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320B1 - 리니어 압축기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320B1
KR102345320B1 KR1020200109385A KR20200109385A KR102345320B1 KR 102345320 B1 KR102345320 B1 KR 102345320B1 KR 1020200109385 A KR1020200109385 A KR 1020200109385A KR 20200109385 A KR20200109385 A KR 20200109385A KR 102345320 B1 KR102345320 B1 KR 10234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s
coil
piston
cylinder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섭
김재범
박상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320B1/ko
Priority to US17/375,131 priority patent/US11952989B2/en
Priority to DE102021207660.2A priority patent/DE102021207660A1/de
Priority to CN202121654832.7U priority patent/CN215521173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1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4Motor parameters of linear electric motors
    • F04B2203/0403Magnetic flu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리니어 압축기가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안에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밖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코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코일 권선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 권선체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무버; 및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은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진다.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
본 명세서는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피스톤의 선형 왕복 운동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는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 발생 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등의 작동 유체를 압축하도록 이루어지는 장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압축기는 압축기는 산업 전반이나 가전 제품, 특히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이하 '냉동 사이클'로 칭함)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회전식 압축기(로터리 압축기, Rotary compressor),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구분될 수 있다.
왕복동식 압축기는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압축 공간이 형성되고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이고, 로터리 압축기는 실린더 내부에서 편심 회전되는 롤러에 의해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이며, 스크롤 압축기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스크롤이 맞물려 회전되어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크랭크 축을 사용하지 않고 직선 왕복 운동을 이용한 리니어 압축기(Linear Compressor)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리니어 압축기는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데 따르는 기계적인 손실이 적어 압축기의 효율이 향상되며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장점이 있다.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내부에 실린더가 위치되어 압축실을 형성하고, 압축실을 덮는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를 왕복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리니어 압축기는 피스톤이 하사점(BDC, Bottom Dead Center)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밀폐 공간 내의 유체가 압축실로 흡입되고, 피스톤이 상사점(TDC, Top Dead Center)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압축실의 유체가 압축되어 토출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리니어 압축기의 내부에는 압축 유닛과 구동 유닛이 각각 설치되며, 구동 유닛에서 발생하는 움직임을 통해 압축 유닛은 공진 스프링에 의해 공진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고 토출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리니어 압축기의 피스톤은 공진 스프링에 의해 실린더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흡입관을 통해 냉매를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한 후, 피스톤의 전진 운동으로 압축 공간에서 토출되어 토출관을 통해 응축기로 이동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한편, 리니어 압축기는 윤활방식에 따라, 오일 윤활형 리니어 압축기와 가스형 리니어 압축기로 구분할 수 있다.
오일 윤활형 리니어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에 일정량의 오일이 저장되어 그 오일을 이용하여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를 윤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면, 가스 윤활형 리니어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지 않고 압축 공간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일부를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유도하여 그 냉매의 가스력으로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를 윤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일 윤활형 리니어 압축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오일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로 공급됨에 따라, 실린더와 피스톤이 모터열이나 압축열 등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일 윤활형 리니어 압축기는 피스톤의 흡입 유로를 통과하는 냉매가 실린더의 압축실로 흡입되면서 가열되어 비체적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흡입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오일 윤활형 리니어 압축기는, 냉매와 함께 냉동사이클 장치로 토출되는 오일이 압축기로 원활하게 회수되지 않을 경우 그 압축기의 케이싱 내부에서는 오일부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케이싱 내부에서의 오일 부족은 압축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면, 가스 윤활형 리니어 압축기는, 오일 윤활형 리니어 압축기에 비해 소형화가 가능하고,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를 냉매로 윤활하기 때문에 오일부족으로 인한 압축기의 신뢰성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종래의 리니어 압축기의 경우 피스톤의 축 방향 스트로크를 위해 모터에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일반적으로, 리니어 압축기의 모터의 전력 손실은 전류 크기에 비례하게 되므로, 효율 증가를 위해 모터의 코일의 권선수를 최대한 증가시켜 전류 크기를 줄이고 있다. 이 경우, 모터의 코일의 권선수가 증가되는 경우 역기전력과 인덕턴스가 증가하게 된다. 즉, 부하가 증가되므로 제한된 구동 전압의 경우 전압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484324 B (2015.01.20. 공고)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압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코일 인덕턴스 불평등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안에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밖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코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코일 권선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 권선체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무버; 및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은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즉, 부하 크기에 따라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과,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므로 전압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이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지므로 코일 인덕턴스 불평등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을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큰 경우,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을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의 단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의 턴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선되고,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3 코일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4 코일의 후단은 전원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2 코일의 후단과, 상기 제3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4 코일의 후단은 상기 절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버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과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 각각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버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및 제3 코일과 각각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실린더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일 면(aspect)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냉매의 압축 공간을 형성하고, 원통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안에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밖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코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코일 권선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 권선체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무버; 및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한다.
즉, 부하 크기에 따라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므로 전압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코일 인덕턴스 불평등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을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큰 경우,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을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은 상기 실린더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의 단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의 턴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리니어 압축기.
또한, 상기 제1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2 코일의 후단은 전원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1 코일의 후단과, 상기 제2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2 코일의 후단은 상기 절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전압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인덕턴스 불평등에 의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discloser)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명세서(discloser)의 용어는 document, specification, description 등의 용어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0)는 쉘(111) 및 쉘(111)에 결합되는 쉘 커버(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쉘 커버(112, 113)는 쉘(111)의 일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쉘(111)의 하측에는, 레그(20)가 결합될 수 있다. 레그(20)는 리니어 압축기(100)가 설치되는 제품의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에는 냉장고가 포함되며, 베이스는 냉장고의 기계실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품에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포함되며, 베이스는 실외기의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쉘(111)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가로방향으로 누워져 있는 배치, 또는 축 방향으로 누워 있는 배치를 이룰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쉘(111)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반경 방향으로는 다소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리니어 압축기(100)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리니어 압축기(100)가 냉장고의 기계실 베이스에 설치될 때, 기계실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쉘(111)의 길이 방향 중심축은 후술할 압축기(100)의 본체의 중심축과 일치하며, 압축기(100)의 본체의 중심축은 압축기(100)의 본체를 구성하는 실린더(140) 및 피스톤(150)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쉘(111)의 외면에는 터미널(30)이 설치될 수 있다. 터미널(30)은 외부 전원을 리니어 압축기(100)의 구동 유닛(13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미널(30)은 코일(132b)의 리드선에 연결될 수 있다.
