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577A - 용량형 온도센서 - Google Patents

용량형 온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577A
KR20060021577A KR1020040070366A KR20040070366A KR20060021577A KR 20060021577 A KR20060021577 A KR 20060021577A KR 1020040070366 A KR1020040070366 A KR 1020040070366A KR 20040070366 A KR20040070366 A KR 20040070366A KR 20060021577 A KR20060021577 A KR 2006002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temperature
electrode layer
temperature sensor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173B1 (ko
Inventor
권상욱
민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173B1/ko
Priority to US11/217,433 priority patent/US20070237204A1/en
Priority to JP2005256687A priority patent/JP2006071644A/ja
Publication of KR2006002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34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capacita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 G01K5/04Details
    • G01K5/12Selection of liquid compos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 G01K5/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liquid with electric conta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28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g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Pressure Sensor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용량형 온도센서가 제공된다. 본 온도센서는,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며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유전체가 마련된 유전체층 및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되는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형 온도센서는 온도측정감도와 그 정확도가 우수하고, 많은 전력을 소모하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용이하다.
온도센서, 열팽창, 유전체, 커패시턴스

Description

용량형 온도센서{Capacitive type temperature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형 온도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의 온도산출 원리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형 온도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의 온도산출 원리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형 온도센서의 커패시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커패시터 110 : 상부 전극층
120 : 유전체층 121 : 유전체
121a : 제1 유전체 121b : 제2 유전체
122 : 진공실 130 : 하부 전극층
200 : 온도 산출부
본 발명은 온도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에 적용가능한 온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MEMS 기술는 기계적 부품들을 반도체공정을 이용하여 전기적 소자로 구현하는 기술로서, 이를 이용하면 수㎛ 이하의 초미세구조를 지닌 기계·장비를 설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자·기계·의료·방산 등 전 산업 분야에 엄청난 변혁을 불러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MEMS 기술로 제조된 센서들은, 일반적으로 초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휴대폰과 같은 각종 소형기기등에 내장되어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여 제공한다.
지금까지, MEMS에는 저항형(Resistive type) 온도센서가 많이 적용되었다. 이는 온도측정감도와 그 정확도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항형 온도센서는 많은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무선기기, 모바일기기 등에는 적합하지 않다.
저항형 온도센서와는 달리, 용량형(Capacitive Type) 온도센서는 전력을 많이 소모하지 않는다. 종래의 용량형 온도센서는, 온도변화에 따라 바이메탈의 변위가 변화하고, 그 변위의 변화에 따라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용량형 온도센서는, 온도측정감도와 정확도가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용량형 온도센서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잔류응력(residual stress)로 인한 초기변위가 발생하여 교정(calibration)이 어렵기 때문에, 제조공정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측정감도와 정확도가 우수하고, 전력을 많이 소모하지 않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한 용량형 온도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는,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며,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유전체가 마련된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되는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전체의 부피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유전체의 접합면적이 변화하고, 상기 접합면적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가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전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는 선형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전체는, 톨루엔(Toluene), 옥탄올(Octanol), 프로판올(Propanol), 에탄올(Ethanol), 및 메탄올(Methano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층은, 일단에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제1 유전체가 마련되고, 타단에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제2 유전체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전체의 부피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전극층 과 상기 제1 유전체의 접합면적인 제1 접합면적이 변화하고, 상기 제2 유전체의 부피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제2 유전체의 접합면적인 제2 접합면적이 변화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접합면적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가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유전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 및 상기 제2 유전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는 선형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전체는, 톨루엔(Toluene), 옥탄올(Octanol), 프로판올(Propanol), 에탄올(Ethanol), 및 메탄올(Methanol)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유전체는, 톨루엔, 옥탄올, 프로판올, 에탄올, 및 메탄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산출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산출한 후, 산출된 상기 커패시턴스에 대응되는 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량형 온도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용량형 온도센서는 커패시터(100), 및 온도 산출부(200)를 구비한다.
커패시터(100)는 상부 전극층(110), 유전체층(120), 및 하부 전극층(130)을 구비한다.
