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983A -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983A
KR20060019983A KR1020040068700A KR20040068700A KR20060019983A KR 20060019983 A KR20060019983 A KR 20060019983A KR 1020040068700 A KR1020040068700 A KR 1020040068700A KR 20040068700 A KR20040068700 A KR 20040068700A KR 20060019983 A KR20060019983 A KR 20060019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mpressor
load
coils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688B1 (ko
Inventor
이혁
정상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688B1/ko
Priority to US11/001,067 priority patent/US20050189824A1/en
Priority to EP04028651A priority patent/EP1538732A3/en
Priority to JP2004352876A priority patent/JP2005168294A/ja
Priority to CNB200410097909XA priority patent/CN100533929C/zh
Publication of KR2006001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688B1/ko
Priority to US11/905,453 priority patent/US2008003008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04B49/065Control using electricity and making use of compu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32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02Piston parameters
    • F04B2201/0206Length of piston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1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2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1Load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50Control logic embodiment by
    • F05B2270/504Control logic embodiment by electronic means, e.g. electronic tubes, transistors or IC's within an electronic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17Thyristor or scr
    • Y10S388/919Triggered by resistor or capaci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동일한 권선비를 가진 두개의 코일 및 두개의 커패시터를, 압축기의 운전부하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공진 운전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1,제2 커패시터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1 절환수단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제2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2 절환수단과;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제2 절환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CAPACITY VARIABLE 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도1은 일반적인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종래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회로도.
도3은 본 발명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회로도.
도4는 본 발명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도5는 본 발명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도6은 도5에 있어서, 저부하시의 직렬연결 등가회로도.
도7은 도5에 있어서, 과부하시의 병렬연결 등가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coil,B coil:코일 Ry1,Ry2,Ry3:릴레이
C1,C2:커패시터
본 발명은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권선비를 가진 두개의 코일 및 두개의 커패시터를, 압축기의 운전부하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공진 운전시키도록 한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왕복동식 압축기는,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시켜줌에 따라 압축비를 가변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가변 냉력제어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왕복동식 압축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트로크 지령치에 따른 스트로크 전압에 의해, 피스톤이 상하운동으로 스트로크를 가변시켜 냉력을 조절하는 왕복동식 압축기(L.COMP)와; 스트로크 전압에 의해 스트로크를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 (L.COMP)에 발생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부(30)와; 스트로크전압에 의해 스트로크를 증가시킴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0)와; 상기 전압검출부(30) 및 전류 검출부(20)로부터 검출된 전압과 전류로 스트로크를 계산하고, 그 스트로크를 스트로크지령치와 비교하여 그에 따른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40)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 (40)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교류전원을 트라이악(Tr1)으로 단속시켜 상기 왕복동식 압축 기(L.COMP)에 스트로크전압을 인가하는 전기회로부(10)로 구성되고,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왕복동식 압축기(L.COMP)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스트로크 지령치에 따른 스트로크전압에 의해, 피스톤이 직선 운동되고, 이로 인해 스트로크가 가변되어 냉력을 조절한다.
한편, 전기회로부(10)의 트라이악(Tr1)은 마이크로컴퓨터(40)의 스위칭제어신호에 의해 턴온 주기가 길어짐에 의해 스트로크가 증가되는데, 이때 왕복동식 압축기(L.COMP)에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를 각기 전압검출부(30)와 전류검출부(20)에서 검출하여 이를 마이크로컴퓨터(40)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는 상기 전압검출부(30)와 전류검출부(20)로부터 검출된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계산한후, 이 스트로크를 스트로크지령치와 비교하여 그에 따라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는 계산된 스트로크가 스트로크 지령치 보다 작으면, 트라이악(Tr1)의 온주기를 길게 하는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왕복동식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스트로크전압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L.COMP)에 구비되는 모터는 코일이 소정 권선비로 균일하게 감겨져서, 상기 스트로크전압에 의해 구동전압이 발생되어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0)는 계산된 스트로크가 스트로크 지령치 보다 크면, 트라이악(Tr1)의 온주기를 짧게 하는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 여 왕복동식 압축기(L.COMP)에 인가되는 스트로크전압을 감소시킨다.