터미널(30)의 외측에는 브라켓(31)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31)은 터미널(30)을 둘러싸는 복수의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1)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터미널(3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쉘(111)의 양측부는 개방될 수 있다. 개구된 쉘(111)의 양측부에는 쉘 커버(112, 113)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쉘 커버(112, 113)는 쉘(111)의 개구된 일 측부에 결합되는 제1 쉘 커버(112)와, 쉘(111)의 개구된 타 측부에 결합되는 제2 쉘 커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쉘 커버(112, 113)에 의하여 쉘(111)의 내부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제1 쉘 커버(112)는 리니어 압축기(100)의 우측부에 위치되며, 제2 쉘 커버(113)는 리니어 압축기(100)의 좌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 1 및 제2 쉘 커버(112, 11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쉘 커버(112)는 냉매의 흡입 측에 위치되고, 제 2 쉘 커버(113)는 냉매의 토출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리니어 압축기(100)는 쉘(111) 또는 쉘 커버(112, 113)에 구비되어, 냉매를 흡입, 토출 또는 주입시킬 수 있는 다수의 파이프(114, 115, 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파이프(114, 115, 40)는 냉매가 리니어 압축기(10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관(114)과, 압축된 냉매가 리니어 압축기(100)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토출관(115)과, 냉매를 리니어 압축기(100)에 보충하기 위한 보충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관(114)은 제1 쉘 커버(112)에 결합될 수 있다. 냉매는 흡입관(114)을 통하여 축 방향을 따라 리니어 압축기(10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토출관(115)은 쉘(11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관(114)을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축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토출관(115)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토출관(115)은 제1 쉘 커버(112) 보다 제2 쉘 커버(11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충관(40)은 쉘(11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보충관(40)을 통하여 리니어 압축기(100)의 내부로 냉매를 주입할 수 있다.
보충관(40)은 토출관(115)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토출관(115)과 다른 높이에서 쉘(11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높이는 레그(20)로부터의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로서 이해될 수 있다. 토출관(115)과 보충관(40)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쉘(111)의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작업 편의성이 도모될 수 있다.
보충관(40)이 결합되는 지점에 대응하는 쉘(111)의 내주면에는 제2 쉘 커버(113)의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쉘 커버(113)의 적어도 일부는 보충관(40)을 통하여 주입된 냉매의 저항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의 유로관점에서, 보충관(40)을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의 유로 크기는, 쉘(111)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면서 제2 쉘 커버(113)에 의해 작아지고, 그를 통과하며 다시 커지도록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감소하여 냉매의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냉매에 포함된 유분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유분이 분리된 냉매가 피스톤(15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냉매의 압축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유분은 냉각 시스템에 존재하는 작동유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리니어 압축기(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따른 압축기(100)는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유체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유체를 토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리니어 압축기(1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리니어 압축기(100)는 냉동 사이클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으며, 리니어 압축기(100)에서 압축되는 유체는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일 수 있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외에도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니어 압축기(100)는 냉장고의 냉각시스템의 일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100)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 내부에 수용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0)의 본체는 프레임(120)과, 프레임(120)에 고정되는 실린더(140)와, 실린더(140) 내부를 직선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150)과, 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피스톤(150)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유닛(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140)와 피스톤(150)은 압축 유닛(140, 150)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압축기(100)는 실린더(140)와 피스톤(15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한 베어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수단은 오일 베어링 또는 가스 베어링일 수 있다. 또는 베어링 수단으로 기계적인 베어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압축기(100)의 본체는 케이싱(110)의 내측 양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116, 117)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지지 스프링(116, 117)은 본체 후방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스프링(116)과 본체 전방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스프링(11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스프링(116, 117)은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스프링(116, 117)은 압축기(100)의 본체의 내부 부품들을 지지하면서 피스톤(150)의 왕복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밀폐된 공간은 흡입된 냉매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01)과, 압축되기 전의 냉매가 채워지는 흡입 공간(102)과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공간(103)과, 압축된 냉매가 채워지는 토출 공간(104)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의 후방 측에 연결된 흡입관(114)으로부터 흡입된 냉매는 수용 공간(101)에 채워지고, 수용 공간(101)과 연통되는 흡입 공간(102) 내의 냉매는 압축 공간(103)에서 압축되어 토출 공간(104)으로 토출되고, 케이싱(110)의 전방 측에 연결된 토출관(1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양단이 개구되어 대략 횡방향으로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쉘(111)과, 쉘(111)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제1 쉘 커버(112) 및 전방 측에 결합되는 제2 쉘 커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측은 도면의 좌측으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방향을, 후방 측은 도면의 우측으로 냉매가 유입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제1 쉘 커버(112) 또는 제2 쉘 커버(113)는 쉘(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다.
제1 쉘 커버(112)는 쉘(111)의 후방 측을 밀봉하도록 쉘(111)에 결합되고, 제1 쉘 커버(112)의 중앙에는 흡입관(114)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압축기(100)의 본체의 후방 측은 제1 지지 스프링(116)에 의해 제1 쉘 커버(112)의 반경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지지 스프링(116)은 원형의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스프링(116)의 가장자리부는 지지 브라켓(123a)에 의해 백커버(123)에 대하여 전방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1 지지 스프링(116)의 개구된 중앙부는 흡입 가이드(116a)에 의해 제1 쉘 커버(112)에 대하여 후방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16a)는 내부에 관통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16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16a)는 전방 측 외주면에 제1 지지 스프링(116)의 중앙 개구부가 결합되고, 후방 측 단부가 제1 쉘 커버(112)에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흡입 가이드(116a)와 제1 쉘 커버(112)의 내측면 사이에는 별도의 흡입측 지지 부재(116b)가 개재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16a)의 후방 측은 흡입관(114)에 연통되고, 흡입관(114)을 통해 흡입되는 냉매는 흡입 가이드(116a)를 통과하여 후술할 머플러 유닛(160)으로 원할하게 유입될 수 있다.
흡입 가이드(116a)와 흡입측 지지 부재(116b) 사이에는 댐핑 부재(116c)가 배치될 수 있다. 댐핑 부재(116c)는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관(114)을 통해 냉매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이 제1 쉘 커버(112)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쉘 커버(113)는 쉘(111)의 전방 측을 밀봉하도록 쉘(111)에 결합되고, 루프 파이프(115a)를 통해 토출관(115)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압축 공간(103)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토출 커버 조립체(180)를 통과한 후 루프 파이프(115a)와 토출관(115)을 통해 냉동사이클로 배출될 수 있다.