유전체층(120)은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에 위치한다. 유전체층(120)의 좌측단에는 유전체(121)가 마련되고, 유전체층(120)의 우측단에는 진공실(122)이 마련된다. 'ε'는 유전체(121)의 유전율이고, 'ε0'는 진공실(122)의 유전율이다.
유전체(121)는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변화가 큰 물질(액체나 기체), 즉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변화율(열팽창율)이 큰 물질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전체(121)는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가 선형적인 물질, 즉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율이 일정한 물질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가 크고 선형적인 물질에는, 톨루엔(Toluene : C7H8), 옥탄올(Octanol : CH3(CH 2)3OH), 프로판올(Propanol : C3H8), 에탄올(Ethanol : C2H5OH), 메탄올(Methanol : CH3OH) 등이 있다. 따라서, 유전체(121)는 상기한 물질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온도 산출부(200)는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위차에 대응되는 온도를 산출한다. 이때, 온도 산출부(200)는 검출된 전위차를 이용하여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를 산출한 후, 산출된 커패시턴스에 대응되는 온도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의 온도산출 원리에 대해,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에는 기준온도(T1)에서, 본 용량형 온도센서의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a를 참조하면, 기준온도(T1)에서,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의 길 이는 'd'이고, '유전체(121)와 상/하부 전극층(110, 130)의 접합면적'(이하, '유전체(121)의 접합면적'으로 약칭한다.)은 'S1(T1)'이며, '진공실(122)과 상/하부 전극층(110, 130)의 접합면적'(이하, '진공실(122)의 접합면적'으로 약칭한다.)은 'S2(T1)'임을 알 수 있다.
이때, 기준온도(T1)에서의 '커패시터(100)의 커패시턴스'(이하, '커패시턴스'로 약칭한다.)인 'CT1' 및 기준온도(T1)에서의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의 전위차'(이하, '전위차'로 약칭한다.)인 'VT1'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에서, 'Q'는 상부 전극층(110)의 전하량 또는 하부 전극층(130)의 전하량을 의미한다.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1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2
도 2b에는 온도가 기준온도(T1)에서 현재온도(T2)(T2 > T1 )로 상승한 경우, 본 용량형 온도센서의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b와 도 2a를 비교해 보면,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의 길이는 'd'으로 불변이다. 하지만, 유전체(121)의 접합면적은 'S1(T2)'(S1(T2) > S1(T 1))로 증가하였고, 진공실(122)의 접합면 적은 'S2(T2)'(S2(T2) < S2(T1))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온도가 기준온도(T1)에서 현재온도(T2)(T2 > T1)로 상승하여, 유전체(121)의 부피가 증가함으로서, 유전체(121)의 접합면적이 증가(S1(T2) > S 1(T1))된 결과이다. 또한, 유전체(121)의 부피증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진공실(122)의 부피가 감소함으로서, 진공실(122)의 접합면적이 감소(S2(T2) < S2(T 1))된 결과이다.
이때, 현재온도(T2)에서의 커패시턴스인 'CT2' 및 현재온도(T2)에서의 전위차인 'VT2'은 아래의 '수학식 2'를 만족한다.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3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4
'수학식2'와 '수학식 1'을 비교하면, 현재온도(T2)에서의 커패시턴스(CT2)와 기준온도(T1)에서의 커패시턴스(CT1)는 서로 다른 값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현재온도(T2)에서의 전위차(VT2)와 기준온도(T1)에서의 전위차(VT1 ) 역시 서로 다른 값임을 알 수 있다.
