖는다. 환형 홈(66)은 원통형 바디부(62)의 표면(62a)에 형성된다. 홈(66)은 O-링을 수용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바디부(62)는 평평한 단부 표면(76)을 갖는다. 횡단 슬롯(78)은 단부 표면(76)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하우징 섹션(60)은 밸브 조립체(20)의 일부를 수용하는 치수의 공동(82)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82)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밸브 조립체(20)의 밸브 스템(22)을 수용하는 치수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82)은 단부 표면(76)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여기서, 공동(82)은 밸브 스템(22)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그 둘레에 공간을 규정하지만, 칼 라(34)보다는 작은바, 칼라(34)는 단부 표면(76)과 접한다. 개방공(84)은 단부(64)를 통해 공동(82)과 유체 연통한다. 하우징 섹션의 단부(64)는 통상의 폴리머 튜브(88; 도 3 참조)를 수용하는 치수로 형성되는바, 이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한 쌍의 핀(96)은 바디부(62)로부터 외향 연장한다. 핀들(96)은 서로 축방향 정렬되어 바디부(62)의 양측으로부터 연장한다. 바디부(62)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섹션(60)이 장착 플레이트(92)의 개방공 안에 수용되도록 하는 감소된 직경의 원통형 부분(62b)을 포함한다. 원통형 부분(62b)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일반적인 U-형 핀(94)은 제 1 하우징 섹션(60)을 장착 플레이트(92)에 체결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제 2 하우징 섹션(100)은 제 1 하우징 섹션(6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치수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하우징 섹션(100)은 일반적으로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개방 단부(102)와 폐쇄 단부(104)를 갖는다. 제 2 하우징 섹션(100)은 제 1 하우징 섹션(60)의 밸브 조립체(20)의 밸브 작동 조립체(32)와 바디부(62)를 수용하는 치수의 일반적 원통형 공동(106)을 규정한다. 제 2 하우징 섹션(100)은 원통형 측벽(112)과 단부 벽(114)을 포함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12)은 내부 표면(122)을 포함하며, 단부 벽(114)은 내부 표면(124)을 포함한다. 측벽(112)의 내부 표면(122)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변화하는 직경의 섹션을 갖는다. 내부 표면(122)의 제 1 섹션(122a)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단부 벽(114)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124)과 유체 연통한다. 표면 섹션(122a)과 표면(124)은 밸브 스템(22)의 칼라(34)와 버튼(44)을 수용하기 위한 일 반적 원통형 공동을 규정한다. 내부 표면(122)의 섹션(122b)은 제 1 하우징 섹션(60)의 O-링(72)과 유체 기밀 방식으로 결합하는 치수를 갖는다.
한 쌍의 L-형 슬롯(132)은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섹션(100) 안에 형성된다. L-형 슬롯들(132)은 제 2 하우징 섹션(100)의 개방 단부(102)로부터 측벽(112)으로 연장한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L-형 슬롯들(132)은 고정 장치(10)의 중앙 축선 "A"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레그 부분(132a)과, 제 1 레그 부분(132a)과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2 로그 부분(132b)을 포함한다. L-형 슬롯들(132)은 제 1 하우징 섹션(60)의 핀들(96)을 수용하는 치수를 가지며, 제 2 하우징 섹션(100)은 제 1 하우징 섹션(60)에 비틀림-체결 방식(bayonet-locking fashion)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단부 벽(114)의 내부 표면(124)은 도 3 및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섹션(100)의 측벽(112)을 통해 연장하는 개방공들(138)과 연통하여 그들의 일부를 형성하는 세 개의 방사상 연장 채널(136)을 포함한다. 제 2 하우징 섹션(100)은 단부 벽(114)과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보스(142)를 포함한다. 도 2 및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구멍(144)이 보스(142) 안에 형성된다. 개방공(146)은 단부 벽(114)을 통해 연장하여 구멍(144)과 유체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개방공(146)은 소형의 원통형 통로로서 대형의 나선 구멍(144)과 유체 연통한다. 나선 플러그(152)는 구멍(144)안으로 나사 결합하는 치수를 가진다. 중앙 오리피스(154)는 플러그(152)를 통해 연장하여 개방공(146)과 유체 연통한다.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60, 100)은 폴리올레핀 계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60, 100)은 주조 공정에 의해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들(96)은 상기 주조 공정 중에 제 1 하우징 섹션(60) 안에 실장될 수도 있다.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60, 100)은 고정 장치(10)를 통해 연장하는 축선 "A"를 중심으로 대략 대칭을 이룬다.