압축기(100)의 본체의 전방 측은 제2 지지 스프링(117)에 의해 쉘(111) 또는 제2 쉘 커버(113)의 반경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 스프링(117)은 원형의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스프링(117)의 개구된 중앙부는 제1 지지 가이드(117b)에 의해 토출 커버 조립체(180)에 대하여 후방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 스프링(117)의 가장자리부는 지지 브라켓(117a)에 의해 쉘(111)의 내측면 또는 제2 쉘 커버(113)에 인접하는 쉘(111)의 내주면에 대하여 전방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2와 달리 제2 지지 스프링(117)의 가장자리부는 제2 쉘 커버(113)에 결합된 별도의 브라켓(미도시)을 통해 쉘(111)의 내측면 또는 제2 쉘 커버(113)에 인접하는 쉘(111)의 내주면에 대하여 전방 방향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제1 지지 가이드(117b)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가이드(117)의 단면은 복수의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가이드(117)의 전방 측은 제2 지지 스프링(117)의 중앙 개구에 삽입되고, 후방 측은 토출 커버 조립체(180)의 중앙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 커버(117c)는 제2 지지 스프링(117)을 사이에 두고 제1 지지 가이드(117b)의 전방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커버(117c)의 전방 측에는 전방으로 요입되는 컵 형상의 제2 지지 가이드(117d)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쉘 커버(113)의 내측에는 제2 지지 가이드(117d)에 대응하고 후방으로 요입되는 컵 형상의 제3 지지 가이드(117e)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 가이드(117d)는 제3 지지 가이드(117e)의 내측에 삽입되어 축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2 지지 가이드(117d)와 제3 지지 가이드(117e) 사이에는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실린더(14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바디부(121)와, 바디부(121)의 일 측에 연결되고 구동 유닛(130)을 지지하는 제1 플랜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0)은 구동 유닛(130)과 실린더(140)와 함께 제1 및 제2 지지 스프링(116, 117)에 의해 케이싱(110)에 대하여 탄력 지지될 수 있다.
바디부(121)는 실린더(14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바디부(1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22)는 바디부(121)의 전방 측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21)의 내주면에는 실린더(140)가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121)의 외주면에는 이너 스테이터(134)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140)는 바디부(121)의 내주면에 압입(press fitting)되어 고정될 수 있고, 이너 스테이터(134)는 별도의 고정 링(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22)의 후방면에는 아우터 스테이터(131)가 결합되고, 전방면에는 토출 커버 조립체(18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스테이터(131)와 토출 커버 조립체(180)는 기계적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플랜지부(122)의 전방면 일 측에는 가스 베어링의 일부를 이루는 베어링 입구홈(125a)이 형성되고, 베어링 입구홈(125a)에서 바디부(121)의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베어링 연통홀(125b)이 형성되며, 바디부(121)의 내주면에는 베어링 연통홀(125b)에서 연통되는 가스 홈(125c)이 형성될 수 있다.
베어링 입구홈(125a)은 소정의 깊이로 축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고, 베어링 연통홀(125b)은 베어링 입구홈(125a)보다 단면적이 작은 구멍으로 바디부(121)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홈(125c)은 바디부(121)의 내주면에 소정의 깊이와 축 방향 길이를 가지는 환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스 홈(125c)은 바디부(121)의 내주면이 접하는 실린더(140)의 외주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바디부(121)의 내주면과 실린더(140)의 외주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린더(140)의 외주면에는 가스 홈(125c)에 대응하는 가스 유입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유입구(142)는 가스 베어링에서 일종의 노즐부를 이룬다.
한편, 프레임(120)과 실린더(14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40)는 양 단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40)의 후방 단부를 통해 피스톤(150)이 삽입될 수 있다. 실린더(140)의 전방 단부는 토출 밸브 조립체(170)를 통해 폐쇄될 수 있다. 실린더(140)와, 피스톤(150)의 전방 단부와, 토출 밸브 조립체(170)의 사이에는 압축 공간(10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스톤(150)의 전방 단부는 헤드부(151)라고 호칭될 수 있다. 압축 공간(103)은 피스톤(150)이 후진하였을 때 부피가 증가하고, 피스톤(150)이 전진하면서 부피가 감소한다. 즉, 압축 공간(103) 내부에 유입된 냉매는 피스톤(150)이 전진하면서 압축되고, 토출 밸브 조립체(17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실린더(140)는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141)는 실린더(140)의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플랜지부(141)는 실린더(140)의 외주 반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린더(140)의 제2 플랜지부(141)는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의 전방 측 단부는 실린더(140)의 제2 플랜지부(141)에 대응하는 플랜지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실린더(140)의 제2 플랜지부(141)는 상기 플랜지 홈에 삽입되어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150)의 외주면과 실린더(14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으로 토출 가스를 공급하여 실린더(140)와 피스톤(150) 사이에 가스 윤활할 수 있는 가스 베어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실린더(140)와 피스톤(150) 사이의 토출 가스는 피스톤(150)에 부상력을 제공하여 피스톤(150)과 실린더(14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140)는 가스 유입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유 입구(142)는 바디부(1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스 홈(125c)과 연통될 수 있다. 가스 유입구(142)는 실린더(140)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가스 유입구(142)는 가스 홈(125c)으로 유입되는 압축된 냉매를 실린더(140)의 내주면과 피스톤(150)의 외주면 사이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공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가스 홈(125c)은 실린더(14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가스 유입구(142)의 입구는 상대적으로 넓게, 출구는 노즐 역할을 하도록 미세 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유입구(142)의 입구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필터(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는 금속으로 된 망 필터일 수도 있고, 세실과 같은 부재를 감아서 형성할 수도 있다.
가스 유입구(142)는 복수 개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입구는 환형 홈으로 형성되고 출구는 그 환형 홈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가스 유입구(142)는 실린더(140)의 축 방향 중간을 기준으로 전방 측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가스 유입구(142)는 피스톤(150)의 처짐을 고려하여 실린더(140)의 축 방향 중간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도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피스톤(150)은 실린더(140) 후방의 개방된 단부로 삽입되어, 압축 공간(103)의 후방을 밀폐하도록 마련된다.