커패시턴스(C)가 달라진 이유는, 온도상승에 따라, 유전체(121)의 접합면적 (S1)은 증가한 반면, 진공실(122)의 접합면적(S2)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유전체(121)의 유전율(ε)이 진공실(122)의 유전율(ε0) 보다 큰 경우라면, 온도상승에 따라 커패시턴스(C)는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전위차(V)가 달라진 이유는, 온도상승에 따라, 커패시턴스(C)가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온도변화는 커패시턴스(C)를 변화시키고, 커패시턴스(C)의 변화는 전위차(V)를 변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커패시턴스(C)의 변화가 온도변화에 선형적이라고 가정하면, 현재온도(T2)는 아래의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4'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5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6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7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8
여기서, 'k'와 'α'(= k*Q)는 소정 상수값으로, 커패시터(100)의 구조 및 유 전체(121)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실험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산출부(200)는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현재온도(T2)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에 의할 경우, 온도 산출부(200)는 현재온도(T2)에서의 전위차(VT2)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위차(VT2)를 이용하여 현재온도(T2)에서의 커패시턴스(CT2)를 산출한 후, 산출된 커패시턴스(CT2) 및 기지의 값인 k, 기준온도(T1 ), 기준온도에서의 커패시턴스(CT1)를 이용하여, 현재온도(T2)를 산출하게 된다.
한편, '수학식 4'에 의할 경우, 온도 산출부(200)는 현재온도(T2)에서의 전위차(VT2)를 검출하고, 검출된 전위차(VT2) 및 기지의 값인 α, 기준온도(T1 ), 기준온도에서의 전위차'(VT1)를 이용하여, 현재온도(T2)를 산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다르게 구현한 용량형 온도센서에 대해 설명하되, 도 1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와 공통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별화된 내용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형 온도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유전체층(120)의 구조와 도 1에 도시된 유전체층(120)의 구조는 서로 다르다. 즉, 도 3에 도시된 유전체층(120)의 좌측단에는 제1 유전체(121a)가 마련되고, 우측단에는 제2 유전체(121b)가 마련되고, 중단에는 진공실(122)이 마련된다.
유전체층(120)의 좌측단에 마련된 제1 유전체(121a)와 우측단에 마련된 제2 유전체(121b)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물질이어도 무방하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양자를 같은 종류의 물질로 취급하기로 한다. 즉, 제1 유전체(121a)의 유전율과 제2 유전체(121b)의 유전율은 모두 'ε'로 동일한 것으로 취급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의 온도산출 원리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에는 기준온도(T1)에서, 본 용량형 온도센서의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준온도(T1)에서,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의 길이는 'd'이고, 제1 유전체(121a)의 접합면적은 'S1a(T1)'이며, 진공실(122)의 접합면적은 'S2(T1)이며, 제2 유전체(121b)의 접합면적은 'S1b(T1 )'임을 알 수 있다.
이때, 기준온도(T1)에서의 커패시턴스인 'CT1' 및 기준온도(T1)에서의 전위차인 'VT1'은 아래의 '수학식 5'를 만족한다.
Figure 112004040044279-PAT00009
Figure 112004040044279-PAT00010
도 4b에는 온도가 기준온도(T1)에서 현재온도(T2)(T2 > T1 )로 상승한 경우, 본 용량형 온도센서의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4b와 도 4a를 비교해 보면, 상부 전극층(110)과 하부 전극층(130) 사이의 길이는 'd'으로 불변이다. 하지만, 제1 유전체(121a)의 접합면적은 'S1a(T2)'(S1a(T2) > S1a (T1))로 증가하였고, 제2 유전체(121b)의 접합면적은 'S1b(T2)'(S1b(T2) > S1b (T1))로 증가하였지만, 진공실(122)의 접합면적은 'S2(T2)'(S2(T2) < S2(T1 ))로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현재온도(T2)에서의 커패시턴스인 'CT2' 및 현재온도(T2)에서의 전위차인 'VT2'은 아래의 '수학식 6'을 만족한다.
Figure 112004040044279-PAT00011
Figure 112004040044279-PAT00012
'수학식 5'와 '수학식 6' 및 '수학식 1'과 '수학식 2'를 비교하면, '수학식 5'와 '수학식 6'의 경우가 '온도변화에 따른 커패시턴스(C)의 변화도'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커패시턴스(C)의 변화도'는, 도 1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커패시턴스(C)의 변화도' 보다 크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는, 유전체층(120)에 제1 유전체(121a)와 제2 유전체(121b)가 마련되어 있음에 기인한다.