상술한 왕복동식 압축기 구동회로는, 스트로크 제어를 위하여 전압을 트라이악에 의해 스위칭하여 모터에 인가함으로써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고, 이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부가적인 회로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2와 같이, 부하 및 전압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코일의 권선수를 자체적으로 변화시켜 용량을 가변하도록, 메인 코일(Main coil)과 서브코일(Sub coil)을 두어 모터를 최적의 효율로 구동시킨다.
상기 도2와 같은 왕복동식 압축기의 모터(M)는, 자체에 감겨지는 코일을 메인 코일(Main coil)과 서브 코일(Sub coil)로 구분하고, 전압의 변동 및 부하의 변동에 따라, 메인 코일(Main coil)을 모터코일로 선택하거나, 또는 메인코일(Main coil) 및 서브코일(Sub coil)을 모터코일로 선택하여 모터의 용량을 가번한다.
즉, 현재 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큰 경우에(과부하), 릴레이(Ry)의 접점을 ①번 접점으로 스위칭하여 메인코일(Main coil)만을 모터코일로 선택함으로써, 모터의 역기전력 상수를 작게 한다.
이에 따라, 상용전원이 인가될때, 입력전류와 스트로크를 증가시켜 냉력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현재 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은 경우에(저부하), 릴레이(Ry)의 접점을 ③번 접점으로 스위칭하여 메인코일(Main coil)과 서브코일(Sub coil)을 모두 모터코일로 사용함으로써, 모터의 역기전력 상수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상용전원이 인가될때, 입력전류와 스트로크를 감소시켜 냉력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의 모터(M)에 감겨지는 코일의 권선수(N)는 모터역기전력상수와 비례관계가 있으므로 일정 입력전압 인가시 스트로크와 코일의 권선수(N)는 반비례하게 되는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4039182012-PAT00001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용량을 가변시키기 위해 코일의 권선수(N)를 입력전원 및 부하에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200)의 릴레이구동제어신호에 의해 릴레이(Ry)를 구동시켜 모터 자체적으로 스트로크전압을 가변한다.
그러나, 상술한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는, 과부하 또는 저부하시, 공진용 커패시터를 공통으로 사용하는데, 이렇게 두 경우에서의 코일의 턴수, 즉 코일의 인덕턴스의 차이가 클 경우에 공진운전이 어려워져 시스템이 불완전하게 운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부하 운전시, 서브코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코일의 효율적인 이용이 어렵고, 아울러 메인 코일의 동선이 증가되어 코일저항이 커져서 모터 발열로 인한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일한 권선비를 가진 두개의 코일 및 두개의 커패시터를, 압축기의 운전부하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공진 운전시키도록 한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패시터와 코일의 공진 주파수로 운전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1,제2 커패시터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1 절환수단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제2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2 절환수단과;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제2 절환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커패시터와 코일의 공진 주파수로 운전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1,제2 커패시터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절환수단과;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절환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절환수단과;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절환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1,제2 커패시터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A coil)(B coil)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코일(A coil)과 제2 코일(B coil)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1,제2 릴레이(Ry1)(Ry2)와;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제2 커패시터(C1,C2)를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3 릴레이(Ry3)와;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제2,제3 릴레이 (Ry1,Ry2,Ry3)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트라이악(미도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제2 코일(A coil)(B coil)은, 제1 코일(A coil)의 전단과 제2 코일(B coil)의 후단을 제1 릴레이(교1)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제1 코일(A coil)의 후단과 제2 코일(B coil)의 전단의 접속점을 제2 릴레이(교2)를 통해 전원단에 접속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수단(미도시)은, 실험에 의해, 제1,제2 코일(A coil)(B coil)과 제1,제2 커패시터(C1,C2)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부하를 기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사용자의 희망온도와 현재 온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부하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희망온도와 현재온도에 대응되는 부하를, 실험에 의해 기설정한다.