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213A - 중공형 크랭크축 - Google Patents
중공형 크랭크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0213A KR20060020213A KR1020040069009A KR20040069009A KR20060020213A KR 20060020213 A KR20060020213 A KR 20060020213A KR 1020040069009 A KR1020040069009 A KR 1020040069009A KR 20040069009 A KR20040069009 A KR 20040069009A KR 20060020213 A KR20060020213 A KR 200600202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nkshaft
- hollow
- crank
- crank pin
- jour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06—Crankshafts
- F16C3/10—Crankshafts assembled of several parts, e.g. by welding by cri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축에 관한 것으로서, 크랭크핀 내부에 중공부재를 개재한 채로 주조 접합함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휨하중과 비틀림하중에 대한 강성이 크게 증가되어 부품수명이 길어지고, 진동에 대한 감쇄력이 향상되어 엔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 중공형 크랭크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크랭크저널과 크랭크핀의 연결부분인 크랭크아암과, 커넥팅 로드 대단부와 연결되어 피스톤의 힘을 받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핀과, 크랭크 케이스 내에 지지되는 부분이며 크랭크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인 크랭크 저널로 구성되어 왕복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종래의 크랭크축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주조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중공부 내부에 강성의 축을 삽입하여 응력을 분산시킴으로 크랭크축의 강성을 높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랭크축, 중공부재, 크랭크핀, 크랭크저널, 크랭크아암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중실형 크랭크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크랭크축 11:크랭크핀 12:크랭크아암
13:크랭크저널 14:오일홀 15:공간부
20:중공부재 21:중공부 30:축
31:오일홈 40:밀폐수단 50:오링
60:스냅링
본 발명은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축에 관한 것으로서, 크랭크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를 개재한 채로 주조 접합함으로써,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휨하중과 비틀림하중에 대한 강성이 크게 증가되어 부품수명이 길어지고, 진동에 대한 감쇄력이 향상되어 엔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중공부 내부에는 강성 축을 삽입하여 더욱 강성을 높인 크랭크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랭크축은, 크랭크 내에 설치된 메인 베어링(Main bearing)에 지지되어 각 실린더의 동력 행정에서 얻어진 피스톤의 직선운동을 커넥팅로드를 거치면서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엔진출력을 외부에 전달하고 동시에 흡입, 압축, 배기의 각 행정에서 역으로 피스톤에 운동을 전달하는 중요한 회전축으로서, 크랭크저널과 크랭크핀의 연결부분인 크랭크아암과, 커넥팅로드 대단부와 연결되어 피스톤의 힘을 받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핀과, 크랭크케이스 내에 지지되는 부분이며 크랭크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인 크랭크저널로 구성된다.
그리고 중소형의 크랭크축은 일반적으로 강(鋼)을 단조(鍛造)하여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고, 선박용의 대형 엔진 크랭크축은 몇 개의 부품이 조합된 구조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크랭크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핀(11)의 내부가 찬 중실형(中實型) 크랭크축(10)으로 구성되므로, 크랭크핀의 단면 중심부에 구멍 이 뚫려 있는 중공형(中空型) 크랭크축에 비해 1.5∼2배정도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첫째 선박용의 대형 엔진 크랭크축과 같이 몇 개의 부품을 조합하여 중공형 크랭크축을 만드는 방법이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부품의 가공 공정과 조립공정 등 다수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작이 어려워 크랭크축의 제작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크랭크핀 및 저널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크랭크축을 주물로 성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으로 성형된 크랭크축은 중공부 내부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이 거친 중공부를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 크랭크축의 작동시 이 거친 부위의 골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응력(stress)에 의해 균열(crack)이 발생하게 되어 크랭크축에 균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중공부의 표면 가공은 매우 복잡한 크랭크축의 형태상 가공하기가 몹시 까다로우며 특히 선박 엔진에 사용되는 중형 크랭크축일 경우 더욱 가공하기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중소형의 크랭크축에 모두 적용 가능한 중공형 크랭크축이 당업계에서는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랭크축의 강도 향상과 더불어 별도의 가공 공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엔 진 조립공정에 투입할 수 있는 완제품의 중공형 크랭크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의 출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휨하중과 비틀림하중에 대한 강성이 크게 증가되어 부품수명이 길어지고, 진동에 대한 감쇄력이 향상되어 엔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 중공형 크랭크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크랭크저널과 