고정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전술된 형태의 밸브 조립체(20)는 재처리기(도시하지 않음)의 자동화 사이클 동안 세척 및 불활성화를 위해 고정 장치(10) 안에 위치된다. 고정 장치(10)는 상기 재처리기 내에 장착되도록 적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장치(10)는 상기 재처리기 내의 평평한 장착 플레이트(92)에 U-형 핀(94)에 의해 장착된다. 고정 장치(10)는 튜브(88)에 의해 항균 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튜브(88)는 상기 재처리기의 유체 순환 시스템의 부품이며, 향균 유체는 상기 재처리기의 미생물 불활성화 단계 중에 튜브(88)를 통해 가압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섹션(100)이 제 1 하우징 섹션(60)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밸브 조립체(20)는 제 1 하우징 섹션(60) 안에 위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20)의 밸브 스템(22)은 제 1 하우징 섹션(60)에 의해 규정되는 공동(82) 안으로 연장한다. 여기서, 밸브 조립체(20)는 그의 정상 "폐쇄 위치"에 위치하며, 스프링(46)은 밸브 스템(22)의 환형 표면(28)과 금속 슬리브(36)의 환형 벽(36c)을 가압하여 이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한다. 밸브 조립체(20)가 제 1 하우징(60) 안에 위치됨에 따라, 제 2 하우징 섹션(100)이 제 1 하우징 섹션(60)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 2 하우징 섹션(100)의 슬롯들(132)의 레그 부분들(132a)이 제 1 하우징 섹션(60)의 핀들(96)과 정렬된다. 제 2 하우징 섹션(100)은 제 1 하우징 섹션(60)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핀들(96)은 슬롯들(132)의 레그 부분들(132a)로 들어간다. 핀들(96)이 슬롯들(132)의 바닥과 결합하는 경우, 제 2 하우징 섹션(100)은 축선 "A"를 중심으로 각 회전하여 핀들(96)을 L-형 슬롯들(132)의 레그 부분들(132a)과 폐쇄 단부로 이동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단부 벽(114)의 표면(122)의 섹션(122a)과 표면(124)에 의해 규정되는 공동(106)은 캡(44)과 칼라(34)의 길이보다 짧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캡(4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섹션(100)이 제 1 하우징 섹션(60)에 부착되는 경우 칼라(34) 안으로 가압 된다. 제 2 하우징 섹션(100)이 제 1 하우징 섹션(60)에 부착되는 경우, 밸브 조립체(20)는 "개방 위치"를 점유하며, 밸브 스템(22)의 환형 표면(28)은 환형 벽(36c)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 된다. 밸브 조립체(20)는 재처리기의 자동화 사이클 동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사이클 동안, 항균 유체는 튜브(88)를 통해 제 1 하우징 섹션(60)의 내부 공동(82)으로 가압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60, 100)은 유체 밀봉이 제 1 하우징 섹션(60)의 O-링(72)과 제 2 하우징 섹션(100)의 내부 표면(122)의 섹션(122b) 사이에 형성되는 치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제 1 하우징 섹션(60)의 내부 공동(82)으로 가압 되는 항균 유체는 도 3 및 6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20) 둘레 및 그를 통해 이동한다. 항균 유체는 도 3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장치로부터 나와서 제 2 하우징 섹션(100)의 개방공(138)을 통과하여 플러그(152) 내의 오리피스(154)를 통과한다.