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검출된 부하를, 메모리(미도시)에 기저장한 기준부하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아지면, 저부하로 인식하여, 도3의 (b)와 같이, 상기 제1 릴레이(Ry1)를 오프시키고, 제2 릴레이(Ry2)를 접점②로 연결시켜, 상기 제1,제2 코일(A coil)(B coil)을 직렬로 연결하여 모터코일로 선택함으로써 모터의 역기전력 상수를 증가시키고, 아울러 제3 릴레이(Ry3)를 오프시켜 커패시터(C2)만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용전원이 인가될때, 효율적으로 입력전류와 스트로크를 감소시켜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 보다 커지면, 과부하로 인식하여, 상기 제1,제2 코일(A coil)(B coil)을 병렬로 연결시키고, 아울러 제1,제2 커패시터(C1,C2)를 병렬로 연결시켜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데, 도3의 (a)와 같이, 제1 릴레이(Ry1)를 온시키고, 제2 릴레이(Ry2)를 접점 ①로 스위칭하여 모터의 역기전력 상수를 작게하고, 이때 제3 릴레이(Ry3)를 온시킴으로써 두개의 커패시터(C1,C2)를 병렬로 연결시켜 LC공진 운전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용전원이 인가될때,안정적으로 입력전류와 스트로크를 증가시켜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본 발명은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1,제2 커패시터(C1,C2)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A coil)(B coil)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제2 코일(A coil)(B coil), 제1,제2 커패시터(C1,C2)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절환수단(Ry1,Ry2)과;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절환수단(Ry1,Ry2)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트라이악(미도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수단(미도시)은, 실험에 의해, 제1,제2 코일(A coil)(B coil)과 제1,제2 커패시터(C1,C2)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부하를 기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사용자의 희망온도와 현재 온도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부하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희망온도와 현재온도에 대응되는 부하를, 실험에 의해 기설정한다.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검출된 부하를, 메모리(미도시)에 기저장한 기준부하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근거하여 압축기의 용량을 가변하기 위한 제어신 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아지면, 저부하로 인식하여, 도4의 (b)와 같이, 절환수단(Ry1)의 접점①과 접점③을 연결시켜, 상기 제1,제2 코일(A coil)(B coil)을 직렬로 연결하여 모터코일로 선택함으로써 모터의 역기전력 상수를 증가시키는데, 즉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아지면, 전단에 제1 커패시터(C1)가 접속된 제1 코일(A coil)과, 전단에 제2 커패시터 (C2)가 연결된 제2 코일(B coil)이 직렬로 접속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제2 커패시터(C1,C2)는 각기 제1,제2 코일(A coil)(B coil)에 연결되어, 각기 공진이 발생하여 두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위상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용전원이 인가될때, 효율적으로 입력전류와 스트로크를 감소시켜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 보다 커지면, 과부하로 인식하여, 상기 제1,제2 코일(A coil)(B coil)을 병렬로 연결시키도록 제어하는데, 도4의 (a)와 같이, 절환수단(Ry2)의 접점①과 접점④를 연결시키고, 접점③과 접점⑤를 연결시켜, 모터의 역기전력 상수를 작게하고, 또한, 제1,제2 코일(A coil)(B coil)은 각기 일측에 연결된 커패시터(C1,C2)와 LC공진 운전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제1 코일(A coil)의 전단에 접속된 제1 커패시터(C1)와 제2 코일(B coil)의 전단에 접 속된 제2 커패시터(C2)를 접속하고, 상기 제1,제2 커패시터(C1,C2)의 후단을 서로 접속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두 코일(A coil)(B coil)에 흐르는 각 전류의 양이 줄어들어 동손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본원발명은, 커패시터를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제작 비용이 증가되고, 아울러 상기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역기전력을 상쇄시키는 과정에서 트라이악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트라이악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커패시터를 제거하여 도5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작비용을 감소시키는데, 도5의 작동원리는 상기 도3 및 도4와 동일하다.
즉, 제어수단(미도시)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코일(A coil)과 제2 코일(B coil)이 직렬로 접속되도록, 제1 릴레이(Ry1)를 'L'단자로 접속시키고 제2 릴레이(Ry2)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만약,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제1 코일(A coil)과 제2 코일(B coil)이 병렬로 접속되도록, 제1 릴레이(Ry1)를 'H'단자로 접속시키고 제2 릴레이(Ry2)를 온시키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도6은 저부하시의 직렬연결 등가회로도이고, 도7은 과부하시의 병렬연결 등가회로도이다.
이때, 메모리(미도시)는 실험에 의해, 제1,제2 코일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부하를 기설정하여 저장한다.