피스톤(150)은 헤드부(151)와, 가이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5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51)는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헤드부(151)는 압축 공간(103)을 구획할 수 있다. 가이드부(152)는 헤드부(151)의 외주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15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52)는 내부가 비고, 전방이 헤드부(151)에 의해 부분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가이드부(152)의 후방은 개구되어 머플러 유닛(160)과 연결될 수 있다. 헤드부(151)는 가이드부(152)에 결합되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헤드부(151)와 가이드부(1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50)은 흡입 포트(15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포트(154)는 헤드부(151)를 관통할 수 있다. 흡입 포트(154)는 피스톤(150) 내부의 흡입 공간(102)과 압축 공간(103)을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101)에서 피스톤(150) 내부의 흡입 공간(102)으로 흘러 유입된 냉매는 흡입 포트(154)를 통과하여 피스톤(150)과 실린더(140) 사이의 압축 공간(103)으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 포트(154)는 피스톤(150)의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 포트(154)는 피스톤(150)의 축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포트(154)는 피스톤(150)의 후방으로 갈수록 중심 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흡입 포트(154)는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포트(154)는 내경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흡입 포트(154)는 개구가 헤드부(15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경이 후방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흡입 포트(154)는 헤드부(151)의 반경 방향과 원주 방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압축 공간(103)과 인접한 피스톤(150)의 헤드부(151)에는 흡입 포트(15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흡입 밸브(155)가 장착될 수 있다. 흡입 밸브(155)는 탄성 변형에 의해 동작하여 흡입 포트(154)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즉, 흡입 밸브(155)는 흡입 포트(154)를 통과하여 압축 공간(103)으로 흐르는 냉매의 압력에 의하여 흡입 포트(154)를 개방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피스톤(150)은 무버(135)와 연결될 수 있다. 무버(135)는 피스톤(15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무버(135)와 피스톤(150) 사이에는 이너 스테이터(134)와 실린더(140)가 배치될 수 있다. 무버(135)와 피스톤(150)은 실린더(140)와 이너 스테이터(134)를 후방으로 우회하여 형성되는 마그넷 프레임(136)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머플러 유닛(160)은 피스톤(150)의 후방에 결합되어 피스톤(150)으로 냉매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흡입관(114)를 통하여 흡입된 냉매는 머플러 유닛(160)를 거쳐 피스톤(150)의 내부의 흡입 공간(102)으로 유동할 수 있다.
머플러 유닛(160)은 케이싱(110)의 수용 공간(101)에 연통되는 흡입 머플러(161)와, 흡입 머플러(161)의 전방에 연결되고 냉매를 흡입 포트(154)로 안내하는 내부 가이드(16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머플러(161)는 피스톤(150)의 후방에 위치하고, 후방 측 개구가 흡입관(11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전방 측 단부가 피스톤(15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 머플러(161)는 축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수용 공간(101) 내의 냉매를 피스톤(150) 내부의 흡입 공간(102)으로 안내할 수 있다.
흡입 머플러(161)의 내부는 배플로 구획되는 복수 개의 소음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 머플러(161)는 두 개 이상의 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흡입 머플러의 내부에 제2 흡입 머플러가 압입 결합되면서 복수 개의 소음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 머플러(161)는 무게나 절연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가이드(162)는 일 측이 흡입 머플러(161)의 소음공간에 연통되고, 타 측이 피스톤(150)의 내부에 깊숙하게 삽입될 수 있다. 내부 가이드(162)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가이드(162)는 양 단이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내부 가이드(16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토출 측인 전방 단의 내경이 반대쪽인 후방 단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흡입 머플러(161)와 내부 가이드(162)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이들을 통하여 머플러 유닛(160)을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흡입 머플러(161)와 내부 가이드(16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170)는 토출 밸브(171)와, 토출 밸브(171)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토출 밸브(171)를 탄력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172)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밸브 조립체(170)는 압축 공간(103)에서 압축된 냉매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압축 공간(103)은 흡입 밸브(155)와 토출 밸브(17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토출 밸브(171)는 실린더(140)의 전면에 지지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토출 밸브(171)는 실린더(140)의 전방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토출 밸브(171)는 탄성 변형에 의해 동작하여 압축 공간(103)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토출 밸브(171)는 압축 공간(103)을 통과하여 토출 공간(104)으로 흐르는 냉매의 압력에 의하여 압축 공간(103)를 개방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밸브(171)가 실린더(140)의 전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압축 공간(103)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토출 밸브(171)가 실린더(14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개방된 공간으로 압축 공간(103)의 압축 냉매가 배출될 수 있다.
밸브 스프링(172)은 토출 밸브(171)와 토출 커버 조립체(180)의 사이에 제공되어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밸브 스프링(172)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점유공간이나 신뢰성 측면을 고려하여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 공간(103)의 압력이 토출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 스프링(172)이 전방으로 변형하면서 토출 밸브(171)를 개방시키고, 냉매는 압축 공간(103)으로부터 토출되어 토출 커버 조립체(180)의 제1 토출 공간(104a)으로 배출될 수 있다. 냉매의 배출이 완료되면, 밸브 스프링(172)은 토출 밸브(171)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토출 밸브(171)가 닫혀지도록 할 수 있다.
흡입 밸브(155)를 통해 압축 공간(103)에 냉매가 유입되고, 토출 밸브(171)를 통해 압축 공간(103) 내의 냉매가 토출 공간(104)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스톤(150)이 실린더(140)의 내부에서 왕복 직선운동 하는 과정에서, 압축 공간(103)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흡입 압력 이하가 되면 흡입 밸브(155)가 개방되면서 냉매는 압축 공간(103)으로 흡입된다. 반면에, 압축 공간(103)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흡입 압력을 넘으면 흡입 밸브(155)가 닫힌 상태에서 압축 공간(103)의 냉매가 압축된다.
한편, 압축 공간(103)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토출 압력 이상이 되면 밸브 스프링(172)이 전방으로 변형하면서 이에 연결된 토출 밸브(171)를 개방시키고, 냉매는 압축 공간(103)으로부터 토출 커버 조립체(180)의 토출 공간(104)으로 배출된다. 냉매의 배출이 완료되면 밸브 스프링(172)은 토출 밸브(171)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토출 밸브(171)가 닫혀져 압축 공간(103)의 전방을 밀폐시킨다.
토출 커버 조립체(180)는 압축 공간(103)의 전방에 설치되어, 압축 공간(103)에서 배출된 냉매를 수용하는 토출 공간(104)을 형성하고, 프레임(120)의 전방에 결합되어 냉매가 압축 공간(103)에서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토출 커버 조립체(180)는 토출 밸브 조립체(170)를 수용하면서 프레임(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커버 조립체(180)는 제1 플랜지부(122)에 기계적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 커버 조립체(180)와 프레임(120)의 사이에는 단열을 위한 가스켓(165)과 토출 공간(104)의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오링(166)(O-ring)이 구비될 수 있다.