밸브 조립체(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밸브 조립체(20)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은 재처리기의 자동화 사이클 동안 고정 장치(10)를 통해 이동하는 항균 유체에 노출된다. 따라서, 고정 장치(10)는 내시경 및 기타 장치들의 밸브 조립체들의 내부 표면들은 세척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면에는 단일 고정 장치(10)가 도시되었지만, 대부분의 내시경은 적어도 두 개의 밸브 조립체(20)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두 개의 고정 장치(10)가 재처리기에 제공되어, 자동화 재처리 사이클 동안, 내시경의 세척과 함께, 내시경의 밸브 조립체(20)의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개시되었으며,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 또는 그의 균등물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세척 및 살균 과정 중에 작업자가 밸브 조립체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밸브 조립체를 세척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정규 재처리 작업 중에 밸브 조립체의 완전한 재처리를 허용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 다.

Claims (26)

  1. 세척 시스템에 밸브 구성요소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밸브 구성요소는 개방 위치 및 정상 폐쇄 위치를 가지며, 상기 고정 장치는:
    제 1 하우징 섹션과 제 2 하우징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 해제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밸브 구성요소를 상기 고정 장치 안의 개방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 고정 장치를 형성하되;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그 안의 제 1 개방공을 통해 상기 밸브 구성요소의 일부를 수용하는 치수의 내부 공동을 가지며,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또한 상기 내부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개방공을 가지며, 상기 유체 개방공은 그를 통해 항균 유체를 수용하는 치수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상기 밸브 구성요소의 제 2 부분을 수용하는 치수의 제 2 공동을 가지며,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유체 개방공을 가지며,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제 2 하우징 섹션에 부착가능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의 제 1 공동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의 제 2 공동과 서로 통하여 상기 개방 위치에 상기 밸브 구성요소를 수용 및 지지하는 치수의 밸브 고정 장치 지지 챔버를 규정하며, 상기 지지 챔버는 항균 유체가 상기 밸브 고정 장치 지지 챔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의 개방공들을 통과하도록 가압되는 경우 상기 밸브 구성요소 둘레 및 그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은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폴리올레핀계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폴리프로필렌인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에 비틀림-체결 방식으로 부착되는 고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체 밀봉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과 제 2 하우징 섹션이 서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섹션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항균 유체의 압력 공급원에 부착가능한 고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정상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접촉 표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들은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이격되는 고정 장치.
  9. 자동화 세척 시스템에 밸브 조립체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개방 위치와 정상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서로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하우징 섹션 및 제 2 하우징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상기 밸브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치수의 제 1 내부 공동과, 상기 내부 공동과 유체 연통하는 개방공을 가지며;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과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과 함께 유체 기밀 부착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은 그들이 부착되는 경우 상기 밸브 조립체를 개방 위치에 수용하고 밸브 조립체 둘레에 공간을 한정하는 치수의 내부 챔버를 규정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 내의 제 1 개방공은 항균 유체 공급원과 연결되어 상기 챔버가 상기 항균 유체로 채워지도록 하는 고정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은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폴리올레핀계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폴리프로필렌인 고정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에 비틀림-체결 방식으로 부착되는 고정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유체 밀봉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과 제 2 하우징 섹션이 서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섹션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항균 유체의 압력 공급원에 부착가능한 고정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정상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접촉 표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들은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이격되는 고정 장치.
  17. 자동화 세척 시스템에 밸브 조립체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개방 위치와 정상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 장치는:
    서로에 대해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밸브 조립체를 개방 위치에 지지하는 치수의 내부 챔버를 규정하는 제 1 하우징 섹션 및 제 2 하우징 섹션;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며 상기 세척 시스템 내의 항균 유체 공급원에 부착 가능한 유체 입구; 및
    상기 챔버와 유체 연통하여 상기 항균 유체가 상기 고정 장치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 섹션은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고정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폴리올레핀계 물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정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물질은 폴리프로필렌인 고정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은 상기 제 2 하우징 섹션에 비틀림-체결 방식으로 부착되는 고정 장치.
  22. 제 18 항에 있어서, 유체 밀봉은 상기 제 1 하우징 섹션과 제 2 하우징 섹션이 서로 부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 섹션들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항균 유체의 압력 공급원에 부착가능 한 고정 장치.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정상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밸브 조립체는 접촉 표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들은 상기 밸브 조립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서로 이격되는 고정 장치.