크랭크 핀의 연결부분인 크랭크아암과, 커넥팅로드 대단부와 연결되어 피스톤의 힘을 받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핀과, 크랭크케이스 내에 지지되는 부분이며 크랭크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인 크랭크저널로 구성되어 왕복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축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핀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주조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랭크저널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주조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부재는 스틸 파이프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부재는 내부가 볼록한 스틸 파이프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랭크축의 재질은 구상흑연주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랭크축의 재질은 주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랭크핀과 크랭크저널의 중공부 양측은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랭크핀과 크랭크저널의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밀폐함과 동시에 윤활유가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가공된 강성 재질의 축이 내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의 양측 끝단 외주연에는 크랭크저널과 크랭크핀의 중공부를 연통하는 오일홀과 연결되도록 오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랭크축(10)은, 크랭크저널(13)과 크랭크핀(11)의 연결부분인 크랭크아암(12)과 커넥팅로드 대단부와 연결되어 피스톤의 힘을 받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핀(11)과, 크랭크케이스 내에 지지되는 부분이며 크랭크축(10)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인 크랭크저널(13)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랭크축(10)은, 주조시 크랭크핀(11)의 내부에 중공부(21)가 형성되도록 파이프 형태의 중공부재(20)를 개재(介在)하여 주조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크랭크축(10)과 중공부재(20)의 주조 접합은 본 출원인에 의해 2004년 1월 29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04-005718호의 이종금속의 용융 접합방법이 사용된다.
한편, 크랭크핀(11) 내부에 중공부재(20)를 주조 접합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크랭크저널(13) 내부에도 역시 중공부재(20)의 주조 접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주조 접합시에 사용되는 크랭크축(10)의 용융금속 재질은 주강 주철 등 여러 가지 다양한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특히 구상흑연주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구상흑연주철에 대해 살펴보면, 구상흑연주철(球狀黑鉛鑄鐵 nodular cast iron)이란 보통 주조한 채로 구상흑연을 정출하는 주철을 말하는 것으로서,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Ductile (Cast) Iron, Nodular (Cast) Iron 혹은 DCI라고 부르며, 영국에서는 주로 Spheroidal Graphite Cast Iron 또는 단순히 SG Iron 이라고 부른다.
우리 나라에서도 이것들을 번역해서 연성주철, 노듈러주철, 덕타일주철, 구상흑연주철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정식명칭으로서는 구상흑연주철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불순물 특히 황이 적은 선철을 녹여서 Ce(0.02% 정도) 또는 Mg(0.04% 정도)을 첨가하고 다시 페로실리콘 0.4∼0.8%를 가해서 흑연을 구슬모양으로 한다.
인장강도는 70㎏/㎜²이상이며, 신장률이나 내열성도 보통 주철보다 훨씬 뛰어나고 용접성(鎔接性)·절삭성(切削性)은 거의 같으며, 압연롤러·철판·차량부품 등에 사용된다.
☞ 구상흑연주철의 기계적 성질
NO | 재질 | 기계적 성질 | 용도 | |||
항복강도 (㎏/㎠) | 인장강도 (㎏/㎠) | 신율 (%) | 경도 (HB) | |||
1 | FCD40 | 26이상 | 40이상 | 15이상 | 121∼197 | 일반공업용 및 자동차용 |
2 | FCD45 | 30이상 | 45이상 | 10이상 | 143∼217 | |
3 | FCD50∼55 | 35이상 | 50이상 | 7이상 | 170∼241 | |
4 | FCD60 | 40이상 | 60이상 | 2이상 | 207∼285 | |
5 | FCD70 | 45이상 | 70이상 | 2이상 | 229∼321 | |
6 | FCD50HS | 35이상 | 50이상 | 2이상 | 170∼241 | |
7 | FCD55HS | 55이상 | 207∼285 |
또한, 상기 중공부재(20)는 내부에 중공부(21)가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부(21)의 표면조도(表面粗度 surface roughness)는 정밀할 수록 좋으며, 스틸(steel)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 내부에 개재되는 중공부재(20)를 내부가 볼록한 파이프형으로 구성함으로써, 파이프형 중공부재(20)가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 내부에 개재될 때 보다 크랭크축(10)의 비틀림 및 굽힘에 대한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 내부에 중공부(21)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20)를 개재한 상태로 주조 접합이 완료되면,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 및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 사이의 단면에는 윤활유가 통과하는 오일홀(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의 외주연에는 중공부(21)와 연통되도록 오일홀(14)이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 사이를 연결하는 단면에도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의 중공부(21)가 서로 연통되도록 오일홀(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의 중공부(21) 양측 끝단은 용접 또는 마개, 플랜지 등의 밀폐수단(40)에 의해 밀폐되며, 물론 밀폐수단(40)은 밀폐시 오일홀(14)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설치된다.