토출 커버 조립체(180)는 열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커버 조립체(180)에 고온의 냉매가 유입되면 냉매의 열이 토출 커버 조립체(180)를 통해 케이싱(110)으로 전달되어 압축기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토출 커버 조립체(180)는 한 개의 토출 커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토출 커버가 순차적으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토출 커버 조립체(180)가 복수의 토출 커버로 마련되는 경우, 토출 공간(104)은 각각의 토출 커버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공간부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 커버가 3개인 경우, 토출 공간(104)은 프레임(120)의 전방 측에 결합되는 제1 토출 커버(181)와 프레임(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토출 공간(104a)과, 제1 토출 공간(104a)에 연통되고 제1 토출 커버(181)의 전방 측에 결합되는 제2 토출 커버(182)와 제1 토출 커버(181) 사이에 형성되는 제2 토출 공간(104b)과, 제2 토출 공간(104b)에 연통되고 제2 토출 커버(182)의 전방 측에 결합되는 제3 토출 커버(183)와 제2 토출 커버(182) 사이에 형성되는 제3 토출 공간(104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토출 공간(104a)은 토출 밸브(171)에 의해 압축 공간(103)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제2 토출 공간(104b)은 제1 토출 공간(104a)과 연통되며, 제3 토출 공간(104c)은 제2 토출 공간(104b)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 공간(103)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제1 토출 공간(104a), 제2 토출 공간(104b) 그리고 제3 토출 공간(104c)을 차례대로 거치면서 토출 소음이 감쇄되고, 제3 토출 커버(183)에 연통되는 루프 파이프(115a)와 토출관(115)을 통해 케이싱(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동 유닛(130)은 쉘(111)과 프레임(120) 사이에서 프레임(120)의 바디부(1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아우터 스테이터(131)와, 아우터 스테이터(131)와 실린더(140) 사이에 실린더(1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이너 스테이터(134)와, 아우터 스테이터(131)와 이너 스테이터(134) 사이에 배치되는 무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는 프레임(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고, 이너 스테이터(134)는 프레임(120)의 바디부(12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스테이터(134)는 아우터 스테이터(131)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무버(135)는 아우터 스테이터(131)와 이너 스테이터(13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에는 권선 코일이 장착될 수 있으며, 무버(135)는 영구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영구 자석은 1개의 극을 가지는 단일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3개의 극을 가지는 복수의 자석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는 축 방향을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코일 권선체(132)와 코일 권선체(132)를 둘러싸면서 적층되는 스테이터 코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코일 권선체(132)는 스테이터 코어(13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빈(132a)과 보빈(132a)에 권선된 코일(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코일 권선체(132)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의 보빈(132a)과 보빈(132a)의 원주 방향으로 권선된 코일(132b)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일(132b)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육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다수 개의 라미네이션 시트(lamination sheet)가 방사상으로 적층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 블록(lamination block)이 원주 방향을 따라 적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스테이터 코어(133)는 복수 개의 코어 플레이트가 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피스톤(150)은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고, 스테이터 코어(133)에 흐르는 자속은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130)은 '횡자속형 왕복동 모터'라고 호칭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의 전방 측은 프레임(120)의 제1 플랜지부(122)에 지지되고, 후방 측은 스테이터 커버(1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 커버(137)는 속이 빈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 면에 아우터 스테이터(131)가 지지되고, 후방 면에 공진 스프링(118)이 지지될 수 있다.
이너 스테이터(134)는 복수 개의 라미네이션이 프레임(120)의 바디부(121)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버(135)는 일 측이 마그넷 프레임(136)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마그넷 프레임(136)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아우터 스테이터(131)와 이너 스테이터(134)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 프레임(136)은 피스톤(150)의 후방 측에 결합되어 피스톤(150)과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그넷 프레임(136)의 후방 단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고 연장되어 제1 결합부(136a)를 형성하고, 제1 결합부(136a)는 피스톤(15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3 플랜지부(153)에 결합될 수 있다. 마그넷 프레임(136)의 제1 결합부(136a)와 피스톤(150)의 제3 플랜지부(153)는 기계적 결합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피스톤(150)의 제3 플랜지부(153)와 마그넷 프레임(136)의 제1 결합부(136a) 사이에 흡입 머플러(161)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4 플랜지부(161a)가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150)과 머플러 유닛(160)과 무버(135)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함께 선형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구동 유닛(130)에 전류가 인가되면 권선 코일에 자속(magnetic flux)이 형성되고, 아우터 스테이터(131)의 권선 코일에 형성되는 자속과 무버(135)의 영구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이 발생하여 무버(135)가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무버(135)의 축 방향 왕복 움직임과 동시에 마그넷 프레임(136)과 연결되는 피스톤(150)도 무버(135)와 일체로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유닛(130)과 압축 유닛(140, 150)은 지지 스프링(116, 117)과 공진 스프링(118)에 의해 축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공진 스프링(118)은 무버(135)와 피스톤(150)의 왕복 운동에 의해 구현되는 진동을 증폭시켜, 냉매의 효과적인 압축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진 스프링(118)은 피스톤(150)의 고유 진동수에 대응하는 진동수로 조절되어 피스톤(150)이 공진 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진 스프링(118)은 피스톤(150)의 안정적인 움직임을 유발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공진 스프링(118)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공진 스프링(118)의 양 단부는 각각 진동체와 고정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스프링(118)의 일 단부는 마그넷 프레임(136)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백커버(12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공진 스프링(118)은 일 단부에서 진동하는 진동체와 타 단부에 고정된 고정체 사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공진 스프링(118)의 고유 진동수는 압축기(100) 운전 시 무버(135)와 피스톤(150)의 공진 주파수에 일치되도록 설계되어, 피스톤(150)의 왕복 운동을 증폭시킬 수 있다. 다만, 여기서 고정체로 마련되는 백커버(123)는 케이싱(110)에 제1 지지 스프링(116)을 통해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
공진 스프링(118)은 스프링 서포터(119)를 기준으로 후방 측에 지지되는 제1 공진 스프링(118a)과 전방 측에 지지되는 제2 공진 스프링(118b)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19)는 흡입 머플러(161)를 둘러싸는 몸체부(119a)와, 몸체부(119a)의 전방에서 내측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 결합부(119b)와, 몸체부(119a)의 후방에서 외측 반경 방향으로 절곡되는 지지부(119c)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19)의 제2 결합부(119b)는 전방면이 마그넷 프레임(136)의 제1 결합부(136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 서포터(119)의 제2 결합부(119b)의 내경은 흡입 머플러(161)의 외경을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 서포터(119)의 제2 결합부(119b)와, 마그넷 프레임(136)의 제1 결합부(136a)와, 피스톤(150)의 제3 플랜지부(153)은 차례로 배치된 후에 기계적 부재를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피스톤(150)의 제3 플랜지부(153)와 마그넷 프레임(136)의 제1 결합부(136a) 사이에 흡입 머플러(161)의 제4 플랜지부(161a)가 개재되어 함께 고정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공진 스프링(118a)은 백커버(123)의 전방면과 스프링 서포터(119)의 후방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진 스프링(118b)은 스테이터 커버(137)의 후방면과 스프링 서포터(119)의 전방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진 스프링(118a, 118b)은 중심축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진 스프링(118a)과 제2 공진 스프링(118b)는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서로 엇갈려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공진 스프링(118a, 118b)은 중심축의 방사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공진 스프링(118a, 118b)은 각각 3개씩 마련되고, 중심축의 방사 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00)는 프레임(120)과 그 주변의 부품들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복수의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실링 부재는 프레임(120)과 토출 커버 조립체(180)가 결합되는 부분에 개재되고 프레임(120)의 전방 단부에 마련되는 설치 홈에 삽입되는 제1 실링 부재와, 프레임(120)과 실린더(14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고 실린더(140)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설치 홈에 삽입되는 제2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는 프레임(120)의 내주면과 실린더(14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 홈(125c)의 냉매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며, 프레임(120)과 실린더(140)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실링 부재는 프레임(120)과 이너 스테이터(134)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고 프레임(120)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설치 홈에 삽입되는 제3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실링 부재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리니어 압축기(100)의 동작 모습은 아래와 같다.