  25. 밸브 조립체를 의료 장비로부터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밸브 조립체는 정상 접촉 표면들이 분리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정상 접촉 표면들이 서로 접촉하는 정상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세척 방법은:
    a) 밸브 조립체를 세척 시스템의 고정 장치 내로 삽입하되, 상기 고정 장치는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밸브 조립체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도록 작동가능한 단계; 및
    b) 항균 유체를 상기 세척 사이클 동안 상기 밸브 조립체의 둘레 및 그를 통과하도록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는 서로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 1 하우징 섹션 및 제 2 하우징 섹션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57022480A 2003-05-28 2004-05-07 자동화 재처리기용 밸브 고정 장치 KR100740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46,763 US6874517B2 (en) 2003-05-28 2003-05-28 Valve holding fixture for automated reprocessor
US10/446,763 2003-05-28
PCT/US2004/014297 WO2004105806A2 (en) 2003-05-28 2004-05-07 Valve holding fixture for automated reproc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536A true KR20060023536A (ko) 2006-03-14
KR100740320B1 KR100740320B1 (ko) 2007-07-18

Family

ID=3345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480A KR100740320B1 (ko) 2003-05-28 2004-05-07 자동화 재처리기용 밸브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74517B2 (ko)
EP (1) EP1626820B1 (ko)
JP (1) JP4346645B2 (ko)
KR (1) KR100740320B1 (ko)
CN (1) CN100496772C (ko)
AU (1) AU2004243103B2 (ko)
CA (1) CA2525113C (ko)
ES (1) ES2615502T3 (ko)
TW (1) TWI272930B (ko)
WO (1) WO20041058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283A (ja) * 2002-09-13 2004-04-08 Olympus Corp 外科用処置具の洗浄装置
DE202004020992U1 (de) * 2004-04-24 2006-06-29 Karl Storz Gmbh & Co. Kg Ventileinrichtung für Saug- und/oder Spülleitungen medizinischer Instrumente
US20080173651A1 (en) * 2004-06-18 2008-07-24 Ping Jeffrey H Antimicrobial Lining for Gas Cylinders and Coupling Components
US7918788B2 (en) * 2005-10-31 2011-04-05 Ethic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low to endoscope channels
US8414478B2 (en) * 2008-02-26 2013-04-09 Fujifilm Corporation Endoscopic aspiration device
DE102008018665B4 (de) * 2008-04-11 2011-02-03 Kh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septischen Druckentlastung
EP2314248A1 (de) * 2009-10-20 2011-04-27 Miele & Cie. KG Spülvorrichtung für Saug- und Spülkanülen
NL2005411C2 (en) * 2010-09-28 2012-03-29 Wama B V Endoscope valve element holder.
JP5192528B2 (ja) * 2010-10-12 2013-05-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管路切換装置
EP4018914A1 (en) * 2010-11-30 2022-06-29 Medivators Inc. Disposable suction valve for an endoscope
AU2011336623B2 (en) 2010-11-30 2016-03-31 Medivators Inc. Disposable air/water valve for an endoscope
CN103209633A (zh) * 2011-11-10 2013-07-17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内窥镜用栓部件
US9161680B2 (en) 2013-11-26 2015-10-20 Bracco Diagnostics Inc. Disposable air/water valve for an endoscopic device
WO2015080694A1 (en) * 2013-11-26 2015-06-04 Bracco Diagnostics Inc. Disposable air/water valve for an endoscopic device
CN103962613B (zh) * 2014-05-29 2016-02-10 浙江瑞兴阀门有限公司 一种阀门的旋启式盖板铣槽机
CN108289718B (zh) * 2015-12-24 2021-07-13 坎特尔(英国)有限公司 医疗附件固持器
CN109414157B (zh) * 2016-06-29 2021-06-11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用按钮
JP2018121924A (ja) * 2017-02-01 2018-08-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送気送水弁及び内視鏡
JP1628049S (ko) * 2017-05-19 2019-04-01
USD947376S1 (en) 2018-03-21 2022-03-29 Medivators Inc. Endoscope suction valve
JP6945068B2 (ja) * 2018-05-07 2021-10-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リプロセッサ
WO2019225561A1 (ja) * 2018-05-21 2019-11-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ディスポーザブル管路切換装置
USD952142S1 (en) 2018-05-21 2022-05-17 Medivators Inc. Cleaning adapter