한편, 온도 산출부(200)는 전술한 '수학식 3' 또는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현재온도(T2)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용량형 온도센서의 경우와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3과 다르게 구현한 용량형 온도센서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량형 온도센서의 커패시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커패시터(100)는 다수의 전극층(141∼147)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변화에 따른 커패시턴스(C)의 변화도'가 더욱 커지게 되어, 용량형 온도센서의 센싱감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커패시터(100)에 구비되는 전극층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유전체가 마련된 커패시터의 온도변화에 따른 커패시턴스 변화원리를 이용한, 용량형 온도센서를 제안하고 이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본 용량형 온도센서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에 적용이 가능하며, 적용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량형 온도센서는 온도측정감도와 그 정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저항체를 이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또한, 본 용량형 온도센서는, 구동체를 이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교정(calibration)과 제조공정이 용이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제1 전극층;
    제2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에 위치하며,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유전체가 마련된 유전체층; 및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에 대응되는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의 부피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유전체의 접합면적이 변화하고,
    상기 접합면적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는 선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톨루엔(Toluene), 옥탄올(Octanol), 프로판올(Propanol), 에탄올(Ethanol), 및 메탄올(Methanol)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일단에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제1 유전체가 마련되고, 타단에 온도변화에 따라 부피가 변화하는 제2 유전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의 부피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제1 유전체의 접합면적인 제1 접합면적이 변화하고,
    상기 제2 유전체의 부피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상기 제2 유전체의 접합면적인 제2 접합면적이 변화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접합면적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 및 상기 제2 유전체의 온도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는 선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는,
    톨루엔(Toluene), 옥탄올(Octanol), 프로판올(Propanol), 에탄올(Ethanol), 및 메탄올(Methanol)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유전체는,
    톨루엔, 옥탄올, 프로판올, 에탄올, 및 메탄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산출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전위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전위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전극층과 상기 제2 전극층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산출한 후, 산출된 상기 커패시턴스에 대응되는 온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KR1020040070366A 2004-09-03 2004-09-03 용량형 온도센서 KR10068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366A KR100680173B1 (ko) 2004-09-03 2004-09-03 용량형 온도센서
US11/217,433 US20070237204A1 (en) 2004-09-03 2005-09-02 Capacitive type temperature sensor
JP2005256687A JP2006071644A (ja) 2004-09-03 2005-09-05 容量型温度センサ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0366A KR100680173B1 (ko) 2004-09-03 2004-09-03 용량형 온도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577A true KR20060021577A (ko) 2006-03-08
KR100680173B1 KR100680173B1 (ko) 2007-02-08

Family

ID=3615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366A KR100680173B1 (ko) 2004-09-03 2004-09-03 용량형 온도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237204A1 (ko)
JP (1) JP2006071644A (ko)
KR (1) KR1006801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3817A (zh) * 2020-10-23 2021-02-23 许继集团有限公司 集成在高压套管中的电容式温度敏感元件以及高压套管
KR20210034241A (ko) * 2019-09-20 2021-03-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차원 소재 기반의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헬스케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0947A1 (en) * 2007-03-15 2008-09-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rmal insulation
US9410854B2 (en) * 2007-03-15 2016-08-09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s and devices for measuring core body temperature