먼저, 구동 유닛(1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32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아우터 스테이터(131)에 자속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에 형성된 자속은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영구 자석을 구비하는 무버(135)는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력은, 압축 행정 시에는 피스톤(150)이 상사점(TDC, top dead center)을 향하는 방향(전방 방향)으로 발생되고, 흡입 행정 시에는 피스톤(150)이 하사점(BDC, bottom dead center)을 향하는 방향(후방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발생될 수 있다. 즉, 구동 유닛(130)은 무버(135)와 피스톤(150)을 이동 방향으로 미는 힘인 추력(推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린더(140) 내부에서 선형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150)은, 반복적으로 압축 공간(103)의 체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피스톤(150)이 압축 공간(103)의 체적을 증가시키는 방향(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축 공간(103)의 압력은 감소할 수 있다. 이에, 피스톤(150)의 전방에 장착되는 흡입 밸브(155)가 개방되고, 흡입 공간(102)에 머무르던 냉매가 흡입 포트(154)를 따라 압축 공간(103)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행정은 피스톤(150)이 압축 공간(103)의 체적을 최대로 증가시켜 하사점에 위치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하사점에 도달한 피스톤(150)은 운동 방향이 전환되어 압축 공간(103)의 체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전방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압축 행정 시에는 압축 공간(103)의 압력이 증가되면서 흡입된 냉매가 압축될 수 있다. 압축 공간(103)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압축 공간(103)의 압력에 의해 토출 밸브(171)가 밀려나면서 실린더(140)로부터 개방되고, 이격된 공간을 통해 냉매가 토출 공간(104)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 행정은 피스톤(150)이 압축 공간(103)의 체적이 최소가 되는 상사점까지 이동하는 동안 계속될 수 있다.
피스톤(150)의 흡입 행정과 압축 행정이 반복되면서, 흡입관(114)을 통해 압축기(100) 내부의 수용 공간(101)으로 유입된 냉매는 흡입 가이드(116a)와 흡입 머플러(161)와 내부 가이드(162)를 차례로 경유하여 피스톤(150) 내부의 흡입 공간(102)으로 유입되고, 흡입 공간(102)의 냉매는 피스톤(150)의 흡입 행정 시에 실린더(140) 내부의 압축 공간(103)으로 유입될 수 있다. 피스톤(150)의 압축 행정 시에 압축 공간(103)의 냉매가 압축되어 토출 공간(104)으로 토출된 후에는 루프 파이프(115a)와 토출관(115)을 거쳐 압축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0)는 구동 유닛(130)과, 실린더(140)와, 피스톤(15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제외하지 않는다. 이하 설명하지 않은 리니어 압축기(100)의 세부 구성과, 구동 유닛(130),실린더(140), 및 피스톤(150)의 세부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리니어 압축기(100)의 세부 구성과, 구동 유닛(130), 실린더(140), 및 피스톤(15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동 유닛(130)은 아우터 스테이터(131)와, 무버(135)와, 절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는 실린더(14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는 프레임(120)의 바디부(1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는 프레임(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는 이너 스테이터(13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는 이너 스테이터(134)와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131)는 코일 권선체(132)와, 스테이터 코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실린더(14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실린더(1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프레임(12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프레임(120)의 바디부(1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프레임(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전방과 후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달리, 스테이터 코어(133)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테이터 코어(133)는 복수의 코어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코어 플레이트는 축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코일 권선체(132)는 스테이터 코어(13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티쓰부(132a)와, 티쓰부(132a)에 권선되는 코일(13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티쓰부(132a)는 '보빈'으로 호칭될 수도 있다.
티쓰부(132a)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티쓰(132a1, 132a2, 132a3, 132a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티쓰(132a1, 132a2, 132a3, 132a4)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 티쓰(132a1, 132a2, 132a3, 132a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티쓰(132a1, 132a2, 132a3, 132a4) 간의 원주 방향 이격 거리 및/또는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티쓰(132a1, 132a2, 132a3, 132a4) 각각에는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이 권선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티쓰(132a1, 132a2, 132a3, 132a4)는 실린더(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132b)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간의 원주 방향 이격 거리 및/또는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은 제1 내지 제4 티쓰(132a1, 132a2, 132a3, 132a4) 각각에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132b1)과 제2 코일(132b2)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132b1)의 권선 방향과 제2 코일(132b2)의 권선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제1 코일(132b1)은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고, 제2 코일(132b2)은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코일(132b1)은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고, 제2 코일(132b2)은 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도 있다.
제3 코일(132b3)과 제4 코일(132b4)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코일(132b3)의 권선 방향과 제4 코일(132b4)의 권선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제3 코일(132b3)은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고, 제4 코일(132b4)은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코일(132b3)은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고, 제4 코일(132b4)은 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도 있다.