도 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의 중공부(21)에는 축(30)이 결합된다.
상기 축(30)의 양측 끝단 외경은 중공부(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중공부(21) 내부에 긴밀히 밀착되며, 상기 축(30)의 양측 끝단을 연결하는 중앙은 양측 끝단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하여 윤활유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15)가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축(30)의 양측 끝단 주연에는 중공부(21)와의 결합시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오링(50)이 결합 될 수도 있으며, 중공부(21)에 축(30)을 결합한 다음 축(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중공부(21)의 양측에는 스냅링(60)이 결합된다.
또한, 축(30)의 양측 끝단부에는 중공부(21)에 결합시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 사이의 단면에 형성된 오일홀(14)과 연결되는 오일홈(3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축(30)의 결합이 완료되고 중공부(21)에 스냅링(60)의 결합이 완료되면 밀폐수단(40)을 이용하여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의 중공부(21)를 완전히 밀폐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제공하는 크랭크축(10)은 크랭크핀(11) 내부에 중공부(21)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20)를 개재한 채로 주조 접합함으로써, 크랭크축(10)의 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별도의 가공 공정을 거치지 않고 엔진 조립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 크랭크축(10)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크랭크축은 크랭크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각 실린더의 동력행정에서 얻은 피스톤의 힘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엔진의 출력을 외부에 전달하고 흡입 압축, 배기의 행정에서는 피스톤에 운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크랭크축의 구비조건을 살펴보면 동적 및 정적평형을 이루면서 원활하게 회전되어야 하고, 특히 큰 하중을 받으면서 고속회전을 하기 때문에 강성이 충분하고 내마멸성이 커야 한다.
이처럼 크랭크축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주물로 중공형 크랭크축을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중공형 크랭크축이 주물제품일 경우 거친 중공 부의 표면을 중심으로 크랙이 발생함으로 반드시 중공부 표면을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와, 또한 크랭크축 자체의 복잡한 형상과 선박엔진 및 자동차에 사용되는 중소형 크랭크축일 경우 가공이 매우 힘들며, 이러한 가공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크랭크축의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로 인해 그 시행이 어려웠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한 중공형 크랭크축(10)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한 것인바, 즉, 본 발명의 중공형 크랭크축(10)은 이종금속의 용융접합 기술을 이용하여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 내부에 중공부재(20)가 개재 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종래의 중실형 크랭크축에 비하여 월등한 강성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주물 제품의 중공형 크랭크축은 중공부의 표면이 거칠어 이 거친 표면의 흠집을 기점으로 크랙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공부 표면을 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결국 주조형 중공 크랭크축은 별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중공형 크랭크축(10)은 중공부재(20)에 의해 중공부(21)가 기계 가공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므로 중공부재(20)의 중공부(21) 표면조도가 높아 별도의 가공이 필요 없으며, 거친 표면이 없이 중공부(21) 전체가 매끈하므로 크랙 발생의 우려가 전혀 없어 보다 안전하게 크랭크축(10)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크랭크축(10)은 엔진과 조립되어 작동될 경우 종래의 크랭크 축에 비하여 매우 안전하며 최상의 작동력을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진과의 조립시 본 발명의 크랭크축(10)은, 크랭크 핀(11) 둘레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해 크랭크저널(13)과 크랭크핀(11) 및 크랭크저널(13)과 크랭크핀(11) 사이의 단면에 오일홀(14)이 형성된다.
그리고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의 중공부(21) 양측은 용접 또는 마개, 플랜지 등의 밀폐수단(40)에 의해 밀폐된다.