DE102008052127A1 (de) 2008-07-18 2010-01-28 Micro-Epsilon Messtechnik Gmbh & Co. Kg Temperaturmes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Temperaturmessung
EP2169391B1 (de) * 2008-09-30 2013-04-03 ibidi GmbH Probenkammerhalter zum Haltern einer Probenkammer und System bestehend aus der Probenkammer und dem Probenkammerhalter
JP5400560B2 (ja) * 2009-10-16 2014-01-29 アズビル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センサ
DE102012214922A1 (de) * 2012-08-22 2014-0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ensor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r Temperatur
US9939331B2 (en) * 2014-05-21 2018-04-10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a capacitive thermometer
CN106017718B (zh) * 2016-07-28 2018-04-06 国网山西省电力公司忻州供电公司 柔性温度传感器
CN107063498B (zh) * 2017-05-19 2024-01-30 广东顺德中山大学卡内基梅隆大学国际联合研究院 一种温度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101917965B1 (ko) * 2017-12-28 2019-01-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측정 장치
CN108426650B (zh) * 2018-03-16 2021-1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温度传感元件和包括其的温度检测装置、温度检测方法
CN110081995B (zh) * 2019-04-08 2020-01-14 吉林大学 基于蝎子缝感受器的仿生柔性温度传感器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9104A (en) * 1972-03-09 1973-09-18 M Robinson Capacitance thermometer
US3938385A (en) 1974-05-24 1976-02-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
JPS51113773A (en) 1975-03-31 1976-10-07 Hitachi Ltd Temperature sensor
JPS53110881A (en) 1977-03-10 1978-09-27 Ricoh Co Ltd Temperature detector
US4109724A (en) * 1977-10-27 1978-08-29 Halliburton Company Oil well testing valve with liquid spring
JPS5773639A (en) 1980-10-27 1982-05-08 Nec Corp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US4541735A (en) 1984-12-24 1985-09-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ermal sensing element using methanol saturated fluorocarbon elastomer as the heat responsive material
DE3529490C1 (de) * 1985-08-16 1987-01-15 Max Planck Gesellschaft Einrichtung zur absoluten Dichtebestimmung nach der Auftriebsmethode
US5317919A (en) * 1992-06-16 1994-06-07 Teledyne Industries, Inc. A precision capacitor sensor
JPH0737703A (ja) * 1993-07-16 1995-02-07 Murata Mfg Co Ltd 正温度特性樹脂組成物
US5663506A (en) * 1995-08-21 1997-09-02 Moore Products Co. Capacitive temperature and pressure transducer
EP1283576B1 (en) * 2001-02-13 2013-11-0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Terminal structure of extreme-low temperature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241A (ko) * 2019-09-20 2021-03-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차원 소재 기반의 온도 센서를 구비하는 헬스케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2393817A (zh) * 2020-10-23 2021-02-23 许继集团有限公司 集成在高压套管中的电容式温度敏感元件以及高压套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71644A (ja) 2006-03-16
US20070237204A1 (en) 2007-10-11
KR100680173B1 (ko)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173B1 (ko) 용량형 온도센서
KR101685803B1 (ko) 근접 검출이 가능한 필름 타입의 촉각 센서
EP0940652A3 (en) Surface shape recognition sens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70252715A1 (en) Liquid quality and level sensor
KR101436991B1 (ko) 미세 액체금속 액적을 이용한 촉각센서
CN107894294B (zh) 带有扩展浅多边形腔的带腔绝缘体上硅mems压力传感装置
CN108700540A (zh) 用于生成测量信号的传感器装置和方法
US8511168B2 (en) Sensor element for capacitively measuring differential pressure
KR101322354B1 (ko) 습도 센서, 습도 센싱 방법 및 이를 위한 트랜지스터
CN110411615A (zh) 一种高灵敏度的mems触觉传感器结构
JPWO2021241628A5 (ko)
CN114323408A (zh) 多量程多灵敏度压力mems芯片
CN108426650A (zh) 温度传感元件和包括其的温度检测装置、温度检测方法
US9021898B2 (en) Microelectromechanical sensor for measuring a forc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01379377A (zh) 可偏转微机械系统及其应用
WO2007126269A1 (en) Touch mode capacitive pressure sensor
CN113023662A (zh) 一种mems电容式触觉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US10760929B2 (en) Environmental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1213028B (zh) 传感器未对准测量的方法和装置
KR20110121112A (ko) 수위센서의 구조
JP7152708B2 (ja) 静電容量型センサ
Nie et al. A novel capacitive barometric pressure sensor based on the standard CMOS process
KR101910712B1 (ko) 압력센서 및 압력센서의 제작 방법
Ferrari et al. Printed thick-film capacitive sensors
KR100474516B1 (ko) 캔틸레버를 이용한 초정밀 습도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