제1 코일(132b1)과 제3 코일(132b3)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제1 코일(132b1)과 제3 코일(132b3)은 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코일(132b1)과 제3 코일(132b3)은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은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이 서로 동일한 파라미터(parameter)를 가짐으로써,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132b1, 132b2)과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132b3, 132b4)이 병렬 연결되더라도 코일의 온도가 기준보다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의 단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의 턴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턴수란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이 제1 내지 제4 티쓰(132a1, 132a2, 132a3, 132a4) 각각에 감긴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의 단면적과, 턴수와,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지라도,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이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으면 무방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서로 동일'이라는 의미는 완전히 동일한 경우 뿐만 아니라, 통상의 기술자를 기준으로 동일할 정도로 유사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코일(132b1)의 전단과 제4 코일(132b4)의 후단은 전원단에 연결될 수 있다.
무버(135)는 피스톤(150)과 연결될 수 있다. 무버(135)는 마그넷 프레임(136)에 결합될 수 있다. 무버(135)는 마그넷 프레임(136)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무버(135)는 마그넷 프레임(136)을 통해 피스톤(15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무버(135)는 코일 권선체(132)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스톤(150)은 실린더(140)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무버(135)는 복수의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는 서로 접촉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 각각의 원주 방향 이격거리 및/또는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 각각은 실린더(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 각각은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과 전자기적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 각각은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과 마주봄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복수의 마그네트(135a, 135b, 135c, 135d)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마그네트는 제1 코일(132b1)과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제2 마그네트는 제3 코일(132b3)과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마그네트는 제2 코일(132b2)과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제2 마그네트는 제4 코일(132b4)과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제1 마그네트와 제2 마그네트는 실린더(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140)의 중심을 기준으로'라는 용어는 '피스톤(150)의 중심을 기준으로'라고 대체될 수도 있다.
절환부(200)는 부하 크기에 따라 제1 내지 제4 코일(132b1, 132b2, 132b3, 132b4) 각각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절환부(200)는 부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 코일과(132b1, 132b2), 제3 및 제4 코일(132b3, 132b4)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환부(200)는 부하 크기에 따라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132b1, 132b2)과,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132b3, 132b4)을 직렬로 연결시키거나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절환부(200)는 '릴레이(relay)'로 호칭될 수 있다. 절환부(200)는 제1 코일(132b1)의 전단과, 제2 코일(132b2)의 후단과, 제3 코일(132b3)의 전단과, 제4 코일(132b4)의 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132b1, 132b2)과,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132b3, 132b4)을 직렬로 연결시키거나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작은 경우, 절환부(200)는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132b1, 132b2)과,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132b3, 132b4)을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력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큰 경우, 절환부(200)는 직렬 연결된 제1 및 제2 코일(132b1, 132b2)과, 직렬 연결된 제3 및 제4 코일(132b3, 132b4)을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를 통해, 코일 인덕턴스 증가로 인한 전압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의 회로도이다.
도 1, 도 2,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100)는 구동 유닛(230)과, 실린더(140)와, 피스톤(150)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설명하지 않은 리니어 압축기(100)의 세부 구성과, 구동 유닛(230), 실린더(140) 및 피스톤(150)의 세부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리니어 압축기(100)의 세부 구성과, 구동 유닛(130), 실린더(140) 및 피스톤(150)의 세부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동 유닛(130)은 아우터 스테이터(231)와, 무버(235)와, 절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231)는 실린더(14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231)는 프레임(120)의 바디부(1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231)는 프레임(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231)는 이너 스테이터(134)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231)는 이너 스테이터(134)와 이격될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231)는 코일 권선체(232)와, 스테이터 코어(2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233)는 실린더(14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233)는 실린더(1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233)는 프레임(12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233)는 프레임(120)의 바디부(12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233)는 프레임(120)의 제1 플랜지부(12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233)는 전방과 후방이 개구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233)의 내측에는 무버(23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테이터 코어(233)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테이터 코어(233)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을 제외한 다각형일 수도 있다. 스테이터 코어(233)는 복수의 코어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코어 플레이트는 축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코일 권선체(232)는 스테이터 코어(233)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보빈(232a)과, 보빈(232a)에 권선되는 코일(23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빈(232a)는 '티쓰부'로 호칭될 수도 있다. 보빈(232a)의 일단과 타단은 스테이터 코어(233)에 연결되고, 보빈(232a)의 나머지 영역은 스테이터 코어(233)와 이격될 수 있다.
보빈(232a)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보빈(232a1, 232a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빈(232a1, 232a2)은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보빈(232a1, 232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빈(232a1, 232a2)은 실린더(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빈(232a1, 232a2)은 피스톤(1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빈(232a1, 232a2)은 코어 플레이트(233)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빈(232a1, 232a2) 각각에는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 각각이 권선될 수 있다.
코일(232b)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코일(232b1, 232b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일(232b1, 232b2)은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은 실린더(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은 피스톤(1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은 코어 플레이트(233)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 각각은 제1 및 제2 보빈(232a1, 232a2) 각각에 권선될 수 있다.
제1 코일(232b1)과 제2 코일(232b2)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일(232b1)과 제2 코일(232b2)은 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코일(232b1)과 제2 코일(232b2)은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은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이 서로 동일한 파라미터(parameter)를 가짐으로써, 제1 코일(232b1)과 제2 코일(232b2)이 병렬 연결되더라도 코일의 온도가 기준보다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 각각의 단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 각각의 턴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턴수란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 각각이 제1 및 제2 보빈(232a1, 232a2) 각각에 감긴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 각각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 각각의 단면적과, 턴수와,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지라도, 제1 및 제2 코일(232b1, 232b2) 각각이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질 수 있으면 무방하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동일'이라는 의미는 완전히 동일한 경우 뿐만 아니라, 통상의 기술자를 기준으로 동일할 정도로 유사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코일(232b1)의 전단과 제2 코일(232b2)의 후단은 전원단에 연결될 수 있다.
무버(235)는 피스톤(150)과 연결될 수 있다. 무버(235)는 마그넷 프레임(236)에 결합될 수 있다. 무버(235)는 마그넷 프레임(236)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무버(235)는 마그넷 프레임(236)을 통해 피스톤(15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무버(235)는 코일 권선체(232)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스톤(150)은 실린더(140)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무버(2335)의 단면적은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버(235)는 복수의 마그네트(235b1, 235b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235b1, 235b2)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235b1, 235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235b1, 235b2)는 실린더(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235b1, 235b2)는 피스톤(1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235b1, 235b2)는 스테이터 코어(233)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235b1, 235b2) 각각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달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마그네트(235b1, 235b2)는 서로 접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 마그네트(235b1, 235b2)가 서로 이격되어도 무방하다.