결국, 과부하시, 두코일을 병렬연결시켜, 각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코일권선에서 발생하는 발열량을 줄여 권선코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저부하시 는 두코일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상용전원이 인가될때, 효율적으로 입력전류와 스트로크를 감소시켜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진 두개의 코일 및 두개의 커패시터를, 압축기의 운전부하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공진 운전시킴으로써,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패시터를 제거하고, 동일한 권선비를 가진 두개의 코일만을 이용하여, 압축기의 운전부하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운전시킴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커패시터와 코일의 공진 주파수로 운전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1,제2 커패시터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1 절환수단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제2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시키는 제2 절환수단과;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제2 절환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제2 코일을 직렬로 연결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커지면, 상기 제1,제2 코일을 병렬로 연 결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아지면, 제1 커패시터 또는 제2 커패시터중 어느 하나만을 연결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커지면,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를 병렬로 연결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제1,제2 커패시터는,
    릴레이를 통해 서로 병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제1,제2 코일은,
    제1 코일의 전단과 제2 코일의 후단을 제1 릴레이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제1 코일의 후단과 제2 코일의 전단의 접속점을 제2 릴레이를 통해 전 원단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실험에 의해, 제1,제2 코일과 제1,제2 커패시터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부하를 기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9. 커패시터와 코일의 공진 주파수로 운전하는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동일한 커패시턴스를 가지는 제1,제2 커패시터와;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절환수단과;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절환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아지면, 전단에 제1 커패시터가 접속된 제1 코일과, 전단에 제2 커패시터가 연결된 제2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제1 코일의 전단에 접속된 제1 커패시터와 제2 코일의 전단에 접속된 제2 커패시터를 접속하고,
    상기 제1,제2 커패시터의 후단을 서로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실험에 의해, 제1,제2 코일과 제1,제2 커패시터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부하를 기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13. 왕복동식 압축기에 있어서,
    동일한 권선비를 가지는 제1,제2 코일과;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절환수단과;
    압축기 용량의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절환수단의 절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코일과 제2 코일이 직렬로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압축기의 용량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제1 코일과 제2 코일이 병렬로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실험에 의해, 제1,제2 코일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기준부하를 기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20040068700A 2003-12-04 2004-08-30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057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700A KR100575688B1 (ko) 2004-08-30 2004-08-30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US11/001,067 US20050189824A1 (en) 2003-12-04 2004-12-02 Reciprocating motor
EP04028651A EP1538732A3 (en) 2003-12-04 2004-12-03 Reciprocating motor
JP2004352876A JP2005168294A (ja) 2003-12-04 2004-12-06 往復動式モータ
CNB200410097909XA CN100533929C (zh) 2003-12-04 2004-12-06 往复式马达
US11/905,453 US20080030082A1 (en) 2003-12-04 2007-10-01 Reciprocating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700A KR100575688B1 (ko) 2004-08-30 2004-08-30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983A true KR20060019983A (ko) 2006-03-06
KR100575688B1 KR100575688B1 (ko) 2006-05-03

Family

ID=3712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700A KR100575688B1 (ko) 2003-12-04 2004-08-30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6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59B1 (ko) * 2006-08-04 2008-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45320B1 (ko) * 2020-08-28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407A (ko) * 1995-08-23 1997-03-27 배순훈 압축기 역율 보상방법
JP3132992B2 (ja) * 1995-10-31 2001-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ータ組立装置
KR100237562B1 (ko) * 1996-12-31 2000-01-15 구자홍 리니어 컴프레서 구동회로
KR100498302B1 (ko) * 2000-12-27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컴프레샤의 용량가변형 모터
KR100474330B1 (ko) * 2002-05-13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20050050972A (ko) * 2003-11-26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구동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359B1 (ko) * 2006-08-04 2008-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45320B1 (ko) * 2020-08-28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US11952989B2 (en) 2020-08-28 2024-04-09 Lg Electronics Inc. Linear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688B1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9766B1 (ko)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구동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98302B1 (ko) 리니어 컴프레샤의 용량가변형 모터
JP4354753B2 (ja) リニアモータの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30088554A (ko) 냉장고용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039677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067753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5122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EP1943422B1 (en) Driving controlling method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CN100465442C (zh) 控制压缩机操作的装置和方法
KR100575688B1 (ko)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0404108B1 (ko) 리니어 컴프레샤의 용량가변형 모터 구동회로
KR100608673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31569B1 (ko)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050972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구동회로
KR100480375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15424B1 (ko) 왕복동식 압축기를 채용한 냉장고의 용량가변 운전제어방법
KR100393803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0374842B1 (ko) 왕복동식 압축기를 이용한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060867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60081944A (ko)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0608669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0371198B1 (ko) 왕복동식 압축기를 이용한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0371195B1 (ko) 왕복동식 압축기를 이용한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0690664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