DK3773141T3 (da) * 2018-05-21 2023-08-21 Medivators Inc Rengøringsadapter med og uden sikkerhedsmærke
WO2022072179A1 (en) * 2020-09-29 2022-04-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use prevention for single-use valves for medical devices
CN215874570U (zh) * 2021-03-31 2022-02-22 浙江优亿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防脱吸引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9468A (en) * 1960-02-11 1961-11-21 George M Eberle Denture cleaner
US3375834A (en) * 1965-03-19 1968-04-02 Corning Glass Works Article handling and cleaning apparatus
US3577279A (en) * 1968-11-26 1971-05-04 Hewlett Packard Co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syringes
CH518476A (de) * 1970-06-16 1972-01-31 Turolla Marco Ing Dr Hilfsgesteuerte Sicherheitsventil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Hydraulik- und Pneumatikanlagen
DE2724888C3 (de) * 1977-06-02 1979-12-06 Rotring-Werke Riepe Kg, 2000 Hamburg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Tuscheschreiberspitzen
JPH01192330A (ja) * 1988-01-28 1989-08-02 Toshiba Corp 内視鏡洗浄器
US4838288A (en) * 1988-03-14 1989-06-13 Pioneering Technologies, Inc. Heart valve and xenograft washing system
US4979527A (en) * 1990-02-20 1990-12-25 Osgood Industries, Inc. Sterilizable valve assembly for dispensing fluid material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valve assembly
KR940001046Y1 (ko) * 1991-12-26 1994-02-25 동양시멘트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오수(汚水) 역류방지장치
US5402810A (en) * 1992-07-15 1995-04-04 J.J. Donley And Sons, Inc. Pacifier storage and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5293960A (en) * 1992-09-29 1994-03-15 Majerowicz Frank G Button lubricator
US5320119A (en) * 1993-03-05 1994-06-14 Tnco, Inc. Surgical tools cleansing
US5524656A (en) * 1995-03-10 1996-06-11 Fluid Management Limited Partnership Arrangement for cleaning dispense valves
US5615859A (en) * 1995-03-24 1997-04-01 Haag, Iii; Earl C. Sterilizable valve assembly
US6041797A (en) * 1997-12-09 2000-03-28 Casselman; David S Apparatus for cleaning a vacuum drum
CA2398942A1 (en) * 2000-02-07 2001-08-09 Steris Inc. Liquid cleaning and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0250605Y1 (ko) * 2001-07-10 2001-10-19 (주)동양구체화건 베관용 자동 자석 체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320B1 (ko) 2007-07-18
EP1626820B1 (en) 2016-11-16
EP1626820A2 (en) 2006-02-22
WO2004105806A2 (en) 2004-12-09
EP1626820A4 (en) 2010-01-20
US6874517B2 (en) 2005-04-05
CA2525113A1 (en) 2004-12-09
TW200515896A (en) 2005-05-16
JP2006525850A (ja) 2006-11-16
TWI272930B (en) 2007-02-11
US20040238014A1 (en) 2004-12-02
AU2004243103B2 (en) 2008-07-31
WO2004105806A3 (en) 2005-03-17
AU2004243103A1 (en) 2004-12-09
CN100496772C (zh) 2009-06-10
CA2525113C (en) 2010-04-27
ES2615502T3 (es) 2017-06-07
CN1795056A (zh) 2006-06-28
JP4346645B2 (ja)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3536A (ko) 자동화 재처리기용 밸브 고정 장치
CA2664788C (en) Fluid connection system for endoscope reprocessing with controlled leakage
JP5465012B2 (ja) 複数のチャンバ間に流体通路のある器具容器
JP4184980B2 (ja) 自動化内視鏡再処理機
US7422729B2 (en)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JP2000051329A (ja) コネクタ―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用いた洗浄または滅菌方法
EP1654399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EP3897753A1 (en) Reprocessing case
EP1667736B1 (en) Method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US200500256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activating items and for maintaining such items in a deactivated state
EP4003434A1 (en) Positioning and support device for endoscopic instruments to be subjected to wa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