절환부(300)는 부하 크기에 따라 제1 코일(232b1)과 제2 코일(232b2)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절환부(300)는 '릴레이(relay)'로 호칭될 수 있다. 절환부(300)는 제1 코일(232b1)의 전단과, 제1 코일(232b1)의 후단과, 제2 코일(232b2)의 후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코일(232b1)과 제2 코일(232b2)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작은 경우, 절환부(300)는 제1 코일(232b1)과 제2 코일(232b2)을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출력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큰 경우, 절환부(300)는 제1 코일(232b1)과 제2 코일(232b2)을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코일 인덕턴스 증가로 인한 전압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명세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압축기 101: 수용 공간
102: 흡입 공간 103: 압축 공간
104: 토출 공간 110: 케이싱
111: 쉘 112: 제1 쉘 커버
113: 제2 쉘 커버 114: 흡입관
115: 토출관 115a: 루프 파이프
116: 제1 지지 스프링 116a: 흡입 가이드
116b: 흡입측 지지 부재 116c: 댐핑 부재
117: 제2 지지 스프링 117a: 지지 브라켓
117b: 제1 지지 가이드 117c: 지지 커버
117d: 제2 지지 가이드 117e: 제3 지지 가이드
118: 공진 스프링 118a: 제1 공진 스프링
118b: 제2 공진 스프링 119: 스프링 서포터
119a: 몸체부 119b: 제2 결합부
119c: 지지부 120: 프레임
121: 바디부 122: 제1 플랜지부
123: 백커버 123a: 지지 브라켓
130, 230: 구동 유닛 131: 아우터 스테이터
132: 코일 권선체 132a: 보빈
132b: 코일 133: 스테이터 코어
134: 이너 스테이터 135: 무버
136: 마그넷 프레임 136a: 제1 결합부
137: 스테이터 커버 140: 실린더
141: 제2 플랜지부 142: 가스 유입구
150: 피스톤 151: 헤드부
152: 가이드부 153: 제3 플랜지부
154: 흡입 포트 155: 흡입 밸브
160: 머플러 유닛 161: 흡입 머플러
161a: 제4 플랜지부 162: 내부 가이드
164: 본체 170: 토출 밸브 조립체
171: 토출 밸브 172: 밸브 스프링
180: 토출 커버 조립체 181: 제1 토출 커버
182: 제2 토출 커버 183: 제3 토출 커버
200, 300: 절환부

Claims (20)

  1.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안에 배치되어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밖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코어;
    원주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는 제1 내지 제4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되는 코일 권선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 권선체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으로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무버; 및
    부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는 절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버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고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과 마주하는 제1 내지 제4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은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은 서로 동일한 인덕턴스를 가지는 리니어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리니어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크기가 기준 부하보다 큰 경우,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코일과,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을 병렬로 연결시키는 리니어 압축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의 단면적은 서로 동일한 리니어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의 턴수는 서로 동일한 리니어 압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코일 각각의 길이는 서로 동일한 리니어 압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코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선되고,
    상기 제3 및 제4 코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선되는 리니어 압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3 코일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권선되는 리니어 압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4 코일의 후단은 전원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2 코일의 후단과, 상기 제3 코일의 전단과, 상기 제4 코일의 후단은 상기 절환부에 연결되는 리니어 압축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109385A 2020-08-28 2020-08-28 리니어 압축기 KR10234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385A KR102345320B1 (ko) 2020-08-28 2020-08-28 리니어 압축기
US17/375,131 US11952989B2 (en) 2020-08-28 2021-07-14 Linear compressor
DE102021207660.2A DE102021207660A1 (de) 2020-08-28 2021-07-19 Linearverdichter
CN202121654832.7U CN215521173U (zh) 2020-08-28 2021-07-20 线性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385A KR102345320B1 (ko) 2020-08-28 2020-08-28 리니어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320B1 true KR102345320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385A KR102345320B1 (ko) 2020-08-28 2020-08-28 리니어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52989B2 (ko)
KR (1) KR102345320B1 (ko)
CN (1) CN215521173U (ko)
DE (1) DE10202120766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983A (ko) * 2004-08-30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1484324B1 (ko) 2009-04-09 2015-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및 이에 적용된 피스톤
JP2016101019A (ja) * 2014-11-25 2016-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ニアモータ及びリニアモータを搭載した圧縮機
KR20190095807A (ko) * 2018-02-07 2019-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자속형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구비한 리니어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658A (en) * 1908-10-20 1910-07-19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ethod of operating electric motors.
KR100701945B1 (ko) * 2004-04-24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속도 가변형 모터
ES2335287T3 (es) * 2004-04-24 2010-03-24 Lg Electronics, Inc. Motor de velocidad variable.
KR100688185B1 (ko) * 2004-05-28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속도 가변형 모터
US7746025B2 (en) * 2005-02-14 2010-06-29 Lg Electronics Inc. Variable speed motor
US7400071B2 (en) * 2005-09-29 2008-07-15 Caterpillar Inc. Selectively configurable electric motor
JP6419535B2 (ja) * 2014-11-07 2018-1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ニアモータ並びにリニアモータを搭載した圧縮機及び機器
EP3358727B1 (en) * 2017-02-01 2021-03-17 LG Electronics Inc. Transverse flux reciprocating motor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KR20200085298A (ko) * 2017-12-07 2020-07-14 위, 리-치엔 가변 권수를 갖는 코일 권선을 포함하는 영구 자석 모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983A (ko) * 2004-08-30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1484324B1 (ko) 2009-04-09 2015-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및 이에 적용된 피스톤
JP2016101019A (ja) * 2014-11-25 2016-05-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ニアモータ及びリニアモータを搭載した圧縮機
KR20190095807A (ko) * 2018-02-07 2019-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자속형 리니어 모터 및 이를 구비한 리니어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52989B2 (en) 2024-04-09
CN215521173U (zh) 2022-01-14
DE102021207660A1 (de) 2022-03-03
US20220065238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48582B1 (en) Compressor
KR102430410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45320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45324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45322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30411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269942B1 (ko) 압축기
KR102321785B1 (ko) 압축기
KR102432495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89036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390579B1 (ko) 압축기
KR102269937B1 (ko) 압축기
KR102269940B1 (ko) 압축기
KR102324069B1 (ko) 압축기
KR102228544B1 (ko) 압축기
KR102399507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KR102417028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554258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2458151B1 (ko) 리니어 압축기
KR20210157244A (ko) 압축기
KR20220098552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20088005A (ko) 리니어 압축기
KR20210079030A (ko) 압축기
KR20210088284A (ko) 압축기
KR20230093967A (ko) 리니어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