따라서 윤활유는, 크랭크저널(13)에 형성된 오일홀(14)을 통해 크랭크저널(13)의 중공부(21)에 주입된 다음 크랭크저널(13)과 크랭크핀(11) 단면 사이에 형성된 오일홀(14)을 통해 대략 4㎏/㎠의 압으로 크랭크핀 및 저널(11,13)의 중공부(21)에 주입되고 다시 크랭크핀(11)의 오일홀(14)을 통해 크랭크핀 및 저널(11,13)의 둘레에 공급된다.
다시 말해 상기 크랭크핀(11) 내부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4㎏/㎠의 힘으로 크랭크핀 및 저널(11,13)의 외벽을 지지하는 것과 같아지므로 크랭크핀 및 저널(11,13)에 휨하중과 비틀림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중공부(21)를 제외한 크랭크핀(11)의 단면이 먼저 하중을 잡아주고, 재차 중공부(21) 내부의 윤활유가 4㎏/㎠의 힘으로 크랭크핀(11)에 작용하는 하중을 잡아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크랭크핀(11) 내부에 유입되는 윤활유는 액체이므로 고체일 경우 보다 크랭크핀(11)에 걸리는 진동의 상쇄력이 높기 때문에 이 또한 크랭크축(10)의 강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핀(11) 및 크랭크저널(13) 내부에 개재되는 중공부재(20)를 내부가 볼록한 파이 프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크랭크핀(11)과 크랭크아암(12)과 크랭크저널(13)의 접합부위 두께를 더욱 두껍게 보강하고 유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중실형 크랭크축에 비하여 강성(대략 2배)을 대폭 증가시킨 것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핀(11)과 크랭크저널(13)의 중공부(21)에 축(30)의 결합한 다음 밀폐수단(40)에 의해 밀폐함으로써 크랭크축(1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먼저 윤활유의 주입경로를 살펴보면, 크랭크저널(13)의 오일홀(14)을 통하여 크랭크저널(13)의 중공부(21)로 주입된 윤활유는 크랭크저널(13)과 크랭크핀(11) 사이의 단면에 형성된 오일홀(14)을 따라 주입된다.
이때 크랭크저널(13)과 크랭크핀(11) 사이의 단면에 형성된 오일홀(14)은 축(30)에 형성된 오일홈(31)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오일홈(31)을 따라 이동되어 공간부(15)에 주입된 후 크랭크핀(11)의 오일홀(14)을 통해 크랭크핀(11)의 둘레에 공급된다.
따라서 크랭크핀(11)에 휨하중과 비틀림하중이 작용할 때 먼저 중공부(21)를 제외한 크랭크핀(11)의 단면이 하중을 잡아주고, 공간부(15)에 주입된 윤활유가 4㎏/㎠의 힘으로 크랭크핀(11)에 작용하는 하중을 잡아 주고, 동시에 축(30)이 하중을 잡아 줌으로 응력이 분산됨으로 크랭크축(10)의 강성이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중공형 크랭크축(10)은 그 중량이 종래의 중실형 크랭크축 보다 경량화 되어 엔진의 출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휨하중과 비틀림하중에 대한 강성이 크게 증가되어 부품수명이 길어지고 진동에 대한 감쇄력이 향상되어 엔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랭크축은 크랭크핀 또는 크랭크저널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를 개재한 채로 주조 접합함으로써, 별도의 가공 공정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크랭크축의 표면 마찰계수가 적어 운전중 베어링과의 소착(燒着)을 예방할 수 있고, 중공형 크랭크축으로 제조됨으로 종래의 중실형 크랭크축 보다 강도가 배가(1.5∼2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단조로 제작되는 크랭크축은 고가의 금형이 필요하며 다품종 소량 생산이 난해하여 높은 원가이나, 본 발명의 주물형 크랭크축은 다품종 소량 생산이 가능하며 낮은 원가로 제조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9)
- 크랭크저널과 크랭크핀의 연결부분인 크랭크아암과, 커넥팅로드 대단부와 연결되어 피스톤의 힘을 받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핀과, 크랭크케이스 내에 지지되는 부분이며 크랭크축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인 크랭크저널로 구성되어 왕복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크랭크축에 있어서,상기 크랭크핀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주조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크랭크저널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중공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주조 접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중공부재는 스틸 파이프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중공부재는 내부가 볼록한 스틸 파이프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크랭크축의 재질은 구상흑연주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크랭크축의 재질은 주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크랭크핀과 크랭크저널의 중공부 양측은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에 있어서,상기 크랭크핀과 크랭크저널의 중공부에는 상기 중공부를 밀폐함과 동시에 윤활유가 통과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가공된 강성 재질의 축이 내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축의 양측 끝단 외주연에는 크랭크저널과 크랭크핀의 중공부를 연통하는 오일홀과 연결되도록 오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크랭크 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9009A KR20060020213A (ko) | 2004-08-31 | 2004-08-31 | 중공형 크랭크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9009A KR20060020213A (ko) | 2004-08-31 | 2004-08-31 | 중공형 크랭크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0213A true KR20060020213A (ko) | 2006-03-06 |
Family
ID=3712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9009A KR20060020213A (ko) | 2004-08-31 | 2004-08-31 | 중공형 크랭크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20213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145397A1 (en) * | 2006-06-13 | 2007-12-21 | Samyoung Machinery Co., Ltd. | Hollow type crankshaft |
CN102926837A (zh) * | 2012-11-13 | 2013-02-13 |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 高转速汽油发动机曲柄连杆机构润滑系统 |
CN111306180A (zh) * | 2020-03-11 | 2020-06-19 | 重庆虎江机械有限公司 | 一种摩托车曲轴连杆总成 |
CN115978079A (zh) * | 2022-12-27 | 2023-04-18 | 东风商用车有限公司 | 一种轻量化曲轴结构 |
-
2004
- 2004-08-31 KR KR1020040069009A patent/KR2006002021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145397A1 (en) * | 2006-06-13 | 2007-12-21 | Samyoung Machinery Co., Ltd. | Hollow type crankshaft |
KR100860287B1 (ko) * | 2006-06-13 | 2008-09-25 | 삼영기계(주) | 중공형 크랭크축 |
CN102926837A (zh) * | 2012-11-13 | 2013-02-13 |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 高转速汽油发动机曲柄连杆机构润滑系统 |
CN111306180A (zh) * | 2020-03-11 | 2020-06-19 | 重庆虎江机械有限公司 | 一种摩托车曲轴连杆总成 |
CN115978079A (zh) * | 2022-12-27 | 2023-04-18 | 东风商用车有限公司 | 一种轻量化曲轴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12360B2 (ja) | ロッキングジョイントアセンブリ | |
FI122867B (fi) | Koottu kampiakseli, erityisesti keskinopeakäyntisiä nelitahtidieselmoottoreita varten | |
CN101164801B (zh) | 连接和应力传递元件 | |
JP2008501081A (ja) |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高強度鋼シリンダライナー | |
JPS6088222A (ja) | 複合摺動体 | |
CN100408874C (zh) | 具有活塞和连杆的内燃机驱动装置 | |
KR20060020213A (ko) | 중공형 크랭크축 | |
KR920000239B1 (ko) | 분리된 저널에 배치된 슬리이브를 팽창시킴으로써 조립되는 크랭크 샤프트의 제조방법 | |
CN1036355A (zh) | 曲轴的制造方法 | |
US8360026B2 (en) | Pin boss and piston provided with 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0860287B1 (ko) | 중공형 크랭크축 | |
FI122894B (fi) | Männänlaakerijärjestely | |
EP2134991B1 (en) | Pinless cranktrai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compressors | |
US9869342B2 (en) | Pivot bearing for two connecting rods | |
KR20080067528A (ko) | 외주면이 이종 강재로 된 구상화 흑연 주철 및 주철 크랭크사프트 | |
EP1580445B1 (en) | Transmission component of a metal matrix composite material | |
KR101003192B1 (ko) | 단조 및 주조 접합된 크랭크샤프트 | |
CN217682773U (zh) | 轻量化曲轴 | |
CN219345245U (zh) | 一种高硬度耐磨损曲轴 | |
JPH04103886A (ja) | 圧縮機のピストン装置 | |
CN116641955A (zh) | 用于大型涡轮增压二冲程单流十字头内燃机的半组合式曲轴 | |
EP3959455B1 (en) | A centrifugal pendulum absorber | |
JPH058023U (ja) | クランクシヤフト | |
CN110894850A (zh) | 用在发动机和其他装置中的具有轴承销的轴承 | |
KR200154539Y1 (ko) | 캐스트 인서트에 리브구조를 갖는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